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365B1 - 자전거용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365B1
KR100961365B1 KR1020090098007A KR20090098007A KR100961365B1 KR 100961365 B1 KR100961365 B1 KR 100961365B1 KR 1020090098007 A KR1020090098007 A KR 1020090098007A KR 20090098007 A KR20090098007 A KR 20090098007A KR 100961365 B1 KR100961365 B1 KR 100961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addle
bicycle
fix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준
Original Assignee
전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준 filed Critical 전성준
Priority to KR102009009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365B1/ko
Priority to PCT/KR2010/006883 priority patent/WO201104632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4Saddles capable of swinging about a horizontal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안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타기 위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되, 전단 중앙부에 요홈이 형성된 안장부, 상기 안장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측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안장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자전거 수직축 상단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안장부가 구비되어 피로도를 감소시킴에 따라 장시간 탑승이 가능하고, 특히, 요홈에 의해 음경부의 압박방지는 물론, 통풍이 잘되어 불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자전거, 안장, 요홈, 충격완화

Description

자전거용 안장{Bicycle saddle}
본 발명은 안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둔부 압박을 최소화시켜 탑승을 장시간 할 수 있으며, 특히, 요홈을 형성하여 음경부의 압박을 방지함은 물론,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불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전거용 안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이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바퀴를 돌리면서 앞으로 이동되도록 만든 것을 뜻하며, 넓은 뜻으로는 삼륜이나 사륜으로 만들어진 것과 수상 혹은 빙상자전거 등 지상 외의 곳을 주행하는 것도 총칭하여 일컬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인력을 이용한 대표적인 교통수단의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운동기구로서의 건강증진효과와 함께 레크리에이션 수단으로서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한편, 환경친화적인 특성에 의해 수요가 점차 확산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자전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자전거의 안장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1)는 바퀴부(2)와 프레임부(3), 페달부(4), 체인부(5), 안장부(6) 및 핸들부(7)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부(3)의 수직축(20)의 상단부에 안장부(6)가 결합되어 있다.
안장부(6)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탄성을 갖고,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뒷부분(6a)은 탑승자의 둔부를 받쳐주도록 넓게 형성되고, 앞부분(6b)은 협소하게 형성되어 탑승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이러한 형상의 안장부(6)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함에 있어 둔부 하측으로 집중됨에 따라 둔부가 저려 장시간 탑승할 수 없게 되고, 특히, 앞부분(6b)이 협소하게 형성되어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음경부를 압박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음경부를 압박하여 피의 흐름을 장시간 방해하게 되면, 발기부전이나 전립선 가압에 의한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고, 둔부에서 땀이 발생하여 불쾌감 및 피부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탑승자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피로도를 저하시키도록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하향 절곡된 안장부를 구비하여 장시간 탑승가능하게 한다.
특히, 안장부의 전단부 중앙에 요홈을 형성하여 음경부의 압박을 방지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하여 건강은 물론,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 기능을 갖는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충격에 의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결합부에 의해 프레임부의 설치 위치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탑승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전거용 안장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를 타기 위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되, 전단 중앙부에 요홈이 형성된 안장부, 상기 안장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측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안장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자전거 수직축 상단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장부는, 상기 요홈의 중앙부를 지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비되되, 양측으로 갈수록 하향 절곡되어 탑승자의 둔부 하측을 지지하는 둔부받침부, 및 상기 둔부받침부의 후단부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둔부받침부는, 탑승자의 둔부가 안착되도록 일부분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양측에 허벅지위치부와 엉치뼈위치부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허벅지위치부는 요홈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엉치뼈위치부는 상기 허벅지위치부의 형성각도를 기준으로 요홈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둔부받침부 후단부에는 탑승자의 둔부 후측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보조받침부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안장부의 요홈을 기준으로, 양 하측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안장부 사이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장부의 전단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후단부와 상기 안장부의 후단부 하측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자전거 수직축 상단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편, 상기 고정편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위치되되, 경우에 따라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회전편, 상기 제1회전편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설치되는 가이드공을 형성시키는 제2회전편, 및 상기 고정편과 제1회전편 및 제2회전편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을 상기 고정편에서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상기 프레임부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프레임부를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편과 제1회전편 및 제2회전편을 고정시켜 상기 프레임부를 자전거 수직축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과 제1회전편의 맞닿는 면에는 각도고정부가 각각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자전거 수직축 상단에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단 중앙부가 힌지에 의해 전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고, 양 측면에 상기 프레임부가 위치되도록 제1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회전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전후단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프레임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 수직축은 두 개로 구성되고, 이 두 개의 수직축 사이에 공압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의 전단부에는 쿠션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안장에 의하면,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안장부가 구비되어 피로도를 감소시킴에 따라 장시간 탑승이 가능하고, 특히, 요홈에 의해 음경부의 압박방지는 물론, 통풍이 잘되어 불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안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프레임부에 완충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다른 실시 예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다른 실시 예의 프레임부에 의한 완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는 도 9의 결합부에 의한 자전거용 안장의 위치 조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결합부에 의한 자전거용 안장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에서 결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는 도 12의 결합부에 의한 자전거용 안장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은 도 12의 결합부에 의한 자전거용 안장의 위치 조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에 쿠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용 안장(10)은 안장부(100)와 프레임부(200) 및 결합부(300)로 구성되며, 안장부(100)는 자전거를 타기 위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안장부(100)는 둔부만을 지지하도록 전단부가 탑승자의 음경부 하측에 위치되고, 이 전단 중앙부에 요홈(120)이 형성되어 탑승자의 음경부가 위치되거나 통풍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부(200)는 안장부(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측을 지지하게 되고, 결합부(300)는 안장부(100)의 설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도록 프레임부(200)의 설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자전거 수직축 상단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자전거용 안장(10)은 둔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피로감을 감소시킴에 따라 장시간 탑승을 가능하게 하고, 음경부의 압박을 방지하며, 둔부를 통풍시켜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안장부(100)를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둔부받침 부(110)와 요홈(120), 돌출부(130) 및 보조받침부(140)로 구성된다.
둔부받침부(110)는 요홈(120)의 중앙부를 지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비되되, 양측으로 갈수록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탑승자의 둔부 하측을 지지하되, 하중을 분산시키고, 대퇴부의 운동을 자유롭게 하여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둔부받침부(110)는 탑승자의 둔부가 안착되도록 일부분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부(111)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허벅지위치부(112)와 엉치뼈위치부(114)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 허벅지위치부(112)는 요홈(120)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엉치뼈위치부(114)는 허벅지위치부(112)의 형성각도를 기준으로 요홈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자전거의 페달을 회전시킬 경우, 허벅지의 회전각도를 확보하기 위해 허벅지위치부(112)를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였으며, 회전축이 되는 엉치뼈가 안장부(100)에 눌려 피로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엉치뼈위치부(114)를 허벅지위치부(112)보다 그 경사도를 작게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돌출부(130)는 둔부받침부(110)의 후단부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다.
이는, 양 둔부 사이에 돌출부(130)를 위치시키기 위함으로, 탑승자의 중심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앞서, 종래 안장부의 앞부분이 협소하게 형성된 이유는 탑승자의 중심 을 유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이 협소한 부분이 없는 본 발명의 안장부(100)는 돌출부(130)에 의해 탑승자의 중심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둔부받침부(110) 후단부에는 탑승자의 둔부 후측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보조받침부(140)가 더 형성되는 것으로, 둔부가 안장부(100)의 후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함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 5 내지 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0)는 안장부(100)의 요홈(120)을 기준으로, 양 하측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으로 구성되며,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결합부(300)에 각각 결합된다.
이는, 안장부(100)의 둔부받침부(110) 양측 중 강해지는 하중이 다르게 적용됨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으로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각각 분리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과 안장부(100) 사이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23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완충부(230)는 탄성을 갖는 쿠션재나 스프링 등으로 사용되며, 둔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던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0')의 다른 실시 예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및 완충부(230')로 구성된다.
제1프레임(210')은 결합부(3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단부는 안장부(100)의 전단 하측에 위치되고, 후단부는 안장부(100)의 후단 하측에 위치된다.
이 제1프레임(210')은 안장부(100)의 요홈(120)을 기준으로, 양 하측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되, 각 전단부는 연결되어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프레임(220')은 그 일단이 제1프레임(21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안장부(100)의 전단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완충부(230')는 제1프레임(210')의 후단부와 안장부(100)의 후단부 하측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완충부(230')는 탄성을 갖는 쿠션재나 스프링 등으로 사용되며, 둔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던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또한 완충부(230')는 한 쌍으로 구성된 제1프레임(210')의 각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한 쌍의 제1프레임(210')을 하나의 완충부(230')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00)는 고정편(310)과 제1회전편(320), 제2회전편(330) 및 고정부재(340)로 구성된다.
고정편(310)은 자전거 수직축(20) 상단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제1회전편(320)은 고정편(31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위치되되, 경 우에 따라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제2회전편(330)은 제1회전편(32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회전편(320)과의 사이에 프레임부(200)가 설치되는 가이드공(350)을 형성시키게 되고, 고정부재(340)는 고정편(310)과 제1회전편(320) 및 제2회전편(33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안장부(100)와 프레임부(200)를 원하는 위치와 각도로 자전거 수직축(20)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고정편(310)과 제1회전편(320)의 맞닿는 면에는 각도고정부(360)가 각각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각도고정부(360)는 다수의 홈이나 돌기로 형성되어 고정부재(340)에 의해 고정편(310)에 결합된 제1회전편(3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결합부(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가이드공(350)을 따라 프레임부(200)를 이동시키고, 프레임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1회전편(320)과 제2회전편(330)을 고정편(310)에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된다.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와 각도로 프레임부(200)를 위치시킴은 안장부(100)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기에 프레임부(200)의 조절로 설명한 것이며, 위치와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부재(340)를 이용하여 고정편(310)과 제1회전편(320) 및 제2회전편(330)을 고정시켜 프레임부(200)의 위치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00')의 다른 실시 예는, 베이스프레임(310')과 회전프레임(320'), 각도조절부(330') 및 고정편(340')으로 구성되며, 베이스프레임(310')는 자전거 수직축(20) 상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프레임(320')은 베이스프레임(310')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단 중앙부가 힌지에 의해 전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양 측면에 프레임부(200)가 위치되도록 제1가이드홈(322')이 각각 형성된다.
각도조절부(330')는 베이스프레임(310')과 회전프레임(320')의 전후단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회전프레임(320')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 프레임부(200)와 안장부(1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각도조절부(330')는 베이스프레임(310')과 회전프레임(32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조절볼트(332')와 베이스프레임(310')과 회전프레임(320') 외측으로 돌출된 조절볼트(332')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조절너트(334')로 구성된다.
물론, 이 각도조절부(330')는 베이스프레임(310')과 회전프레임(320')의 전후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각 각도조절부(330')의 조절너트(334')를 조절볼트(332')의 일정위치에 위치시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310')과 회전프레임(3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편(340')은 회전프레임(32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제1가이드홈(322')에 대응되는 제2가이드홈(342')이 형성되며, 고정부재(350')에 의해 회전프레임(320')에 고정됨에 따라 프레임부(200)를 고정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고정편(340')은 회전프레임(320')과 동일하게 회전되고, 안장부(100)에 구비된 프레임부(2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부재(350')로 고정시킴에 따라 프레임부(200)와 안장부(10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전거 수직축(20)은 두 개로 구성되고, 이 두 개의 수직축 사이에 공압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40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완충부(400)는 자전거에 충격이나 충격에 의한 상하방향 진동이 발생될 경우, 두 개의 수직축 중 결합부(300, 300')와 연결된 상측 수직축과의 충격 전달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0)의 전단부에는 쿠션부(500)가 더 구비되어 탑승자가 안장부(100)에서 내린 후, 서서 허리부위를 기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탑승자의 피로도를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전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자전거의 안장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안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프레임부에 완충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다른 실시 예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다른 실시 예의 프레임부에 의한 완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는 도 9의 결합부에 의한 자전거용 안장의 위치 조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결합부에 의한 자전거용 안장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에서 결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는 도 12의 결합부에 의한 자전거용 안장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은 도 12의 결합부에 의한 자전거용 안장의 위치 조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에 쿠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안장 20 : 수직축
100 : 안장부 110 : 둔부받침부
120 : 요홈 130 : 돌출부
140 : 보조받침부 200, 200' : 프레임부
210, 210' : 제1프레임 220, 220' : 제2프레임
230, 230' : 완충부 300 : 결합부
310 : 고정편 320 : 제1회전편
330 : 제2회전편 340 : 고정부재
350 : 가이드공 360 : 각도고정부

Claims (12)

  1. 자전거를 타기 위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되, 전단 중앙부에 요홈이 형성된 안장부;
    상기 안장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측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안장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자전거 수직축 상단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장부는,
    상기 요홈의 중앙부를 지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비되되, 양측으로 갈수록 하향 절곡되어 탑승자의 둔부 하측을 지지하는 둔부받침부; 및
    상기 둔부받침부의 후단부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되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둔부받침부 후단부에는 탑승자의 둔부 후측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보조받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받침부는,
    탑승자의 둔부가 안착되도록 일부분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양측에 허벅지위치부와 엉치뼈위치부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허벅지위치부는 요홈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엉치뼈위치부는 상기 허벅지위치부의 형성각도를 기준으로 요홈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안장부의 요홈을 기준으로, 양 하측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상기 안장부와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안장부 사이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장부의 전단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후단부와 상기 안장부의 후단부 하측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안장.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자전거 수직축 상단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편;
    상기 고정편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위치되되, 경우에 따라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회전편;
    상기 제1회전편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설치되는 가이드공을 형성시키는 제2회전편; 및
    상기 고정편과 제1회전편 및 제2회전편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을 상기 고정편에서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상기 프레임부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프레임부를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 편과 제1회전편 및 제2회전편을 고정시켜 상기 프레임부를 자전거 수직축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과 제1회전편의 맞닿는 면에는 각도고정부가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자전거 수직축 상단에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단 중앙부가 힌지에 의해 전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고, 양 측면에 상기 프레임부가 위치되도록 제1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회전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전후단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프레임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안장.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수직축은 두 개로 구성되고, 이 두 개의 수직축 사이에 공압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전단부에는 쿠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KR1020090098007A 2009-10-15 2009-10-15 자전거용 안장 KR100961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007A KR100961365B1 (ko) 2009-10-15 2009-10-15 자전거용 안장
PCT/KR2010/006883 WO2011046322A2 (ko) 2009-10-15 2010-10-08 자전거용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007A KR100961365B1 (ko) 2009-10-15 2009-10-15 자전거용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365B1 true KR100961365B1 (ko) 2010-06-07

Family

ID=4236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007A KR100961365B1 (ko) 2009-10-15 2009-10-15 자전거용 안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1365B1 (ko)
WO (1) WO201104632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661B1 (ko) * 2022-08-16 2023-06-13 김석곤 자전거 안장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796A (en) * 1992-04-14 1993-07-20 Kao Yu Chien Bicycle saddle tightening device
KR20000004248U (ko) * 1998-08-03 2000-03-06 조광천 자전거 안장
KR20060003771A (ko) * 2004-07-07 2006-01-11 이숭복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JP4084400B2 (ja) * 2006-06-02 2008-04-30 有限会社藤原ホイル 自転車のサドル昇降装置
KR20090025825A (ko) * 2007-09-07 2009-03-11 김정인 안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661B1 (ko) * 2022-08-16 2023-06-13 김석곤 자전거 안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6322A2 (ko) 2011-04-21
WO2011046322A3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0B2 (en) Saddle
US8668259B2 (en) Pivoting nose-less bicycle seat
EP1104380B1 (en) Cycle seat
US7044542B2 (en) Bicycle seat
US5074618A (en) Bicycle seat
US10384736B2 (en) Dual oscillating cycle saddle and support system
US9688329B2 (en) Ergonomic seat for a cycle
KR100961365B1 (ko) 자전거용 안장
KR20180108634A (ko) 자전거 안장
EP2403381B1 (en) Biomechanical seat construction
US6755464B2 (en) Bicycle seat
US3558187A (en) Bicycle seat
KR101628663B1 (ko) 자전거 하이브리드 안장
KR20090025825A (ko) 안장
KR20150054065A (ko) 코 없는 공기 주머니 쿠션 자전거 안장
US20040113470A1 (en) Prostate protecting bicycle seat
JP6000871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283421B1 (ko) 골반교정 및 예방을 겸비한 기능성 자전거 안장
KR101048990B1 (ko) 자전거 안장
KR102310308B1 (ko) 안장 조립체
KR20150139370A (ko) 자전거 안장
KR102491901B1 (ko)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KR102595587B1 (ko) 자전거용 보호대
KR20170069562A (ko) 자전거 안장
KR20130011717A (ko) 자전거 안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