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766B1 - 자동 변속기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766B1
KR100962766B1 KR1020070072114A KR20070072114A KR100962766B1 KR 100962766 B1 KR100962766 B1 KR 100962766B1 KR 1020070072114 A KR1020070072114 A KR 1020070072114A KR 20070072114 A KR20070072114 A KR 20070072114A KR 100962766 B1 KR100962766 B1 KR 10096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gear
input shaft
clutch
pist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832A (ko
Inventor
서각하
이병민
김철진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2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7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ix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1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three sets of orbit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입력축의 회전을 감속출력하는 감속유성기어와 입력축의 회전을 비감속출력하는 유성기어세트 사이로 다수의 클러치류를 집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변속기 전체의 부피와 길이를 축소하여 보다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축(10)의 회전을 감속출력하는 감속유성기어(PG-1)와;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10)을 통한 비감속회전과 상기 감속유성기어(PG-1)를 통한 감속회전을 입력받아 출력축(12)을 통해 다단의 변속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유성기어세트(PG-2);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10)의 회전을 상기 감속유성기어(PG-1)를 통해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에 감속회전으로 입력하는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와, 상기 입력축(10)의 회전을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에 비감속회전으로 입력하는 제3클러치(C-3) 및; 상기 제2클러치(C-2)와 상기 제3클러치(C-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브레이크(B-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70072114
자동 변속기, 유성기어세트, 클러치, 브레이크

Description

자동 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성기어세트 사이의 공간에 다수의 클러치류를 집중 배치하여 변속기의 부피와 길이를 현저하게 축소시킨 자동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는 유성기어세트와, 유성기어세트를 통해 동력의 전달경로를 변경하는 클러치류 및, 유성기어세트의 각 작동요소에 대한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브레이크류의 부품들로 구성된다.
최근 들어 자동 변속기는 운전성능의 향상과 연비의 개선 등을 목적으로 다단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데, 이 경우 변속단의 다단화를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유성기어세트가 다수로 필요함과 더불어 각 유성기어세트 사이의 동력전달을 위한 클러치류와 작동요소의 구속을 위한 브레이크류도 역시 다수로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결과, 자동 변속기의 중량은 물론 부피와 길이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인 데, 이는 엔진룸내 자동 변속기의 탑재시 주변 부품과의 간섭은 물론, 엔진룸내에서 보다 넓은 공간의 점유로 인해 차체의 레이아웃에 대한 설계도 곤란하게 하는 등 다양한 문제로 귀결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입력축의 회전을 감속출력하는 감속유성기어와 입력축의 회전을 비감속출력하는 유성기어세트 사이로 다수의 클러치류를 집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변속기 전체의 부피와 길이를 축소하여 보다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축의 회전을 감속출력하는 감속유성기어와;
상기 감속유성기어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을 통한 비감속회전과 상기 감속유성기어를 통한 감속회전을 입력받아 출력축을 통해 다단의 변속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합유성기어세트;
상기 감속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세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의 회 전을 상기 감속유성기어를 통해 상기 유성기어세트에 감속회전으로 입력하는 제1클러치와 제2클러치와,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상기 유성기어세트에 비감속회전으로 입력하는 제3클러치 및;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축은 상기 감속유성기어를 장착하는 제1입력축과, 상기 유성기어세트를 장착하는 제2입력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입력축과 상기 제2입력축은 동축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입력축은 상기 감속유성기어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감속유성기어는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유성기어세트와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1입력축은 상기 제3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제2입력축과 가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축은 상기 유성기어세트와 직접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감속유성기어는 상기 제1입력축상에서 회전이 구속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입력축과 직접 연결되는 제1링기어 및, 상기 제1선기어와 상기 제1링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제1캐리어를 갖춘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상기 제1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감속유성기어의 제1캐리어와 가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1브레이크를 매개로 케이스에 가변 구속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와 연결되는 제3선기어;
상기 제2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감속유성기어의 제1캐리어와 가변 연결되는 제2선기어;
상기 제3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제1입력축과 가변 연결되는 제3캐리어;
상기 제3캐리어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2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가변 구속되는 제2링기어 및;
상기 제3캐리어에 외접하고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3링기어를 갖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는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감속유성기어와 유성기어세트 사이로 다수의 클러치류를 동축적으로 집중 배치함으로써, 변속기의 부피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변속기 전체의 길이를 보다 축소할 수 있으므로, 엔진룸내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변속기의 입력축(10)은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토크 컨버터의 터빈축(도시안됨)과 연결되고, 상기 입력축(10)은 감속유성기어(PG-1)와 유성기어세트(PG-2)를 상호 이격되게 장착하며, 상기 유성기어세트(PG-2)는 출력축(12)과 연결되는 한편, 상기 입력축(10)과 상기 출력축(12)은 케이스(14)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감속유성기어(PG-1)는 상기 입력축(10)으로 입력되는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고, 상기 유성기어세트(PG-2)는 상기 입력축(10)상에서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동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유성기어세트(PG-2)는 상기 입력축(10)을 통한 비감속회전과 상기 유성기어세트(PG-2)를 통한 감속회전을 각각 입력받아 상기 출력축(12)을 통해 다단의 변속비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는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10)의 회전을 상기 감속유성기어(PG-1)를 통해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에 감속회전으로 입력한다.
제3클러치(C-3)는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10)의 회전을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에 비감속회전으로 입력한다.
제1브레이크(B-1)는 상기 제2클러치(C-2)와 상기 제3클러치(C-3)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브레이크(B-2)는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입력축(10)은 상기 감속유성기어(PG-1)를 장착하는 제1입력축(10a)과, 상기 유성기어세트(PG-2)를 장착하는 제2입력축(10b)으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입력축(10a)과 상기 제2입력축(10b)은 동축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입력축(10b)과 상기 출력축(12)도 역시 동축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입력축(10a)은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감속유성기어(PG-1)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상기 제2클러치(C-2)를 매개로 상기 유 성기어세트(PG-2)와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1입력축(10a)은 상기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상기 제2입력축(10b)과 가변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2입력축(10b)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와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속유성기어(PG-1)는 상기 제1입력축(10a)상에서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선기어(S1)와, 상기 제1입력축(10a)과 직접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1링기어(R1) 및, 상기 제1선기어(S1)와 상기 제1링기어(R1)에 각각 치합되는 제1캐리어(C1)를 갖추고 있다. 이 경우, 제1캐리어(C1)는 상기 제1선기어(S1)와 상기 제1링기어(R1) 사이에 치합되는 다수의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의 피니언은 상기 제1캐리어(C1)에 의해 상호 구속된 상태로 일체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후술되는 제2캐리어(C2)와 제3캐리어(C3)의 경우에도 상기 제1캐리어(C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피니언과의 치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성기어세트(PG-2)는 상기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의 제1캐리어(C1)와 가변 연결되어 동력을 인가받음과 더불어, 상기 제1브레이크(B-1)를 매개로 케이스(14)에 가변 구속되는 제2캐리어(C2)와, 상기 제2캐리어(C2)와 연결되는 제3선기어(S3), 상기 제2클러치(C-2)를 매개로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의 제1캐리어(C1)와 가변 연결되는 제2선기어(S2), 상기 제3클러치(C-3)를 매개로 상기 제1입력축(10a)과 가변 연결되는 제3캐리어(C3), 상기 제3캐리어(C3)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2브레이크(B-2)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14)에 가변 구속되는 제2링기어(R2) 및, 상기 제3캐리어(C3)에 외접하고 상기 출력축(12)과 연결되 는 제3링기어(R3)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캐리어(C2)를 구성하는 피니언은 기어비의 적정 설계를 위해 더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2입력축(10b)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의 제3캐리어(C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링기어(R2)와 상기 제3캐리어(C3)는 원웨이클러치(16)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14)에 가변 구속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바, 상기 원웨이클러치(16)는 상기 제1브레이크(B-1)와 병렬로 설치된다.
상기 제1클러치(C-1)는 상기 제1캐리어(C1)와 연결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제1플레이트(20a)를 스플라인결합으로 장착하는 제1리테이너(20)와, 상기 다수의 제1플레이트(20a)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디스크(22a)를 외주면에 스플라인결합으로 장착하는 제1허브(22) 및, 상기 제1리테이너(20)와의 사이에 제1압력실(24a)을 형성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20a)를 향해 배치되는 제1피스톤(24)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허브(22)는 상기 제2입력축(10b)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슬리브(1)를 매개로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의 제2캐리어(C2)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C-1)는 상기 제1피스톤(24)과의 사이에 제1밸런스 체임버(26a)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리테이너(20)에 대해 스플라인 결합되어 스냅링을 매개로 고정되는 제1밸런스 피스톤(26)을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피스톤(24)과 상기 제1밸런스 피스톤(26) 사이에는 제1리턴 스프링(28)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1리턴 스프링(28)은 상기 제1압력실(24a)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피스톤(24)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클러치(C-2)는 상기 제1캐리어(C1)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제2디스크(30a)를 스플라인결합으로 장착하는 제2허브(30)와, 상기 다수의 제2디스크(30a)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플레이트(32a)를 내주면에 스플라인결합으로 장착하는 제2리테이너(32) 및, 상기 제2리테이너(32)와의 사이에 제2압력실(34a)을 형성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32a)를 향해 배치되는 제2피스톤(34)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2리테이너(32)는 상기 제2입력축(10b)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2슬리브(2)를 매개로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의 제2선기어(S2)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클러치(C-2)는 상기 제2피스톤(34)과의 사이에 제2밸런스 체임버(36a)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입력축(10b)의 외주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3슬리브(3)에 대해 스플라인 결합되어 스냅링을 매개로 고정되는 제2밸런스 피스톤(36)을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피스톤(34)과 상기 제2밸런스 피스톤(36) 사이에는 제2리턴 스프링(38)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2리턴 스프링(38)은 상기 제2압력실(34a)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피스톤(34)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허브(30)는 상기 제1밸런스 피스톤(26)에 결합되어, 상기 제1리테이너(20)상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제1슬리브(1)와 상기 제2슬리브(2)는 상기 제2입력축(10b)의 외 주에 각각 동축적으로 이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슬리브(2)가 상기 제2입력축(10b)의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슬리브(1)는 상기 제2슬리브(2)의 외주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슬리브(1)는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14)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14)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센터 서포트(18)가 설치되고, 상기 제1슬리브(1)는 상기 센터 서포트(18)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슬리브(1)의 외주면은 상기 케이스(14)의 내부에서 상기 센터 서포트(18)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3클러치(C-3)는 상기 제1입력축(10a)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제3플레이트(40a)를 스플라인결합으로 장착하는 제3리테이너(40)와, 상기 다수의 제3플레이트(40a)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3디스크(42a)를 외주면에 스플라인결합으로 장착하는 제3허브(42) 및, 상기 제3리테이너(40)와의 사이에 제3압력실(44a)을 형성하고 상기 제3플레이트(40a)를 향해 배치되는 제3피스톤(44)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3허브(42)는 상기 제2입력축(10b)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플랜지(10c)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입력축(10a)의 선단부와 상기 제3슬리브(3)의 선단부는 각각 상기 제1플랜지(10c)의 양측부에 대해 트러스트 베어링(BR)을 매개로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제3클러치(C-3)는 상기 제3피스톤(44)과의 사이에 제3밸런스 체임버(46a)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슬리브(3)에 대해 스냅링을 매개로 고정되는 제 3밸런스 피스톤(4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3피스톤(44)과 상기 제3밸런스 피스톤(46) 사이에는 제3리턴 스프링(48)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3리턴 스프링(48)은 상기 제3압력실(44a)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피스톤(44)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브레이크(B-1)는 상기 제1허브(22)의 외주면에 스플라인결합으로 장착되는 다수의 제4디스크(50)와, 상기 다수의 제4디스크(50)와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4)의 내주면에 스플라인결합으로 다수로 장착되는 제4플레이트(52) 및, 상기 센터 서포트(18)와의 사이에 제4압력실(54a)을 형성하고 상기 제4플레이트(52)를 향해 배치되는 제4피스톤(54)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브레이크(B-1)에는 상기 제4압력실(54a)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제4피스톤(5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4리턴 스프링(56)이 구비되고, 상기 제4리턴 스프링(56)은 상기 센터 서포트(18)에 스냅링을 매개로 고정되는 제1스프링리테이너(5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2브레이크(B-2)는 상기 제2링기어(R2)의 외주면에 스플라인결합으로 장착되는 다수의 제5디스크(60)와, 상기 다수의 제5디스크(60)와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4)의 내주면에 스플라인결합으로 다수로 장착되는 제5플레이트(62) 및, 상기 센터 서포트(18)와의 사이에 제5압력실(64a)을 형성하고 상기 제5플레이트(62)를 향해 배치되는 제5피스톤(64)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2브레이크(B-2)에는 상기 제5압력실(64a)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제5피스톤(6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5리턴 스프링(66)이 구비되고, 상기 제 5리턴 스프링(66)은 상기 센터 서포트(18)에 스냅링을 매개로 고정되는 제2스프링리테이너(68)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 제1입력축(10a)과 상기 제2입력축(10b)은 중공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압력실(24a) 내지 제5압력실(64a)과 개별적으로 연통됨과 더불어,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의 섭동부위에 대한 윤활과 다수의 클러치와 브레이크에 구비된 플레이트와 디스크 사이의 냉각을 위한 오일공급용 토출구멍(11)을 다수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는 상기 케이스(14)의 내부에서 상기 센터 서포트(18)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된 공간에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는 상기 케이스(14)의 내부에서 상기 센터 서포트(18)를 매개로 상호 분할된 공간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3클러치(C-3)는 상기 제1입력축(10a)의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클러치(C-1)와 상기 제2클러치(C-2)는 각각 상기 제1입력축(10a)을 중심으로 상기 제3클러치(C-3)의 외주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레이크(B-1)는 상기 제2클러치(C-2)와 상기 센터 서포트(18)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브레이크(B-2)는 상기 제2유성기어세트(PG-2)의 외주에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출력축(12)의 선단측 제2플랜지(12a)부는 상기 유성기어세트(PG-2)의 제3캐리어(C3)의 측부에 대해 트러스트 베어링(BR)을 매개로 상대회전 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기어열은 전진 6속과 후진 1속의 변속비를 출력할 수 있는 바, 각 변속단별 체결되는 작동요소는 도 4에 도시된 표와 같고, 그에 따른 상세 과정은 당업자로부터 자명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는 상기 케이스(14)의 내부 공간에 있어,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 사이에 다수의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 및 제3클러치(C-3)를 동심원상으로 배치함으로써, 변속기 전체의 부피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고, 변속기 전체의 길이도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 변속기의 구성부품중 소모부품에 해당하는 플레이트류와 디스크류의 교환시, 변속기를 전체적으로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다수의 클러치류 부품이 상기 감속유성기어(PG-1)와 상기 유성기어세트(PG-2) 사이의 공간에 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정비시 상기 케이스(14)로부터 제1입력축(10a)과 감속유성기어(PG-1)만을 분해하면 되기 때문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클러치(C-1) 내지 상기 제3클러치(C-3)는 각각 상기 제1피스톤(24) 내지 상기 제3피스톤(44)에 있어, 상기 제1압력실(24a) 내지 상기 제3압력실(44a)과 대향된 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제1밸런스 체임버(26a) 내지 제3밸런스 체임버(46a)를 형성하는 상기 제1밸런스 피스톤(26) 내지 제3밸런스 피스톤(46)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압력실(24a) 내지 상기 제3압력실(44a)내에 잔류하 는 오일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유압을 상쇄시켜 클러치의 작동시 응답성 및 변속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심유압에 의해 클러치의 플레이트와 디스크 사이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마찰을 배제하여 클러치류 부품에 대한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기어열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체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각 변속단별 작동 요소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입력축 12-출력축
14-케이스 16-원웨이클러치
18-센터 서포트
PG-1; 감속유성기어 PG-2; 유성기어세트
C-1; 제1클러치 C-2; 제2클러치
C-3; 제3클러치 B-1; 제1브레이크
B-2; 제2브레이크

Claims (35)

  1. 입력축의 회전을 감속출력하는 감속유성기어와;
    상기 감속유성기어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을 통한 비감속회전과 상기 감속유성기어를 통한 감속회전을 입력받아 출력축을 통해 다단의 변속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유성기어세트;
    상기 감속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세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상기 감속유성기어를 통해 상기 유성기어세트에 감속회전으로 입력하는 제1클러치와 제2클러치와,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상기 유성기어세트에 비감속회전으로 입력하는 제3클러치 및;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제3클러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입력축은 상기 감속유성기어를 장착하는 제1입력축과, 상기 유성기어세트를 장착하는 제2입력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입력축은 상기 감속유성기어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감속유성기어는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유성기어세트와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1입력축은 상기 제3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제2입력축과 가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축은 상기 유성기어세트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감속유성기어는 상기 제1입력축상에서 회전이 구속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입력축과 직접 연결되는 제1링기어 및, 상기 제1선기어와 상기 제1링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제1캐리어를 갖추고;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상기 제1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감속유성기어의 제1캐리어와 가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1브레이크를 매개로 케이스에 가변 구속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와 연결되는 제3선기어와, 상기 제2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감속유성기어의 제1캐리어와 가변 연결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제3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제1입력축과 가변 연결되는 제3캐리어와, 상기 제3캐리어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2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가변 구속되는 제2링기어와, 상기 제3캐리어에 외접하고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3링기어를 갖춘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과 상기 제2입력축은 동축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은 동축상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축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제3캐리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링기어와 상기 제3캐리어는 원웨이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가변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 상기 제1캐리어와 연결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제1플레이트를 장착하는 제1리테이너와;
    상기 다수의 제1플레이트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디스크를 외주면에 장착하는 제1허브 및;
    상기 제1리테이너와의 사이에 제1압력실을 형성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를 향해 배치되는 제1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허브는 상기 제2입력축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슬리브를 매개로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제2캐리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 상기 제1피스톤과의 사이에 제1밸런스 체임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리테이너에 고정되는 제1밸런스 피스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1밸런스 피스톤 사이에는 상기 제1압력실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클러치는 상기 제1캐리어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제2디스크를 장착하는 제2허브와;
    상기 다수의 제2디스크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플레이트를 내주면에 장착하는 제2리테이너 및;
    상기 제2리테이너와의 사이에 제2압력실을 형성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를 향해 배치되는 제2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리테이너는 상기 제2입력축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2슬리브를 매개로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제2선기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클러치는 상기 제2피스톤과의 사이에 제2밸런스 체임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입력축의 외주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3슬리브에 고정되는 제2밸런스 피스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톤과 상기 제2밸런스 피스톤 사이에는 상기 제2압력실을 수축하 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허브는 상기 제1밸런스 피스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리브와 상기 제2슬리브는 상기 제2입력축의 외주에 각각 동축적으로 이격되어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리브는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센터 서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슬리브는 상기 센터 서포트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입력축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다수의 제3플레이트를 장착하는 제3리테이너와;
    상기 다수의 제3플레이트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3디스크를 외주면 에 장착하는 제3허브 및;
    상기 제3리테이너와의 사이에 제3압력실을 형성하고 상기 제3플레이트를 향해 배치되는 제3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3허브는 상기 제2입력축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의 선단부와 상기 제3슬리브의 선단부는 각각 상기 제1플랜지의 양측부에 대해 트러스트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3피스톤과의 사이에 제3밸런스 체임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3슬리브에 고정되는 제3밸런스 피스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3피스톤과 상기 제3밸런스 피스톤 사이에는 상기 제3압력실을 수축하 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6.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브레이크는 상기 제1허브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제4디스크와;
    상기 다수의 제4디스크와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다수로 장착되는 제4플레이트 및;
    상기 센터 서포트와의 사이에 제4압력실을 형성하고 상기 제4플레이트를 향해 배치되는 제4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1브레이크에는 상기 제4압력실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제4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4리턴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4리턴 스프링은 상기 센터 서포트에 고정되는 제1스프링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8.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2브레이크는 상기 제2링기어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제5디스크와;
    상기 다수의 제5디스크와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다수 로 장착되는 제5플레이트 및;
    상기 센터 서포트와의 사이에 제5압력실을 형성하고 상기 제5플레이트를 향해 배치되는 제5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2브레이크에는 상기 제5압력실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제5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5리턴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5리턴 스프링은 상기 센터 서포트에 고정되는 제2스프링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과 상기 제2입력축은 중공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압력실 내지 제5압력실과 개별적으로 연통되는 오일공급용 토출구멍을 다수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3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센터 서포트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된 공간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입력축의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는 각각 상기 제1입력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3클러치의 외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1브레이크는 상기 제2클러치와 상기 센터 서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제2브레이크는 상기 제2유성기어세트의 외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의 선단측 제2플랜지부는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제3캐리어의 측부에 대해 트러스트 베어링을 매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KR1020070072114A 2007-07-19 2007-07-19 자동 변속기 KR10096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114A KR100962766B1 (ko) 2007-07-19 2007-07-19 자동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114A KR100962766B1 (ko) 2007-07-19 2007-07-19 자동 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32A KR20090008832A (ko) 2009-01-22
KR100962766B1 true KR100962766B1 (ko) 2010-06-09

Family

ID=4048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114A KR100962766B1 (ko) 2007-07-19 2007-07-19 자동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7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30B1 (ko) * 2013-06-20 2014-12-05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KR101551111B1 (ko) 2014-07-31 2015-09-07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클러치 드럼 어셈블리의 윤활구조
KR20160015736A (ko) * 2014-07-31 2016-02-15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클러치의 윤활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558B1 (ko) * 2011-07-26 2014-03-17 주식회사 에스 피 지 2단 변속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900A (ja) 1998-09-30 2000-04-18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
JP2005061444A (ja) * 2003-08-14 2005-03-10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
JP2007051777A (ja) 2005-08-15 2007-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多段式自動変速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900A (ja) 1998-09-30 2000-04-18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
JP2005061444A (ja) * 2003-08-14 2005-03-10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
JP2007051777A (ja) 2005-08-15 2007-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多段式自動変速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30B1 (ko) * 2013-06-20 2014-12-05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KR101551111B1 (ko) 2014-07-31 2015-09-07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클러치 드럼 어셈블리의 윤활구조
KR20160015736A (ko) * 2014-07-31 2016-02-15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클러치의 윤활 구조
KR101601459B1 (ko) * 2014-07-31 2016-03-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 클러치의 윤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32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9145B2 (ja) 多段変速機
US9222550B2 (en) Multi-speed transmission
EP1998079B1 (en) Automatic transmission
JP4798200B2 (ja) 自動変速機およびその軸方向間隙調整方法
JP3246139B2 (ja) 自動変速機用歯車変速装置
JP6232979B2 (ja) 変速装置
EP0762014B1 (e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962766B1 (ko) 자동 변속기
WO2011044818A1 (zh) 六档自动变速器的动力传动系统
GB2181797A (en) Automatic transmission mechanism
US8986155B2 (en) Multi-speed transmission
US9739346B2 (en) Multi-speed transmission
JPH0794856B2 (ja) 自動変速機におけるクラツチ装置
US9638291B2 (en) Multi-speed transmission
JP6418302B2 (ja) 変速装置
JP6377825B2 (ja) 多段変速機
JP2008309238A (ja) 自動変速機
JP2007120685A (ja) 自動変速機
CN101705980A (zh) 一种自动变速器动力传动系统
JP2008303962A (ja) 自動変速機
JP2007092821A (ja) 摩擦係合装置
JP4900193B2 (ja) 自動変速機
JP2004324753A (ja) 自動変速機の動力伝達装置
JP2005233392A (ja) 自動変速機
JP2015105723A (ja) 多段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