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778B1 - 선박용 완충의자 - Google Patents

선박용 완충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778B1
KR100968778B1 KR1020090045869A KR20090045869A KR100968778B1 KR 100968778 B1 KR100968778 B1 KR 100968778B1 KR 1020090045869 A KR1020090045869 A KR 1020090045869A KR 20090045869 A KR20090045869 A KR 20090045869A KR 100968778 B1 KR100968778 B1 KR 100968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haft
chair
fixed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욱
Original Assignee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029/043Seat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단정에 탑승하는 조종자 또는 승선자가 착석하는 의자에 있어서, 고속단정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배면에 하중이 분산되도록 다수개의 지지편이 형성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 정면에 볼트로 결합되며 제1날개의 상하부에 각각 제1,2축공이 형성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일측단이 삽입되는 제2날개에 다수개 형성된 제3축공과, 상기 제2,3축공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봉 형상의 제1회전축이 형성된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일측단이 삽입되는 제3날개에 다수개 형성된 제4축공과, 상기 제1,4축공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봉 형상의 제2회전축이 형성된 제3링크와; 상기 제2,3링크 타단에 형성된 제3,4축공과 맞닿는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5,6축공과, 상기 제3,5축공과 제4,6축공에 관통되어 고정된 봉형상의 제3,4회전축이 형성되며 상단이 의자 저면에 형성된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제4링크와; 상기 제2,3링크 도중에 상하단이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완충의자는 제1,2,3,4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3,4링크가 동시에 회동됨으로써 선박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승강되는 의자에 가해지는 충격이 안정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의자, 링크, 회전축, 완충고무, 탄성부

Description

선박용 완충의자 { A shock absorbing chair for a ship }
본 발명은 선박용 완충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몸체의 정면에 고정된 제2,3,4링크가 제1,2,3,4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제2,3링크 도중에 결합된 탄성부가 의자에 충격 발생시 압축됨으로써 항해시 조종자 또는 승선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선박 탑승자가 입을 수 있는 상해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선박용 완충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난구조 또는 불법조업 등의 단속에 사용되는 선박은 빠른 이송을 위하여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재질을 사용하여 선체가 형성된다. 이러한 선박은 후방에 연료에 의해 추진력이 생성되는 추진기가 형성되고, 갑판에 조종자에 의해 선박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조종핸들이 형성되며, 갑판에 조종자 외에도 여럿의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다수개의 의자가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갑판에 고정된 의자로 인하여 고속항해시 선박에 가해지는 충격이 탑승자에게 그대로 가해짐으로써, 탑승자가 목 또는 허리에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69139호)“고속단정용 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부외측에 위치조절공(40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등받이설치부(400)의 전단에는 하단에 설치판(301)이 형성되고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외측면에 위치조절공(50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좌석판설치부(500)가 절곡형성되고 후단에는 하단에 설치판(302)이 형성된 수직지지부(600)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는 측면프레임(201)(202)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01)(202)의 등받이설치부(400)사이에는 양측방에 형성된 측면보호대(701)(702)외측에 상기 측면프레임(201)(202)의 등받이설치부(40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핀(800)에 의해 고정되는 슬라이드관(902)이 구비된 등받이(700)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01)(202)의 좌석판설치부(500)사이에는 양측단부에 상기 측면프레임(201)(202)의 좌석판설치부(50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고정핀(100)에 의해 고정되는 슬라이드관(111)이 구비된 좌석판(120)이 삽입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선박에 고정된 측면프레임에 고정되는 좌석판과 등받이에 탑승자가 안정되게 착석할 수는 있었지만, 선박에 가해지는 충격이 측면프레임을 통해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목, 허리 등의 상해를 방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와 같은 종래기술 참고도를 보면, 의자(100b)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완충부재(200b)가 구비되나, 하사점에 위치된 의자(100b)가 상사점으로 이동시 압축된 완충부재(200b)에 의해 더 빠르게 이동되며 도 1의 의자와 같이 선 박 이동시 가해지는 충격이 탑승자에게 동일하게 전달될 뿐만 아니라,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의자가 이동시 의자가 아크를 그리며 회동되어 탑승자의 신체가 의자 전후로 쏠리게 되어 더 큰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의자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시에 수직으로 승강되도록 제2,3,4링크가 제1,2,3,4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되는 선박용 완충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파도와 선체가 부딪히며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제2,3링크 도중에 결합되되, 외주연에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며 유공압에 의해 압축되는 댐퍼가 각각 고정되어 의자에 하중인가시 충격이 흡수되는 구조로 형성된 선박용 완충의자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속단정에 탑승하는 조종자 또는 승선자가 착석하는 의자에 있어서, 고속단정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배면에 하중이 분산되도록 다수개의 지지편이 형성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 정면에 볼트로 결합되며 제1날개의 상하부에 각각 제1,2축공이 형성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일측단이 삽입되는 제2날개에 다수개 형성된 제3축공과, 상기 제2,3축공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봉 형상의 제1회전축이 형성된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일측단이 삽입되는 제3날개에 다수개 형성된 제4축공과, 상기 제1,4축공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봉 형상의 제2회전축이 형성된 제3링크와; 상기 제2,3링크 타단에 형성된 제3,4축공과 맞닿는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5,6축공과, 상기 제3,5축공과 제4,6축공에 관통되어 고정된 봉형상의 제3,4회전축이 형성되며 상단이 의자 저면에 형성된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제4링크와; 상기 제2,3링크 도중에 상하단이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3링크는 "ㄷ"자 형상으로 제1,2,3개방부가 각각 내측을 향하며 고정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제2,3링크 도중에 형성된 제3,4축공과 맞닿으며 제5회전축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7,8축공이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형성된 댐퍼와, 상기 댐퍼 외주연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탄성스프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의자에서 하중 인가시 제2,3링크가 회동되며 댐퍼와 탄성스프링이 압축되어 하중에 의한 충격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댐퍼는 하부몸체 하단의 제7축공이 제2축공에 근접해 고정되며,상부몸체 상단의 제8축공이 제6축공에 근접해 고정되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2,3,4,5회전축은 제3축공 외측과 제2,5축공 내측, 제4축공 외측과 제1,6축공 내측, 제3축공 내측과 제7축공 외측, 제4축공 내측과 제8축공 사이에 삽입되어 회동시 발생되는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완충고무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완충의자는 제1,2,3,4회전축을 중 심으로 제2,3,4링크가 동시에 회동됨으로써 선박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승강되는 의자에 가해지는 충격이 안정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3링크 도중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부에 의해 파도와 선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상해가 방지되어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제1,2,3,4,5회전축에 각각 삽입된 완충고무에 의해 좌우 흔들림이 방지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완충의자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 부품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 실시예로서, 도면중에 표시되는 도면 부호 1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의자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용 완충의자는 고속단정의 바닥면(11)에 볼트(B)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하중이 분산되도록 배면에 다수개의 지지편(12)이 형성된 고정몸체(10)와, 상기 고정몸체(10) 수직면에 다수개의 볼트(B)로 결합되는 제1링크(20)와, 상기 제1링크(20) 하부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회동되는 제2링크(30)와, 상기 제1링크(20) 상부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회동되는 제3링크(40)와, 상기 제2,3링크(30,40)타단과 결합되며 상단이 의자(70) 저면에 형성된 지지프레임(71)과 고정 되는 제4링크(50)와, 상기 제2,3링크(30,40) 도중에 상하단이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6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0)는 도면과 같이 "ㄴ"자 형태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고속단정의 바닥면(11)에 볼트(B) 또는 용접에 의해 수평면이 밀착되어 고정되고, 수직면에 제1링크(20)가 다수개의 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의자(70) 승강시 후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다수개의 지지편(12)이 형성된다.
제1링크(20)는 "ㄷ"자 형태로 바닥면(11)에 수직으로 고정몸체(10)의 수직면에 다수개의 볼트(B)에 의해 고정되되 양 측면에 마주보며 돌출된 제1날개(21)와, 상기 제1날개(21)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2,1축공(23,2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제2,3링크(30,40)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날개(21)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개의 축공이 형성되어 제2,3링크(30,40)의 결합위치를 때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링크(30)는 제1링크(20)와 같이 양 측면에 마주보며 돌출된 제2날개(31)와, 상기 제2날개(31)에 원형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제3축공(32)과, 상기 제2,3축공(23,32)에 관통되어 C링(A)에 의해 양단이 고정되는 봉 형상의 제1회전축(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링크(40)는 제1링크(20)와 같이 양 측면에 마주보며 돌출된 제3날개(41)와, 상기 제3날개(41)에 원형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제4축공(42)과, 상기 제1,4축공(22,42)에 관통되어 C링(A)에 의해 양단이 고정되는 봉 형상의 제2회 전축(43)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2,3링크(20,30,40)는 금속재이며 "ㄷ"자 형상으로 제1,2,3개방부(24,34,44)가 각각 내측을 향하며 고정되어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4링크(50)는 제2,3링크(30,40) 타단에 형성된 제3,4축공(32,42)과 맞닿는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된 제5,6축공(51,52)과, 상기 제3,5축공(32,51)과 제4,6축공(42,52)에 관통되어 C링(A)에 의해 양단이 각각 고정된 봉형상의 제3,4회전축(53,54)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4링크(50)는 상단이 의자(70) 저면에 다수개의 볼트(B)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된 지지프레임(71)에 볼트(B)로 고정되어 의자(70)와 결합되며, 의자(70)에 하중인가시 제3,4회전축(53,54)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수직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탄성부(60)는 제2,3링크(30,40)의 제3,4축공(32,42)과 각각 맞닿으며 제5회전축(61)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7,8축공(62,63)이 하부몸체(642)와 상부몸체(641)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형성된 댐퍼(64)와, 상기 댐퍼(64) 외주연에는 도 6처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벌어지는 탄성스프링(65)이 형성되어 의자(70)에 하중 인가시 제2,3링크(30,40)가 각각 제1,2회전축(33,43)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댐퍼(64)와 탄성스프링(65)이 압축됨으로써 의자(70)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5회전축(61)은 전술한 제1,2,3,4회전축(33,43,53,54)과 마찬가지로 제3,7축공(32,62)과 제4,8축공(42,63)에 각각 관통 후 양단이 C링(A)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댐퍼(64)는 의자(70)에 가해지는 하중을 유압 또는 공압 에 의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며, 제7축공(62)은 제2축공(23)에 근접해 고정되며, 제8축공(63)은 제6축공(52)에 근접해 고정되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수직고정에 비하여 의자(70)에 착석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4,5회전축(33,43,53,54,61)은 제3축공(32) 외측과 제2,5축공(23,51) 내측, 제4축공(42) 외측과 제1,6축공(22,52) 내측, 제3축공(32) 내측과 제7축공(62) 외측, 제4축공(42) 내측과 제8축공(63) 외측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회동시 발생되는 좌우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완충고무(80)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용 완충의자는 바닥면(11)에 고정된 고정몸체(10) 수직면에 제1링크(20)가 볼트(B)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20)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2축공(22,23)에 제3,2링크(40,30) 일단에 형성된 제4,3축공(42,32)이 각각 맞닿은 후 제2,1회전축(43,33)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3,4축공(32,42) 도중에는 외주연에 탄성스프링(65)이 구비되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고정몸체(10)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댐퍼(64)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3링크(30,40) 타단에 형성된 제3,4축공(32,42)과 맞닿되 제3,4회전축(53,54)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제5,6축공(51,52)이 하부에 형성된 제4링크(50)가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의자(70) 저면에 형성된 지지프레임(71)과 다수개 의 볼트(B)에 의해 고정 후 상기 의자(70)에 탑승자가 앉게 된다.
상기 의자(70)에 탑승자가 착석하여 항해시 파도와 선박(도면 미도시)의 충돌에 의해 하중이 발생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3,4링크(30,40,50)가 제1,2,3,4회전축(33,43,53,5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제2링크(30)의 제3축공(32)에 상단이 고정된 댐퍼(64)의 상부몸체(641)가 제3링크(40)의 제4축공(42)에 고정된 하부몸체(642)로 압축되면 하부몸체(642)에 채워진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하중이 상쇄된다. 또한, 동시에 압축된 탄성스프링(65)에 의해 일부 하중이 분산되어 상쇄되며 탄성스프링(65)의 복원력에 의해 제2,3,4링크(30,40,50)가 원위치로 빠르게 복귀되는 것이다.
이때 의자(70)는 각각 회전되는 제1,2,3,4회전축(33,43,53,54)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가 의자(70)의 전후로 쏠리는 것이 방지되며, 제1,2,3,4,5회전축(33,43,53,54,61)에 삽입된 완충고무(80)에 의해 제1,2,3,4링크(20,30,40,50)와 댐퍼(64) 회동시 마찰소음 및 좌우진동에 의한 충격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1,2,3링크(20,30,40)는 "ㄷ"자 형상으로 제1,2,3개방부(24,34,44)가 각각 내측을 향하며 고정됨으로써 제1,2회전축(33,43)을 중심으로 회전시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완충의자는 제1,2,3,4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3,4링크가 회동 됨으로써 선박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승강되는 의자에 가해지는 충격이 안정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3링크 도중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부에 의해 파도와 선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상해가 방지되어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댐퍼는 제2,3링크에 사선으로 고정되어 수직고정과 달리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속단정용 의자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속단정용 의자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 부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완충의자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고정몸체 11 : 바닥면
12 : 지지편 20 : 제1링크
21 : 제1날개 22,23 : 제1,2축공
24 : 제1개방부 30 : 제2링크
31 : 제2날개 32 : 제3축공
33 : 제1회전축 34 : 제2개방부
40 : 제3링크 41 : 제3날개
42 : 제4축공 43 : 제2회전축
44 : 제4개방부 50 : 제4링크
51,52 : 제5,6축공 53,54 : 제3,4회전축
60 : 탄성부 61 : 제5회전축
62,63 : 제7,8축공 64 : 댐퍼
641 : 상부몸체 642 : 하부몸체
65 : 탄성스프링 70 : 의자
71 : 지지프레임 80 : 완충고무

Claims (6)

  1. 고속단정에 탑승하는 조종자 또는 승선자가 착석하는 의자에 있어서,
    고속단정의 바닥면(11)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배면에 하중이 분산되도록 다수개의 지지편(12)이 형성된 고정몸체(10)와;
    상기 고정몸체(10) 정면에 볼트로 결합되며 제1날개(21)의 상하부에 각각 제1,2축공(22,23)이 형성된 제1링크(20)와;
    상기 제1링크(20)에 일측단이 삽입되는 제2날개(31)에 다수개 형성된 제3축공(32)과, 상기 제2,3축공(23,32)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봉 형상의 제1회전축(33)이 형성된 제2링크(30)와;
    상기 제1링크(20)에 일측단이 삽입되는 제3날개(41)에 다수개 형성된 제4축공(42)과, 상기 제1,4축공(22,42)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봉 형상의 제2회전축(43)이 형성된 제3링크(40)와;
    상기 제2,3링크(30,40) 타단에 형성된 제3,4축공(32,42)과 맞닿는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5,6축공(51,52)과, 상기 제3,5축공(32,51)과 제4,6축공(42,52)에 관통되어 고정된 봉형상의 제3,4회전축(53,54)이 형성되며 상단이 의자(70) 저면에 형성된 지지프레임(71)에 고정되는 제4링크(50)와;
    상기 제2,3링크(30,40) 도중에 상하단이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완충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링크(20,30,40)는 "ㄷ"자 형상으로 제1,2,3개방부(24,34,44)가 각각 내측을 향하며 고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완충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60)는 제2,3링크(30,40) 도중에 형성된 제3,4축공(32,42)과 맞닿으며 제5회전축(61)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7,8축공(62,63)이 하부몸체(642)와 상부몸체(641)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형성된 댐퍼(64)와, 상기 댐퍼(64) 외주연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탄성스프링(6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완충의자.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64)는 하부몸체(642) 하단의 제7축공(62)이 제2축공(23)에 근접해 고정되며, 상부몸체(641) 상단의 제8축공(63)이 제6축공(52)에 근접해 고정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완충의자.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제1,2,3,4,5회전축(33,43,53,54,61)은 제3축공(32) 외측과 제2,5축공(23,51) 내측, 제4축공(42) 외측과 제1,6축공(22,52) 내측, 제3축공(32) 내측과 제7축공(62) 외측, 제4축공(42) 내측과 제8축공(63)사이에 삽입되어 회동시 발생되는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완충고무(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완충의자.
KR1020090045869A 2009-05-26 2009-05-26 선박용 완충의자 KR10096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69A KR100968778B1 (ko) 2009-05-26 2009-05-26 선박용 완충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69A KR100968778B1 (ko) 2009-05-26 2009-05-26 선박용 완충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778B1 true KR100968778B1 (ko) 2010-07-08

Family

ID=4264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869A KR100968778B1 (ko) 2009-05-26 2009-05-26 선박용 완충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7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01Y1 (ko) 2010-02-10 2012-04-20 (주)보고 선박용 완충의자
KR101725666B1 (ko) * 2015-10-12 2017-04-12 윤동환 선박용 의자
KR102233666B1 (ko) * 2020-02-27 2021-03-29 김경태 위치 조정기능이 적용된 충격 흡수식 선박용 의자
KR200493827Y1 (ko) * 2020-03-12 2021-06-11 신명식 보트 완충 의자
KR20230072186A (ko) *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보트 시트 현가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759A (en) 1976-07-09 1977-09-13 Towmotor Corporation Compact seat suspension for lift truck
US4714227A (en) 1986-11-17 1987-12-22 Deere & Company Seat suspension for an off-road vehicle
US4787675A (en) 1986-02-19 1988-11-29 Mcleod Michael E Adjustable seat to support an occupant at a constant height
JP2002179364A (ja) 2000-10-12 2002-06-26 Freelift Bv ガイド部付き階段リフ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759A (en) 1976-07-09 1977-09-13 Towmotor Corporation Compact seat suspension for lift truck
US4787675A (en) 1986-02-19 1988-11-29 Mcleod Michael E Adjustable seat to support an occupant at a constant height
US4714227A (en) 1986-11-17 1987-12-22 Deere & Company Seat suspension for an off-road vehicle
JP2002179364A (ja) 2000-10-12 2002-06-26 Freelift Bv ガイド部付き階段リフト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01Y1 (ko) 2010-02-10 2012-04-20 (주)보고 선박용 완충의자
KR101725666B1 (ko) * 2015-10-12 2017-04-12 윤동환 선박용 의자
KR102233666B1 (ko) * 2020-02-27 2021-03-29 김경태 위치 조정기능이 적용된 충격 흡수식 선박용 의자
KR20210109487A (ko) * 2020-02-27 2021-09-06 김경태 위치 조정기능이 적용된 충격 흡수식 선박용 의자
KR20210109486A (ko) * 2020-02-27 2021-09-06 김경태 위치 조정기능이 적용된 충격 흡수식 선박용 의자
KR20210109488A (ko) * 2020-02-27 2021-09-06 김경태 위치 조정기능이 적용된 충격 흡수식 선박용 의자
KR102304472B1 (ko) * 2020-02-27 2021-09-17 김경태 위치 조정기능이 적용된 충격 흡수식 선박용 의자
KR102304471B1 (ko) * 2020-02-27 2021-09-17 김경태 위치 조정기능이 적용된 충격 흡수식 선박용 의자
KR102304473B1 (ko) * 2020-02-27 2021-09-17 김경태 위치 조정기능이 적용된 충격 흡수식 선박용 의자
KR200493827Y1 (ko) * 2020-03-12 2021-06-11 신명식 보트 완충 의자
KR20230072186A (ko) *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보트 시트 현가시스템
KR102606885B1 (ko) * 2021-11-17 2023-11-29 주식회사 건호엔지니어링 보트 시트 현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778B1 (ko) 선박용 완충의자
JP5128785B2 (ja) 航空機用安全シート
CN103003148A (zh) 救生运载工具
CN107826136B (zh) 运载工具的安全座椅及其设计方法
KR20150002472U (ko) 레저용 카약
US20160355238A1 (en) Seat base
US8408592B2 (en) Vehicle seat
KR200459901Y1 (ko) 선박용 완충의자
KR101146698B1 (ko) 선박의 의자 완충장치
WO2014042246A1 (ja) 救命艇
WO1992012892A1 (en) Shock absorbing mounting system for high speed watercraft seat
KR100920248B1 (ko) 고속단정용 의자
US8733844B1 (en) Lightweight chair
JPH09123990A (ja) 小型船舶
US9016226B2 (en) Suspended marine platform
US9840310B2 (en) Marine suspension system
MX2011008339A (es) Cabinas de mando que absorben el impacto.
JP2017124787A (ja) 車両用シート
KR101725666B1 (ko) 선박용 의자
KR100746151B1 (ko) 고속 파워보트용 의자
CA3223040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suspending a seat
KR20090004496A (ko) 고속정의 충격 흡수 장치 및 시트
NO347312B1 (en) Seat frame with damper
JP6668603B2 (ja) 救命艇
JPH05278678A (ja) 被曳航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