KR20200098239A -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8239A KR20200098239A KR1020190016113A KR20190016113A KR20200098239A KR 20200098239 A KR20200098239 A KR 20200098239A KR 1020190016113 A KR1020190016113 A KR 1020190016113A KR 20190016113 A KR20190016113 A KR 20190016113A KR 20200098239 A KR20200098239 A KR 202000982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space
- space
- core
- apartment hous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는, 복수의 세대를 출입하는 현관문 사이에 시공되는 코어공간을 구비하는 건축 구조로서, 상기 코어공간은, 개방감 있는 코어존의 형성을 위해 마련되는 발코니; 및 상기 발코니의 주변에 배치되되 세대원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테이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된 채로 존재하는 코어공간을 다양한 공간 혹은 기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은 하나의 건축물의 벽, 복도, 계단, 그 밖의 설비 전부 또는 일부를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세대마다 독립된 주거생활이 가능한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한다.
다시 말해, 아파트나 빌라 등 여러 채의 단독가구들이 수직적으로 이루어진 주거형태를 흔히들 공동주택이라 일컫는다.
이러한 공동주택으로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학교 기숙사 등이 있는대, 최근의 대표적인 공동주택이 아파트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공동주택으로서의 아파트에 대한 일반적인 코어공간 배치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대표적인 공동주택으로서의 아파트에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코어공간(1a~1c, 혹은 코어부, 코어존이라고도 함)이 마련된다.
이러한 코어공간(1a~1c)은 수직 또는 수평적인 통로로 각 세대의 현관까지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아파트에 거주하는 세대원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코어공간(1a~1c)을 사람이 지나는 통로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세대의 현관문이 닫히면 코어공간(1a~1c)은 빈 공간으로 남겨진다.
건축 구조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코어공간(1a~1c)은 실제, 큰 면적을 이루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이처럼 코어공간(1a~1c)이 빈 공간으로 방치되면 상당한 로스(loss)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된 채로 존재하는 코어공간을 다양한 공간 혹은 기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세대를 출입하는 현관문 사이에 시공되는 코어공간을 구비하는 건축 구조로서, 상기 코어공간은, 개방감 있는 코어존의 형성을 위해 마련되는 발코니; 및 상기 발코니의 주변에 배치되되 세대원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세대를 출입하는 현관문 사이에 시공되는 코어공간을 구비하는 건축 구조로서, 상기 코어공간은 세대원의 아이들이 나와 놀 수 있는 놀이 공간부를 포함되 상기 놀이 공간부는, 상기 코어공간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는 다수의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놀이용 매트; 및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식 의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세대를 출입하는 현관문 사이에 시공되는 코어공간을 구비하는 건축 구조로서, 상기 코어공간은, 반려견의 출입이 허용되는 반려견 공간부; 및 상기 반려견 공간부의 주변에 배치되되 세대원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세대를 출입하는 현관문 사이에 시공되는 코어공간을 구비하는 건축 구조로서, 상기 복수의 세대가 가족 구성원으로서 상기 현관문 주변으로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도어가 마련되며, 상기 코어공간에 세대원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테이블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된 채로 존재하는 코어공간을 다양한 공간 혹은 기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웃들 간의 모이는 장소, 혹은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로서 각 세대원 간의 소통을 끌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공동주택으로서의 아파트에 대한 일반적인 코어공간 배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에 대한 다양한 변형 활용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에 대한 다양한 변형 활용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된 채로 존재하는 코어공간(130)을 다양한 공간 혹은 기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은 예컨대, 빌라 구조로서 한 층에 2개의 세대가 마련된다. 세대마다 해당 현관문(101,102)이 적용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공동주택은 낮은 층고를 이루어서 엘리베이터가 없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건축 구조에서 현관문(101,102) 사이에는 통상 건축 시방서에 따라 코어공간(130)이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코어공간(130)은 세대의 출입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코어공간(130)의 경우, 종래에서는 빈 공간으로 방치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그 일측에 발코니(140)를 두어 개방감 있는 코어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발코니(140)의 주변에는 책상, 의자, 책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공용 테이블(150)이 배치됨으로써 세대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럴 경우, 책을 읽거나 쉴 때, 실내의 답답한 환경에서 벗어나 코어공간(130)의 공용 테이블(150)을 활용하면 되기 때문에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된 채로 존재하는 코어공간(130)을 다양한 공간 혹은 기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들 간의 모이는 장소, 혹은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로서 각 세대원 간의 소통을 끌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코어공간(130)의 활용방안은 공간적인 구성이지만 거주자들의 기획, 자발적 참여, 평가를 토대로 완성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배경에 따라 아래의 실시예 혹은 활용예처럼 다양한 공간 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낮은 층고를 이루어서 엘리베이터가 없는 구조의 공동주택으로서 한 층에 2개의 세대가 마련된다. 세대마다 해당 현관문(101,102)이 적용된다.
그리고 현관문(101,102) 사이에는 통상 건축 시방서에 따라 코어공간(230)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코어공간(230)에 세대원의 아이들이 나와 놀 수 있는 놀이 공간부(240)가 형성된다.
놀이 공간부(240)는 코어공간(230)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41)와, 베이스 플레이트(241) 상에 마련되는 다수의 캐비닛(242)과, 캐비닛(242)의 상부에 배치되는 놀이용 매트(243)와, 캐비닛(242)의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식 의자(244)를 포함할 수 있다.
놀이용 매트(243)가 적용됨에 따라 아이들이 다치지 않고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특히, 코어공간(230)에서 놀기 때문에 세대 아래층으로의 소음 전달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캐비닛(242)이 적용됨으로써 집에 보관하기 곤란하거나 부피가 큰 장난감을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호자는 고정식 의자(244)에 앉아 아이들의 놀이를 관찰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된 채로 존재하는 코어공간(230)을 다양한 공간 혹은 기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웃들 간의 모이는 장소, 혹은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로서 각 세대원 간의 소통을 끌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낮은 층고를 이루어서 엘리베이터가 없는 구조의 공동주택으로서 한 층에 2개의 세대가 마련된다. 세대마다 해당 현관문(101,102)이 적용된다.
그리고 현관문(101,102) 사이에는 통상 건축 시방서에 따라 코어공간(330)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코어공간(330)의 일측은 반려견의 출입이 허용되는 반려견 공간부(340)를 이룬다. 최근, 반려견의 출입이 제한되고 있는 건물이 늘어나는 것을 고려해볼 때, 반려견 공간부(340)를 적용함으로써 반려견의 활동 및 운동에 좋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반려견 공간부(340)의 주변에는 책상, 의자, 책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공용 테이블(150)이 배치됨으로써 세대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럴 경우, 책을 읽거나 쉴 때, 실내의 답답한 환경에서 벗어나 코어공간(330)의 공용 테이블(150)을 활용하면 되기 때문에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된 채로 존재하는 코어공간(330)을 다양한 공간 혹은 기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웃들 간의 모이는 장소, 혹은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로서 각 세대원 간의 소통을 끌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낮은 층고를 이루어서 엘리베이터가 없는 구조의 공동주택으로서 한 층에 2개의 세대가 마련된다. 세대마다 해당 현관문(101,102)이 적용된다.
그리고 현관문(101,102) 사이에는 통상 건축 시방서에 따라 코어공간(430)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코어공간(430)에는 공용 창고(460)가 마련된다. 공용 창고(460)에는 공용 창고(460)를 출입할 수 있는 도어(461)가 마련된다.
이처럼 넓은 빈 공간인 코어공간(430)에 공용 창고(460)를 설치함으로써 해당 세대원들이 집에 두기 어려운 물건을 공용 창고(460)에 공용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된 채로 존재하는 코어공간(430)을 다양한 공간 혹은 기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웃들 간의 모이는 장소, 혹은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로서 각 세대원 간의 소통을 끌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건축 구조에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의 코어공간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낮은 층고를 이루어서 엘리베이터가 없는 구조의 공동주택으로서 한 층에 2개의 세대가 마련된다. 세대마다 해당 현관문(501,502)이 적용된다. 그리고 현관문(501,502) 사이에는 통상 건축 시방서에 따라 코어공간(430)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가족 구성원끼리 같은 공동주택에 주거하는 경우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2개의 세대에 부모와 자식 등 가족 구성원끼리 같이 주거하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현관문(501,502) 사이에 건축 시방서에 따라 코어공간(5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코어공간(530)은 전술한 실시예보다 활용도가 높다.
즉 같은 층에 가족 구성원끼리 주거하는 형태라서 세대의 현관문(501,502) 주변으로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도어(571,572)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도어(571,572) 사이에 예컨대, 공용 테이블(580)이 적용될 수 있다.
공용 테이블(580)은 책상, 의자, 책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책을 읽거나 쉴 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가족 구성원끼리 함께 식사를 즐길 때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된 채로 존재하는 코어공간(430)을 다양한 공간 혹은 기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웃들 간의 모이는 장소, 혹은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로서 각 세대원 간의 소통을 끌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변형 활용예)
도 10 내지 도 14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에 대한 다양한 변형 활용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은 모두,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공동주택의 코어공간(630a~630e)의 활용예로서, 엘리베이터의 적용여부만이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예와 상이할 뿐 구조와 활용방식은 동일하다.
다시 말해,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코어공간(630a~630e)은 도 4, 도 5,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코어공간(130~530)의 활용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의 변형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통상 빈 공간으로 방치된 채로 존재하는 코어공간(630a~630e)을 다양한 공간 혹은 기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동주택의 한정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웃들 간의 모이는 장소, 혹은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로서 각 세대원 간의 소통을 끌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1,102 : 현관문 130 : 코어공간
140 : 발코니 150 : 공용 테이블
140 : 발코니 150 : 공용 테이블
Claims (4)
- 복수의 세대를 출입하는 현관문 사이에 시공되는 코어공간을 구비하는 건축 구조로서,
상기 코어공간은,
개방감 있는 코어존의 형성을 위해 마련되는 발코니; 및
상기 발코니의 주변에 배치되되 세대원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 복수의 세대를 출입하는 현관문 사이에 시공되는 코어공간을 구비하는 건축 구조로서,
상기 코어공간은 세대원의 아이들이 나와 놀 수 있는 놀이 공간부를 포함되 상기 놀이 공간부는,
상기 코어공간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는 다수의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놀이용 매트; 및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식 의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 복수의 세대를 출입하는 현관문 사이에 시공되는 코어공간을 구비하는 건축 구조로서,
상기 코어공간은,
반려견의 출입이 허용되는 반려견 공간부; 및
상기 반려견 공간부의 주변에 배치되되 세대원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 복수의 세대를 출입하는 현관문 사이에 시공되는 코어공간을 구비하는 건축 구조로서,
상기 복수의 세대가 가족 구성원으로서 상기 현관문 주변으로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도어가 마련되며,
상기 코어공간에 세대원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테이블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6113A KR20200098239A (ko) | 2019-02-12 | 2019-02-12 |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6113A KR20200098239A (ko) | 2019-02-12 | 2019-02-12 |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8239A true KR20200098239A (ko) | 2020-08-20 |
Family
ID=7229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6113A KR20200098239A (ko) | 2019-02-12 | 2019-02-12 |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9823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9720A (ko) | 2020-10-15 | 2022-04-22 | 삼성물산 주식회사 |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3595U (ko) | 1997-12-08 | 1999-07-05 | 김영환 | 수동 대차의 슬라이드 레버 가이드 장치 |
KR20100013719A (ko) | 2008-07-31 | 2010-02-10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
KR20140098317A (ko) | 2013-01-30 | 2014-08-08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엔에프씨 기반의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083084A (ko) | 2014-11-10 | 2017-07-17 |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
-
2019
- 2019-02-12 KR KR1020190016113A patent/KR202000982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3595U (ko) | 1997-12-08 | 1999-07-05 | 김영환 | 수동 대차의 슬라이드 레버 가이드 장치 |
KR20100013719A (ko) | 2008-07-31 | 2010-02-10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
KR20140098317A (ko) | 2013-01-30 | 2014-08-08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엔에프씨 기반의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083084A (ko) | 2014-11-10 | 2017-07-17 |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9720A (ko) | 2020-10-15 | 2022-04-22 | 삼성물산 주식회사 |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onteiro | Activity analysis in houses of Recife, Brazil | |
Karsten | Young families and high-rise: Towards inclusive vertical family housing | |
KR20200098239A (ko) | 공동주택의 코어공간을 활용한 기능성 건축 구조 | |
JP2014205979A (ja) | 建物 | |
JP3140203U (ja) | 住宅 | |
KR101314742B1 (ko) | 테라스를 갖는 아파트 구조 | |
KR102318860B1 (ko) | 공간활용 및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 |
JP2014031636A (ja) | 住宅 | |
JP2022139205A (ja) | 住戸構造 | |
Caldenby et al. | The social logic of space: Community and detachment | |
JP2017089347A (ja) | 住宅 | |
JPH0913699A (ja) | 多世帯用住宅 | |
JP2007100354A (ja) | 住宅の間取り構造及び住宅 | |
CN200989064Y (zh) | 交叉跨廊式跃层住宅 | |
JP7500186B2 (ja) | 共同住宅 | |
JP2003105982A (ja) | 建物の間取りの設計方法および建物 | |
KR101711946B1 (ko) | 발코니의 이용효율을 증대시킨 발코니하우스 | |
JP7528472B2 (ja) | 建築物 | |
JP4279742B2 (ja) | 建物 | |
Wisdianti | Culture, Gender and Spatial Arrangement in Traditional Houses | |
Parma | GLAZED CONNECTIONS-A design strategy to promote wellbeing & social interaction within glazed spaces in residential buildings | |
US20220290452A1 (en) | Single-family apartment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JPH06346611A (ja) | 集合住宅用建築物 | |
Khajehzadeh et al. | Shared spaces in a student dorm | |
Helamaa | The extended home: On design solutions for community oriented hou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