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9Y1 -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9Y1
KR200400019Y1 KR20-2005-0022737U KR20050022737U KR200400019Y1 KR 200400019 Y1 KR200400019 Y1 KR 200400019Y1 KR 20050022737 U KR20050022737 U KR 20050022737U KR 200400019 Y1 KR200400019 Y1 KR 200400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lide groove
guide
optical componen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장호섭
김경석
정현철
강명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조선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조선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조선대학교
Priority to KR20-2005-0022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4Optical bench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학 정반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고 광학 부품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한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관통공이 천공된 광학 정반과, 상기 광학 정반 상에 광학 부품을 설치하여 정렬시키기 위한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에 있어서, 광학 정반의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되 그 외측 탄성부재에 의해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정착부재와, 정착부재의 상단과 나사결합되되 그 상면에 일방향으로 제1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하단 가이드와, 하단 가이드의 제1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제1슬라이드 홈과 직각 되게 제2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중단 가이드와, 중단 가이드의 제2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광학부품 안착부가 형성된 상단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은 더브테일 결속구조를 갖는 다층의 좌우 방향각 가이드 수단을 둠으로써, 광학 정반 상에서 광학 간섭계를 보다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그 결과 간섭계 구성의 초보자도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광학 실험을 할 수 있고, 광학 부품의 정렬이 보다 쉬워짐에 따라 다양한 광학 실험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NORMAL OPTICAL COMPONENT LINE UP JIG OF PIN-METHOD}
본 고안은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 정반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고 광학 부품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한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학 간섭계는 레이저나 백색광 등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 분야, 거리측정 분야, 위치결정 분야 등 각 기술 분야 중에서도 첨단기술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이 상용 제품에 적용되기까지는 실험실에서의 반복적인 다양한 광학 실험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실험실에서의 광학 실험을 하는데 있어서 지금까지는 광학 정반에 부품을 고정하는데 최소 3개의 고정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광학 부품으로 간섭계를 구성하는데에 필요 이상의 노력이 소요되며, 간섭계의 구성에 변화를 가하여야 할 경우 또다시 세팅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학 정반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고 광학 부품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초보자라도 간편하게 간섭계를 구성하여 광학 실험을 할 수 있도록 한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관통공이 천공된 광학 정반과, 광학 정반의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되 그 외측 탄성부재에 의해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정착부재와, 정착부재의 상단과 나사결합되되 그 상면에 일방향으로 제1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하단 가이드와, 하단 가이드의 제1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제1슬라이드 홈과 직각 되게 제2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중단 가이드와, 중단 가이드의 제2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광학부품 안착부가 형성된 상단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슬라이드 홈과 제2슬라이드 홈은 그 내측벽에 중단 가이드 및 상단 가이드의 과도한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편이 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착부재는 타 정착부재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구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저면에 체결공이 더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핀 방식의 광학 부품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정착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이 천공된 광학 정반(1)과, 광학 정반(1)의 관통공(2)에 끼움 결합되되 그 외측 탄성부재(미부호)에 의해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정착부재(10)와, 정착부재(10)의 상단과 나사결합되되 그 상면에 일방향으로 제1슬라이드 홈(미부호)이 형성된 하단 가이드(20)와, 하단 가이드(20)의 제1슬라이드 홈(미부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제1슬라이드 홈과 직각 되게 제2슬라이드 홈(미부호)이 형성된 중단 가이드(30)와, 중단 가이드(30)의 제2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광학부품 안착부(50)가 형성된 상단 가이드(4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착부재(10)는 핀 형상으로 그 외측면에 탄성부재(11)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정착부재(10)를 광학 정반(1)의 관통공(2)에 삽입할 경우 탄성부재(11)가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광학 정반(1)의 관통공(2)과 밀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정착재(10)는 탄성부재(11)에 의해 광학 정반(1)의 관통공(2) 내에서 계속적으로 탄지됨으로써 정착부재(1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정구의 전체적인 높이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정착부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정착부재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다단으로 결속가능하게 하여, 고정구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저면에 체결공(13)이 더 천공된다.
하단 가이드(20)는 정착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데, 동도에서는 나사결합에 의해 설치됨을 예시하였다. 즉, 정착부재(10)의 상단과 하단 가이드(20) 저면에 각 체결홀(12)을 천공하고, 이 둘을 무두나사(10')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였다. 물론 하단 가이드(20) 저면에 정착부재(10)를 용접하여 일체화 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하단 가이드(20)는 그 상면에 중단 가이드(30)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제1슬라이드 홈(21)이 형성되고, 이동시 중단 가이드(30)의 과도한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내측벽에 탄성편(22)이 설치된다.
중단 가이드(30)는 하단 가이드(20)의 제1슬라이드 홈(2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하단 가이드(20)와 중간 가이드(30) 간에는 더브테일 결속구조가 마련된다. 즉, 하단 가이드(20) 상면에는 더브테일 홈(Dovetail grove)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중단 가이드(30) 저면에는 더브테일이 형성된다.
또한, 중단 가이드(30)는 하단 가이드(20)의 제1슬라이드 홈(21)과 직각 되게 그 상면에 제2슬라이드 홈(32)이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33은 제2슬라이드 홈(32)상에서 상단 가이드(40)의 과도한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편이다.
상단 가이드(40)는 중단 가이드(30)의 제2슬라이드 홈(3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중단 가이드(30)와 상단 가이드(40) 간에는 하단 가이드(20)와 중간 가이드(30) 간의 결속구조와 같은 더브테일 결속구조가 마련된다. 즉, 중단 가이드(30) 상면에는 더브테일 홈(3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상단 가이드(40) 저면에는 더브테일(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단 가이드(40)는 하단 가이드(20)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 가이드(40)는 그 상면에 광학 부품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안착부(50)가 구비된다. 상기의 안착부(50)는 별도의 부품 없이 상단 가이드(40) 면에 직접 구현할 수도 있고,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가이드(40) 상면과 나사(51)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트레이(5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단 가이드(40)의 상면에 체결홀(42)이 천공된다.
다음은 전술한 기술적 구성 및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핀 방식의 광학 부품 고정구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정착부재(10)와 하단 가이드(20), 중단 가이드(30), 상단 가이드(40), 광학 부품을 조립하여 고정구를 일체화시킨다.
다음, 고정구의 정착부재(10)를 광학 정반(1)의 관통공(2)에 삽입한 다음 탄성부재(11)에 의한 관통공(2) 내의 밀착력을 이용하여 고정구를 적정 높이로 조절한다.
다음, 중단 가이드 및 상단 가이드를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여 광학 간섭계를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광학 간섭계를 구성함으로써 간섭계 구성의 초보자라도 간편한 방법으로 광학 실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더브테일 결속구조를 갖는 다층의 좌우 방향각 가이드 수단을 둠으로써, 광학 정반 상에서 광학 간섭계를 보다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간섭계 구성의 초보자도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광학 실험을 할 수 있고, 광학 부품의 정렬이 보다 쉬워짐에 따라 다양한 광학 실험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정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 정반 2 : 관통공
10: 정착부재 11: 탄성부재
12: 체결홀 13: 체결공
20: 하단 가이드 21: 제1슬라이드 홈
22: (제1슬라이드 홈) 탄성편 30: 중단 가이드
32: 제2슬라이드 홈 33: (제2슬라이드 홈)탄성편
40: 상단 가이드 50: 안착부

Claims (3)

  1. 관통공이 천공된 광학 정반과, 상기 광학 정반 상에 광학 부품을 설치하여 정렬시키기 위한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정반의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되 그 외측 탄성부재에 의해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정착부재와,
    상기 정착부재의 상단과 나사결합되되 그 상면에 일방향으로 제1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하단 가이드와,
    상기 하단 가이드의 제1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상기 제1슬라이드 홈과 직각 되게 제2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중단 가이드와,
    상기 중단 가이드의 제2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광학부품 안착부가 형성된 상단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슬라이드 홈은 그 내측벽에 상기 중단 가이드 및 상단 가이드의 과도한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편이 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재는 타 정착부재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구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저면에 체결공이 더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KR20-2005-0022737U 2005-08-05 2005-08-05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KR200400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737U KR200400019Y1 (ko) 2005-08-05 2005-08-05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737U KR200400019Y1 (ko) 2005-08-05 2005-08-05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613A Division KR100655868B1 (ko) 2005-08-05 2005-08-05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9Y1 true KR200400019Y1 (ko) 2005-11-04

Family

ID=4370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737U KR200400019Y1 (ko) 2005-08-05 2005-08-05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029B1 (ko) 2012-04-03 2013-01-21 국방과학연구소 광학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더 정렬 방법
KR101324881B1 (ko) * 2012-06-08 2013-11-01 양흥모 매립관용 측정자
KR102636412B1 (ko) * 2023-10-31 2024-02-14 한화시스템(주) 광학조립체의 통합 정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029B1 (ko) 2012-04-03 2013-01-21 국방과학연구소 광학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더 정렬 방법
KR101324881B1 (ko) * 2012-06-08 2013-11-01 양흥모 매립관용 측정자
KR102636412B1 (ko) * 2023-10-31 2024-02-14 한화시스템(주) 광학조립체의 통합 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624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рельсового стыка
JP4295672B2 (ja) 開閉体連動装置
RU2506396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импоста
KR200400019Y1 (ko)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US9554647B2 (en) Connecting device and drawer having a connecting device
NZ742531A (en) Float, float assemblies, float adapters and interfaces, float vibration apparatus, and groovers and methods
CN105163909A (zh) 肘杆夹具
GB2439700A (en) Panel assembly for building structures
KR101281693B1 (ko) 엘이디 바 검사 장치
JP2007255181A (ja) 照明壁用形鋼及び照明壁形鋼システム
JP6347969B2 (ja) 流体制御装置および流体制御装置用継手部材
KR100655868B1 (ko) 핀 방식의 광학 부품 정렬용 고정구
EP2601417B1 (en) Mechanical joint for reversibly connecting elements with any angle of approach
ITPN20000012U1 (it) Staffa perfezionata per porta di frigorifero da incasso
JP2006241742A (ja) 扉枠調整具及び扉枠取付構造
KR20170064690A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704590B1 (ko) 수직 관통형 연결구를 구비한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지지대 조립 방법
CA3021806A1 (en) Kit for mounting a fixture at a surface using a fastener to secure the kit in a mounting position
FI69344C (fi) Klammeranordning foer hopskarvning av skivor
KR20130104040A (ko) 책상
US9535223B2 (en) Optical alignment system
US20080029677A1 (en) Table component assembly
JP2009145860A5 (ko)
KR200169548Y1 (ko) 천정매립형 형광등 기구
US20170175403A1 (en) Decking kit and method of 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