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006B1 -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 - Google Patents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006B1
KR100962006B1 KR1020090059442A KR20090059442A KR100962006B1 KR 100962006 B1 KR100962006 B1 KR 100962006B1 KR 1020090059442 A KR1020090059442 A KR 1020090059442A KR 20090059442 A KR20090059442 A KR 20090059442A KR 100962006 B1 KR100962006 B1 KR 10096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rack
block
rack
wrench
fas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흥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흥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흥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9005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03Vertical boat type carrier whereby the substrates are horizontally supported, e.g. comprising rod-shaped elements
    • H01L21/67309Vertical boat type carrier whereby the substrates are horizontally supported, e.g. comprising rod-shaped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substrate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7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kinematic members, handles or elements to be externally grip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가진 랙을 공급하는 작업, 체결볼트를 느슨하게 푸는 작업, 가변랙 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작업, 체결볼트를 조이는 작업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매가진 랙을 자동으로 이송하여 주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으로 부터 이송되어온 매가진 랙의 가변랙 판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볼트를 풀거나 조여주는 렌치블록과, 상기 렌치블록에 의해 체결볼트가 풀어진 상태의 가변랙 판을 원하는 위치로 변위시켜주는 변위유닛을 포함하는 위치조정수단; 및 상기 체결볼트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렌치블록의 이동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90059442
매가진 랙, 간격조정, 가변랙 판

Description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clearance control apparatus of magazine rack}
본 발명은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매가진 랙(Magazine rack)은 많은 양의 회로기판을 상하방향으로 적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매가진 랙(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과 하판(3) 사이에 수직상의 고정랙 판(4)과 가변랙 판(5)이 나란하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가변랙 판(5)의 상,하부는 상기 상,하판(2,3)에 형성된 가이드 홀(6)에 체결볼트(7)로서 조립되어 있어서 체결볼트(7)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고정랙 판(4)과의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서 회로기판(P)의 폭에 따른 간격조정이 가능하므로 호환적이다.
이러한 매가진 랙(1)의 가변랙 판(5) 위치를 조절할 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7)를 느슨하게 푼 후, 가변랙 판(5)을 회로기판(P)의 폭에 맞도록 위치를 조절한 뒤 다시 체결볼트(7)를 조이는 일련의 과정을 작업자가 직접 행하고 있어서 작업이 더디고, 이를 행하기 위한 작업자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매가진 랙을 공급하는 작업, 체결볼트를 느슨하게 푸는 작업, 가변랙 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작업, 체결볼트를 조이는 작업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주요관점에 따르면,
매가진 랙을 자동으로 이송하여 주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으로 부터 이송되어온 매가진 랙의 가변랙 판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볼트를 풀거나 조여주는 렌치블록과, 상기 렌치블록에 의해 체결볼트가 풀어진 상태의 가변랙 판을 원하는 위치로 변위시켜주는 변위유닛을 포함하는 위치조정수단; 및 상기 체결볼트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렌치블록의 이동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주요관점에 따르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온 매가진 랙이 위치조정수단의 내부로 진입되는 단계; 상기 위치조정수단의 내부로 진입된 매가진 랙을 제2 스톱핑 유닛에 의해 매가진 랙의 선단을 차단함으로써 설정된 작업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매가진 랙의 후단을 제1 푸쉬유닛에 의해 제2 스톱핑 유닛 측으로 밀착되게 밀어주는 단계; 상기 매가진 랙을 제2 푸쉬유닛에 의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밀착되게 밀어주는 단계; 상기 매가진 랙의 상판과 하판을 클램퍼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상기 매가진 랙의 가변랙 판을 체결하고 있는 각 체결볼트를 렌치블록에 의해 푸는 단계; 상기 가변랙 판을 변위유닛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 상기 렌치블록에 의해 상기 체결볼트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톱핑유닛, 제1 푸쉬유닛, 제2 푸쉬유닛, 클램퍼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단계; 상기 매가진 랙이 간격조정수단으로 부터 배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렌치블록에 의해 각 체결볼트를 푸는 단계는 상기 렌치블록의 상부블록이 체결볼트와 부딪침에 따라 상부블록이 유동될 때 이를 유동감지센서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동감지센서에 의해 상부블록이 유동됨이 감지되면 상기 렌치블록을 체결볼트와 이격되게 수직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수직 이동된 렌치블록을 체결볼트의 공구홈 중심에 위치하도록 수평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렌치블록을 수직이동시켜서 렌치공구가 체결볼트의 공구홈에 정확하게 인입되게 한 후, 회전모터에 의해 렌치블록을 회전시켜서 각 체결볼트를 푸는 단계;로 세분화 된 것을 더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방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을 기초하여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2 스톱핑 유닛으로서, 작동 전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2 스톱핑 유닛으로서, 작동 후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1 푸쉬유닛으로서, 작동 전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1 푸쉬유닛으로서, 작동 후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2 푸쉬유닛으로서, 작동 전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2 푸쉬유닛으로서, 작동 후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클램퍼로서, 작동 전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클램퍼로서, 작동 후 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렌치블록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렌치블록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렌치블록의 다른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변위유닛의 작동 전 상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변위유닛의 작동 후 상태도 및 변위유닛의 이송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위의 도 1에서 보듯이 매가진 랙(1)의 가변랙 판(5)을 자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진 랙의 간격조정장치(이하 "간격조정장치"라 약칭함)는 도 2에서 보듯이 매가진 랙(1)을 이송하여 주는 이송수단을 갖는다.
상기한 이송수단은 캐터필러(100)로 구성된다.
상기한 캐터필러(100)는 매가진 랙(1)을 공급하는 공급 캐터필러(110)와, 상기 위치조정수단(700) 내에 위치하는 중간 캐터필러(120)와, 매가진 랙(1)을 회수하는 회수 캐터필러(13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는 도 2에서 보듯이 제1 스톱핑 유닛(200)을 갖는다.
상기 제1 스톱핑 유닛(200)은 후술될 위치조정수단 내에 매가진 랙이 내재(內在)할 때, 차기 매가진 랙을 상기 공급 캐터필러(110)의 대기구간(A)에 대기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제1 스톱핑 유닛(200)은 위치조정수단 내에 매가진 랙이 이미 내재된 상태에서 또 다른 매가진 랙이 중복 투입됨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대기구간(A)의 양쪽에 설치되어 차기 매가진 랙이 진입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210)와, 상기 공급 캐터필러(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제1 감지센서(210)의 감지신호에 감응하여 출몰동작되면서 상기 차기 매가진 랙(미도시)을 차단하는 제1 스톱퍼(22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는 도 3 내지 5에서 보듯이 제2 스톱핑 유닛(300)을 갖는다.
상기 제2 스톱핑 유닛(300)은 후술될 위치조정수단(700) 내의 작업구간으로 진입되는 매가진 랙(1)을 지정된 작업위치에서 정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제2 스톱핑 유닛(300)은, 위치조정수단(70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매가진 랙(1)이 작업구간으로 진입했음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310)와, 상기 제2 감지센서(310)의 감지신호에 감응하여 동작되는 실린더(320)와, 상기 실린더(320)의 로드에 설치된 채 진퇴동작되면서 상기 매가진 랙(1)의 선단을 선택적 으로 차단하는 제2 스톱퍼(33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는 도 3, 6, 7에서 보듯이 제1 푸쉬유닛(400)을 갖는다.
상기 제1 푸쉬유닛(400)은 상기 위치조정수단(700) 내의 작업구간으로 진입된 매가진 랙(1)의 후단을 상기 제2 스톱핑 유닛(300) 측으로 밀착되게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제1 푸쉬유닛(400)은 위치조정수단(70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410)의 로드에 연결되는 링크(420)와, 상기 링크(420)에 핀(P) 결합된 채 실린더(410)의 전진동작에 따라 직각으로 회동하여 상기 매가진 랙(1)의 후단부를 전방(제2 스톱퍼측)으로 밀어주는 푸셔(4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셔(430)의 매가진 랙(1)과의 접촉부위, 즉 매가진 랙(1)을 밀어주는 부위에 롤러(4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440)는 매가진 랙(1)의 후방에 구름 접촉됨으로써 후술될 제2 푸쉬유닛에 의해 좌,우측중 어느 한 쪽으로 밀릴 때 보다 원활하게 밀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는 도 3, 8, 9에서 보듯이 제2 푸쉬유닛(500)을 갖는다.
상기 제2 푸쉬유닛(500)은 위치조정수단(700) 내의 매가진 랙(1)을 좌,우 양측중 어느 한 쪽으로 밀착되게 밀어줌으로써 작업을 위한 기준위치를 잡아주는 역 할을 한다.
상기한 제2 푸쉬유닛(500)은 위치조정수단(70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린더(510)와, 상기 실린더(510)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진퇴되면서 상기 매가진 랙(1)의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밀어주는 푸셔(52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는 도 3, 10, 11에서 보듯이 상기 매가진 랙(1)의 상,하판(2,3) 양측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퍼(600)를 갖는다.
상기 클램퍼(600)는 매가진 랙(1)의 상,하판(2,3) 양측을 누름가압함으로써 가변랙 판(5)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볼트(7)를 풀거나 조일 때 매가진 랙(1)이 상하로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상기한 클램퍼(600)는 위치조정수단(70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린더(610)와, 상기 실린더(610)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출몰동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매가진 랙(1)의 상,하판(2,3) 양측부를 선택적으로 누름 가압하는 가압블록(620)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는 도 2, 3에서 보듯이 상기 매가진 랙(1)의 가변랙 판(5)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위치조정수단(700)을 갖는다.
상기 위치조정수단(700)은 가변랙 판(5)를 체결하고 있는 체결볼트(7)를 풀거나 조이기 위한 렌치블록(710)과, 렌치블록(710)에 의해 체결볼트(7)가 풀어진 상태의 가변랙 판(5)을 원하는 위치로 변위시켜주는 변위유닛(72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렌치블록(710)은 도 12 내지 도 13에서 보듯이 후술될 이송대(724) 상에 실린더(71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블록(712)과; 상기 하부블록에 사방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핀(P)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볼트(7)를 풀거나 조이기 위한 렌치공구(714)를 포함하는 상부블록(713)과; 상기 하부블록(712) 내에 설치된 채 상기 상부블록(713)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715)와; 상기 상,하부블록(713,71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주는 회동구동유닛(71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구동유닛(716)은 상기 하부블록(712)과 연결되는 회전축(716a)과, 상기 회전축(716a)의 하단에 설치되는 종동기어(716b)와, 상기 종동기어(716b)에 치합되어 있는 구동기어(716c)와, 상기 구동기어(716c)를 회전시켜주는 회전모터(716d)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렌치블록(710)이 체결볼트(7)에 근접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은 아래의 두 가지가 제공된다.
첫 번째 구성은, 도 14에서와 같이 렌치블록(710)의 측근에 위치감지센서(717a,717b)를 설치하여 체결볼트(7)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위치감지센서(717a,717b)는 렌치블록(710)을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의 위치감지센서(717a)는 가변랙 판(5:도면상 좌측의 가변랙 판)이 고정랙 판(4)에 거의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을 때 가변랙 판(5)의 체결 볼트(7)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일측의 위치감지센서(717b)는 가변랙 판(5:도면상 우측의 가변랙 판)이 고정랙 판(4)으로 부터 멀리 이격되었을 때 가변랙 판(5)의 체결볼트(7)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구성은 도 12, 13에서와 같이 상기 매가진 랙(1)이 위치조정수단(700)의 내부로 진입시 렌치공구(714)가 부딪칠 수 있도록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렌치블록(710)의 일측에는 상부블록(713)이 체결볼트(7)와 부딪쳤을 때 상부블록(713)의 유동을 감지하여 체결볼트(7)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동감지센서(717)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터(716d)의 축상에는 도 14에서와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의 블랭크부(blank part:718a)와 언블랭크부(718b)가 교대로 반복되게 구성된 회전판(718)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718)의 일측에는 회전되는 회전판(718)의 블랭크부(718a)와 언블랭크부(718b)를 반복적으로 인식하되, 체결볼트(7)가 체결되어 더 이상 회전판(718)이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블랭크부(718a) 또는 언블랭크부(718b) 만이 계속적으로 인식될 경우 회전모터(716d)의 전원을 오프해 주는 모터제어센서(719)가 설치된다.
상기한 변위유닛(720)은 도 15, 16에서 보듯이 지지블록(721)과; 상기 지지블록(72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변랙 판(5)의 전후단부를 파지하는 핑거(722)와; 상기 핑거(722)를 회전시켜주는 실린더(723)와; 상기 지 지블록(721), 핑거(722), 실린더(723)를 좌우로 이송시켜주는 이송대(7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대(724)는 모터(725) 및 스크류 샤프트(726)에 의해 좌우방향(간격조정장치의 폭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수치 만큼 이송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간격조정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매가진 랙(1)의 간격조정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1 단계는, 매가진 랙이 위치조정수단 내로 진입하는 단계이다(도 2참조).
즉, 1 단계는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공급 캐터필러(110) 및 중간 캐터필러(120)의 구동에 의해 그 위에 안착된 매가진 랙(1)이 위치조정수단(700)의 내부로 진입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위치조정수단(700)의 내부에 매가진 랙(1)이 이미 진입된 상태에서 차기 매가진 랙이 또 진입되면 안되므로, 이때는 공급 캐터필러(110) 상에 설치되는 제1 스톱퍼(220)가 돌출되어 차기 매가진 랙의 진입을 차단하게 된다.
2 단계는 매가진 랙을 작업위치에 정지시키는 단계이다(도 4, 5참조).
즉, 2 단계는 위치조정수단(700)의 내부로 진입되는 매가진 랙(1)의 선단을 제2 스톱핑 유닛(300)의 제2 스톱퍼(330)가 차단함으로써 매가진 랙(1)이 작업구간에서 정지되게 하는 단계이다.
부연하면, 상기 매가진 랙(1)이 작업구간에 진입했음을 제2 감지센서(310)가 감지하게 되면, 그 감지신호에 감응하여 실린더(320)가 작동되어 이 실린더(320)의 로드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스톱퍼(330)를 전진시킴에 따라 매가진 랙(1)의 선단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써 매가진 랙(1)은 더 이상 이송되지 않고 작업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3 단계는 매가진 랙을 후단을 제2 스톱핑 유닛 측으로 밀착하는 단계이다(도 6, 7참조).
즉, 3 단계는 제2 스톱핑 유닛(300)에 의해 정지된 상태로 부터, 제1 푸쉬유닛(400)이 작동하여 매가진 랙(1)의 후단을 제2 스톱핑 유닛(300)을 향해 밀착되도록 밀어주는 단계이다.
부연하면, 실린더(410)가 전진 작동하여 실린더의 플런저에 결합되어 있는 링크(420)를 기준으로 푸셔(430)를 밀게 되면, 푸셔(430)는 최초 상태로 부터 매가진 랙(1)의 후단을 향해 직각으로 회동하여 후단을 전방을 향해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매가진 랙(1)의 전방은 제2 스톱퍼(330)에 의해 차단되고, 후방은 제1 푸쉬유닛(400)에 의해 차단되어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고정상태가 된다.
4 단계는 매가진 랙을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밀착하는 단계이다(도 8, 9참조).
즉, 4 단계는 매가진 랙(1)을 제2 푸쉬유닛(500)에 의해 좌,우 어느 한 방향 으로 밀착시켜서 작업을 위한 기준 위치를 잡아주는 단계이다.
부연하면, 실린더(510)가 작동하면 이에 연결된 푸셔(520)가 전진동작하여 매가진 랙(1)의 일측면을 타측을 향해 밀어줌으로써 매가진 랙(1)의 좌우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게 된다.
5 단계는 매가진 랙의 상판과 하판을 고정하는 단계이다(도 10, 11참조).
즉, 5 단계는 매가진 랙(1)의 상판(2)과 하판(3)을 각각 클램퍼(600)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매가진 랙(1)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 단계이다.
부연하면, 각 실린더(610)가 전진 동작하면 이에 연결된 각 가압블록(620)이 상판(2)과 하판(3)을 각각 누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매가진 랙(1)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6 단계는 매가진 랙의 가변랙 판을 체결하고 있는 각 체결볼트를 푸는 단계이다(도 12, 13참조)
즉, 6 단계는 가변랙 판(5)과 상판(2), 가변랙 판(5)과 하판(3)을 체결하고 있는 각각의 체결볼트(7)를 렌치블록(710)에 의해 푸는 단계이다.
부연하면, 각 렌치블록(710)의 렌치공구(714)가 각 체결볼트(7)의 공구홈(7a)에 삽입된 채로 회전모터(716d)가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체결볼트(7)를 풀어줌으로써 가변랙 판(5)의 결합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가변랙 판(5)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4에서와 같이 렌치블록(710)의 측근에 체결볼트(7)의 위치를 직접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717a,717b)를 설치하고, 감지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렌치공구(714)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렌치공구(714)가 체결볼트(7)의 공구홈(7a) 정확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방법은 2개의 위치감지센서(717a,717b)중 어느 하나의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체결볼트(7)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렌치블록(710)을 체결볼트(7)의 공구홈(7a) 중심에 위치하도록 수평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렌치블록(710)을 수직이동시켜서 렌치공구(710)가 체결볼트(7)의 공구홈(7a)에 정확하게 인입되게 한 후, 상기 렌치블록(710)을 회전모터(716d) 및 기어(716b,716c)에 의해 회전시켜서 체결볼트(7)를 푸는 절차를 진행한다.
한편, 이 방법외에도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렌치블록(710)의 상부블록(713)이 체결볼트(7)와 부딪침을 감지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한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매가진 랙(1)의 진입시 돌출되어 있는 렌치블록(710)의 상부블록(713)이 체결볼트(7)와 부딪침에 따라 상부블록(713)이 유동될 때 이를 유동감지센서(717)가 감지한다.
다음, 상기 유동감지센서(717)에 의해 상부블록(713)이 유동됨이 감지되면 실린더(711)에 의해 상기 렌치블록(710)을 체결볼트(7)와 이격되게 수직 이동시킨다.
다음, 상기 수직 이동된 렌치블록(710)을 체결볼트(7)의 공구홈(7a) 중심에 위치하도록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상기 렌치블록(710)을 수직이동시켜서 렌치공구(710)가 체결볼트(7)의 공구홈(7a)에 정확하게 인입되게 한 후, 상기 렌치블록(710)을 회전모터(716d) 및 기어(716b,716c)에 의해 회전시켜서 체결볼트(7)를 풀게 된다.
7 단계는 가변랙 판을 원하는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이다(도 14, 15참조).
즉, 7 단계는 가변랙 판(5)을 변위유닛(720)에 의해 파지한 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부연하면, 실린더(723)가 전진 동작하면 이에 연결된 핑거(722)가 상향으로 회전되어 가변랙 판(5)의 전후 단부를 파지하게 된다. 이로 부터, 모터(725)가 회전구동하여 스크류 샤프트(726)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송대(724)가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이송대(724) 상에 설치된 핑거(722)를 좌우로 이송시켜줌으로써 가변랙 판(5)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정랙 판(4)과 가변랙 판(5)의 간격은 이에 수납되는 회로기판(P)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8 단계는 가변랙 판의 체결볼트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즉, 8 단계는 풀어져 있는 체결볼트(7)를 렌치블록(710)에 의해 조임함으로써 가변랙 판(5)이 이송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볼트(7)가 체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렌치블록(710)을 계속 적으로 회전구동시키게 되면, 회전모터(716d) 및 기어(716b,716c), 체결볼트(7)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체결볼트(7)의 체결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회전모터(716d)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회전판(718)과 모터제어센서(719)에 의해 회전모터(716d)의 정지시점을 제어하게 된다.
즉, 회전판(718)은 상기 회전모터(716d)의 축에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모터(716d)의 회전구동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이때, 회전판(718)에는 블랭크부(blank part:718a)와 언블랭크부(718b)가 교대로 반복되게 구성되어 있고, 이 블랭크부(718a)와 언블랭크부(718b)는 모터제어센서(719)에 의해 감지되고 있다.
체결볼트(7)가 완전히 체결되기 전까지는 회전모터(716d) 및 이에 결합된 회전판(718)이 원활하게 회전되므로 모터제어센서(719)는 회전판(718)의 블랭크부(718a)와 언블랭크부(718b)가 주기적으로 감지될 것이다. 이렇게 블랭크부(718a)와 언블랭크부(718b)가 주기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아직까지 체결볼트(7)가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모터제어센서(719)는 회전모터(716d)를 계속적으로 구동제어한다.
한편, 체결볼트(7)의 체결이 완료되면 회전모터(716d) 및 회전판(718)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모터제어센서(719)에서는 블랭크부(718a) 또는 언블랭크부(718b)중 어느 하나만 감지된다. 이 경우에는 체결볼트(7)의 체결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모터제어센서(719)는 회전모터(716d)의 전원을 오프시켜서 체결볼 트(7)의 체결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9 단계는 매가진 랙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이다.
즉, 9 단계는 제2 스톱핑 유닛(300), 제1 푸쉬유닛(400), 제2 푸쉬유닛(500), 클램퍼(600)를 클램핑 하기 이전의 위치로 복위시켜서 매가진 랙(1)의 클램핑 상태가 모두 해제되게 하는 단계이다.
10 단계는 간격조정이 완료된 매가진 랙을 위치조정수단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즉, 10 단계는 중간 캐터필러(120)와 회수 캐터필러(130)를 구동시켜서 간격조정이 완료된 매가진 랙(1)을 위치조정수단(700)으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위치조정수단(700)으로 작업이 완료된 매가진 랙이 배출되면 차기 매가진 랙이 위치조정수단(700)으로 진입되어 상기한 작업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매가진 랙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2 스톱핑 유닛으로서, 작동 전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2 스톱핑 유닛으로서, 작동 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1 푸쉬유닛으로서, 작동 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1 푸쉬유닛으로서, 작동 후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2 푸쉬유닛으로서, 작동 전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제2 푸쉬유닛으로서, 작동 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클램퍼로서, 작동 전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클램퍼로서, 작동 후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렌치블록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렌치블록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렌치블록의 다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변위유닛의 작동 전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정장치의 변위유닛의 작동 후 상태도 및 변위유닛의 이송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가진 랙 5 : 가변랙 판
7 : 체결볼트 100 : 캐터필러
200 : 제1 스톱핑 유닛
210 : 제1 감지센서 220 : 제1 스톱퍼
300 : 제2 스톱핑 유닛
310 : 제2 감지센서 320 : 실린더
330 : 제2 스톱퍼
400 : 제1 푸쉬유닛
410 : 실린더 420 : 링크
430 : 푸셔 440 : 롤러
500 : 제1 푸쉬유닛
510 : 실린더 520 : 푸셔
600 : 클램퍼
610 : 실린더 620 : 가압블록
700 : 위치조정수단
710 : 렌치블록
711 : 실린더 712 : 하부블록
713 : 상부블록 714 : 렌치공구
715 : 탄성부재 716 : 회동구동유닛
720 : 변위유닛
721 : 지지블록 722 : 핑거
723 : 실린더 724 : 이송대
725 : 모터 726 : 스크류 샤프트

Claims (22)

  1. 매가진 랙을 자동으로 이송하여 주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으로 부터 이송되어온 매가진 랙의 가변랙 판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볼트를 풀거나 조여주는 렌치블록과, 상기 렌치블록에 의해 체결볼트가 풀어진 상태의 가변랙 판을 원하는 위치로 변위시켜주는 변위유닛을 포함하는 위치조정수단; 및
    상기 체결볼트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렌치블록의 이동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터필러인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 내에 매가진 랙이 내재할 때, 차기 매가진 랙을 이송수단의 대기구간에 대기시키기 위하여 상기 위치조정수단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스톱핑 유닛을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톱핑 유닛은, 상기 대기구간에 차기 매가진 랙이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이송수단 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채, 상기 제1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감응하여 출몰 동작되면서 상기 차기 매가진 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스톱퍼로 구성된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 내의 작업구간으로 진입되는 매가진 랙을 설정된 작업위치에서 정지시켜주는 제2 스톱핑 유닛을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톱핑 유닛은, 상기 매가진 랙이 작업구간으로 진입했음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와; 상기 제2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감응하여 진퇴동작되면서 상기 매가진 랙의 선단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스톱퍼로 구성된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 내의 작업구간으로 진입된 매가진 랙의 후단을 상기 제2 스톱퍼 측으로 밀착되게 밀어주는 제1 푸쉬유닛을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쉬유닛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플런저에 연결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핀 결합된 채 실린더의 전진동작에 따라 직각으로 회동하여 상기 매가 진 랙의 후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셔로 이루어진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매가진 랙과의 접촉부위에 설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 내의 매가진 랙을 좌,우 양측중 어느 한 쪽으로 밀착되도록 밀어주는 제2 푸쉬유닛을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푸쉬유닛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진퇴되면서 상기 매가진 랙의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밀어주는 푸셔;로 이루어진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12.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 내의 매가진 랙의 상,하판 양측부를 클램핑하여 매가진 랙의 상하유동을 제한하는 클램퍼들을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출몰동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매가진 랙의 상,하판 양측부를 선택적으로 누름 가압하는 가압블록으로 이루어진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유닛은,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변랙 판의 전후단부를 파지하는 핑거와; 상기 핑거를 회전시켜주는 실린더와; 상기 지지블록, 핑거, 실린더를 좌우로 이송시켜주는 이송대로 구성된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블록은, 상기 이송대 상에 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에 사방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매가진 랙이 간격조정수단의 내부로 진입시 체결볼트와 부딪칠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체결볼트를 풀거나 조이기 위한 렌치공구를 포함하고 있는 상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 내에 설치된 채 상기 상부블록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상,하부블록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주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구동유닛으로 구성된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블록은, 상기 이송대 상에 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에 사방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핀 결합되어 체결볼트를 풀거나 조이기 위한 렌치공구를 포함하고 있는 상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 내에 설치된 채 상기 상부블록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상,하부블록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주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구동유닛으로 구성된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의 축 상에 설치되며, 방사상으로 블랭크부와 언블랭크부가 교대로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원활한 회전에 따라 블랭크부와 언블랭크부를 반복적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모터를 계속적으로 구동되게 제어하고, 회전판의 회전이 정지되어 블랭크부 또는 언블랭크부만이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모터의 전원이 오프되게 제어하는 모터제어센서를 더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19.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온 매가진 랙이 위치조정수단의 내부로 진입되는 단계;
    상기 위치조정수단의 내부로 진입된 매가진 랙을 제2 스톱핑 유닛에 의해 매가진 랙의 선단을 차단함으로써 설정된 작업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매가진 랙의 후단을 제1 푸쉬유닛에 의해 제2 스톱핑 유닛 측으로 밀착되게 밀어주는 단계;
    상기 매가진 랙을 제2 푸쉬유닛에 의해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밀착되게 밀어주는 단계;
    상기 매가진 랙의 상판과 하판을 클램퍼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
    상기 매가진 랙의 가변랙 판을 체결하고 있는 각 체결볼트를 렌치블록에 의해 푸는 단계;
    상기 가변랙 판을 변위유닛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
    상기 렌치블록에 의해 상기 체결볼트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톱핑유닛, 제1 푸쉬유닛, 제2 푸쉬유닛, 클램퍼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단계;
    상기 매가진 랙이 간격조정수단으로 부터 배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렌치블록에 의해 각 체결볼트를 푸는 단계는 상기 렌치블록의 상부블록이 체결볼트와 부딪침에 따라 상부블록이 유동될 때 이를 유동감지센서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동감지센서에 의해 상부블록이 유동됨이 감지되면 상기 렌치블록을 체결볼트와 이격되게 수직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수직 이동된 렌치블록을 체결볼트의 공구홈 중심에 위치하도록 수평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렌치블록을 수직이동시켜서 렌치공구가 체결볼트의 공구홈에 정확하게 인입되게 한 후, 회전모터에 의해 렌치블록을 회전시켜서 각 체결볼트를 푸는 단계;로 세분화 된 것을 더 포함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방법.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블록에 의해 가변랙 판의 각 체결볼트를 푸는 단계는,
    상기 각 체결볼트의 위치를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각 체결볼트의 위치가 확인되면 렌치블록을 각 체결볼트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렌치블록을 수직이동시켜서 렌치공구가 체결볼트의 공구홈에 정확하게 인입되게 한 후, 회전모터에 의해 렌치블록을 회전시켜서 각 체결볼트를 푸는 단계;로 세분화 된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블록에 의해 상기 체결볼트를 체결하는 단계는,
    회전모터와, 이의 축 상에 결합되며 방사상으로 블랭크부와 언블랭크부가 교대로 형성된 회전판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회전됨에 따라 블랭크부와 언블랭크부가 반복적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모터제어센서에 의해 회전모터를 계속적으로 구동되게 제어하고,
    체결볼트의 체결이 완료되어 회전모터와 회전판이 정지됨에 따라 블랭크부 또는 언블랭크부 만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모터제어센서에 의해 상기 회전모터의 전원이 오프되게 제어하는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방법.
KR1020090059442A 2009-06-30 2009-06-30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 KR10096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442A KR100962006B1 (ko) 2009-06-30 2009-06-30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442A KR100962006B1 (ko) 2009-06-30 2009-06-30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006B1 true KR100962006B1 (ko) 2010-06-08

Family

ID=4236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442A KR100962006B1 (ko) 2009-06-30 2009-06-30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00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379B1 (ko) * 2012-12-28 2014-01-03 주식회사 영산테크노 코팅장치
KR101501871B1 (ko) * 2014-02-07 2015-03-12 김준수 인쇄회로기판 자동 언로딩 장치
US9562816B2 (en) 2013-08-23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inspecting magazine including stopper
CN108942774A (zh) * 2018-07-16 2018-12-07 精技电子(南通)有限公司 一种料盒快速调节装置及对不同尺寸料盒的快速更换方法
CN111689054A (zh) * 2020-06-11 2020-09-22 长电科技(宿迁)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料盒
KR102281498B1 (ko) * 2020-12-21 2021-07-26 (주)상아프론테크 가변식 카세트
CN114597048A (zh) * 2022-03-16 2022-06-07 阜阳德润磁材科技有限公司 一种异性铁氧体磁性颗粒生产用保温隔热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1087U (ko) * 1977-08-26 1979-03-19
JPS56135935U (ko) * 1980-03-15 1981-10-15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1087U (ko) * 1977-08-26 1979-03-19
JPS56135935U (ko) * 1980-03-15 1981-10-15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379B1 (ko) * 2012-12-28 2014-01-03 주식회사 영산테크노 코팅장치
US9562816B2 (en) 2013-08-23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inspecting magazine including stopper
KR101501871B1 (ko) * 2014-02-07 2015-03-12 김준수 인쇄회로기판 자동 언로딩 장치
CN108942774A (zh) * 2018-07-16 2018-12-07 精技电子(南通)有限公司 一种料盒快速调节装置及对不同尺寸料盒的快速更换方法
CN111689054A (zh) * 2020-06-11 2020-09-22 长电科技(宿迁)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料盒
CN111689054B (zh) * 2020-06-11 2022-01-18 长电科技(宿迁)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料盒
KR102281498B1 (ko) * 2020-12-21 2021-07-26 (주)상아프론테크 가변식 카세트
CN114597048A (zh) * 2022-03-16 2022-06-07 阜阳德润磁材科技有限公司 一种异性铁氧体磁性颗粒生产用保温隔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006B1 (ko) 매가진 랙의 간격조정장치 및 간격조정방법
EP1882649B1 (en) Conveying operation method and conveying operation device
CN100560287C (zh) 搬送作业方法及其装置
CN202292091U (zh) 自动钻孔攻牙装置
CN102398150A (zh) 自动螺栓紧固装置
WO2015052753A1 (ja) チャック装置及び部品装着機
CA1233623A (en) Apparatus for the handling of metal sheets
CN210818296U (zh) 一种全自动缸体堵盖压装机
CN111060376B (zh) 样本篮传送系统及方法
CN113353621A (zh) 一种用于工程设备智能制造的抓取装置
CN210709420U (zh) 电芯自动流转机
JPS61136738A (ja) プリント基板チヤツク装置
KR101877836B1 (ko)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JP2007319972A (ja) 工作機械及びそれに用いる多軸ヘッド交換用治具、工作機械ユニット、並びに多軸ヘッドの交換方法
CN216542273U (zh) 一种腕臂预配系统
CN112518578B (zh) 一种机器人打磨自动导料浮动定位机构
JP2004115191A (ja) 搬送装置のワーク位置決め機構
CN219173366U (zh) 一种用于工业自动化检测的通用智能自动化平台
CN217971547U (zh) 供料装置
CN210655150U (zh) 一种可适应不同尺寸的上下料顶升机构
CN103117415B (zh) 用于锂离子电池夹具化成工艺的对接机构
CN220592189U (zh) 自动拧紧装置
CN212268929U (zh) 一种陶瓷印刷定位传输装置
US20220143767A1 (en) Tool Changing Method For Machine Tool and Tool Changing Apparatus Thereof
CN216360221U (zh) 由壬螺母的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