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27Y1 - 보트 완충 의자 - Google Patents

보트 완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27Y1
KR200493827Y1 KR2020200000857U KR20200000857U KR200493827Y1 KR 200493827 Y1 KR200493827 Y1 KR 200493827Y1 KR 2020200000857 U KR2020200000857 U KR 2020200000857U KR 20200000857 U KR20200000857 U KR 20200000857U KR 200493827 Y1 KR200493827 Y1 KR 200493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chair
chair body
boat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식
Original Assignee
신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식 filed Critical 신명식
Priority to KR2020200000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40Telescopic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029/043Seat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트 완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앉는 자리로서의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의자 본체; 보트(boat)의 선체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의자 본체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의자 본체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하부 프레임 쪽으로 접근되게 접철 작용을 하는 복수의 접철 링크;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하중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접철 링크의 동작을 완충 가능하게 컨트롤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트 완충 의자{Boat cushion chair}
본 고안은, 보트 완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상 운항 시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해서 안락하고 편안한 앉는 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보트 완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보트(boat)란 갑판이 없는 소형 배를 가리킨다. 추진동력이나 기구(器具)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인력으로 노, 상앗대로 추진하는 것은 단정(短艇)이라 하고, 풍력에 의해 추진하는 작은 범선은 요트라고 부른다.
기계력에 의해 추진하는 것에는 증기기관에 의한 기정(汽艇)과 내연기관에 의한 모터보트가 있는데 용도에 따라 종류가 많다.
일반적으로 보트라고 하면 본선과 부두 사이에서 사람, 짐을 나르거나 군함에 탑재하는 작은 배, 유람용, 경기용의 작은 배를 가리킨다. 외항선(外航船)을 보트라 하는 예도 있지만, 화물선(cargo boat) 등과 같이 합성어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보트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의자가 설치되는데, 통상의 의자는 보트 본체에 프레임이 고정되고, 프레임에 쿠션의 시트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전적인 방법으로 의자를 설치하면 진동에 대응하기가 어려운데, 특히 해상에서 운항하는 보트는 다른 운송 수단보다 진동이나 충격에 더 취약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보트 완충 의자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12848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9486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2323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36160호
본 고안의 목적은,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상 운항 시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해서 안락하고 편안한 앉는 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보트 완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앉는 자리로서의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의자 본체; 보트(boat)의 선체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의자 본체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의자 본체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하부 프레임 쪽으로 접근되게 접철 작용을 하는 복수의 접철 링크;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하중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접철 링크의 동작을 완충 가능하게 컨트롤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완충 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완충 유닛은 공기압의 작용으로 동작하는 공기압 쇼버이며, 상기 공기압 쇼버로서의 완충 유닛은, 실린더 본체; 및 상기 실린더 본체에 대해 길이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한 실린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본체의 단부 영역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마련되는 회전 지지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접철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 바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본체의 단부 영역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 회전 지지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단부 영역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2 회전 지지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앉는 자리로서의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의자 본체; 및 보트(boat)의 선체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의자 본체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의자 본체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하부 프레임 쪽으로 접근되게 접철 작용을 하는 복수의 접철 링크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하중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접철 링크의 동작을 완충 가능하게 컨트롤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유닛을 구비하는 완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의자 본체와 상기 완충 유닛 중 하나에는 조립 레일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 레일에 슬라이딩 조립되는 레일 블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완충 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상 운항 시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해서 안락하고 편안한 앉는 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동작도들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동작도들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투영도,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동작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100)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상 운항 시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해서 안락하고 편안한 앉는 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100)는 의자 본체(110)에 완충을 위한 구조물이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를 취한다.
의자 본체(110)는 통상의 의자를 가리킨다. 즉 의자 본체(110)는 앉는 자리로서의 좌판부(111)와, 좌판부(111)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좌판부(111) 쪽으로 등받이부(112)를 접을 수 있게끔 등받이 회전체(11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이 외에 팔걸이, 헤드레스트(head rest) 등의 구조물이 더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인데, 어떠한 형태의 의자가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도면에 도시된 의자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이러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의자 본체(110)에는 하부 프레임(120), 상부 프레임(130), 접철 링크(140) 및 완충 유닛(150)이 위치별로 결합한다. 이들의 작용으로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0)은 보트(boat)의 선체에 고정되는 프레임이다. 강성을 가져야 하므로 상부 프레임(130)과 마찬가지로 금속 프레임으로 적용된다.
상부 프레임(130)은 하부 프레임(120)의 상부에 배치되되 의자 본체(110)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하부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30)이 동일한 형태일 필요는 없지만, 이들이 동일하면 제작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접철 링크(140)는 하부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30)에 연결되며, 의자 본체(110)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부 프레임(130)이 하부 프레임(120) 쪽으로 접근되게 접철 작용을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철 링크(140)는 하부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30) 사이에서 위치별로 복수 개 적용된다. 따라서, 원활한 접철 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완충 유닛(150)은 하부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30) 사이에 배치되며, 의자 본체(110)에 가해지는 하중의 정도에 기초하여 접철 링크(140)의 동작을 완충 가능하게 컨트롤한다.
본 실시예에서 완충 유닛(150)은 공기압의 작용으로 동작하는 공기압 쇼버로 적용된다. 이러한 공기압 쇼버로서의 완충 유닛(150)은 실린더 본체(151)와, 실린더 본체(151)에 대해 길이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한 실린더 로드(15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압 쇼버로서의 완충 유닛(150)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게끔 실린더 본체(151)의 단부 영역은 하부 프레임(120)에 마련되는 회전 지지부(12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실린더 로드(152)의 단부 영역은 접철 링크(140)를 연결하는 링크 바(14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완충 유닛(150)이 설치될 경우, 도 3에서 도 4처럼 의자 본체(110)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에 맞게 완충 유닛(150)이 동작함으로써 체중에 맞는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앉는 자리가 편안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상 운항 시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해서 안락하고 편안한 앉는 자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내부 투영도,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도 5의 동작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2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의자 본체(110)에 하부 프레임(220), 상부 프레임(230), 접철 링크(240) 및 완충 유닛(250)이 위치별로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부 프레임(220), 상부 프레임(230), 접철 링크(240) 및 완충 유닛(250)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다를 뿐 그 역할과 기능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기압 쇼버로서의 완충 유닛(250)에 대한 설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완충 유닛(250)을 이루는 실린더 본체(251)의 단부 영역은 하부 프레임(220)에 마련되는 제1 회전 지지부(22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실린더 로드(252)의 단부 영역은 상부 프레임(230)에 마련되는 제2 회전 지지부(23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구조로 인해 완충 유닛(250)의 유연하고 안정적인 동작을 끌어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에 적합한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상 운항 시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해서 안락하고 편안한 앉는 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의 사시도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보트 완충 의자(100)에 의자 본체(110)에 완충을 위한 구조물이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보트 완충 의자(100,200)가 제작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보트 완충 의자(300)는 의자 본체(310)와 완충 장치(360)가 분리 제작된 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태를 취한다.
의자 본체(310)가 좌판부(111), 등받이부(112) 및 등받이 회전체(113)를 포함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완충 장치(360)는 하부 프레임(120), 상부 프레임(330), 접철 링크(140) 및 완충 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조와 작용, 역할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의자 본체(310)와 완충 장치(360) 중 하나에는 조립 레일(365)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조립 레일(365)에 슬라이딩 조립되는 레일 블록(315)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립 레일(365)이 완충 장치(360)에, 그리고, 레일 블록(315)이 의자 본체(310)에 마련되고 있지만,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처럼 의자 본체(310)와 완충 장치(360)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적용될 경우, 의자 본체(310)에 레일 블록(315)만을 결합해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진다. 즉 완충 장치(360)만 구매하면 기존 의자에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처럼 의자 본체(310)와 완충 장치(360)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적용될 경우, 의자 본체(310)를 청소하거나 완충 장치(360)를 유지보수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상 운항 시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해서 안락하고 편안한 앉는 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트 완충 의자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보트 완충 의자(400) 역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의자 본체(310)와 완충 장치(460)가 분리 제작된 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태를 취한다.
의자 본체(310)가 좌판부(111), 등받이부(112) 및 등받이 회전체(113)를 포함하는 것은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완충 장치(460)는 하부 프레임(420), 상부 프레임(430), 접철 링크(140) 및 완충 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조와 작용, 역할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프레임(420)이 박스(box) 형태로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부 프레임(420)에는 슬라이딩 서랍(425)이 마련된다. 슬라이딩 서랍(425)에 각종 간단한 물품들을 넣어 보관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상 운항 시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해서 안락하고 편안한 앉는 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보트 완충 의자 110 : 의자 본체
111 : 좌판부 112 : 등받이부
113 : 등받이 회전체 120 : 하부 프레임
121 : 회전 지지부 130 : 상부 프레임
140 : 접철 링크 141 : 링크 바
150 : 완충 유닛 151 : 실린더 본체
152 : 실린더 로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앉는 자리로서의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의자 본체; 및
    상기 의자 본체와 분리 제작된 후, 상기 의자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완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장치는,
    보트(boat)의 선체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의자 본체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의자 본체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하부 프레임 쪽으로 접근되게 접철 작용을 하는 복수의 접철 링크;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의자 본체에 가해지는 하중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접철 링크의 동작을 완충 가능하게 컨트롤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의자 본체와 상기 완충 장치 중 하나에는 조립 레일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 레일에 슬라이딩 조립되는 레일 블록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이 박스(box)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 프레임에 슬라이딩 서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완충 의자.
KR2020200000857U 2020-03-12 2020-03-12 보트 완충 의자 KR200493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57U KR200493827Y1 (ko) 2020-03-12 2020-03-12 보트 완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57U KR200493827Y1 (ko) 2020-03-12 2020-03-12 보트 완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827Y1 true KR200493827Y1 (ko) 2021-06-11

Family

ID=7637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857U KR200493827Y1 (ko) 2020-03-12 2020-03-12 보트 완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131B1 (ko) * 2022-12-21 2023-06-13 김필우 절첩식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759A (en) * 1976-07-09 1977-09-13 Towmotor Corporation Compact seat suspension for lift truck
KR980006072A (ko) * 1996-06-28 1998-03-30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90094863A (ko) 2006-12-28 2009-09-08 유오피 엘엘씨 파라-자일렌의 회수 및 제조를 위한 저온 방법 및 이의 열 교환 네트워크
KR100968778B1 (ko) * 2009-05-26 2010-07-08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완충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759A (en) * 1976-07-09 1977-09-13 Towmotor Corporation Compact seat suspension for lift truck
KR980006072A (ko) * 1996-06-28 1998-03-30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90094863A (ko) 2006-12-28 2009-09-08 유오피 엘엘씨 파라-자일렌의 회수 및 제조를 위한 저온 방법 및 이의 열 교환 네트워크
KR100968778B1 (ko) * 2009-05-26 2010-07-08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완충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131B1 (ko) * 2022-12-21 2023-06-13 김필우 절첩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136B2 (en) Convertible seat assembly for a watercraft
US9021975B1 (en) Convertible marine lounger seat
US9650117B2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US9073608B1 (en) Multi-position lounge seat for marine vessels
US11945552B2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US20210229777A1 (en) Multiple chine pontoon boat
US7107927B2 (en) Folding deck
US11673626B2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US3694836A (en) Collapsible inflatable boat
KR200493827Y1 (ko) 보트 완충 의자
US20220258835A1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US6889625B1 (en) Shock absorbing boat
US6152062A (en) Small watercraft with improved suspension system
US8539896B2 (en) Lift mechanism for added stability for a swim platform of a boat
US10933774B2 (en) Reversible seat for a boat
US6715440B2 (en) Changing room for pontoon boats having a rear entry stern gate
US8091502B2 (en) Backbone
US6766759B2 (en) Watercraft with flexible seating configurations
US20090064917A1 (en) Kayak and Canoe seat
JP6464497B2 (ja) 多胴船
US8899168B1 (en) Motor box with integrated steps and platform
JP2002154478A (ja) 鞍乗型船艇
US5954007A (en) Catamaran for sailing and rowing
KR102093575B1 (ko) 이중데크를 갖는 레저용 보트
US10252776B2 (en) Multi axis suspension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