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235B1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235B1
KR101919235B1 KR1020170062861A KR20170062861A KR101919235B1 KR 101919235 B1 KR101919235 B1 KR 101919235B1 KR 1020170062861 A KR1020170062861 A KR 1020170062861A KR 20170062861 A KR20170062861 A KR 20170062861A KR 101919235 B1 KR101919235 B1 KR 101919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ase plate
tension
cushion mem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만
Original Assignee
이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만 filed Critical 이기만
Priority to KR102017006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0Internal adjustment of sad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곡선 구조로 이루어지며 폭이 넓은 영역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굴곡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자전거 안장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베이스 고정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탑승자 엉덩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쿠션부재 사이에는 탑승자의 둔부를 넓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확장된 넓이를 제공함과 아울러 탑승자의 페달링 작용시 신체의 일부가 상기 쿠션부재에 닿는 접촉압력에 따라 상기 쿠션부재의 폭방향 양측면 일부영역이 좁아지도록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텐션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자전거 주행시 자전거 안장에 페달링 하는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하는 마찰 및 압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bicycle saddle}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주행시 자전거 안장과 페달링 하는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상호 접촉하는 마찰 및 압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운행조건에 맞추어 안장의 구조를 다양하게 가변 설정할 수 있는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근거리 이동시 유용하게 사용되며, 최근에는 레포츠로도 활용되면서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탑승자는 자전거에 설치된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자전거를 주행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안장은 착석감을 높이고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스펀지 형태의 쿠션부재와 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전거 안장의 일반적인 구조는 의자보다 면적이 작고 양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쪽은 좁고 뒤쪽은 인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자전거 안장은 장거리 주행 또는 고속주행 시 탑승자의 신체 특정부위 즉, 엉덩이와 허벅지 안쪽이 안장에 대하여 지속적인 마찰과 압박이 가해지게 되므로 그에 따른 심한 통증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결국 탑승자가 엉덩이를 자전거 안장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의 불편한 자세로 페달링(pedaling) 하여 피로감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탑승자의 둔부를 받치는 자전거 안장을 2개로 분할 구성하고, 자전거 안장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유동형 구조의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의 페달링 작용시 반복적으로 유동하는 작용에 의해 탑승자의 엉덩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지 못하여 균형감 저하에 따른 체력소모를 오히려 증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고속주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자전거 안장은 유동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 및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소비단가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미국등록특허공보 제4099769호에 적용되어 있는 자전거 안장의 경우에는 자전거 안장에 대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조절수단을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볼트조절수단은 단지 자전거 안장의 길이방향에 대한 신축작용을 통해 안장을 다양하게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뿐, 자전거의 페달링 과정에서 안장의 폭이 변화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었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1664호(2006.07.18)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18622호(2016.04.29) 3. 미국등록특허공보 제4099769호(1978.07.1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주행시 자전거 안장과 페달링 하는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상호 접촉하는 마찰 및 압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운행조건에 맞추어 안장의 구조를 다양하게 가변 설정할 수 있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곡선 구조로 이루어지며 폭이 넓은 영역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굴곡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자전거 안장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베이스 고정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탑승자 엉덩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쿠션부재 사이에는 탑승자의 둔부를 넓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확장된 넓이를 제공함과 아울러 탑승자의 페달링 작용시 신체의 일부가 상기 쿠션부재에 닿는 접촉압력에 따라 상기 쿠션부재의 폭방향 양측면 일부영역이 좁아지도록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텐션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의 일부 영역에는 신체 일부가 닿는 마찰 또는 압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독립된 개체의 슬롯으로 이루어진 탄성유동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유동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굴곡홈부에 대응하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유동부재의 각 슬롯은 상기 텐션플레이트 또는 쿠션부재의 테두리면에 대하여 직각하는 사선방향으로 배열되고, 이웃하는 슬롯 사이이에는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각 슬롯은 상기 굴곡홈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유동부재의 탄성변형에 대한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유닛은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텐션플레이트의 테두리 일측에 고정되고 양측에 형성되는 탄성유동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텐션플레이트의 타측 테두리 타단에 고정되는 탄성와이어와, 상기 탄성와이어의 길이방향 중심부와 연결되어 상기 탄성와이어를 신축가능하게 탄력을 조율하는 탄성조작수단과, 상기 탄성조작수단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와이어의 신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긴장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조작수단은 상기 탄성와이어가 관통하는 구조로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나사체결구가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나사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대이동시키는 나사부재와, 상기 나사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슬롯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탄성와이어를 수용함과 아울러 슬롯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의 보강용 수용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쿠션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쿠션부재의 폭방향 양측면 일부영역이 좁아지도록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텐션플레이트를 구성함으로써, 자전거 주행시 자전거 안장에 페달링 하는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하는 마찰 및 압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션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탄성유동부재는 각각의 독립된 개체의 슬롯으로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탄성유동부재의 탄성변형에 대한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유닛을 구성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조건 또는 주행능력에 따라 상기 탄성유동부재의 탄성율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안장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텐션플레이트의 구성 및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측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곡선 구조로 이루어지며 폭이 넓은 영역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굴곡홈부(110)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자전거 안장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베이스 고정구(2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탑승자 엉덩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쿠션부재(3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쿠션부재(3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쿠션부재(300)의 폭방향 양측면 일부영역이 좁아지도록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텐션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탑승자의 엉덩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넓이의 면적을 제공함과 동시에 안장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품이 설치되는 것으로,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유선형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전방측 폭 넓이를 좁게하여 페달링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후방측 폭을 넓혀 엉덩이를 편안한 지지하는 상태로 주행이 이루어질 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폭이 넓은 영역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굴곡홈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홈부(110)는 후술할 텐션플레이트(400)의 탄성유동부재(410)가 상하방향으로 탄성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상기 베이스 고정구(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자전거 안장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 고정구(200)는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되, 그 무게가 크게 증가하지 않도록 원형 파이프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상기 쿠션부재(3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또는 탄성플레이트(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탑승자 엉덩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쿠션부재(30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그 충격이 탑승자의 엉덩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300)에는 상기 탄성플레이트(400)에 적용된 탄성유동부재(410)의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주름부(310)가 형성된다(도 1참조).
아울러, 상기 쿠션부재(300)는 탑승자의 좌,우측 엉덩이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텐션플레이트(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탄성플레이트(4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쿠션부재(3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탑승자의 둔부를 넓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확장된 넓이를 제공함과 아울러 탑승자의 페달링 작용시 신체의 일부가 상기 쿠션부재(300)에 닿는 접촉압력에 따라 상기 쿠션부재(300)의 폭방향 양측면이 좁아질 수 있도록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탄성플레이트(400)는 자전거 주행시 자전거 안장에 페달링 하는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하는 마찰 및 압박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자전거 안장에 앉은 탑승자가 페달을 밟는 페달링 시 탑승자의 안쪽 허벅지 또는 엉덩이 뼈가 안장의 테두리 양측면에 간섭되는 마찰 및 압력이 발생하면 해당 안장의 테두리 영역이 압력전달 방향으로 접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에 전달되는 자극 및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플레이트(400)의 폭방향 양측의 일부 영역에는 신체 일부가 닿는 마찰 또는 압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독립된 개체의 슬롯(411)으로 이루어진 탄성유동부재(4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동부재(41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굴곡홈부(110)에 대응하는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유동부재(410)의 각 슬롯(411)은 상기 텐션플레이트(400) 또는 쿠션부재(300)의 테두리면에 대하여 직각하는 사선방향으로 배열되고, 이웃하는 슬롯(411) 사이이에는 소정의 공간부(412)를 형성하며, 각 슬롯(411)은 상기 굴곡홈부(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제작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유동부재(410)의 슬롯(411)은 상기 굴곡홈부(110)의 곡률반경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는 구조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이웃하는 슬롯(411) 사이의 공간부(412) 폭도 굴곡홈부(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구조로 다양한 간격으로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탄성플레이트(400)는 사출성형 또는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상호 일체형의 구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상기 탄성유동부재(410)의 탄성변형에 대한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유닛(500)이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텐션조절유닛(500)은 탑승자의 신체조건 또는 주행능력에 따라 상기 탄성유동부재(410)의 탄성율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조절유닛(500)은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텐션플레이트(400)의 테두리 일측에 고정되고 양측에 형성되는 탄성유동부재(410)를 가로질러 상기 텐션플레이트(400)의 타측 테두리 타단에 고정되는 탄성와이어(510)와, 상기 탄성와이어(510)의 길이방향 중심부와 연결되어 상기 탄성와이어(510)를 신축가능하게 탄력을 조율하는 탄성조작수단(520)과, 상기 탄성조작수단(520)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와이어(510)의 신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긴장롤러(5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테션조절장치(500)는 상기 탄성유동부재(410)를 지지하는 탄성와이어(510)가 상기 탄성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느슨해지거나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위치조절에 따른 상기 탄성유동부재(410)의 탄성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긴장롤러(530)는 상기 탄성와이어(510)가 급격히 느슨해지거나 팽창하지 않도록 신축작용이 항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조작수단(520)은 상기 탄성와이어(510)가 관통하는 구조로 연결되는 연결구(521a)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나사체결구(521b)가 형성된 이동부재(521)와, 상기 나사체결구(521b)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521)를 상대이동시키는 나사부재(522)와, 상기 나사부재(522)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부재(5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재(52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나사부재(522)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부재(522)에 연결된 나사체결구(521b)가 상대회전하여 상기 이동부재(521)를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자신의 신체조건 또는 주행능력에 따라 상기 탄성유동부재(41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높낮이의 탄성변형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각 슬롯(411)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탄성와이어(510)를 수용함과 아울러 슬롯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의 보강용 수용돌출부(412)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용 수용돌출부(412)는 상기 탄성와이어(510)가 탄성유동부재(410)의 영역 위치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굴곡홈부
200 : 베이스 고정구 300 : 쿠션부재
310 : 탄성주름부 400 : 탄성플레이트
410 : 탄성유동부재 411 : 슬롯
500 : 탄성조절유닛 510 : 탄성와이어
520 : 탄성조작수단 530 : 긴장롤러

Claims (7)

  1.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곡선 구조로 이루어지며 폭이 넓은 영역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굴곡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자전거 안장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베이스 고정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탑승자 엉덩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쿠션부재 사이에는 탑승자의 둔부를 넓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확장된 넓이를 제공함과 아울러 탑승자의 페달링 작용시 신체의 일부가 상기 쿠션부재에 닿는 접촉압력에 따라 상기 쿠션부재의 폭방향 양측면 일부영역이 좁아지도록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텐션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의 일부 영역에는 신체 일부가 닿는 마찰 또는 압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독립된 개체의 슬롯으로 이루어진 탄성유동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유동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굴곡홈부에 대응하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유동부재의 탄성변형에 대한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동부재의 각 슬롯은 상기 텐션플레이트 또는 쿠션부재의 테두리면에 대하여 직각하는 사선방향으로 배열되고, 이웃하는 슬롯 사이이에는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각 슬롯은 상기 굴곡홈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길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유닛은,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텐션플레이트의 테두리 일측에 고정되고 양측에 형성되는 탄성유동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텐션플레이트의 타측 테두리 타단에 고정되는 탄성와이어와,
    상기 탄성와이어의 길이방향 중심부와 연결되어 상기 탄성와이어를 신축가능하게 탄력을 조율하는 탄성조작수단과,
    상기 탄성조작수단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와이어의 신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긴장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작수단은,
    상기 탄성와이어가 관통하는 구조로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나사체결구가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나사체결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대이동시키는 나사부재와,
    상기 나사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롯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탄성와이어를 수용함과 아울러 슬롯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의 보강용 수용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KR1020170062861A 2017-05-22 2017-05-22 자전거 안장 KR101919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861A KR101919235B1 (ko) 2017-05-22 2017-05-22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861A KR101919235B1 (ko) 2017-05-22 2017-05-22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235B1 true KR101919235B1 (ko) 2018-11-15

Family

ID=6436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861A KR101919235B1 (ko) 2017-05-22 2017-05-22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2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3461A (zh) * 2019-03-08 2019-05-31 贵州大学 一种电动滑板车
DE102021127955B3 (de) 2021-10-27 2023-02-23 DQBD GmbH Sattel, Kissen für einen Satt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1099A (ja) * 2002-10-01 2006-01-12 セッレ ロイアル エッセピア サドル支持構造物
JP2014054979A (ja) * 2012-09-13 2014-03-27 Juda Mach Ind Co Ltd 自転車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1099A (ja) * 2002-10-01 2006-01-12 セッレ ロイアル エッセピア サドル支持構造物
JP2014054979A (ja) * 2012-09-13 2014-03-27 Juda Mach Ind Co Ltd 自転車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3461A (zh) * 2019-03-08 2019-05-31 贵州大学 一种电动滑板车
DE102021127955B3 (de) 2021-10-27 2023-02-23 DQBD GmbH Sattel, Kissen für einen Satt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770B2 (en) Bicycle seat
KR100385099B1 (ko) 자전거용 안장
US9718509B2 (en) Bicycle seat
US20070108808A1 (en) Bicycle saddle
KR101919235B1 (ko) 자전거 안장
CN104245489A (zh) 骑行鞍座
KR20140013899A (ko) 의자의 조절장치
JP2016538173A (ja) 座席構造
KR100614305B1 (ko) 자전거 안장
KR100456832B1 (ko) 자전거 안장
KR102506194B1 (ko)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US6874849B1 (en) Saddles for pedal-operated machines
KR102332986B1 (ko) 골반 지지대가 있는 이동수단 안장
KR200408628Y1 (ko) 자전거 안장
KR101628663B1 (ko) 자전거 하이브리드 안장
JP7033557B2 (ja) 自転車シート
KR20110083000A (ko) 자전거용 안장
KR20170069562A (ko) 자전거 안장
KR101421734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EP1813514B1 (en) Bicycle saddle
KR101407695B1 (ko) 음경 압박 방지용 자전거 안장
KR102588834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KR20220124334A (ko)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KR20140034998A (ko)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KR101161288B1 (ko) 의자용 등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