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189B1 -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 Google Patents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189B1
KR100963189B1 KR1020100023741A KR20100023741A KR100963189B1 KR 100963189 B1 KR100963189 B1 KR 100963189B1 KR 1020100023741 A KR1020100023741 A KR 1020100023741A KR 20100023741 A KR20100023741 A KR 20100023741A KR 100963189 B1 KR100963189 B1 KR 100963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block
loop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라
Original Assignee
(주)발해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발해기술단 filed Critical (주)발해기술단
Priority to KR102010002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대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주차블럭이 다수구역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주차블럭의 진입로나 진출로 중 어느 한 곳에만 설치되거나 진입로와 진출로에 설치되는 한 쌍의 루프센서와, 상기 한 쌍의 루프센서가 연결되는 접속부, 루프센서로 전기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 루프센서의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 루프센서의 작동에 의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신호감지부로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송, 수신하는 통신부로 형성되며, 하나의 주차블럭 당 하나씩 설치되되 인접한 진입로와 진출로에 속해 있는 주차블륵에는 하나만 설치되고 관리컴퓨터와 연결되는 검지제어기와, 임의의 주차블럭에 설치되며 차량의 진행방향이나 주차가능여부를 출력하는 발광표시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주차유도관제 및 주차위치를 정확성이 우수한 루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오감지율을 낮출 수 있고, 루프센서신호를 처리하고 전송하는 장치를 하나로 통합구성하여, 높은 경제성과 안정성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제공하며, 주차유도관제 및 주차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루프센서를 주차블럭단위마다 설치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복잡하게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루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방향, 속도, 주차위치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데이터전송의 정확성 및 구축비용을 줄여 경제성과 효율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Method of car parking and control system by using loop-sensor, ethernet Loop Sensor signal Analysis Controller(LSAC), parking-lot route guidance and positioning}
본 발명은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신뢰도가 높은 루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루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고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송출부 및 신호감지부 등이 통합적으로 구성된 검지제어기를 이용하여 대형주차장의 블록단위의 주차유도관제 및 주차확인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주차장입구를 통과한 차량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 거리 및 다른 차량과의 간격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해당 차량이 주차블럭의 어느 지점을 통과하였으며, 더 이상의 차량의 진, 출입이 검지되지 않을 시에 해당 차량이 어느 주차블럭에 주차하였는지의 위치확인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각각의 주차블럭에 주차된 차량의 숫자를 파악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이 진입하는 차량에 비어있는 주차블럭으로 차량을 유도할 수 있으면서, 차량의 주차위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주차블럭의 위치확인을 제공할 있는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의 구성과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는 차량수의 증가로 인하여 지상이나 지하의 여러층에 걸쳐 주차장이 대형화되었지만, 그 혼잡도가 매우 커졌다.
그로 인해,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어있는 주차구획으로 차량을 유도, 안내하는 주차유도관제 및 차량의 주차위치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에 비해 대형주차장에서는 주차유도관제시스템이나 주차확인시스템의 도입이 매우 저조하며, 상기 시스템을 일부 도입한 곳에서도 해당 서비스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주차유도관제 및 주차위치확인서비스를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카드리더기나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등을 주차장의 출, 입구 및 임의의 지역에 설치하거나,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등의 센서를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구획마다 설치하여 주차장을 출, 입 및 주차하는 차량의 정보 등을 파악하여, 주차유도 및 주차확인을 하도록 사용하였다.
그러나, 카드리더기 등을 사용하기 위해선 주차장을 출입하는 모든 차량에 카드를 지급하고, 주차장의 임의의 위치마다 카드리더기를 설치하여 차량의 주차상황 및 주차위치를 확인하도록 하였지만, 카드 및 카드리더기를 지급하고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모되었다.
또한, CCTV를 이용할 경우, 임의의 지역에 다수의 CCTV설치, 차량의 인식기술과 차량번호인식기술 등의 기술을 결합하여야 했기 때문에, 그 시스템을 설치, 운영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모되었다.
그리고, 비교적 설치 및 운영비용이 저렴한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등의 센서를 주차구획마다 설치하여 차량의 주차상황 및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였지만,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등의 센서는 오인식률이 크기 때문에, 주차상황확인이나, 주차위치확인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보다 인식률이 우수한 루프코일을 이용하여 주차유도관제 및 주차확인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상기 루프코일을 이용한 주차정보시스템은 특허공개번호 제10-2009-123754호, 특허등록번호 제10-885530호와 같이 한대의 차량이 주차하는 주차구획마다 루프코일 등을 설치하여 주차상황을 확인하였으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354169호와 같이 주차장출구와 입구에 루프코일을 설치하여 주차장을 출, 입하는 차량의 전체 수만 파악하였고, 특허등록번호 제10-545540호와 같이 주차구획과 주차구역을 계층화하여 매우 복잡한 시스템으로 주차상황을 파악하였다.
상기와 같이 주차구획마다 센서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센서의 설치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고, 관리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덧붙여, 상기 루프코일을 이용하여 단순히 주차구획에 차량의 주차여부만을 판단하였기 때문에, 루프코일의 사용효율성이 좋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주차장의 출, 입구에 루프코일을 설치하게 되면, 주차장을 출, 입하는 전체차량의 수를 파악할 수 있지만, 비어있는 주차구획을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루프센서의 신호를 처리하고 이를 활용가능한 디지털데이터로 전송함에 있어, 여러 가지 장비를 연결하여야 하는 관계로 인하여 통신의 에러율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스템이 복잡해짐으로써, 데이터의 연산처리속도가 저하되어, 시스템의 정확성과 속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성 및 시스템의 사용효율성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은 주차장입구에 설치되어 주차가능한 차량의 수 또는 주차된 차량의 수 또는 주차가능여부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거나 모두 출력되는 상황판과 관리컴퓨터가 포함되고, 다수대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주차블럭이 다수구역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주차블럭의 진입로나 진출로 중 어느 한 곳에만 설치되거나 진입로와 진출로에 설치되는 한 쌍의 루프센서와, 상기 한 쌍의 루프센서가 연결되는 접속부, 루프센서로 전기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 루프센서의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 루프센서의 작동에 의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신호감지부로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송, 수신하는 통신부로 형성되며, 하나의 주차블럭 당 하나씩 설치되되 인접한 진입로와 진출로에 속해 있는 주차블륵에는 하나만 설치되고 관리컴퓨터와 연결되는 검지제어기와, 임의의 주차블럭에 설치되며 차량의 진행방향이나 주차가능여부를 출력하는 발광표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차유도관제 및 주차위치를 정확성이 우수한 루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오감지율을 낮출 수 있고, 루프센서신호를 처리하고 전송하는 장치를 하나로 통합구성하여, 높은 경제성과 안정성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제공하며, 주차유도관제 및 주차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루프센서를 주차블럭단위마다 설치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복잡하게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루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방향, 속도, 주차위치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데이터전송의 정확성 및 구축비용을 줄여 경제성과 효율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루프센서만을 종래의 주차장에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유도관제 및 주차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작업시간 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루프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연산을 통해 주차장으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차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발광표시부를 통해 간편하게 주차유도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번호 인식용 카메라나 카드리더기를 통해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ID를 인지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지정 주차유도나 주차위치 등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어 주차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들에게는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2는 본 발명에 의한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을 도시한 간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황판을 도시한 간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검지제어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의 데이터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5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판(1)과 관리컴퓨터(2)가 포함되며 루프센서(10), 검지제어기(20), 발광표시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루프센서(10)는 다수대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주차블럭(a)이 다수구역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주차블럭(a)의 진입로나 진출로 중 어느 한 곳에만 설치되거나 진입로와 진출로에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리컴퓨터(2)에는 주차차단기 제어를 위하여 차량번호인식용 카메라 또는 카드리더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차장 출, 입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고유ID를 추출하여 검지제어기(20)를 통과할 경우, 지정, 미지정 차량의 주차유도나 주차위치확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지제어기(20)는 상기 한 쌍의 루프센서(10)가 연결되는 접속부(21), 루프센서(10)로 전기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22), 루프센서(10)의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23), 루프센서(10)의 작동에 의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24), 상기 신호감지부(23)로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송, 수신하는 통신부(25)로 형성되며, 하나의 주차블럭(a) 당 하나씩 설치되되 인접한 진입로와 진출로에 속해 있는 주차블륵(a)에는 하나만 설치되고 관리컴퓨터(2)와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검지제어기(20)에는 루프센서(10) 외에 초음파센서와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와 같이 디지털데이터로 출력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센서의 복합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애인 주차구역 등 별도로 관리될 필요가 있는 주차블럭(a)에 한하여서는 이들 다양한 센서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주차장이 다수층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루프센서(10)와 검지제어기(20)는 해당 층의 진입, 진출로에 추가로 설치되고 각각의 검지제어기(20)가 허브(h)를 통해 관리컴퓨터(2)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시 발광표시부(30)는 임의의 주차블럭(a)에 설치되며 차량의 진행방향이나 주차가능여부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입구에 상황판(1) 및 주차장관리를 위한 관리컴퓨터(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황판(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주차의 여유공간의 수와 주차가능여부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글 및 영어와 같은 외국어 등의 다양한 언어로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주차위치에 주차가능 수와 그 의미를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해당 주차위치에 주차가 가능할 경우에는 좌측에 주차가 가능한 수를 표시하고 우측에는 족색등을 이용하여 '주차가능'이나 'AVAIL'이라는 단어를 번갈아 표시하고, 주차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좌측에는 '0'이라는 숫자를 표시하고 우측에는 적색등을 이용하여 '주차불가'나 'NONE'이라는 단어를 번갈아 점멸로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황판(1)에 형성되어 주차상황을 표시할 때, 엘이디램프(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덧붙여, 일반적인 주차장에는 차량의 주행을 관리하는 차단기(도면에 미도시)와 같은 장치가 설치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주차장의 입구에 검지제어기(20)를 설치하여 주차장을 출, 입하는 차량의 전체수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주차장입구에는 카드리더기나 차량번호인식용 카메라 등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차량의 구분을 명확히 하여, 고유의 ID를 부여할 수 있는 장치로서 지정 주차유도를 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최종 주차블럭(a)의 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주차장에는 차량이 한대씩 주차할 수 있는 주차구획을 여러개 묶어서 임의의 수의 주차블럭(a)을 설정하도록 한다,
단, 해당 주차블럭(a)은 너무 큰 단위는 곤란하며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규모로 설정되어야 한다.
덧붙여, 임의의 주차블럭(a)의 진입로나 진출로에 루프센서(10)를 설치하도록 하는데, 주차장의 통행방향이 일반통행일 경우에는 1개의 설치로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을 파악할 수 있으나, 주차장의 통행방향이 양측방향일 경우, 2개를 1쌍으로 설치하여야만 이동방향을 알 수 있다.
한편, 통행방향이 양측방향이고, 그 통행로가 넓어서 차량이 교차통행할 수 있는 충분한 폭이 확보된 경우에는 2쌍 즉, 4대의 루프센서(10)가 설치되어야 교차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알 수 있다,
만약, 한 쌍만 설치할 경우에는 서로 반대방향에서 진입하여 해당 지점에 근접하게 되면, 루프센서(10)의 검지중복으로 인하여 혼선이 발생하여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덧붙여, 주차블럭(a)에 루프센서(10)를 설치할 때, 진입로와 진출로 등이 인접하여 해당 루프센서(10)가 겹치는 곳에는 루프센서(10)가 중복되지 않도록 한 곳에 해당하는 주차블럭(a)의 루프센서(10)만을 설치한다.
이는, 인접한 주차블럭(a)에 중복되게 루프센서(10)를 설치하게 되면, 루프센서(10)의 설치비용이나 루프센서(1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가 중복되어 신호의 낭비 및 설치비용의 낭비가 발생되기 때문에, 인접한 루프센서(10)에는 하나의 루프센서(10)만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해당 주차블럭(a)의 진입로나 진출로 및 진입로와 진출로 모두 설치된 루프센서(10)는 검지제어기(20)의 접속부(21)에 연결되고, 다수개로 설치된 검지제어기(20)가 유선이나 무선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각각의 통신부(25)를 통해 연결되며, 관리컴퓨터(2)와 연결되도록 한다.
덧붙여, 주차장이 다수의 층으로 형성될 경우, 해당 층의 진입로 및 진출로에 별도의 검지제어기(20)를 설치하고 다수의 검지제어기(20)가 허브(h)를 통해 관리컴퓨터(2)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컴퓨터(2)에는 별도의 관리서버(도면에 미도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루프센서(10)를 대신하여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 등 다양한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 병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검지제어기(20)의 통신부(25)에 외부입력단자(도면에 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어, 장애인 주차구역 등 별도의 센서가 필요한 곳에서는 병합운영이 가능하며 또한, 루프센서(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외부입력단자에 다양한 센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 후, 임의의 주차블럭(a)마다 발광표시부(30)를 설치하는데, 상기 발광표시부(30)는 엘이디램프(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주차진행방향이나 주차가능여부, 주차상황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루프센서(10) 및 검지제어기(20), 발광표시부(30)를 주차장에 설치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제어기(20)의 신호송출부(22)에서 루프센서(10)로 일정한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루프센서(10)에서 차량의 이동에 따른 신호를 검지제어기(20)의 신호감지부(23)에서 감지하여 루프센서(10)를 통과하는 차량의 이동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이 주차블럭(a)에 설치된 루프센서(10)를 통과할 경우, 검지제어기(20)에 설치된 출력부(24)에 연결된 경광등(도면에 미도시)이나 비상벨(도면에 미도시)과 같은 장치를 통해 차량의 이동상황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차하기 위해 주차장의 입구에 위치하여 상황판(1)에 표시된 주차가능여부 및 주차상황을 확인하여 주차가 가능할 경우, 주차장으로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이 주차장입구로 진입하면 차량번호인식용 카메라나 카드리더기 등에 의해 차량번호 등이 입력된다.
그런 후,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파악하여 지정된 주차블럭(a)의 유무를 판단하고, 주차블럭(a)이 지정된 차량은 해당 주차블럭(a)으로 주차를 유도하고 지정되지 않은 차량은 주차공간이 있는 해당 주차블럭(a)으로 차량을 유도하도록 하는데, 차량을 유도하는 방법은 주차장 내부에 설치된 발광표시부(30)를 통해 유도를 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주차장의 주차공간이 정해진 차량은 주차장입구에 설치된 차량번호인식용 카메라나 카드리더기가 인식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방향을 발광표시부(30)를 통해 지정된 주차공간으로 유도하도록 하는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1구역의 주차블럭(a)에 주차공간이 지정되어 있다면, 차량은 1구역의 주차블럭(a)의 진입로에 설치된 루프센서(10)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해당 루프센서(10)에서 차량의 통과여부에 대한 신호를 검지제어기(20)의 신호감지부(23)가 감지하여 차량이동에 대한 신호를 상기 검지제어기(20)의 통신부(25)를 통해 관리컴퓨터(2)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컴퓨터(2)에서 해당 주차블럭(a)에 대한 주차여유공간을 차감하여 상황판(1)에 표시한다.
덧붙여, 차량이 지정된 주차블럭(a)으로 이동할 때, 주차장 내부에 설치된 발광표시부(30)에서 차량의 진행방향을 표시하여 차량이 편리하게 해당 주차블럭(a)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주차블럭(a)이 지정되지 않은 차량이 진입하게 될 경우, 관리컴퓨터(2)에서 주차공간이 비어있는 공간으로 차량을 유도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가 편리하게 해당 주차블럭(a)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발광표시부(30)를 작동시켜 운전자가 편리하게 해당 주차블럭(a)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a2의 주차블럭(a)에 주차공간이 비어 있어, 관리컴퓨터가 a2의 주차블럭(a)으로 주차유도를 하게 된다.
그러면, 운전자는 a, a1의 주차블럭(a)을 지나게 되는데, 이때, a, a1의 주차블럭(a)에 설치된 루프센서(10)를 지나게 되면서, 상기 루프센서(10)에서 차량의 통과에 따른 신호를 검지제어기(20)의 신호감지부(23)로 전송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검지제어기(20)의 신호감지부(23)의 감지작동에 의해 차량의 이동상황을 통신부(25)를 통해 관리컴퓨터(2)로 전송하고 관리컴퓨터(2)가 그 신호를 인지하게 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주차장으로 진입한 차량은 대략 5Km/h ~ 10Km/h의 속도로 이동한다고 보았을 때, 초당 3m로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각각의 주차블럭(a)에 설치된 루프센서(10) 간의 거리는 약 10m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 루프센서(10) 간의 통과시간을 대략 3초를 넘기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주차블럭(a)의 이동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장을 진입한 차량이 약 6 ~ 7초 후, 차량이 지정받은 해당 a2의 주차블럭(a)에 진입하게 된다.
그런 후, 주차장으로 진입하고 10여초 이후에 주차위치가 지정된 해당 주차블럭(a)에서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a2의 주차블럭(a)에 지정된 차량은 해당 주차블럭(a)에 주차한 것으로 관리컴퓨터(2)가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차량이 관리컴퓨터(2)에서 지정한 주차블럭(a)에 주차할 수도 있지만, 운전자가 임의의 주차블럭(a)에 주차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컴퓨터(2)에서 해당 운전자에게 a3의 주차블럭(a)을 지정하였지만, 운전자가 a1 또는 a4의 주차블럭(a)에 차량을 주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하게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관리컴퓨터(2)가 간편하게 차량이 주차한 주차블럭(a)을 확인할 수 있지만 해당 주차블럭(a)에 진입한 후, 3초를 초과하여 차량의 이동이 감지되면, 해당 차량이 관리컴퓨터(2)의 주차유도관제를 어겼을 경우와 미확인 다른 차량이 검지된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그러면, 차량이 주차블럭(a)에 설치된 루프센서(10)를 통해 차량의 진행여부를 파악하여 차량이 주차블럭(a)의 진입로방향에서 진출로방향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하는 지를 파악하도록 한다.
그래서, 차량의 진행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로 파악되게 되면, 해당 차량이 해당 주차블럭(a)에서 출차하는 차량인지 주차공간을 찾기 위한 배회차량인지에 대한 파악을 일정시간(1분, 10분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 동안 보류하여, 차량의 이동방향에 따라 주차상황을 처리하도록 한다.
그런 후, 일정시간이 지나 해당 주차블럭(a)에서 차량이 주차장출구로 진출하게 되면, 해당 주차블럭(a)에서 주차여유공간을 추가하도록 관리컴퓨터(2)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차량이 주차장출구로 진출하지 않을 경우, 해당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여 해당 차량이 주차블럭(a)을 배회하는 차량으로 간주하고 차량이 이동하지 않을 때까지의 이동을 파악하여 차량이 이동을 중지한 주차블럭(a)에 주차한 것으로 인지하여 관리컴퓨터(2)를 통해 해당 주차블럭(a)에 대한 주차여유공간을 차감하는 것이다.
이때, 차량이 일정시간 이상 머무른 주차블럭(a)과 차량이 마지막으로 감지된 주차블럭(a)에 해당 주차블럭(a)에 주차여유공간을 차감하도록 한다.
이는, 임의의 주차블럭(a)을 배회하는 차량과 새로이 진입한 차량이 동시에 하나의 주차블럭(a)에서 감지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들이 해당 주차블럭(a)에 주차하기 위한 차량인지 아니면 주차를 하기 위해 배회하는 차량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주차여유공간을 차감하여, 주차여부나 출차여부가 파악될 때까지 해당 주차블럭(a)으로 새로운 차량이 진입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차블럭(a)의 중복을 예방하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이동방향이 진행방향으로 판단될 경우, 주차블럭(a)의 설치순서대로 차량이 다른 주차블럭(a)에 출입하였는지를 파악하도록 한다.
그래서, 차량이 다른 주차블럭(a)에 진입하지 않았을 경우, 새로운 차량이 주차하기 위해 진입한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차량이 마지막에 위치한 주차블럭(a)의 주차여유공간을 차감하도록 신호를 검지제어기(20)의 통신부(25)를 통해 관리컴퓨터(2)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컴퓨터(2)가 상황판(1)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차량이 다른 주차블럭(a)에 주차하였을 경우, 이전 진입차량이 주차블럭(a)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이 먼저 진입하여 일정시간 이상 머무른 주차블럭(a)에 대해서는 주차여유공간을 증가시키고, 차량이 새로 진입한 다른 주차블럭(a)에 대해서 주차여유공간을 차감하도록 검지제어기(20)의 통신부(25)를 통해 관리컴퓨터(2)로 전송하여 상황판(1)에 출력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관리컴퓨터(2)에서 상황판(1)으로 주차상황을 표시할 때, 해당 주차블럭(a)의 여유공간을 확인하는 식은 P(P)={sT(n)-a}+{∑(O)- ∑(P)}로 이루어지는데, sT(n)는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블럭(a)의 주차면수이고, a는 영업개시전 정기점검한 주차된 차량수이며, ∑(O)는 주차블럭(a)에서 출차하는 차량수이고, ∑(P)는 주차블럭(a)으로 진입하는 차량수로써, 총 주차블럭(a)의 주차여유공간을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이 임의의 주차블럭(a)에 주차하였는지를 파악하는 방법은 f{p(BL)}={f(D), f(Δs)}의 수식을 이용하도록 한다.
이를 설명하면, Δs는 vΔt로써, v는 시간당 이동거리(본 발명에서는 1초당 3m의 이동거리로 지정하였음)이고, t는 차량의 이동을 최초로 감지한 루프센서(10)에서 감지된 시간과 마지막으로 감지된 루프센서(10) 간의 시간차이로 구분할 수 도 있으며, f(D)는 루프센서(10)에서 차량의 이동을 감지한 총 거리를 확인하여 차량이 주차한 주차블럭(a)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컴퓨터(2)에서 상황판(1)에 주차여부를 출력할 때, 일정시간(예를 들어, 매일 아침 등)마다 전체주차공간에서 이전에 주차된 차량의 수를 파악하여 별도로 상황판(1)에 출력할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검지제어기(20)는 루프센서(10)와 다양한 형태의 다른 센서와 병합운영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 루프센서(10)를 대체하여 다른 센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루프센서(10)를 시공할 때, 지면을 절개할 경우, 먼지 등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시공비용이 높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주차장 바닥에 설치된 과속방지턱(도면에 미도시)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주차장이 다수층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해당 층마다 별도의 루프센서(10)와 상기 루프센서(10)가 연결되는 검지제어기(20)를 설치하여 해당 층으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차량의 이동상황을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주차장으로 진입한 차량을 해당 주차블럭(a)에 설치된 루프센서(10)를 통해 루프센서(10)를 통과한 시간을 토대로 해당 주차블럭(a)에 대한 주차여부 및 출차여부를 파악하여 주차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차량의 이동을 파악하는 루프센서(10)를 각각의 차량이 주차되는 하나의 공간에 설치할 필요없이 일정한 주차대수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블럭(a)에 설치함으로써, 루프센서(10)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1 : 상황판 2 : 관리컴퓨터
10 : 루프센서 20 : 검지제어기
21 : 접속부 22 : 신호송출부
23 : 신호감지부 24 : 출력부
25 : 통신부 30 : 발광표시부
50 :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Claims (9)

  1. 주차장입구에 설치되어 주차가능한 차량의 수 또는 주차된 차량의 수 또는 주차가능여부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거나 모두 출력되는 상황판(1)과 관리컴퓨터(2)가 포함되는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에 있어서,
    다수대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주차블럭(a)이 다수구역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주차블럭(a)의 진입로나 진출로 중 어느 한 곳에만 설치되거나 진입로와 진출로에 설치되는 한 쌍의 루프센서(10);
    상기 한 쌍의 루프센서(10)가 연결되는 접속부(21), 루프센서(10)로 전기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부(22), 루프센서(10)의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23), 루프센서(10)의 작동에 의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24), 상기 신호감지부(23)로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송, 수신하는 통신부(25)로 형성되며, 하나의 주차블럭(a) 당 하나씩 설치되되 인접한 진입로와 진출로에 속해 있는 주차블륵(a)에는 하나만 설치되고 관리컴퓨터(2)와 연결되는 검지제어기(20);
    임의의 주차블럭(a)에 설치되며 차량의 진행방향이나 주차가능여부를 출력하는 발광표시부(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컴퓨터(2)에는 차량번호인식용 카메라나 카드리더기가 동시에 연결되거나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연결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제어기(20)에는 루프센서(10) 외에 초음파센서와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 중 어느 하나를 추가로 선택하여 병합연결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주차장이 다수층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루프센서(10)와 검지제어기(20)는 해당 층의 진입, 진출로에 추가로 설치되고 각각의 검지제어기(20)가 허브(h)를 통해 관리컴퓨터(2)로 연결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5. 관리컴퓨터에 연결되는 상황판, 루프센서, 검지제어기, 발광표시부를 이용한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에 있어서,
    주차장입구에서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차량번호인식용 카메라나 카드리더기 또는 루프센서를 이용하여 주차블럭이 지정된 차량여부를 파악하는 차량파악단계(S10);
    주차장으로 진입한 차량의 이동에 의해 차량이 이동하는 위치에 설치된 루프센서에서, 차량의 진입을 감지한 루프센서가 속해 있는 해당 주차블럭에서 3초 내에 다른 이동을 감지하지 않았을 경우, 차량이 해당 주차블럭에 주차한 것으로 파악하여 해당 주차블럭의 여유공간을 차감하도록 하거나, 3초가 지난 후 감지된 차량의 이동방향이 차량의 진행방향이 아닐 경우, 이동차량이 출차차량인지 주차하기 위한 배회차량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일정시간 동안 해당차량의 출차여부의 파악을 유보하고 일정시간 지난 후, 해당 차량의 주차나 출차에 대한 신호를 검지제어기의 신호감지부에서 통신부를 통해 관리컴퓨터로 전송하고, 각각의 신호를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송, 수신하는 신호감지단계(S20);
    상기 관리컴퓨터가 검지제어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연산하고 상황판으로 주차현황을 표시하는 표시단계(S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파악단계(S10)에서,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확인하여, 주차블럭이 지정된 차량여부를 파악하여 주차블럭이 지정된 차량일 경우, 발광표시부를 통해 해당 주차블럭으로 주차를 유도하고, 주차블럭이 지정되지 않은 차량일 경우, 빈 주차블럭으로 주차유도를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단계(S20)에서, 검지제어기가 설치된 해당 주차블럭에서 차량이 진입하여 3초가 지난 후, 차량의 이동방향이 진행방향일 경우, 다른 주차블럭의 출입여부를 파악하여, 다른 주차블럭에 진입하였을 경우, 이전 진입한 차량의 주차블럭의 변경으로 간주하여 차량이 이동한 다른 주차블럭의 여유공간을 증가시키고, 이전의 주차블럭에서 여유공간을 차감하며, 다른 주차블럭에 진입하지 않았을 경우, 주차장입구의 연속적인 다른 차량의 진입으로 간주하여 다른 차량의 이동방향을 파악하여 해당 차량이 진입한 주차블럭의 여유공간을 차감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단계(S20)에서, 차량이 주차한 주차블럭의 위치를 확인하는 식은 f{p(BL)}={f(D),f(Δs)}이고, 주차가능대수를 구하는 식은 P(P)={sT(n)-a}+{∑(O)- ∑(P)}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S30)에서는 차량의 주차장출입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송받고, 차량이 진입하거나 진출한 해당 주차블럭에 대한 출입여부를 파악하여 주차블럭에 대한 여유공간과 전체 주차장의 주차가능여부를 상황판으로 출력하도록 하며, 일정한 시간마다 주차블럭의 주차상황을 파악하여 출력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KR1020100023741A 2010-03-17 2010-03-17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KR10096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741A KR100963189B1 (ko) 2010-03-17 2010-03-17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741A KR100963189B1 (ko) 2010-03-17 2010-03-17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189B1 true KR100963189B1 (ko) 2010-06-10

Family

ID=4236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741A KR100963189B1 (ko) 2010-03-17 2010-03-17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1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528B1 (ko) 2012-03-08 2013-04-30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주차장의 카메라 및 램프 구동장치
KR101442750B1 (ko) * 2014-02-06 2014-10-06 오비스텍 주식회사 주차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540B1 (ko) 2002-06-26 2006-01-24 박영수 주차유도 안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540B1 (ko) 2002-06-26 2006-01-24 박영수 주차유도 안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528B1 (ko) 2012-03-08 2013-04-30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주차장의 카메라 및 램프 구동장치
KR101442750B1 (ko) * 2014-02-06 2014-10-06 오비스텍 주식회사 주차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266B1 (ko) 주차 관제 시스템
JP4461977B2 (ja) 道路混雑度予測システムおよび道路混雑度予測装置
US105658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occupancy status of parking facilities
KR101726986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5801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지하주차장에서의차량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에서의차량위치확인 및 개별차량 유도방법
KR101778780B1 (ko) 노상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0728048B1 (ko) 무선주파수 카드 및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시스템
JP2010117864A (ja) 駐車場内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963189B1 (ko) 루프센서 및 이더넷 루프센서신호처리제어기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유도관제, 주차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유도관제방법
KR20070035782A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 주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48582A (ko) 주차장의 빈 주차 공간 알림 기능을 갖는 주차 안내 시스템
KR101670503B1 (ko)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KR101908696B1 (ko) 톨게이트의 서행 유도 시스템
KR101488571B1 (ko)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KR100462362B1 (ko) 무선 주차 관제 시스템
KR101115236B1 (ko) 주차 유도 시스템 및 차량 주차유도방법
KR20110057851A (ko) 자동 주차 안내 시스템
JPH11306484A (ja) 無人駐車場の車種別管理システム
KR100281675B1 (ko) 주차유도 관리시스템
KR101183138B1 (ko) 레이저 센서를 사용한 주차확인장치 및 방법
KR20070120681A (ko) 주차유도시스템
KR102215737B1 (ko) 지능형 무인 주차관제 시스템
JP2001175903A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および車載装置
KR20030009243A (ko) 단거리무선단말기(dsrc)를 이용한 불법주차단속시스템버스우선신호시스템 버스정보시스템 그 장치와 방법
JP4107794B2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運行状況確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