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201B1 -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201B1
KR100968201B1 KR1020100033229A KR20100033229A KR100968201B1 KR 100968201 B1 KR100968201 B1 KR 100968201B1 KR 1020100033229 A KR1020100033229 A KR 1020100033229A KR 20100033229 A KR20100033229 A KR 20100033229A KR 100968201 B1 KR100968201 B1 KR 10096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onnector
frame
assembl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필
Original Assignee
정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필 filed Critical 정종필
Priority to KR102010003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의 프레임과 다리를 연결하는 조립용 연결구가 사각 또는 원형으로의 구조 변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각 또는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다리에 대하여 조립의 호환성을 갖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상기 연결구에 의해 조립된 프레임과 다리의 외관을 개선하고 동시에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의 상판을 받침하는 프레임과 다리를 연결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연결구는 몸체로부터 단턱을 갖고 연장된 파이프연결부를 180도 또는 90도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되,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단면을 사각으로 하여 단면이 사각인 프레임 또는 다리를 삽입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각 면에 길이방향으로 조립 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 홈과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조립블록과 이 조립블록의 상부 양측으로 연장된 밑면부와 이 밑면부의 양측으로부터 원호면이 형성되어 단면이 원형인 프레임 또는 다리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호환성조립블록을 상기 파이프연결부에 형성된 조립 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A PREFABRICATED CONNECTOR FOR TABLE}
본 발명은 테이블의 프레임과 다리를 연결하는 조립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조립용 연결구가 사각 또는 원형으로의 구조 변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각 또는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다리에 대하여 조립의 호환성을 갖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상기 연결구에 의해 조립된 프레임과 다리의 외관을 개선하고 동시에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다리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과 다리는 금속재로 제작되고, 상기 상판은 합성수지나 목재 또는 유리로 제작되며, 실험실 테이블의 경우 강판에 특수한 범랑 제조기술을 적용하여 내부식성과 내오염성 및 표면 강도의 광택 특성을 갖는 상판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일 예로, 직선형 파이프를 절단하여 사각형 틀 형상으로 용접하여 제작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다리를 세워 용접하여 테이블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테이블은 용접에 의하여 프레임과 다리를 제작하기 때문에 조립에 따른 용접 지그를 필요로 하게 되어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용접에 따른 치수변형 또는 용접 후 제작상의 결함이 생기면 프레임 전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프레임과 다리를 용접하지 않고 조립하여 제작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790호의 테이블은 연결부재(프레임)와 다리체를 앵글부재(연결구)를 매개로 연결하여 용접 없이 테이블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7632호의 경우 탁자의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부재(연결구)가 다리의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재를 통해 용접 없이 탁자를 제작하는 것이며,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5-0006191의 경우, 횡골격(프레임)과 다리골격을 연결구를 통해 연결하여 용접 없이 테이블을 제작하는 것이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0098호의 경우, 프레임과 다리를 연결구를 통해 연결하여 용접 없이 테이블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용접 없이 프레임과 다리를 조립하기 위해 연결구를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과 다리의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일 경우, 연결구의 형상을 상기 프레임과 다리의 단면에 맞게 새로운 연결구를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은 각각의 연결구의 제작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79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7632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5-000619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00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테이블의 프레임과 다리의 용접 없이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립용 연결구에 있어 상기 파이프 형태로 하여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으로 제공되는 프레임과 다리에 대하여 상기 조립용 연결구에 사각 또는 원형으로의 구조 변경을 가능하게 하여 호환성을 갖게 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상기 연결구에 의해 조립된 프레임과 다리의 외관을 개선하고 동시에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으로, 테이블의 상판을 받침하는 프레임과 다리를 연결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연결구는 몸체로부터 단턱을 갖고 연장된 파이프연결부를 180도 또는 90도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되,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단면을 사각으로 하여 단면이 사각인 프레임 또는 다리를 삽입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각 면에 길이방향으로 조립 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 홈과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조립블록과 이 조립블록의 상부 양측으로 연장된 밑면부와 이 밑면부의 양측으로부터 원호면이 형성되어 단면이 원형인 프레임 또는 다리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호환성조립블록을 상기 파이프연결부에 형성된 조립 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환성조립블록의 조립블록은 파이프연결부의 조립 홈에 억지끼움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각 면에 형성된 조립 홈에 호환성조립블록을 조립 홈에서 탈거할 수 있는 공구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연결부에 형성된 조립 홈과 호환성조립블록에 형성된 조립블록은 더브테일(dovetail) 형태로 슬라이딩 조립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용 연결구의 파이프연결부의 각 면에는 프레임 또는 다리와 고정력을 크게 하기 위해 고무코팅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환성조립블록의 원호면에는 프레임 또는 다리와 고정력을 크게 하기 위해 고무코팅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용 연결구의 파이프연결부의 적어도 어느 한 면의 조립홈에 호환성조립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테이블의 프레임과 다리를 연결하는 조립용 연결구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과 다리의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 또는 원형에서 적어도 한쪽이 수평면을 이루는 단면에 상기 조립용 연결구를 사용하여 프레임과 다리를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의 호환성에 의한 비용을 절감하고, 상기 연결구에 의해 조립된 프레임과 다리의 외관을 개선하고 동시에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용 연결구의 다양한 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용 연결구에 호환성조립블록을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용 연결구에 조립되는 호환성조립블록의 변형 예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용 연결구를 이용한 테이블의 프레임과 다리의 조립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여러 도면에서 설명되는 도면부호에 있어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는 도 7에 도시된 테이블의 상판(40)을 받침하는 프레임(50)과 다리(60)를 연결하여 조립하는데 사용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조립용 연결구(10)는 몸체(12)의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12a)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연결하는 파이프연결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연결부(14)는 몸체(12)로부터 180도 방향 또는 90도 직각방향으로 4개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연결부(14)는 단면을 사각으로 하여 단면이 사각인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삽입 설치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연결부(14)의 각 면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조립 홈(16)이 형성되며, 도 5와 같이 상기 조립 홈(16)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호환성조립블록(20)이 설치되어 상기 조립용 연결구(10)를 통해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의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조립할 수 있다.
즉, 상기 호환성조립블록(20)은 도 5와 같이 상기 조립 홈(16)과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조립블록(22)과 이 조립블록(22)의 상부 양측으로 연장된 밑면부(24)와 이 밑면부(22)의 양측으로부터 원호면(2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용 연결구(10)에 호환성조립블록(20)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경우,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고 단면이 사각 형태의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파이프연결부(14)를 통해 삽입 설치하여 조립할 수 있고, 상기 조립용 연결구(10)의 파이프연결부(14)에 형성된 조립 홈(16)을 통해 호환성조립블록(20)을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고 단면이 원형 형태의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상기 호환성조립블록(20)를 통해 삽입 설치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조립용 연결구(10A)는 몸체(12)의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12a)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연결하는 파이프연결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연결부(14)는 몸체(12)로부터 90도 직각방향으로 3개가 형성되며, 도 1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파이프연결부(14)의 각 면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조립 홈(16)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 홈(16)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호환성조립블록(20)이 설치되어 상기 조립용 연결구(10A)를 통해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의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조립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조립용 연결구(10B)는 몸체(12)의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12a)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연결하는 파이프연결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연결부(14)는 몸체(12)로부터 90도 직각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며, 도 1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파이프연결부(14)의 각 면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조립 홈(16)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 홈(16)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호환성조립블록(20)이 설치되어 상기 조립용 연결구(10B)를 통해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의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조립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조립용 연결구(10C)는 몸체(12)의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12a)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연결하는 파이프연결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연결부(14)는 몸체(12)로부터 180도 방향과 90도 직각방향으로 3개가 형성되며, 도 1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파이프연결부(14)의 각 면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조립 홈(16)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 홈(16)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호환성조립블록(20)이 설치되어 상기 조립용 연결구(10C)를 통해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의 프레임(50) 또는 다리(60)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에서 호환성조립블록(20)의 조립블록(20)은 파이프연결부(14)에 형성된 조립 홈(16)에 억지끼움으로 설치될 수 있는 공차를 부여하여 조립 후 호환성조립블록(20)이 조립 홈(16)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연결부(14)의 각 면에 형성된 조립 홈(16)에 호환성조립블록(20)을 조립 홈(16)에서 탈거할 수 있는 공구삽입홈(1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호환성조립블록(20)의 조립을 필요에 따라 탈거할 때 상기 공구삽입홈(18)에 꼬챙이와 같은 공구를 넣어 호환성조립블록(20)을 조립 홈(16)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조립용 연결구(10A)에 조립되는 호환성조립블록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파이프연결부(14)에 형성된 조립 홈(16a)과 호환성조립블록(20)에 형성된 조립블록(22a)의 단면을 더브테일(dovetail) 형태로 하여 슬라이딩 조립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더브테일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짐으로써 조립 및 제거를 쉽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를 사용하여 테이블의 프레임(50)과 다리(60)의 조립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사각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50)과 다리(60)의 조립을 예로서 프레임(50)과 다리(60)의 연결부 또는 각 코너부를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를 통해 조립 설치한 것이다. 이때에는 호환성조립블록(2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프레임(50)과 다리(60)의 사각 단면의 내측에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의 파이프연결부(14)가 각각 삽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를 통해 조립된 프레임(50)과 다리(60)는 용접 작업이 생략되어 다리(60)와 프레임(50) 사이의 가림판(70)으로 마감작업을 할 때 가림판(70)의 각 코너부가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조립성과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8은 원형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50)과 다리(60)의 조립을 예로서 프레임(50)과 다리(60)의 연결부 또는 각 코너부를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를 통해 조립 설치한 것이다. 이때에는 호환성조립블록(20)이 각 파이프연결부(14)에 설치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호환성조립블록(20)의 조립블록(22)이 파이프연결부(14)의 조립 홈(16)에 설치되며, 이때 밑면부(24)는 파이프연결부(14)의 각 면에 밀착되고 원호면(26)이 프레임(50)과 다리(60)의 원형 단면의 내측에 삽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9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50)과 원형 파이프 형태의 다리(60)를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를 통해 조립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이는 사각 형태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프레임(50)을 조립할 때는 파이프연결부(14)에 호환성조립블록(20)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하고, 원형 파이프 형태의 다리(60)를 조립할 때는 파이프연결부(14)에 호환성조립블록(20)을 설치하여 조립하면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 중에 일 예로, 조립용 연결구(10)의 경우 파이프연결부(14)의 네 곳 중 다리(60)와 연결되는 한 곳에 호환성조립블록(20)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고, 조립용 연결구(10A)의 경우 파이프연결부(14)의 세 곳 중 다리(60)와 연결되는 한 곳에 호환성조립블록(20)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고, 조립용 연결구(10B)의 경우 파이프연결부(14)의 두 곳 중 다리(60)와 연결되는 한 곳에 호환성조립블록(20)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고, 조립용 연결구(10C)의 경우 파이프연결부(14)의 세 곳 모두 호환성조립블록(20)을 설치하지 않고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도 10은 프레임(50)과 다리(60)의 단면이 원형에서 적어도 한쪽이 수평면(51)(61)을 이루는 단면에 상기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를 사용하여 프레임(50)과 다리(60)를 조립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즉,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50)과 다리(60)의 경우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레임(50)의 단면이 원형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쪽이 수평면(51)을 형성하고 있고, 다리(60)의 경우도 프레임(50)과 마찬가지로 수평면(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50)과 다리(60)의 수평면(51)(61)과 조립되는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의 파이프연결부(14)에는 호환성조립블록(20)을 설치하지 않고, 나머지 원형을 이루는 프레임(50)과 다리(60)에는 이에 호환성조립블록(20)을 설치한 상태에서 조립함으로써 도 10과 같은 단면을 갖는 프레임(50)과 다리(60)에 대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를 사용하여 프레임(50)과 다리(60)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의 파이프연결부(14)의 각 면과 또는 호환성조립블록(20)의 원호면(26)에는 프레임(50) 또는 다리(60)와 고정력을 크게 하기 위해 고무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의 경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조립 후 상기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에서 프레임(50) 또는 다리(60)에서 이동 중 빠질 염려를 고려하여 스크루로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를 프레임(50) 또는 다리(60)에 고정하게 되는바, 이를 감안하여 상기 조립용 연결구(10)(10A)(10B)(10C)의 파이프연결부(14) 또는 호환성조립블록(20)의 원호면(26)에 고무코팅을 함으로써 고무의 탄성에 의한 타이트한 고정력을 갖게 되어 스크루로 조립하는 단계를 없앨 수 있다.
10, 10A, 10B, 10C : 조립용 연결구
12 : 몸체
14 : 파이프연결부
16 : 조립 홈
18 : 공구삽입홈
20 : 호환성조립블록
22 : 조립블록
24 : 밑면부
26 : 원호면
40 : 상판
50 : 프레임
60 : 다리
70 : 가림판

Claims (7)

  1. 테이블의 상판을 받침하는 프레임과 다리를 연결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연결구는 몸체로부터 단턱을 갖고 연장된 파이프연결부를 180도 또는 90도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되,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단면을 사각으로 하여 단면이 사각인 프레임 또는 다리를 삽입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각 면에 길이방향으로 조립 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 홈과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조립블록과 이 조립블록의 상부 양측으로 연장된 밑면부와 이 밑면부의 양측으로부터 원호면이 형성되어 단면이 원형인 프레임 또는 다리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호환성조립블록을 상기 파이프연결부에 형성된 조립 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환성조립블록의 조립블록은 파이프연결부의 조립 홈에 억지끼움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각 면에 형성된 조립 홈에 호환성조립블록을 조립 홈에서 탈거할 수 있는 공구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연결부에 형성된 조립 홈과 호환성조립블록에 형성된 조립블록은 더브테일(dovetail) 형태로 슬라이딩 조립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연결구의 파이프연결부의 각 면에는 프레임 또는 다리와 고정력을 크게 하기 위해 고무코팅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환성조립블록의 원호면에는 프레임 또는 다리와 고정력을 크게 하기 위해 고무코팅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연결구의 파이프연결부의 적어도 어느 한 면의 조립홈에 호환성조립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KR1020100033229A 2010-04-12 2010-04-12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KR10096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229A KR100968201B1 (ko) 2010-04-12 2010-04-12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229A KR100968201B1 (ko) 2010-04-12 2010-04-12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201B1 true KR100968201B1 (ko) 2010-07-06

Family

ID=4264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229A KR100968201B1 (ko) 2010-04-12 2010-04-12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2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1412A (en) * 2011-06-03 2012-12-05 Tower Global Co Ltd Pipe connection block
KR101856102B1 (ko) * 2018-01-03 2018-05-09 세진기술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가구
KR101877907B1 (ko) * 2015-04-24 2018-07-12 한보일렉트(주) 다축 연결용 조인트
KR102110371B1 (ko) * 2019-05-03 2020-05-14 주식회사 퍼맥스 조립식 가구용 연결장치
KR102286870B1 (ko) * 2021-03-08 2021-08-09 엄옥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의 관 연결장치
KR20220147430A (ko) 2021-04-27 2022-11-03 (주)케이가구 테이블 조립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32Y1 (ko) 2002-06-07 2002-08-30 김겸섭 탁자의 프레임과 다리의 조립 구조
KR20020087632A (ko) * 2001-05-15 2002-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JP2005160836A (ja) 2003-12-04 2005-06-23 Okamura Corp 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632A (ko) * 2001-05-15 2002-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287632Y1 (ko) 2002-06-07 2002-08-30 김겸섭 탁자의 프레임과 다리의 조립 구조
JP2005160836A (ja) 2003-12-04 2005-06-23 Okamura Corp テーブル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1412A (en) * 2011-06-03 2012-12-05 Tower Global Co Ltd Pipe connection block
KR101877907B1 (ko) * 2015-04-24 2018-07-12 한보일렉트(주) 다축 연결용 조인트
KR101856102B1 (ko) * 2018-01-03 2018-05-09 세진기술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가구
KR102110371B1 (ko) * 2019-05-03 2020-05-14 주식회사 퍼맥스 조립식 가구용 연결장치
KR102286870B1 (ko) * 2021-03-08 2021-08-09 엄옥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의 관 연결장치
KR20220147430A (ko) 2021-04-27 2022-11-03 (주)케이가구 테이블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201B1 (ko) 테이블 조립용 연결구
BRPI0407664B1 (pt) "sistema de piso e método de instalação".
DE602006018131D1 (de) Verbinder für eine gelenkverbindung einer ersten und einer zweiten rohrleitung
JP2013233044A (ja) フレーム組立用隅金具、フレーム組立用縦桟部材及び横桟部材並びにフレーム
CN105307447A (zh) 型材框架连接结构
ATE525534T1 (de) Verbindungsbeschla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holzträgers mit einer tragstruktur aus holz
JP2006329305A (ja) コーナー継手及び金属フレーム組立体
JP2010167020A (ja) 組立式収納家具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連結具
KR101062393B1 (ko) 3차원 프레임용 빔 제작방법
KR20160037336A (ko) 컨트롤 센터의 캐비닛 골조용 코너부재
KR200400019Y1 (ko)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CN201047371Y (zh) 一种板材的承插式接口结构
CN109914618B (zh) 一种异型板弧面装配式安装装置
WO2012173087A1 (ja) 嵌め込みフレーム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筐体
CN210917770U (zh) 装配式壁板的连接结构
CN102454282A (zh) 一种铝合金地板的榫槽结构
KR10111533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CN209538583U (zh) 板组件
JP3035252U (ja) カバーパネルの結合構造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ケース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CN203846608U (zh) 阳光房的框架连接结构
CN216196241U (zh) 一种建筑用带有连接锁死结构的多功能铝板
CN217794518U (zh) 一种带体斜面体开榫的结构件
CN216713651U (zh) 一种饰面板安装结构
CN207947412U (zh) 具有安全机构的排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