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562A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562A
KR20170069562A KR1020150176919A KR20150176919A KR20170069562A KR 20170069562 A KR20170069562 A KR 20170069562A KR 1020150176919 A KR1020150176919 A KR 1020150176919A KR 20150176919 A KR20150176919 A KR 20150176919A KR 20170069562 A KR20170069562 A KR 20170069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seat
saddle seat
rear portion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영
이성규
이재하
이기만
Original Assignee
이기만
김창영
이재하
이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만, 김창영, 이재하, 이성규 filed Critical 이기만
Priority to KR102015017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562A/ko
Publication of KR2017006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5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multiple separate weight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안장본체; 상기 안장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둔부의 골반뼈 부위 양측을 각각 분할 지지하는 안장시트; 상기 안장본체에 설치된 안장시트의 후단부가 전방부를 향해 회전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는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시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안장시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체형 조건에 맞추어 안장시트의 각도를 다양하게 가변조절할 수 있으며, 장거리주행 또는 고속주행 시 탑승자의 골반뼈 및 항문에 대해 지속적으로 압박 및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편안한 승차감 및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수단은 단순한 구성 및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며 그 제작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bicycle saddle}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안장이 수평 회전하는 방향으로 가변조절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탑승자의 골반뼈에 가해지는 압력과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근거리 이동시 유용하게 사용되며, 최근에는 레포츠로도 활용되면서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탑승자는 자전거에 설치된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자전거를 주행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안장은 착석감을 높이고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스펀지 형태의 쿠션부재와 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전거 안장의 일반적인 구조는 의자보다 면적이 작고 양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쪽은 좁고 뒤쪽은 인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자전거 안장은 장거리 주행 또는 고속주행 시 탑승자의 신체 특정부위 즉, 골반뼈 및 항문에 대해 지속적인 압박과 충격이 가해지고 그에 따른 심한 통증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결국 탑승자는 둔부를 자전거 안장으로부터 이격시킨 불편한 자세로 페달링(pedaling)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탑승자의 둔부를 받치는 자전거 안장을 2개로 분할 구성하고, 상호 좁혀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절장치를 구성하여 탑승자의 골반뼈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2개의 안장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는 거리만큼 안장의 전체 폭 사이즈도 함께 증가하게 되므로 이는 탑승자의 페달링 작용에 방해가 되므로 정속주행 또는 고속주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또한, 2개의 안장에 대해 간격조절 하는 조절장치는 매우 복잡한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조립공정 역시 복잡하게 진행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45946호(2004.03.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안장이 수평 회전하는 방향으로 가변조절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여 탑승자의 골반뼈에 가해지는 압력과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안장본체; 상기 안장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둔부의 골반뼈 부위 양측을 각각 분할 지지하는 안장시트; 상기 안장본체에 설치된 안장시트의 후단부가 전방부를 향해 회전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는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시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안장시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장본체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경계에는 상기 안장시트의 회전 진행방향에 대해 경로를 안내하는 곡률반경의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부는 전방부와 높이 차이를 가지는 함몰된 구조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장시트는 상기 안장본체의 전방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장시트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최대 90°까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안장본체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안착부의 바닥면에 대해 회전 곡률반경을 가지는 가이드레일홈과, 상기 안장시트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안장시트의 후단부가 전방부를 향해 회전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회전축과, 상기 안장시트의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 조건에 맞추어 안장시트의 각도를 다양하게 가변조절할 수 있으며, 장거리주행 또는 고속주행 시 탑승자의 골반뼈 및 항문에 대해 지속적으로 압박 및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편안한 승차감 및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수단은 단순한 구성 및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며 그 제작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이 자전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다양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전방부(100a)로부터 후방부(100b)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안장본체(100)와, 상기 안장본체(100)의 후방부(100b)에 설치되며 둔부의 골반뼈 양측을 각각 분할 지지하는 안장시트(200)와, 상기 안장본체(100)에 설치된 안장시트(200)의 후단부가 전방부(100a)를 향해 회전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회전축(300)과, 상기 회전축(300)과 이격되는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시트(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안장시트(200)의 회전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하는 체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안장본체(100)는 자전거 프레임(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탑승자가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안장본체(100)는 전방부(100a)로부터 후방부(100b)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장본체(100)의 전방부(100a)는 후술할 안장시트(20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전방부(100a)는 넓이의 변화 없이 길이방향의 양측면이 안쪽으로 휘어지는 아치형 구조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상기 안장본체(100)의 전방부(100a)의 형상 또는 넓이가 변화하면 자전거 안장에 앉은 탑승자가 페달을 밟는 운동(페달링)시 탑승자의 안쪽 허벅지가 간섭되는 마찰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안장본체(100)의 전방부(100a)는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전방부(100a)의 중심에는 중공의 관통공(101)을 형성하여 탑승자의 낭심 또는 회음부에 대한 접촉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관통공(101)은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순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의 낭심 또는 회음부에 땀이 차지 않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안장본체(100)와 안장시트(200)는 탑승자의 둔부를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쿠션부재를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장본체(100)의 전방부(100a)와 후방부(100b)의 경계에는 상기 안장시트(200)의 회전 진행방향에 대해 경로를 안내하는 곡률반경의 단차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부(100b)는 전방부와 높이 차이를 가지는 함몰된 구조의 안착ㅂ부(1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안장본체(100)의 전방부(100a)와 후방부(100b)는 상기 단차면(110)을 기준으로 현저한 높낮이 차이로 구획된다.
한편, 상기 안장시트(200)는 상기 안장본체(100)의 후방부(100b)에 설치되는 것으로, 탑승자의 둔부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역할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안장시트(200)는 둔부의 골반뼈 부위의 양측을 각각 분할 지지하는 2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장시트(200)는 상기 후방부(100b)의 안착부(120) 일측과 타측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테두리 둘레면은 곡률반경으로 라운드 처리된 대략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장시트(200)는 상기 안장본체(100)의 전방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탑승자의 골반뼈가 접촉하는 부위에 대해 한층 편안하고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안착부(120)와 안장시트(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장시트(200)의 후단부가 전방부(100a)를 향해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다.
즉, 상기 안착부(120)에 설치되는 안장시트(200)가 상기 회전축(300)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축(300)의 구성으로부터 상기 안장시트(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유는 탑승자가 자전거를 장시간 운행 또는 고속으로 운행할 경우 탑승자의 골반뼈 및 항문에 지속적인 압박과 충격이 가해져 심한 통증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이러한 통증을 해소하기 위한 골반뼈 및 항문에 닿는 위치를 다른 방향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압박과 충격을 고루 분산시키거나, 전혀 닿지 않도록 하여 통증발생 부위에 대한 통증 완화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장시트(200)는 상기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최대 90°까지 회전이 가능하다(도 5참조).
상기 안장시트(200)를 90°회전시킨 상태로 자전거를 운행할 경우, 탑승자의 둔부에 형성되는 골반뼈와 항문 부위가 상기 안장시트에 전혀 닿지 않고 허벅지 경계 부위가 안장시트(200)에 지지되는 상태로 탑승자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400)은 상기 회전축(300)과 이격되는 안착부(120)의 후측방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장시트(200)를 안착부(1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안장시트(200)의 회전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수단(400)은 상기 안장본체(100)의 후방부(100b)에 형성되는 안착부(120)의 바닥면에 대해 회전 곡률반경을 가지는 가이드레일홈(410)과, 상기 안장시트(20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홈(4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420)와, 상기 가이드돌기(420)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너트(4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안장시트(2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돌기(420)가 상기 안착부(1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홈(410)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너트(430)가 상기 가이드돌기(4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장시트(200)를 안장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장시트(200)의 후단부가 전방부(100a)를 향해 회전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회전축(300)과, 상기 안장시트(200)의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는 체결수단(400)을 구성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 조건에 맞추어 안장시트(200)의 각도를 다양하게 가변조절할 수 있으며, 장거리주행 또는 고속주행 시 탑승자의 골반뼈 및 항문에 대해 지속적으로 압박 및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편안한 승차감 및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수단(400)은 단순한 구성 및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며 그 제작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안장본체
110 : 단차면
120 : 안착부
200 : 안장시트
300 : 회전축
400 : 체결수단
410 : 가이드레일홈
420 : 가이드돌기
430 : 고정너트

Claims (5)

  1.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안장본체;
    상기 안장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둔부의 골반뼈 부위 양측을 각각 분할 지지하는 안장시트;
    상기 안장본체에 설치된 안장시트의 후단부가 전방부를 향해 회전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는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안장시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안장시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본체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경계에는 상기 안장시트의 회전 진행방향에 대해 경로를 안내하는 곡률반경의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부는 전방부와 높이 차이를 가지는 함몰된 구조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시트는 상기 안장본체의 전방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시트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최대 90°까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안장본체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안착부의 바닥면에 대해 회전 곡률반경을 가지는 가이드레일홈과,
    상기 안장시트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KR1020150176919A 2015-12-11 2015-12-11 자전거 안장 KR20170069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19A KR20170069562A (ko) 2015-12-11 2015-12-11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19A KR20170069562A (ko) 2015-12-11 2015-12-11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62A true KR20170069562A (ko) 2017-06-21

Family

ID=5928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919A KR20170069562A (ko) 2015-12-11 2015-12-11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95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421B1 (ko) * 2021-02-04 2021-07-29 이명석 골반교정 및 예방을 겸비한 기능성 자전거 안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421B1 (ko) * 2021-02-04 2021-07-29 이명석 골반교정 및 예방을 겸비한 기능성 자전거 안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5186B2 (en) Adjustable nose width bicyle seat assembly
US7478879B2 (en) Seat with dual independently adjustable supports
KR20190066673A (ko) 차량용 릴렉스 시트
WO2018073984A1 (ja) マッサージ機
US8840185B2 (en) Automobile seat with massaging device
CA3026413C (en)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US20110087139A1 (en) Body massagers
KR101988276B1 (ko) 자동차용 시트
JPH10151033A (ja) 椅 子
KR20170069562A (ko) 자전거 안장
KR101919235B1 (ko) 자전거 안장
KR101152803B1 (ko) 기능성 쿠션시트
KR101628663B1 (ko) 자전거 하이브리드 안장
KR102141304B1 (ko) 시트폭 조절형 자전거 안장
JP2009219702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20200133470A (ko) 자전거 안장 어셈블리
KR100961365B1 (ko) 자전거용 안장
KR101712824B1 (ko) 듀얼백 의자
KR101786429B1 (ko) 선박용 의자
JPH05112269A (ja) ペダル操作装置用のシート
KR200482595Y1 (ko) 시트백 틸팅 장치
KR102491901B1 (ko)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WO2019064856A1 (ja) マッサージ装置
JP2014151791A (ja) 乗物用シート
JP7001278B2 (ja) 揺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