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275B1 -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275B1
KR100970275B1 KR1020080063052A KR20080063052A KR100970275B1 KR 100970275 B1 KR100970275 B1 KR 100970275B1 KR 1020080063052 A KR1020080063052 A KR 1020080063052A KR 20080063052 A KR20080063052 A KR 20080063052A KR 100970275 B1 KR100970275 B1 KR 100970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ok
plate
main
sea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983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2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57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the ejecting surface being large with regard to the surfac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29C2045/4442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성형기의 일측에는 제1원판(16)을 구비하는 제1고정판(10)이 설치되고, 성형기의 타측에는 제2원판(24)을 구비하는 제2고정판(2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원판(16) 및 제2원판(24)에는 캐비티(26')를 형성하는 제1메인코어(18)와 제2메인코어(26)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26') 내에서 완성된 제품(1)을 취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밀판(40,50)이 상기 제2고정판(20)과 제2원판(24)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밀판(40,50)은 상기 제2밀판(50)에 구비되는 걸이블럭(53)이 상기 제1밀판(40)에 구비되는 메인블럭(41)에 걸어짐에 의해 초기에는 함께 이동하다가, 상기 걸이블럭(53)이 상기 제2고정판(20)에 구비되는 가이드블럭(32)의 해제안내면(36)과 만나면서 상기 걸이블럭(53)이 회동되어 더이상 메인블럭(41)에 걸어지지 않게 되어 상기 제2밀판(50)만이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간소화되며, 비교적 큰 면적의 밀판도 정확하게 연동되는 이점이 있다.
금형조립체, 밀판, 연동, 걸이블럭

Description

금형조립체{Mold assembly}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제품중 언더컷면을 가지는 제품을 형성하는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언더컷면을 가진 제품의 형상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사출성형되는 제품(1)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몸체(3)이다. 상기 몸체(3)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몸체(3)의 일측에 후크(5)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5)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품(1)과 결합되는 다른 제품에 형성된 걸림턱이나 요홈 등에 걸어지는 것이다. 상기 후크(5)의 선단에는 상기 몸체(3)를 향해 돌출되게 걸림턱(6)이 형성된다. 상기 도면부호 7은 상기 후크(5)에 형성되는 언더컷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을 통해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방향으로 서로 결합되고 분리되게 구성된 제1 및 제2 메인코어(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한다. 상기 제1 및 제2 메인코어에는 제품(1)의 형상과 대응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함에 의해 제품(1)을 형성하기 위해 수지가 채워지는 캐비티를 형성한다.
금형 내에서 제품(1)이 완성되면 제품(1)을 취출하여야 하는데, 먼저 제1메 인코어와 제2메인코어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품(1)의 언더컷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품(1)을 제2메인코어로부터 2단으로 취출한다. 즉, 상기 후크(5)를 형성하기 위한 후크코어와 상기 제품(1)의 일측을 밀어주는 밀핀이 각각 구비되어, 먼저, 상기 후크코어와 밀핀이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품(1)을 상기 제2메인코어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밀핀만 더 이동하여 상기 제품(1)을 밀어 상기 제품(1)의 후크(5)가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후크코어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후크코어와 밀핀이 별개의 구동원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금형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후크코어와 밀핀을 1차로 함께 이동시키다가 2차로는 밀핀만 이동시켜야 하므로, 상기 별개의 구동원을 각각 제어해야하므로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언더컷면을 가지는 제품을 간단한 구성의 금형조립체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구동원으로 후크코어와 밀핀이 시간차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성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1원판을 구비하는 제1고정판; 상기 성형기의 타측에 장착되고 제2원판을 구비하는 제2고정판; 상기 제2고정판과 상기 제2원판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품의 일측을 형성하는 후크코어를 구비하는 제1밀판; 상기 제1밀판과 상기 제2원판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품을 취출하는 이젝트핀을 구비하는 제2밀판; 그리고 상기 제2고정판에 구비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제1밀판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메인블럭과, 상기 제2밀판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블럭의 일측에 걸어져 상기 제1밀판과 제2밀판을 연동시키는 걸이블럭을 포함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블럭은 상기 제2밀판과 직교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밀판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블럭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걸이블럭이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2밀판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걸이블럭이 초기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된다.
삭제
상기 걸이블럭의 내측에 형성된 걸이턱이 상기 메인블럭의 걸림턱에 걸어져 상기 제1밀판과 제2밀판이 함께 이동하다가, 상기 걸이블럭이 상기 가이드블럭의 외측 선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동해제턱을 통과하면서 상기 걸이블럭이 회동됨에 의해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림턱을 벗어나 상기 제1밀판과 제2밀판의 연동이 해제되고, 상기 제2밀판만이 더 이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블럭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블럭이 삽입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블럭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블럭의 양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상기 메인블럭의 외면에 대하여 각각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블럭의 걸이턱이 상기 지지리브의 단부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해제턱의 일측에는 상기 걸이턱을 지지하여 상기 걸이블럭의 회동 방향을 안내하는 해제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밀판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밀판은 각각 지지판과 연동판이 겹쳐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밀판이 이동하는 공간은 상기 제2고정판과 상기 제2원판 사이에 스페이서블럭이 설치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걸이블럭이 메인블럭의 일측에 걸어져 제1밀판과 제2밀판이 함께 이동되므로, 제2밀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걸이블럭의 걸이턱이 메인블럭의 걸림턱에 걸어진 상태로 제1 및 제2밀판이 연동되는 것이므로, 걸이블럭이 가이드블럭의 연동해제턱을 만나기 전까지 메인블럭의 일측에 걸어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제1 및 제2밀판의 무게가 무겁거나 면적이 넓은 경우에도 연동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금형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럭, 메인블럭, 걸이블럭이 각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럭과 메인블럭의 결합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고정판(10)은 성형기의 일측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고정판(10)은 일반적으로 성형기의 고정측에 장착된다. 상기 제1고정판(10)에는 성형기의 고정측에의 연결을 위한 로케이팅링(12)이 설치되고, 상기 로케이팅링(12)의 중앙을 통과한 위치에는 주입구(14)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구(14)는 제품(1) 성형을 위한 수지가 주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고정판(10)에는 제1원판(16)이 설치된다. 상기 제1원판(16)은 상기 제1고정판(10)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1원판(16)에는 제1코어설치공간(17)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코어설치공간(17) 내에는 제1메인코어(18)가 설치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메인코어(26)와 마주보는 면에 제품(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구비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18)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고정판(20)은 성형기의 일측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고정판(20)은 일반적으로 성형기의 가동측에 장착된다. 상기 제2고정판(20)에는 양단에 스페이서블럭(22)이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블럭(22)에는 상기 제2고정판(20)과 마주보게 받침판(23)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판(23)상에는 제2원판(24)이 설치된다. 상기 제2원판(24)은 상기 제1원판(16)과 마주보게 상기 제2고정판(20)에 설치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받침판(23)없이 제2원판(24)이 상기 스페이서블럭(2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원판(24)에는 제2코어설치공간(25)이 형성되고, 상기 제2코어설치공간(25)에는 상기 제1메인코어(18)와 대응되는 제2메인코어(26)가 설치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26)에도 상기 제품(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2메인코어(26)중 상기 제1메인코어(18)와 마주보는 면에 제품(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다. 실제로, 상기 제1메인코어(18)와 제2메인코어(26)가 형성하는 공간인 캐비티(26')에서 제품(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캐비티(26')의 형상이 제품(1)의 형상이다.
물론, 상기 캐비티(26')의 형상이 상기 제1메인코어(18)와 제2메인코어(26)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아래에서 설명될 후크코어(49)에 의해서도 일부 형성되기는 한다. 하지만, 몸체(3)의 대부분의 구성은 상기 제1메인코어(18)와 제2메인코어(26)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26')로는 상기 주입구(14)를 통해 주입된 수지가 공급된다.
상기 스페이서블럭(22)에 의해 상기 제2고정판(20)과 받침판(23)의 사이에는 이동공간(28)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공간(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밀판(40, 50)들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상기 밀판(40,50)들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기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중심으로 상기 제2고정판(20)의 일측에 형성된 요입부(20')에는 안착블럭(31)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블럭(31)에는 후술할 메인블럭(41)의 중앙부가 안착된다. 그리고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블럭(31)의 일면에는 가이드블럭(3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블럭(32)은 상기 메인블럭(41)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럭(32)은 후술할 걸이블럭(53)과 메인블럭(41)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걸이블럭(53)을 지지하여 상기 걸이블럭(53)이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가이드블럭(32)의 내면 일측에는 걸이단(33)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33)에는 상기 메인블럭(41)의 걸림단(44)이 걸어진다. 상기 가이드블럭(32)의 선단 외면에는 연동해제턱(35)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연동해제턱(35)은 상기 걸이단(33)이 형성된 가이드블럭(32)의 내면의 반대쪽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해제턱(35)의 내측에는 해제안내면(36)이 형성된다. 상기 해제안내면(36)은 걸이블럭(53)의 회동을 내하여 상기 걸이블럭(53)이 상기 메인블럭(41)과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해제턱(35)의 선단에는 상기 걸이블럭(53)의 체결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체결안내경사면(37)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판(20)과 접하도록 제1밀판(4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밀판(40)은 상기 이동공간(28) 내에 구비되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밀판(40)은 함께 연동하는 제1지지판(40a)과 제1연동판(4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판(40a)과 제1연동판(40b)은 아래에서 설명될 후크코어(49)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지지판(40a)과 제1연동판(40b)의 일측면에는 메인블럭(41)이 볼트(B)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볼트(B)에 의해 상기 제1지지판(40a), 제1연동판(40b), 메인블럭(41)이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된다.
상기 메인블럭(41)의 외면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리브(42)가 상기 메인블럭(41)의 외면과 각각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42) 사이에는 가이드채널(4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43)에는 상기 가이드블럭(32)이 안착된다. 상기 메인블럭(41)의 외면에 해당되는 상기 가이드채널(43)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블럭(32)의 걸이단(33)에 걸어지는 걸림단(44)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42)의 선단에는 걸이블럭(53)과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면(45)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42)의 후단은 상기 걸이블럭(53)의 걸이턱(57)에 걸어지는 걸림턱(46)이다. 상기 걸림턱(46)이 상기 걸이턱(57)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메인블럭(41)과 상기 걸이블럭(53)이 함께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블럭(32)에 의해 상기 메인블럭(41)과 상기 걸이블럭(53)의 이동 방향이 가이드되다가, 상기 걸이블럭(53)이 상기 가이드블럭(32)의 연동해제턱(35)을 통과할 때 상기 걸이턱(57)이 상기 걸림턱(46)을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제1지지판(40a)과 상기 제1연동판(40b)에는 후크코어(49)가 설치되는데, 상기 후크코어(49)는 후술할 제2지지판(50a) 및 제2연동판(50b)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코어(49)는 받침판(23), 제2원판(24) 및 제2메인코어(26)를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캐비티(26')에 있게 된다. 실제로 상기 후크코어(49)의 선단은 상기 캐비티(26')의 내면 일부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품(1) 중 후크(5)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밀판(40)과는 별도로 제2밀판(50)이 상기 제1밀판(40)과 마주보게 설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밀판(50)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이 구비된다.
상기 제2밀판(50)은 제2지지판(50a)과 제2연동판(5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연동판(50b)에는 고정블럭(51)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블럭(51)을 관통하는 체결볼트(B)에 의해 상기 제2지지판(50a), 제2연동판(50b), 고정블럭(51)이 모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된다.
상기 고정블럭(51)의 외면 일측에 핀장착부(5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51)의 외면에 걸이블럭(53)이 결합된다. 상기 걸이블럭(53)은 상기 메인블럭(41)에 걸어져 상기 제1밀판(40)과 제2밀판(50)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블럭(53)의 일측에는 상기 핀장착부(52)가 삽입되는 삽입홀(5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블럭(53)과 핀장착부(52)를 상기 걸이블럭(5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서는 힌지핀(55)이 설치된다. 상기 힌지핀(55)을 중심으로 상기 걸이블럭(53)이 회동된다. 상기 고정블럭(51)의 외면과 마주하는 상기 걸이블럭(53)의 내면에는 회동규제면(56')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규제면(56')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걸이블럭(53)의 회동각도가 규제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동규제면(56')의 경사도가 클수록 성기 걸이블럭(53)의 회동각도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규제면(56')이 형성되는 상기 걸이블럭(53)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블럭(51)의 외측면에 고정된 탄성부재(5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56)는 상기 회동규제면(56')이 상기 고정블럭(51)의 외면과의 간격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회동규제면(56')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걸이블럭(53)의 타측 내면에는 걸이턱(5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7)에는 상기 메인블럭(41)의 걸림턱(46)이 걸어진다. 상기 걸이턱(57)의 외면 일측에는 경사면(58)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8)은 상기 걸이블럭(53)이 상기 가이드블럭(32)의 선단에 형성된 체결안내경사면(37)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블럭(53)은 상기 메인블럭(41)에 걸어져 상기 제1밀판(40)과 제2밀판(50)을 함께 이동시키다가, 상기 걸이블럭(53)이 상기 가이드블럭(32)의 연동해제턱(35)을 만나면, 상기 탄성부재(56)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상기 힌지핀(55)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걸이블럭(53)이 상기 메인블럭(41)을 더이상 지지하지 않도 록 됨에 의해 상기 제2밀판(50)만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연동판(50b)을 관통하고 상기 제2지지판(50a)에 지지되게 이젝트핀(59)이 설치된다. 상기 이젝트핀(59)은 상기 받침판(23), 제2원판(24) 및 제2메인코어(26)를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캐비티(26')에 있도록 된다. 실제로 상기 이젝트핀(59)의 선단은 상기 캐비티(26')의 내면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이젝트핀(59)은 제품(1)이 성형되고 나면 상기 제2메인코어(26)에서 분리되도록 제품(1)을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에서 제품이 분리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의 상태는 제품(1)의 성형을 위해 제1메인코어(18)와 제2메인코어(26) 그리고 후크코어(49)가 캐비티(26')를 형성한 상태이다. 물론 상기 밀핀(59)도 캐비티(26')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1메인코어(18)와 제2메인코어(26)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고 하고, 상기 제1메인코어(18)와 제2메인코어(26)가 분리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14)를 통해 용융된 상태의 수지를 상기 캐비티(26')로 주입한다. 상기 캐비티(26')에 주입된 수지가 경화되면 성형기의 가동측을 이동시켜 상기 제1메인코어(18)와 제2메인코어(26)가 분리되도록 한다.
즉, 먼저, 상기 제2고정판(20)이 상기 제1고정판(1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 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메인코어(18)와 제2메인코어(26)가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캐비티(26')에 형성된 제품(1)은 상기 제2메인코어(26)에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메인코어(18)에 의해 형성되는 제품(1)의 외면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밀판(40,50)을 동작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밀판(40,5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상기 제2밀판(5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지지판(50a)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밀판(40,50)은 상기 제2밀판(50)에 설치된 걸이블럭(53)의 걸이턱(57)이 상기 제1밀판(40)에 설치된 메인블럭(41)의 걸림턱(46)에 걸어짐에 의해 함께 동작된다. 이때 상기 메인블럭(41)의 이동이 상기 가이드블럭(32)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는 도 3에서 도 8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그러하다.
상기 제1 및 제2밀판(40,50)은 상기 걸이블럭(53)의 걸이턱(57)이 상기 가이드블럭(32)의 연동해제턱(35)과 접할 때까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밀판(40,50)이 함께 이동하다가, 상기 걸이블럭(53)의 걸이턱(57)이 상기 가이드블럭(32)의 연동해제턱(35)을 만나게 되면, 상기 걸이블럭(53)이 상기 연동해제턱(35)의 해제안내면(36)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힌지핀(5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걸림턱(46)이 걸이턱(57)에서 이탈되어 상기 걸이블럭(53)이 상기 메인블럭(41)과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8과 도 9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걸이블럭(53)이 회동됨에 의해 상기 메인블럭(41)과 걸이블럭(53)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1밀판(40)과 제2밀판(50)이 더이상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밀판(50)에는 계속하여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상기 제2고정판(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이 가해지므로 상기 제1밀판(40)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밀판(50)만이 더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8의 상태까지는 상기 제1밀판(40)과 제2밀판(50)이 함께 이동하므로 상기 후크코어(49)와 이젝트핀(59)이 함께 이동하여 각각 그 선단이 상기 제2메인코어(26)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이때까지는 상기 제품(1)의 후크(5)의 내면에 상기 후크코어(49)가 그대로 붙어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9의 상태부터는 상기 제2밀판(50) 만이 상대적으로 상기 제2원판(24)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이젝트핀(59)이 상기 후크코어(49)에 비해 더 돌출되도록 된다. 즉, 상기 후크코어(49)는 상기 제1밀판(40)이 더 이상 이동하지 않으므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이젝트핀(59)만이 상기 제2밀판(50)에 의해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젝트핀(59) 만이 더 돌출됨에 의해 상기 제품(1)의 후크(5)가 후크코어(49)와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후크(5)가 재질의 특성상 외측으로 쉽게 탄성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후크(5)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후크코어(49)와 분리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1)이 취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밀판(40)과 제2밀판(50)이 걸이블럭(53)에 의해 연동되어 함께 이동하다가 상기 걸이블럭(53)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제2밀판(50) 만이 더 이동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이블럭(53)이 제1밀판(40)의 메인블럭(41)의 일 측에 걸어지는 구조이므로 제1 및 제2밀판(40,50)의 면적이 넓은 경우에도 제1 및 제2밀판(40,50)의 연동이 견고하게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제1밀판(4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불필요하므로 상대적으로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언더컷면을 가진 제품의 형상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이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럭과 메인블럭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품의 취출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고정판 16: 제1원판
18: 제1메인코어 20: 제2고정판
22: 스페이서블럭 23: 받침판
26: 제2메인코어 26': 캐비티
28: 이동공간 32: 가이드블럭
33: 걸이단 35: 연동해제턱
36: 해제안내면 40: 제1밀판
41: 메인블럭 42: 지지리브
43: 가이드채널 46: 걸림턱
49: 후크코어 50: 제2밀판
51: 고정블럭 52: 핀장착부
53: 걸이블럭 54: 삽입홀
55: 힌지핀 56: 탄성부재
56': 회동규제면 57: 걸이턱
59: 이젝트핀

Claims (8)

  1. 성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1원판을 구비하는 제1고정판;
    상기 성형기의 타측에 장착되고 제2원판을 구비하는 제2고정판;
    상기 제2고정판과 상기 제2원판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품의 일측을 형성하는 후크코어를 구비하는 제1밀판;
    상기 제1밀판과 상기 제2원판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품을 취출하는 이젝트핀을 구비하는 제2밀판; 그리고
    상기 제2고정판에 구비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제1밀판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메인블럭과, 상기 제2밀판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블럭의 일측에 걸어져 상기 제1밀판과 제2밀판을 연동시키는 걸이블럭을 포함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블럭은 상기 제2밀판과 직교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밀판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블럭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걸이블럭이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2밀판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걸이블럭이 초기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블럭의 내측에 형성된 걸이턱이 상기 메인블럭의 걸림턱에 걸어져 상기 제1밀판과 제2밀판이 함께 이동하다가,
    상기 걸이블럭이 상기 가이드블럭의 외측 선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동해제턱을 통과하면서 상기 걸이블럭이 회동됨에 의해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림턱을 벗어나 상기 제1밀판과 제2밀판의 연동이 해제되고, 상기 제2밀판만이 더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럭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블럭이 삽입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블럭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블럭의 양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상기 메인블럭의 외면에 대하여 각각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블럭의 걸이턱이 상기 지지리브의 단부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해제턱의 일측에는 상기 걸이턱을 지지하여 상기 걸이블럭의 회동 방향을 안내하는 해제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6. 제 1, 3, 4,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밀판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밀판은 각각 지지판과 연동판이 겹쳐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밀판이 이동하는 공간은 상기 제2고정판과 상기 제2원판 사이에 스페이서블럭이 설치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KR1020080063052A 2008-06-30 2008-06-30 금형조립체 KR100970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052A KR100970275B1 (ko) 2008-06-30 2008-06-30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052A KR100970275B1 (ko) 2008-06-30 2008-06-30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83A KR20100002983A (ko) 2010-01-07
KR100970275B1 true KR100970275B1 (ko) 2010-07-16

Family

ID=4181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052A KR100970275B1 (ko) 2008-06-30 2008-06-30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789A (zh) * 2022-01-26 2022-04-26 厦门市超日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后模型芯先抽二次抽芯机构注塑模具及脱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407Y1 (ko) * 1984-12-29 1986-09-24 주식회사금성사 사출금형의 2단 취출장치
JPH10180805A (ja) 1996-12-24 1998-07-07 Nec Home Electron Ltd エジェクター機構
KR20080020834A (ko) * 2006-09-01 200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407Y1 (ko) * 1984-12-29 1986-09-24 주식회사금성사 사출금형의 2단 취출장치
JPH10180805A (ja) 1996-12-24 1998-07-07 Nec Home Electron Ltd エジェクター機構
KR20080020834A (ko) * 2006-09-01 200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83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2417A (en) Release apparatus for diecasting assembly
KR100955058B1 (ko) 금형조립체
KR100838787B1 (ko) 인서트사출용 슬라이드코어조립체와 이를 구비한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방법
KR100787195B1 (ko) 사출성형금형의 언더컷용 슬라이드 구동구조
KR100684354B1 (ko) 금형조립체의 슬라이드코어 록킹구조
CN106514970A (zh) 弧形抽芯模具及其弧形抽芯机构
JP3032517B1 (ja) 金型用作動制御装置
JP2007144755A (ja) 射出成形金型のスライドコア開閉構造
KR100970275B1 (ko) 금형조립체
KR100814928B1 (ko) 금형조립체
JP5270977B2 (ja) 金型
CN109719908B (zh) 注塑模具
JPH10264217A (ja) 樹脂成形用金型装置
US20180326637A1 (en) Parting locking device and injection molding mold assembly using same
KR100787197B1 (ko) 금형조립체
KR100823340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KR100838775B1 (ko) 금형조립체의 런너분리장치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KR101247182B1 (ko) 사출성형 금형의 코어 유동 방지 장치
KR100846851B1 (ko) 금형조립체의 밀핀장치
US6294123B1 (en) Metal mold for producing a synthetic resin molded product
KR20100002934A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JPS5954507A (ja) モ−ルド金型
KR20090073829A (ko)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