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855B1 -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 - Google Patents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855B1
KR100961855B1 KR1020080016572A KR20080016572A KR100961855B1 KR 100961855 B1 KR100961855 B1 KR 100961855B1 KR 1020080016572 A KR1020080016572 A KR 1020080016572A KR 20080016572 A KR20080016572 A KR 20080016572A KR 100961855 B1 KR100961855 B1 KR 100961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ion element
ultrasonic probe
probe
sens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369A (ko
Inventor
황원순
현용철
김성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슨
Priority to KR102008001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8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61B8/469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for sele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34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dynamic transducer configuration
    • G01S15/8938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dynamic transducer configuration using transducers mounted for mechanical movement in two dimensions
    • G01S15/894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dynamic transducer configuration using transducers mounted for mechanical movement in two dimensions by rotation about a single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는, 하우징, 다수의 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진 변환소자, 하우징에 내장되어 변환소자를 지지하는 홀더, 홀더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을 갖는 지지부재, 하우징에 고정되고 구동축을 가지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홀더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 사용자가 선택한 탐촉 영역에 따라 변환소자가 서로 다른 각 위치구간에서 회동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변환소자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초음파 프로브의 하우징을 이동하지 않고도 복수의 프로브 탐촉 영역을 얻을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 초음파 진단, 프로브, 강내, 3차원 영상, 회동

Description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ULTRASOUND PROBE HAVING A PLURALITY OF PROBING SECTIONS}
본 발명은 초음파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프로브는 다수의 초음파 진동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변환소자를 갖는다. 초음파 프로브는 피검사체에 초음파를 방사한 후, 그 반사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 초음파 프로브를 갖는 초음파 진단장치는, 특히 생명체내의 이물질의 검출, 상해(lesion)정도의 측정, 종양의 관찰 및 태아의 관찰 등과 같이 의학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근래에는 더욱 정확한 의학적 판단을 위해 초음파 진단시 변환소자를 회동시켜 3차원 영상을 얻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초음파 프로브의 일례가 미국 특허 제 5,090,414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강내 초음파 프로브의 수평 및 수직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강내 초음파 프로브(50)는 환자의 강내에 삽입하기 위한 긴 몸체(10)와 긴 몸체(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손잡이(30)로 구성된다.
긴 몸체(10)는 수지 파이프로 구성되고, 도면부호 5 로 기재한 길이방향 축 또는 중심축을 갖는다. 원통형 고정 부재(11)는 긴 몸체(10)에 내장되어 있다. 베어링(12, 13)은 각각 고정 부재(11)의 일단과 타단에 부착되어 있다. 중심축(5)을 따라 연장하는 회전축(14)은 베어링(12, 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변환소자(15)는 긴 몸체(10)의 타단에 배치되고, 링크 기구(20)에 의해서 회전축(14)의 타단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고정축(2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변환소자(15)에 고정된 샤프트(22)는 U-형 아암(23)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U-형 아암(23)의 중앙부는 회전축(14)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부재(24)가 회전축(14)에 의해 회전되면, 아암(23)은 변환소자(15)의 스윙을 실행한다. 이 스윙 운동과 동시에, 변환소자(15)는 체강내의 장기를 향하여 초음파를 방사하고 체강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한다. 그 결과, 체강내의 장기는 초음파로 섹터 스캔되고, 얻어진 초음파 영상이 모니터(미도시)에 표시된다.
모터(31)는 회전축(14)으로부터 오프셋 되어 손잡이(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모터(31)의 구동축(32)은 중심축(5)과 동일축상에 있지 않지만, 중심축(5)과는 평행하다. 마찬가지로, 손잡이(30)는 중심축(5)과 동일축상에 있지 않으나, 중심축(5)과는 평행하다.
구동풀리(33)는 모터(31)의 구동축(32)에 부착되어 있고, 종동풀리(34)는 회전축(14)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다. 타이밍 벨트(35)는 구동 및 종동풀리(33, 34) 에 감겨져 있다. 구동 및 종동풀리(33, 34) 및 타이밍 벨트(35)는 모터(31)의 토크를 전달하는 토크 전달 수단이다. 따라서, 모터(31)가 구동되면, 그 토크는 구동풀리(33), 타이밍 벨트(35), 및 종동풀리(34)를 통해서 회전축(14)에 전달된다. 그 결과, 변환소자(15)는 스윙된다.
회전축(14)의 일단에는 인코더(17; encoder)가 결합되어 있다. 인코더(17)는 스윙 각도(Φ)와 회전축(14)의 회전 각도의 관계에 기초하여 변환소자(15)의 스윙 각도를 검출한다. 변환소자(15)의 스윙 각도는 초음파가 방사되고 수신되는 방향을 결정하고, 초음파 영상은 스윙 각도(Φ)에 따라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초음파 프로브(50)의 변환소자(15)는 중심축(5)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Φ)만큼 스윙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범위의 한 부위만 탐촉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탐촉 영역을 변경하려면 사용자는 초음파 프로브(50)를 이동시키거나 그 방향을 전환하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환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특히, 자궁 등의 강내 초음파 프로브의 경우에는 탐촉 영역의 변경을 위해 프로브를 이동하거나 방향을 바꾸는 것이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또한, 초음파 프로브(50)의 방향 전환시에 불연속적인 3차원 영상획득으로 인하여 조영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환소자를 2가지 이상의 위치에서 회동시킴으로써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탐촉 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진 변환소자, 및 사용자가 선택한 탐촉 영역에 따라 변환소자가 서로 다른 각 위치 구간에서 회동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는 변환소자가 소정의 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탐촉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각 위치구간으로 상기 변환소자가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변환소자가 상기 각 위치구간의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변환소자가 회동을 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한다.
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동축상에 결합된 종동풀리, 및 양단부가 상기 변환소자의 양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종동풀리에 걸려 있는 벨트를 포함한다.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베벨기어이다.
종동풀리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벨트는 타이밍 벨트이다.
감지수단은 변환소자를 지지하는 홀더에 설치된 2개 이상의 감지물체, 및 감지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감지물체는 영구자석이고 센서는 홀 센서이다.
본 발명의 초음파 프로브에 의하면, 초음파 프로브의 하우징을 이동하지 않고도 초음파 프로브의 복수의 탐촉 영역을 얻을 수 있으며, 환자에게 주는 불편을 최소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변환소자가 스텝모터 및 타이밍 벨트에 의해서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한 3차원 영상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고, 조영 간격이 일정하여 영상의 품질이 우수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회동" 혹은 "회동운동"은 변환소자(transducer)가 일정한 각 범위(angular range)에 걸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번갈아 반복적으로 피봇 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준위치" 라고 하는 것은 변환소자의 이와 같은 회동운동 시작 전 초기 위치를 의미하며 통상 회동운동이 이루어지는 각 범위의 중앙에 해당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한 실시예에서 초음파 프로브(100)는 강내용 초음파 프로브(Intracavitary Ultrasonic Probe)로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고 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110)은 음향 커버(111), 제1 하우징(112), 및 제2 하우징(113)을 포함한다. 음향 커버(111)는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음향 유체(도시하지 않음)를 보전하고 변환소자(120; 도 3 참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변환소자(120)로부터 발생한 초음파를 원활히 투과시켜야 하며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유연한 성질을 가져야 한다. 제1 하우징(112)은 강내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위해서 긴 원통형이다. 제2 하우징(113)에는 구동 및 전달 수단이 내장되며, 손잡이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 하우징(112, 113)은 중량을 고려하여 성형성과 내식성, 표면 처리성이 우수한 재질이어야 한다. 음향 커버(111)에는 제1 하우징(112)의 타단이 결합되고, 제1 하우징(112)의 일단에는 제2 하우징(113)의 타단과 결합되어 있다. 하지만, 제1 및 제2 하우징(112, 113)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초음파 프로브(100)는, 하우징, 다수의 초음파 진 동자로 이루어진 변환소자(120), 하우징에 내장되어 변환소자(120)를 지지하는 홀더(130), 홀더(1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130a)을 갖는 지지부재(115), 하우징에 고정되고 구동축(151)을 가지는 구동모터(140), 구동모터(140)에 의한 구동력을 홀더(130)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수단(150), 사용자가 선택한 탐촉 영역에 따라 변환소자(120)가 서로 다른 각 위치구간에서 회동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 변환소자(120)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수단(160)을 포함한다.
지지부재(115)는 음향 커버(111)와 제1 하우징(112)의 결합 부위에 위치한다. 지지부재(115)는 홀더(13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동축(130a)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115)는 음향 커버(111)에 충진된 오일을 밀봉하는 기능을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30)에는 후술할 전달수단(150)의 하나로서 벨트(156)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벨트(156)는 제1 및 제2 가이드(116a, 116b)에 의해서 홀더(130)로 가이드 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116a, 116b)에 의해 가이드 된 벨트(156)는 홀더(130)의 외부에 감겨 있으며, 벨트(156)의 양단은 홀더(130)에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변환소자(120)는 홀더(130)에 장착되어서 홀더(130)와 함께 회동할 수 있다. 벨트(156)는 구동모터(1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해진 각 범위에 걸쳐 변환소자(120)를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다시 시계방향 순으로 반복적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감지수단(160)은 변환소자(120)를 지지하는 홀더(130)에 설치된 2개 이상의 감지물체(161a, 161b), 및 감지물체(161a, 161b)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감지물체(161a, 161b)는 홀더(130)에 설치되고, 센서(162)는 지지부재(115)에 설치된다. 제1 감지물체(161a)와 제2 감지물체(161b)는 회동축(130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감지물체(161a, 161b)가 이루는 각도는 90°가 바람직하다. 센서(162)는 제1 감지물체(161a)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1 가이드(116a)의 근방에 설치된다. 센서(162)의 종류는 제1 및 제2 감지물체(161a, 161b)의 종류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감지물체(161a, 161b)는 영구자석이고, 센서(162)는 홀 센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달수단(150)은 구동모터(140)의 구동축(151)에 결합된 구동기어(152), 구동기어(152)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154), 종동기어(154)와 동축상에 결합된 종동풀리(155), 및 양단부가 홀더(130)에 고정되고 종동풀리(155)에 걸려 있는 벨트(156)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40)는 홀더(130)를 회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토크와 속도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하며, 빠른 응답성과 정밀한 각도 제어가 용이한 스텝모터가 바람직하다. 구동모터(140)는 제2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모터(140)의 구동축(151)에는 구동기어(152)가 결합되어 있다. 종동기어(154)는 구동기어(152)와 맞물리며, 구동축(151)과 수직을 이루는 종동축(153)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종동축(153)은 제2 하우징(1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단에는 종동풀리(155)가 결합되어 있다. 종동풀리(155)에는 벨트(156)가 걸려 있다. 구동기어(152) 및 종동기어(154)는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 하게는 벨트(156)는 타이밍 벨트이고, 종동풀리(155)에는 타이밍 벨트에 맞물릴 수 있도록 톱니(teeth)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이 홀더(130)에 정밀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초음파 프로브의 구동모터의 제어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100)는, 사용자로부터 탐촉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70), 입력부(170) 및 감지수단(16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4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입력부(170)는 제1 모드 버튼(171), 제2 모드 버튼(172), 및 작동 버튼(173)을 포함한다. 입력부(170)는 초음파 진단장치의 컨트롤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버튼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영상표시부(도시되지 않음)에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원(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부(170) 및 감지수단(160)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40)를 정해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모드 버튼(171)을 통해 제1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변환소자(120)가 제1 회동 범위(θ1)의 중앙의 위치에 해당되는 제1 기준위치(135a)로 이동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한다. 이 때 제1 감지물체(161a)가 센서(162)에 감지된다. 그 후 변환소자(120)가 제1 기준위치(135a)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의 각 위치로 일정한 범위에 걸쳐 회동(피봇)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변환소자(120)는 피검자의 제1 영역을 검사하게 된다.
제2 모드 버튼(172)을 통해 제2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소자(120)가 제2 회동 범위(θ2)의 중앙의 위치에 해당되는 제2 기준위치(135b)로 이동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한다. 이 때 제2 감지물체(161b)가 센서(162)에 감지된다. 그 후 변환소자(120)가 제2 기준위치(135b)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의 각 위치로 일정한 범위에 걸쳐 회동(피봇)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변환소자(120)는 피검자의 제2 영역을 검사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작동을 도 5,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변환소자(120)의 회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구동모터(140)가 도 5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기어(154) 및 종동풀리(155)는 a방향으로 회전하고, 종동풀리(155)의 회전에 의해 벨트(156)는 a방향으로 이동하여, 변환소자(120)는 도 7a에 a로 표시된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게 된다(이하, a방향 회동이라고 함). 상기 a방향 회동과 반대로, 구동모터(140)가 도 5에서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기어(154) 및 종동풀리(155)는 b방향으로 회전하고, 종동풀리(155)의 회전에 의해 벨트(156)는 b방향으로 이동하여, 변환소자(120)는 b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게 된다(이하, b방향 회동이라고 함).
도 7a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 버튼(173)을 가압하면, 제어부(180)는 구동모터(140)를 상기의 a방향 회동-b방향 회동-a방향 회동의 순서대로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변환소자(120)의 회동에 의해 피검자의 특정 영역을 검 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탐촉 영역을 변경하기 위해 제2 모드 버튼(172)을 가압하면, 제어부(180)는 구동모터(140)를 도 5에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환소자(120)가 도 7a에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변환소자(120)가 a방향으로 회동시, 제어부(180)는 제2 감지물체(161b)가 센서(162)에 감지되면 구동모터(140)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변환소자(120)는 도 7b의 상태가 된다.
도 7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 버튼(173)을 가압하면, 제어부(180)는 도 7a의 상태에서 작동 버튼(173)을 가압한 경우와 동일하게 변환소자(120)가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로브 자체를 이동시키거나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피검자의 또 다른 영역을 탐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모드 버튼(171)을 가압하면, 제어부(180)는 구동모터(140)를 도 5에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환소자(120)가 도 7a에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변환소자(120)가 b방향으로 회동시, 제어부(180)는 제1 감지물체(161a)가 센서(162)에 감지되면 구동모터(140)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변환소자(120)는 도 7a의 상태가 된다.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변환소자의 기준위치를 90도 간격으로 배치하였으나 탐촉 작업의 효율을 위해 다른 각도로 구성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작동 버튼(173)의 가압 후에 변환소자(120)의 회동운동이 시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모드 버튼(171, 172)의 가압에 의해 변환소자(120)가 선택된 모드의 기준위치로 이동한 후 적절한 시간 후에 자동으로 회동운동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강내 초음파 프로브의 수평 및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의 제어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2의 초음파 프로브의 변환소자의 회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7a는 제1 모드를 도 7b는 제2 모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초음파 프로브 110 : 하우징
120 : 변환소자 130 : 홀더
140 : 구동모터 150 : 전달수단
160 : 감지수단 170 : 입력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

Claims (9)

  1. 삭제
  2.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탐촉 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초음파 프로브이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진 변환소자,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탐촉 영역에 따라 상기 변환소자가 서로 다른 각 위치 구간에서 회동하도록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변환소자가 소정의 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탐촉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각 위치구간으로 상기 변환소자가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키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변환소자가 상기 각 위치구간의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변환소자가 회동을 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초음파 프로브.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인 초음파 프로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동축상에 결합된 종동풀리, 및
    양단부가 상기 변환소자의 양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종동풀리에 걸려 있는 벨트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는 베벨기어인 초음파 프로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는 타이밍 벨트인 초음파 프로브.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변환소자를 지지하는 홀더에 설치된 2개 이상의 감지물체, 및
    상기 감지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물체는 영구자석이고 상기 센서는 홀 센서인 초음파 프로브.
KR1020080016572A 2008-02-25 2008-02-25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 KR100961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572A KR100961855B1 (ko) 2008-02-25 2008-02-25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572A KR100961855B1 (ko) 2008-02-25 2008-02-25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369A KR20090091369A (ko) 2009-08-28
KR100961855B1 true KR100961855B1 (ko) 2010-06-09

Family

ID=4120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572A KR100961855B1 (ko) 2008-02-25 2008-02-25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674A (ko)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엘에이치바이오메드 심박 검출용 초음파 프로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920B1 (ko) * 2014-10-08 2014-12-09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가공배전선로의 불량점검을 위한 초음파 검출장치
CN109394272B (zh) * 2018-12-24 2021-07-20 彭希南 一种心脏彩超数字指针式探头
CN109717902B (zh) * 2019-01-23 2024-02-23 广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摆动式腹腔超声探头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354B1 (en) * 2003-05-30 2003-07-31 Prosonic Co Ltd Sector probe for image diagnosis
JP2004129797A (ja) 2002-10-09 2004-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超音波診断装置
US20070062290A1 (en) 2005-08-30 2007-03-22 Ultrasonic Technologies Ltd. Motor driven mechanism for mechanically scanned ultrasound transduc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797A (ja) 2002-10-09 2004-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超音波診断装置
KR100393354B1 (en) * 2003-05-30 2003-07-31 Prosonic Co Ltd Sector probe for image diagnosis
US20070062290A1 (en) 2005-08-30 2007-03-22 Ultrasonic Technologies Ltd. Motor driven mechanism for mechanically scanned ultrasound transduc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674A (ko)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엘에이치바이오메드 심박 검출용 초음파 프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369A (ko) 200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4889B2 (ja) 3次元プローブ
JP4209124B2 (ja) 走査ヘッド内に撮像素子位置検出器を備えた食道越し超音波プローブ
KR100961855B1 (ko) 복수의 탐촉 영역을 갖는 초음파 프로브
KR20080060586A (ko) 초음파 진단장치의 프로브의 초음파 진동자 회동장치
JP2007050107A (ja) 超音波診断装置
KR101133465B1 (ko) 초음파진단장치
JP7410955B2 (ja) 超音波撮像プローブを使用して素材をスキャニングする方法
JP6609754B2 (ja) 超音波プローブ、及びそれを用いた超音波画像表示装置
JP4523700B2 (ja) 超音波探触子及び超音波診断装置
JP3852183B2 (ja) 超音波プローブ
JPS6137943B2 (ko)
JPH06269450A (ja) 超音波プローブおよびこのプローブを備えた超音波診断装置
JPH0722581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08278932A (ja) 超音波プローブ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KR101133464B1 (ko) 초음파진단장치
JP3234032B2 (ja) 超音波プローブ
JP3379297B2 (ja) 超音波検査装置
JPH0632091Y2 (ja) 超音波内視鏡
JP2010148705A (ja) 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観測システム
KR101313560B1 (ko) 초음파진단장치
JPH0529691Y2 (ko)
JP3031217B2 (ja) 超音波探触子
JPH06261904A (ja) 超音波プローブ
JPH06261903A (ja) 超音波プローブ
JP2001170053A (ja) 超音波プローブとその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