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771A -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771A
KR20060003771A KR1020040052786A KR20040052786A KR20060003771A KR 20060003771 A KR20060003771 A KR 20060003771A KR 1020040052786 A KR1020040052786 A KR 1020040052786A KR 20040052786 A KR20040052786 A KR 20040052786A KR 20060003771 A KR20060003771 A KR 20060003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icycle
post
bracke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숭복
Original Assignee
이숭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숭복 filed Critical 이숭복
Priority to KR102004005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3771A/ko
Priority to PCT/KR2005/002166 priority patent/WO2006004379A1/en
Publication of KR2006000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36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saddle pillars, e.g. adjustable during r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장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장(21)을 지지하도록 안장 브라켓(14)에 장착되는 회전포스트(11)와 길이조절 포스트(15)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15)는 그 상단이 브라켓(14)에 고정되고 하단은 자전거 체대 후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포스트(11)는 그 상단이 안장 브라켓(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자전거 체대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15)의 신축되는 길이변화에 연동되어 회전포스트(11)가 회동됨에 따라 안장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의 신체조건 및 운전상황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으로 자전거 안장의 상하 및 전후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에 완충수단을 사용하면 안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Description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AN APPARATUS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SADDLE OF A BICYCLE}
도 1은 종래의 자전거 안장 높이조절장치의 채용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장 위치조절장치를 채용한 자전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안장 위치조절장치에 의해 변화된 안장 위치들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4와 다른 실시예로서, 가스스프링을 채용한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를 채용한 자전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안장 위치조절장치의 분해도.
도 7은 도 5와 다른 실시예로서 가스스프링의 작동부가 상부에 위치한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안장 위치조절장치를 채용한, 핸들부분이 제거된 상태의 자전거의 개략적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회전포스트 12 : 안장지지튜브
13 : 회전포스트 연결 힌지 14 : 안장 브라켓
15 : 길이조절포스트 16 : 후륜축 지지판
17 : 축부 19 : 힌지
18 : 가이드튜브 21 : 안장
20, 22 : 클램프 24 : 하우징
25 : 실린더 26 : 스프링
27 : 가스스프링 35 : 실린더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안장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전거 안장의 높이뿐만 아니라 전후 위치를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운전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그리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안장의 위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자전거 주행시의 상황 예컨대 고속주행, 서행, 오르막길 주행 및 내리막길 주행 등의 상황에 따라 상하 전후로 적합한 위치가 다르므로 운전 상황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 나, 종래 자전거는 보편적으로 주행 전에 안장을 안장 지지튜브에서 일정한 높이로 고정시키고 주행을 하게 되어 있어 주행 조건의 변화에 따른 안장의 위치 변경이 불가능하여 불편이 많고, 최근에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주행 중에 안장 지지대 방향으로 안장의 상하 높이만을 제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전거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는 종래의 높이조절장치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자전거 프레임을 구성하는 안장 지지튜브(1)에 가이드 튜브(2)가 삽입되어 클램프(9)로 고정되고, 가이드 튜브 속에 가스스프링의 실린더(3)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고,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된 브라켓(4)에 안장(5)이 장착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자전거 핸들에 제공되어 손으로 조작하도록 된 작동수단에 의해 케이블(6)의 내부 와이어(10)을 당기게 되면 레버(7)에 의해 밸브핀 누름장치(8)가 작동되어 안장(5)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해 실린더(3)가 내려가게 되고 체중을 가하지 않으면 실린더(3)가 올라가서 안장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전거 안장의 높이조절장치는 안장의 위치가 안장지지튜브의 축 방향으로 상하로만 조절되게 되어 있어 전후 위치 조절이 불가능하며, 단순히 안장의 수직 높이만을 낮출 경우에는 안장과 페달 그리고 안장과 핸들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서 운전자가 다리와 팔을 뻗지 못 하고 구부린 상태에서 운전을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내리막길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하여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낮추고 자전거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엉덩이를 뒤로 빼고 자세를 낮추어야 하는데, 이때 운전자를 지지하기 위한 안장의 위치가 뒤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의 자전거에서는 안장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그러한 전후 위치조절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자전거의 주행 상황 및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안장의 상하 및 전후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안장 위치조절수단이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자전거의 안장 높이 조절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운전자의 신체 조건 및 운전 상황에 따라 안장을 상하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의 적합한 위치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조절가능한 자전거 안장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는, 안장을 지지하도록 안장 브라켓에 장착되는 회전포스트와 길이조절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는 그 상단이 브라켓에 고정되고 하단은 자전거 체대 후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포스트는 그 상단이 안장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자전거 체대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의 신축되는 길이변화에 연동되어 회전포스트가 회전됨에 따라 안장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는 상단이 안장 브라켓에 고정되는 축부와, 그 축부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며 하단부가 후륜측의 축지지판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는 안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가이드튜브속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서 완충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가능한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는 가이드튜브속에 장착되는 길이조절가능한 가스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고한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장 위치조절장치가 채용된 구조의 자전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의 안장 위치조절장치에 의해 조절된 안장 위치들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는 클램프(20)로 안장(21)을 고정하는 브라켓(14)에 장착되는 회전포스트(11)와 길이조절 포스트(15)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포스트(11)는 그 상단이 브라켓(14)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가능함과 함께 하단은 자전거 체대의 안장 지지튜브(1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13)로 연결된다.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15)는 상단이 브라켓(14)에 고정되는 축부(17)와, 그 축부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튜브(18)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튜브의 하단은 자전거 체대 후륜 지지판(1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축부(17)는 가이드튜브(18)에서 빠져나오는 길이를 적당히 조절하여 클램프(22)로 고정한다.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의 가이드 튜브(18) 하단에 제공되는 캡(29)은 자전거 후륜 축 왼쪽 즉 변속기어뭉치 반대편 지지판(16)에서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된다(도 8참조).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15)의 길이조절은 가이드튜브(18)에 망원경식으로 삽입된 축부(17)가 가이드튜브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길이조절 포스트(15)의 길이조절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포스트(11)가 하단부의 힌지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자전거 안장(21)의 위치가 회전포스트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상에서 변화됨으로써, 안장은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높이와 전후 위치가 조절되며, 안장이 적합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클램프(22)로 길이조절 포스트(15)의 축부(17)를 고정시킴으로써 안장의 위치가 조절된다.
즉, 안장 위치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길이조절 포스트(15)의 길이가 작아질수록 낮아지며, 그에 따른 회전 포스트(11)의 힌지(19)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안장의 위치 또한 체대에 대하여 후방으로 변화되므로, 안장은 길이조절 포스트(15)와 회전포스트(11)에 함께 연결되어 지지되는 상태로 자전거 체대에 대하여 상하 및 전후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안장의 변화되는 위치에 따른 운전자의 핸들 조작 및 페달 조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장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길이조절포스트(15)의 최대 신장 상태)와, 안장의 높이가 가장 낮고 체대에 대하여 가장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포스트(15)의 최소 신장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과 핸들을 조작하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가이드 튜브(18)와 길이조절 포스트(15)의 신장되는 길이, 그 리고 회전 포스트(11)의 길이를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포스트(11)의 하단을 연결하는 힌지(13)는 자전거 체대 안장 지지튜브(12)에 삽입고정되는 구조로 하여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도 6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운전 상황 및 신체조건에 따라 체대에 대하여 수직 및 전후 어느 위치로도 조절가능하여 운전자가 페달(23)을 밟는 다리를 충분히 뻗을 수 있어 자세를 편안하게 한 것이며 특히 내리막길 주행 시 무게중심을 낮추고 양팔과 양발을 충분히 뻗어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의 축부(17)는 망원경식 구조로 하여 하우징(24)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실린더(25)와, 내부에 완충수단으로서 스프링(26)을 사용하여 안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과 도6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의 축부(17)를 도 4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구조 대신에 길이조절가능한 가스스프링(27)으로 구성하며, 피스톤로드(28)의 하단부를 가이드튜브 하단의 캡(29)에 고정시키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단부에 돌출된 밸브작동로드(30)를 푸쉬부재(31)와 케이블(32)로 자전거 조향손잡이(33)에 제공된 원격조작 레버(34)에 연결하여 자전거의 조향손잡이(33)에서 원격 조작으로 길이조절 가스스프링의 밸브를 개방시키고 안장(21)에 체중을 가하면 가스스프링(27)의 실린더(35)가 내려가고 체중을 가하지 않으면 올라가며, 사용자가 레버(34)를 조작을 중단하면 밸브가 폐 쇄되고 상기 가스스프링의 실린더가 그 위치에서 고정됨으로써 안장(2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서, 운전자가가 자전거 주행 중에도 조향 손잡이의 원격조작 레버에 의해 안장(21)의 위치를 상하 전후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가스스프링의 완충작용으로 안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한층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푸쉬부재는 일단이 가이드 튜브 하단부의 캡(29)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간에 밸브작동로드(30)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레버이고 타단이 자전거 조향핸들(33)에 제공된 원격조작 레버(34)에 케이블(32)로 연결되어 상기 원격조작 레버(34)로 케이블(32)을 당길 때 회전되는 레버(31)에 의해 밸브 작동로드(30)를 밀어 올려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로 상기 가스스프링의 밸브 개폐장치(31)가 도 4의 실시예에서 피스톤 로드 하단에 위치한 것과 달리 실린더(35) 상단에 위치하고, 피스톤 로드(28)의 하단부가 캡(29)에 고정되어 밸브 개폐에 의해 안장 브라켓(14)에 상단부가 고정된 가스스프링의 실린더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밸브 개폐에 의한 가스스프링의 실린더 위치 조정에 따라 안장 위치가 조정되는 것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가스스프링(27)의 구조 및 조작은 본 발명자에 의해 한국에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2-0054713호, 2002-0063100호, 2002-086437호 및 2003-0063457호에 개시된 자전거 안장 높이조절장치에 사용된 가스프프링 구조로서, 가스스프링의 상 세한 구조는 위 특허출원을 참조하기 바라며,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스스프링을 위에 언급한 형태의 본 발명자의 가스스프링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자전거 안장 위치 조절장치는 운전자의 체형이나 운전조건에 적합하게 안장의 위치를 상하 전후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고속 주행시에는 안장의 위치를 높이고 전방으로 변화시켜 페달(23)을 밟는 다리를 충분히 뻗을 수 있도록 하고, 정지시나 내리막길 주행시에는 안장의 위치를 낮추고 후방으로 변화시켜 무게중심을 낮추고 양팔과 양발을 충분히 뻗어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경우에서나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완충작용으로 안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한층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안장(21)을 지지하도록 안장 브라켓(14)에 장착되는 회전포스트(11)와 길이조절 포스트(15)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15)는 그 상단이 브라켓(14)에 고정되고 하단은 자전거 체대 후부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포스트(11)는 그 상단이 안장 브라켓(1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자전거 체대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15)의 신축되는 길이변화에 연동되어 회전포스트(11)가 회전됨에 따라 안장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포스트(15)는 상단이 안장 브라켓(14)에 고정되는 축부(17)와, 그 축부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며 하단부가 체대의 후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튜브(18)로 구성되는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안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가이드튜브(18)속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24)과, 하우징 내부에서 완충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가능한 실린더(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가이드튜브(18)속에 장착되는 길이조절가능한 가스스프링(2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KR1020040052786A 2004-07-07 2004-07-07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KR20060003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786A KR20060003771A (ko) 2004-07-07 2004-07-07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PCT/KR2005/002166 WO2006004379A1 (en) 2004-07-07 2005-07-06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saddle of a bicy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786A KR20060003771A (ko) 2004-07-07 2004-07-07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771A true KR20060003771A (ko) 2006-01-11

Family

ID=3578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786A KR20060003771A (ko) 2004-07-07 2004-07-07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03771A (ko)
WO (1) WO200600437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67B1 (ko) * 2009-02-06 2011-03-29 최윤석 고속 저상 소형 자전거
WO2011046322A2 (ko) * 2009-10-15 2011-04-21 Jeon Sung Jun 자전거용 안장
WO2012047061A2 (ko) * 2010-10-07 2012-04-12 Choi Yun Seok 고속 저상 소형 자전거
KR20160093871A (ko) * 2015-01-30 2016-08-09 서현우 안장의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자전거
US20220177071A1 (en) * 2019-06-18 2022-06-09 Darrell W. Voss Vehicle
US11993338B2 (en) * 2020-06-12 2024-05-28 Darrell W. Voss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57811B1 (en) * 2010-11-25 2013-10-02 Jung-Yu Hsu Control device for height adjustable bicy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15585A (en) * 1981-08-27 1983-02-25 Hon Cheung Hung George A cycle
US6050584A (en) * 1998-04-07 2000-04-18 Sibson; Brian Bicycle placing rider in substantially semi-prone riding position
US6719081B2 (en) * 2002-06-12 2004-04-13 Taiwan Bicycle Industry R&D Center Electrical bicycle with steering control by biasing the bod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67B1 (ko) * 2009-02-06 2011-03-29 최윤석 고속 저상 소형 자전거
WO2011046322A2 (ko) * 2009-10-15 2011-04-21 Jeon Sung Jun 자전거용 안장
WO2011046322A3 (ko) * 2009-10-15 2011-08-18 Jeon Sung Jun 자전거용 안장
WO2012047061A2 (ko) * 2010-10-07 2012-04-12 Choi Yun Seok 고속 저상 소형 자전거
WO2012047061A3 (ko) * 2010-10-07 2012-08-16 Choi Yun Seok 고속 저상 소형 자전거
KR20160093871A (ko) * 2015-01-30 2016-08-09 서현우 안장의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자전거
US20220177071A1 (en) * 2019-06-18 2022-06-09 Darrell W. Voss Vehicle
US11993338B2 (en) * 2020-06-12 2024-05-28 Darrell W. Voss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04379A1 (en)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2719B (zh) 用來控制多個自行車操作特性的裝置
TWI406787B (zh) 用於控制腳踏車懸吊元件之裝置
US6719666B1 (en) Exercising device that produces elliptical foot movement
US7552934B2 (en) Pedaling vehicle having exercising function
US20090048073A1 (en) Handlebar mechanism
TW201202085A (en) Bicycle frame
US20120295770A1 (en) Dual-Use Exercising Bike on which a User can Sit and Lie
CN212941179U (zh) 可多角度折叠变化的健身车
KR20060003771A (ko) 자전거 안장 위치조절장치
US20060234837A1 (en) Bicycle exerciser having adjustable handle
TWM479891U (zh) 自行車之座管總成
KR101957329B1 (ko) 자동으로 폭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용 안장
US4118045A (en) Bicycle
NO339474B1 (no) overkroppsstøtteanordning
KR101407386B1 (ko) 위치 가변식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TWI728271B (zh) 自行車操作裝置
KR101756799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KR20040034385A (ko) 자전거 안장의 높이조절장치
CN210063211U (zh) 一种车座高度调节装置、车座组件及单车或电动助力车
TW202206330A (zh) 煞車組合
JP2004345366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10027649B (zh) 一种车座高度调节装置、车座组件及单车
JP2001104514A (ja) サドル高さ調節装置
KR101919837B1 (ko) 전동식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KR20190021582A (ko)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자전거 라이트용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