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051B1 - 독립 hst 페달 링크 장치 - Google Patents
독립 hst 페달 링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1051B1 KR100961051B1 KR1020080006135A KR20080006135A KR100961051B1 KR 100961051 B1 KR100961051 B1 KR 100961051B1 KR 1020080006135 A KR1020080006135 A KR 1020080006135A KR 20080006135 A KR20080006135 A KR 20080006135A KR 100961051 B1 KR100961051 B1 KR 1009610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al
- clutch
- slip
- reverse
- li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 HST 페달링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전진페달의 답력(踏力)을 전달하는 전진페달 연결부와 상기 전진페달의 복귀를 위한 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과 고정축에 고정되는 돌출부와 상기 전진페달 연결부와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접하는 가이드 부를 구비하고 타측면에 제1 슬립/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전진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제1 슬립/회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 클러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1 클러치와 제1 슬립/회전부재 및 전진구동부 회전체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진 구동부; 와
후진페달의 답력을 전달하는 후진페달 연결부와 상기 후진페달의 복귀를 위한 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과 고정축의 고정되는 돌출부와 상기 후진페달 연결부와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접하는 가이드 부를 구비하고 타측면에는 제2 슬립/회전부재를 구비하는 후진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제2 슬립/회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클러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클러치와 제2 슬립/회전부재 및 후진구동부 회전체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후진 구동부; 및
상기 제1 클러치와 연결되는 제1 링크부와 제2 클러치와 연결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력전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페달에 의한 작업자와의 신체접촉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페달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농기계, 페달, 가이드홈, 링크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HST 페달 링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전진페달과 후진페달이 나란히 위치하게 되는 통상의 농기계(트랙터, 이앙기 등) 등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페달에 아래방향의 압력을 가하더라고 다른 하나의 페달이 윗방향으로 튀어올라오지 않도록 하는 페달의 링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농기계 등의 전진페달과 후진페달의 사용함에 있어 어느 하나의 페달을 사용하더라도 다른 페달의 위치변화가 없는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 페달링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기계 중 트랙터는 사용목적 상 전진 및 후진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그로 인해 트랙터는 전진 및 후진 페달을 나란하게 구비하여 별다른 기어의 변속없이 자유롭게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페달링크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페달링크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트랙터에 구비된 의자에 앉아 구동할 수 있는 페달에는 전진페달과 후진페달을 구비하고 있다. 즉, 트랙터를 전진하고자 할 때에는 전진페달을, 후진하고자 할 때에는 후진페달을 각 밟아 전,후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전진시의 구동방법에 대해 도2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의 전진페달(11)에 대한 답력(踏力;페달을 밟는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전진페달(11)에 연결된 전진페달 연결부(12)를 아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전진페달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플라이휠(13)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1 플라이휠(13)의 회전은 상기 제1 플라이휠(13)에 연결된 연장부(19)의 끝단을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연장부(19)의 이동은 제1링크부(31)를 당기게 되고 상기 제1 링크부(31)를 당기는 힘은 회전축 제1 연장부(51)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5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축(50)의 회전은 회전축 제1 연장부(51)의 반대편에 구비된 회전축 제2 연장부(52)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2 링크부(32)를 도면상 우측으로 당기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링크부(32)의 이동은 고정축(40)을 중심으로 비스듬하게 양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플라이휠 연장부(29)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2 플라이휠 연장부(29)의 이동은 고정축(40)을 중심으로 후진페달 연결부(22)를 결과적으로 상측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하여 후진페달(21)이 상측으로 튀어오르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전진페달(11)을 밟았을 때에는 밟은 깊이만큼 후진페달(21)이 상부로 튀어오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원리는 전진페달(11)을 밟았을 때뿐만 아니라 후진페달(21)을 밟았을 때에도 동일한 효과가 있게 된다. 즉, 후진페달(21)을 밟았을 때에는 밟은 깊이만큼 전진페달(11)이 상부로 튀어 오르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운전자가 전진페달(11)을 밟으면 후진페달(21)이 올라오게 되고, 후진페달(21)을 밟으면 전진페달(11)이 올라오게 되어 작업자가 전,후진 페달(11,21) 중 어느 하나의 페달을 밟게 되면 다른 하나의 페달에 의해 다치거나 혹은 양 페달 사이에 발이 끼는 등 안전의 문제가 있으며 전, 후진의 전환시 페달이 중립위치보다 상승된 위치에 있게 되어 조작시의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단한 기계식 링크구조로 이루어진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로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일시적으로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페달과 연결되는 부위에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페달로부터 마찰력을 받아 링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마찰클러치를 더 구비하여 안전하고 사용이 간편한 페달링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전진페달의 답력(踏力)을 전달하는 전진페달 연결부와 상기 전진페달의 복귀를 위한 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과 고정축에 고정되는 돌출부와 상기 전진페달 연결부와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접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타측면에 제1 슬립/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전진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제1 슬립/회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 클러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1 클러치와 제1 슬립/회전부재 및 전진구동부 회전체는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진 구동부; 와 후진페달의 답력을 전달하는 후진페달 연결부와 상기 후진페달의 복귀를 위한 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과 고정축의 고정되는 돌출부와 상기 후진페달 연결부와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접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타측면에는 제2 슬립/회전부재를 구비하는 후진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제2 슬립/회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클러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클러치와 제2 슬립/회전부재 및 후진구동부 회전체는 고정축에 회전가능 하도록 구비되는 후진 구동부; 및 상기 제1 클러치와 연결되는 제1 링크부와 제2 클러치와 연결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력전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진 구동부와 후진 구동부에 각 구비되는 돌출부는 고정축을 삽입하되 상기 고정축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핀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진 구동부와 후진 구동부에 각 구비되는 가이드부는 상기 돌출부에 접하여 전진구동부 회전체 및 후진구동부 회전체의 축 방향의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진구동부 회전체 및 후진구동부 회전체는 플라이 휠인 것으로 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제1 클러치 및 제2 클러치는 마찰 클러치인 것으로 하여 구성되는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클러치의 측면에는 상기 제1 클러치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제1 클러치 고정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클러치의 측면에는 측면에는 상기 제2 클러치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제2 클러치 고정핀을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진구동부 회전체와 제1 클러치 사이에는 상기 전진구동부 회전체와 제1 클러치간의 이격유지를 위한 제1 이격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후진구동부 회전체와 제2 클러치 사이에는 상기 후진구동부 회전체와 제2 클러치간의 이격유지를 위한 제2 이격스프링이 더 구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제1 클러치에 구비된 제1 클러치 연장부와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축 제1 연장부 사이에 링크되고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2 클러치에 구비된 제2 클러치 연장부와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축 제2 연장부 사이에 링크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슬립/회전부재 및 제2 슬립/회전부재는 접시 스프링, 고무소재 및 석면직물 소재인 것으로 하여 구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작업자와의 신체접촉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페달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비해 페달 작동구간이 반으로 줄어들어 설치공간 선정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반복조작에 의해 적은 스트로크로 최대출력을 낼 수 있으므로 장시간 작업 시 편리한 점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의 사시도를, 도 4는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는 크게 전진구동부(110)와 후진구동부(120) 그리고 상기 전진구동부(110)와 후진구동부(120)를 연 결하는 구동력전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진페달의 답력(踏力)을 전달하는 전진페달 연결부와 상기 전진페달의 복귀를 위한 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과 고정축에 고정되는 돌출부와 상기 전진페달 연결부와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접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타측면에 제1 슬립/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전진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제1 슬립/회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 클러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1 클러치와 제1 슬립/회전부재 및 전진구동부 회전체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진 구동부; 와 후진페달의 답력을 전달하는 후진페달 연결부와 상기 후진페달의 복귀를 위한 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과 고정축의 고정되는 돌출부와 상기 후진페달 연결부와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접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타측면에는 제2 슬립/회전부재를 구비하는 후진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제2 슬립/회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클러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클러치와 제2 슬립/회전부재 및 후진구동부 회전체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후진 구동부; 및 상기 제1 클러치와 연결되는 제1 링크부와 제2 클러치와 연결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력전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진구동부 회전체가 제1 플라이휠, 상기 후진구동부 회전체가 제2 플라이 휠, 상기 돌출부가 제1 고정핀 및 제2 고정핀, 상기 제1, 제2 클러치가 제1, 제2 마찰클러치, 상기 가이드부가 제1 가이드 홈과 제2 가이드 홈인 경우에 대해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상기 전진구동부(110)는 작업자의 발에 의해 답력(踏力; 페달을 밟는 힘)이 직접 가해지는 전진페달(111), 상기 전진페달(111)로부터 제1 플라이휠(113)과 연결되는 전진페달 연결부(112), 상기 전진페달 연결부와 트랙터 본체와 연결되어 전진페달에 가해진 답력이 해제될 경우 다시 복귀시키도록 하기 위한 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112a), 그리고 전진페달(111)의 답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플라이휠(113) 및 상기 제1 플라이휠(113)의 도 3의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홈(114)과 상기 제1 가이드홈(114)이 위치하는 제1 고정핀(115), 그리고 상기 제1 플라이휠(113)의 도 4의 도면상 우측에는 위치하는 제1 슬립/회전부재(119)와 제1 마찰클러치(116)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슬립/회전부재(119)로는 접시 스프링, 고무소재 또는 석면직물 소재인 것이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마찰클러치(116)가 고정축 축방향인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제1 클러치 고정핀(118)이 고정축(140) 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후진구동부(120) 또한 그 구성이 전진구동부(110)와 유사하다. 즉, 작업자의 발에 의해 답력이 직접 가해지는 후진페달(121), 상기 후진페달(121)로부터 제2 플라이휠(123)과 연결되는 후진페달 연결부(122), 상기 후진페달 연결부(122)와 트랙터 본체와 연결되어 후진페달(121)에 가해진 답력이 해제될 경우 다시 복귀시키도록 하기 위한 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122a), 그리고 후진페달(121)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플라이휠(123) 및 상기 제2 플라이휠(123)의 도 3의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홈(124)과 상기 제2 가이드홈(124)이 위치하는 제2 고 정핀(125), 그리고 상기 제2 플라이휠(123)의 도 4의 도면상 우측에는 위치하는 제2 슬립/회전부재(129)와 제2 마찰클러치가 위치한다. 상기 제2 슬립/회전부재 또한 제1 슬립/회전 부재와 같이 접시 스프링, 고무소재 또는 석면직물 소재인 것이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마찰클러치(126)가 고정축(140)의 축방향인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제2 클러치 고정핀(128)이 고정축(140)의 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전진구동부(110)와 후진구동부(120)는 구동력전달부(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되는데 상기 구동력전달부(130)는 크게 제1 링크부(131), 제2 링크부(132), 회전축 제1 연장부(133) 그리고 회전축 제2 연장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링크부(131)는 전진구동부(110)의 회전력을 회전축(15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링크부(131)는 제1 마찰클러치(116)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는 제1 클러치 연장부(117)와 회전축 제1 연장부(133) 간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마찰클러치(116)의 회전력을 회전축 제1 연장부(133)를 이용하여 회전축(15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링크부(131)는 전진구동부(110)의 회전력을 회전축(150)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후진구동부(120)의 회전력을 받은 회전축(150)의 회전력을 전진구동부(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제2 링크부(132)는 후진구동부(120)의 회전력을 회전축(150)에 전달하 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링크부(132)는 제2 마찰클러치(126)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는 제2 클러치 연장부(127)와 회전축 제2 연장부(134) 간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 마찰클러치(126)의 회전력을 회전축 제2 연장부(134)를 이용하여 회전축(15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링크부(132)는 후진구동부(120)의 회전력을 회전축(150)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전진구동부(110)의 회전력을 받은 회전축(150)의 회전력을 후진구동부(1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작업자가 전진페달(111)을 밟을 경우 전진구동부(110), 구동력전달부(130)를 통해 후진구동부(120)로 전달되게 되고, 후진페달(121)을 밟을 경우 후진구동부(120), 구동력전달부(130)를 통해 전진구동부(110)로 전달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의 전진구동부의평면확대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의 전진구동부의 확대도를, 도 7 및 도 8은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의 전진작동도 및 후진작동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진구동부(110)는 제1 플라이휠(113)과 제1 마찰클러치(116) 그리고 상기 제1 플라이휠(113)과 제1 마찰클러치(116)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슬립/회전부재(119)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플라이휠(113)의 일측면에는 제1 가이드홈(11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진페달(111)이 구동되지 않을시 상기 제1 가이드홈(114)에는 제1 고정핀(115)이 위치하여 상기 제1 플라이휠(113)이 역회전을 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후진구동부(120) 또한 상기 전진구동부(11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2 플라이휠(123)과 제2 마찰클러치(126) 그리고 상기 제2 플라이휠(123)과 제2 마찰클러치(126)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슬립/회전부재(129)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 플라이휠(123)의 일측면에는 제2 가이드홈(12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후진페달(121)이 구동되지 않을시 상기 제2 가이드홈(124)에는 제2 고정핀(125)이 위치하여 상기 제2 플라이휠(123)이 역회전을 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의 구성의 작동순서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작업자가 전진페달(111)을 밟을 경우를 살펴보면 압력이 가해진 전진페달(111)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전진페달의 하단에 연결된 전진페달 연결부(112)도 아래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리하여 전진페달 연결부(112)는 제1 플라이휠(113)의 회전을 유도하고 상기 제1 플라이휠(113)의 회전은 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서의 회전력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제1 가이드홈(114)과 제1 고정핀(115)에 의해 축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축방향으로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제1 플라이휠(113)이 축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상기 축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은 제1 슬립/회전부재(119)와 제1 마찰클러치(116)를 더욱 압박하게 되어 상기 제1 슬립/회전부재(119)의 회전과 제1 마찰클러치(116)의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제1 마찰클러치(116)는 연장부(117)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연장 부(117)와 회전축 제1 연장부(133)를 연결하는 제1 링크부(131)에 제1 마찰클러치(116)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1 링크부(131)에 의해 회전축(15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 제1 연장부(133)의 회전은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구비된 회전축 제2 연장부(134)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축 제2 연장부(134)의 회전력은 다시 제2 링크부(132)를 밀게되어 상기 제2 링크부(132)에 링크되어 있는 제2 클러치 연장부(127)를 밀어 제2 마찰클러치(126)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때, 상기 제2 마찰클러치(126)의 회전은 제2 슬립/회전부재(129)의 회전과 제2 플라이휠(123)의 회전을 유도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제2 마찰클러치(126)와 제2 플라이휠(123) 사이에는 상기 제2 마찰클러치(126)와 제2 플라이휠(123)의 이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제2 이격스프링(129a)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이격스프링(129a)에 의해 제2 마찰클러치(126)의 회전력이 제2 플라이휠(123)에까지는 미치지 아니하므로 그로인해 후진페달 연결부(122) 또는 후진페달(121)에까지 회전력이 전달되지 아니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진페달(111)을 밟아도 후진페달(121)이 상승하지 않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진페달(111)을 밟아도 후진페달(121)이 상승하지 않는 또 하나의 이유는 제2 가이드홈(124)과 제2 고정핀(125)에 있다. 즉, 상기 제2 고정핀(125)에 의해 루트(√)모양으로 구비된 제2 가이드홈(124)이 상기 제2 플라이휠(123)을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후진페달(121)이 상승하지 않는 이유가 되는 것 이다.
그리고, 한번 압력이 가해진 전진페달(111) 및 제1 플라이휠(113)은 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112a)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나, 제1 슬립/회전부재(119) 및 제1 마찰클러치(116)는 자체의 인력에 의해 서서히 복귀하게 된다.
이때, 다시 전진페달(111)을 밟을 경우 제1 슬립/회전부재(119) 및 제1 마찰클러치(116)가 아직 원위치하지 아니한 경우라면 상기 전진페달(111)을 조금만 밟게 되더라도 제1 슬립/회전부재(119) 및 제1 마찰클러치(116)를 최대한으로 돌릴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회전축(150)의 최대한의 회전을 유도하여 최대의 출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는 후진페달(121)을 밟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작업자가 후진페달(121)을 밟을 경우를 살펴보면 압력이 가해진 후진페달(121)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후진페달(121)의 하단에 연결된 후진페달 연결부(122)도 아래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리하여 후진페달 연결부(122)는 제2 플라이휠(123)의 회전을 유도하고 상기 제2 플라이휠(123)의 회전은 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서의 회전력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제2 가이드홈(124)과 제2 고정핀(125)에 의해 축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축방향으로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제2 플라이휠(123)이 축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상기 축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은 제2 슬립/회전부재(129)와 제2 마찰클러치(126)를 더욱 압박하게 되어 상기 제2 슬립/회전부재(129)의 회전과 제2 마찰클러치(126)의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제2 마찰클러치(126)는 연장부(127)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연장부(127)와 회전축 제2 연장부(134)를 연결하는 제2 링크부(132)에 제2 마찰클러치(126)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2 링크부(132)에 의해 회전축(15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 제2 연장부(134)의 회전은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구비된 회전축 제1 연장부(133)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축 제1 연장부(133)의 회전력은 다시 제1 링크부(131)를 밀게되어 상기 제1 링크부(131)에 링크되어 있는 제1 클러치 연장부(127)를 밀어 제1 마찰클러치(127)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때, 상기 제1 마찰클러치(116)의 회전은 제1 슬립/회전부재(119)의 회전과 제1 플라이휠(113)의 회전을 유도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제1 마찰클러치(116)와 제1 플라이휠(113) 사이에는 상기 제1 마찰클러치(116)와 제1 플라이휠(113)의 이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제1 이격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이격스프링에 의해 제1 마찰클러치(116)의 회전력이 제1 플라이휠(113)에까지는 미치지 아니하므로 그로인해 전진페달 연결부(112) 또는 전진페달(111)에까지 회전력이 전달되지 아니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후진페달(121)을 밟아도 전진페달(111)이 상승하지 않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후진페달(121)을 밟아도 전진페달(111)이 상승하지 않는 또 하나의 이유는 제1 가이드홈(114)과 제1 고정핀(115)에 있다. 즉, 상기 제1 고정핀(115)에 의해 루트(√)모양으로 구비된 제1 가이드홈(114)이 상기 제1 플라이휠(113)을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전진페달(111)이 상승하지 않는 이유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한번 압력이 가해진 후진페달(121) 및 제2 플라이휠(123)은 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122a)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나, 제2 슬립/회전부재(129) 및 제2 마찰클러치(126)는 자체의 인력에 의해 서서히 복귀하게 된다.
이때, 다시 후진페달(121)을 밟을 경우 제2 슬립/회전부재(129) 및 제2 마찰클러치(126)가 아직 원위치 하지 아니한 경우라면 상기 후진페달(121)을 조금만 밟게 되더라도 제2 슬립/회전부재(129) 및 제2 마찰클러치(126)를 최대한으로 돌릴 수 있게 되어 회전축(150)의 최대한의 회전을 유도하여 최대의 출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페달링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페달링크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의 평면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의 전진구동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의 전진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의 후진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전진구동부 111 : 전진페달
112 : 전진페달 연결부 112a : 연결부 스프링
113 : 제1 플라이휠 114 : 제1 가이드홈
115 : 제1 고정핀 116 : 제1 마찰클러치
117 : 제1 클러치 연장부 118 : 제1 클러치 고정핀
119 : 제1 슬립/회전부재 119a : 제1 이격스프링
120 : 후진구동부 121 : 후진페달
122 : 후진페달 연결부 122a : 연결부 스프링
123 : 제2 플라이휠 124 : 제2 가이드홈
125 : 제2 고정핀 126 : 제2 마찰클러치
127 : 제2 클러치 연장부 128 : 제2 클러치 고정핀
129 : 제2 슬립/회전부재 129a : 제2 이격스프링
130 : 구동력전달부 131 : 제1 링크부
132 : 제2 링크부 133 : 회전축 제1 연장부
134 : 회전축 제2 연장부 140 : 고정축
150 : 회전축
Claims (12)
- 전진페달의 답력(踏力)을 전달하는 전진페달 연결부와 상기 전진페달의 복귀를 위한 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과 고정축에 고정되는 돌출부와 상기 전진페달 연결부와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접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타측면에 제1 슬립/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전진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제1 슬립/회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 클러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1 클러치와 제1 슬립/회전부재 및 전진구동부 회전체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진 구동부; 와후진페달의 답력을 전달하는 후진페달 연결부와 상기 후진페달의 복귀를 위한 후진페달 연결부 스프링과 고정축의 고정되는 돌출부와 상기 후진페달 연결부와 연결되고 일측면에는 돌출부가 접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타측면에는 제2 슬립/회전부재를 구비하는 후진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제2 슬립/회전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클러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클러치와 제2 슬립/회전부재 및 후진구동부 회전체는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후진 구동부; 및상기 제1 클러치와 연결되는 제1 링크부와 제2 클러치와 연결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진 구동부와 후진 구동부에 각 구비되는 돌출부는 고정축을 삽입하되 상기 고정축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고정핀과 제2 고정핀임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진 구동부와 후진 구동부에 각 구비되는 가이드부는 상기 돌출부에 위치하여 전진구동부 회전체 및 후진구동부 회전체의 축 방향의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제1 가이드 홈과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진구동부 회전체 및 후진구동부 회전체는 제1 플라이 휠 및 제2 플라이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클러치 및 제2 클러치는 각 제1 마찰클러치 및 제2 마찰클러치인 것을 특징을 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클러치의 측면에는 상기 제1 클러치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제1 클러치 고정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클러치의 측면에는 측면에는 상기 제2 클러치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제2 클러치 고정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진구동부 회전체와 제1 클러치 사이에는 상기 전진구동부 회전체와 제1 클러치간의 이격유지를 위한 제1 이격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후진구동부 회전체와 제2 클러치 사이에는 상기 후진구동부 회전체와 제2 클러치간의 이격유지를 위한 제2 이격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제1 클러치에 구비된 제1 클러치 연장부와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축 제1 연장부 사이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HST 페달 링 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2 클러치에 구비된 제2 클러치 연장부와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축 제2 연장부 사이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슬립/회전부재 및 제2 슬립/회전부재는 접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슬립/회전부재 및 제2 슬립/회전부재는 고무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슬립/회전부재 및 제2 슬립/회전부재는 석면직물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HST 페달 링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6135A KR100961051B1 (ko) | 2008-01-21 | 2008-01-21 | 독립 hst 페달 링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6135A KR100961051B1 (ko) | 2008-01-21 | 2008-01-21 | 독립 hst 페달 링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0263A KR20090080263A (ko) | 2009-07-24 |
KR100961051B1 true KR100961051B1 (ko) | 2010-06-01 |
Family
ID=4129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6135A KR100961051B1 (ko) | 2008-01-21 | 2008-01-21 | 독립 hst 페달 링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105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3911A (ko) * | 2016-01-11 | 2017-07-19 | 대동공업주식회사 |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
KR20170083912A (ko) * | 2016-01-11 | 2017-07-19 | 대동공업주식회사 |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60380B2 (ja) * | 2012-10-30 | 2016-02-16 | ヤンマー株式会社 | 変速操作機構及び作業車両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62624A (ja) | 2001-03-06 | 2002-09-17 | Kubota Corp | 乗用田植機 |
JP2002316550A (ja) | 2001-04-23 | 2002-10-29 |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 トラクタの走行操作装置 |
KR100500824B1 (ko) | 2002-05-16 | 2005-07-12 |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 듀얼-페달 컨트롤 시스템 |
JP2007137323A (ja) | 2005-11-21 | 2007-06-07 | Yanmar Co Ltd | 作業車両 |
-
2008
- 2008-01-21 KR KR1020080006135A patent/KR10096105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62624A (ja) | 2001-03-06 | 2002-09-17 | Kubota Corp | 乗用田植機 |
JP2002316550A (ja) | 2001-04-23 | 2002-10-29 |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 トラクタの走行操作装置 |
KR100500824B1 (ko) | 2002-05-16 | 2005-07-12 |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 듀얼-페달 컨트롤 시스템 |
JP2007137323A (ja) | 2005-11-21 | 2007-06-07 | Yanmar Co Ltd | 作業車両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3911A (ko) * | 2016-01-11 | 2017-07-19 | 대동공업주식회사 |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
KR20170083912A (ko) * | 2016-01-11 | 2017-07-19 | 대동공업주식회사 |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
KR102464878B1 (ko) | 2016-01-11 | 2022-11-09 | 주식회사 대동 |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
KR102464872B1 (ko) | 2016-01-11 | 2022-11-09 | 주식회사 대동 |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0263A (ko) | 2009-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69130A (ko) | 연속 변속기 시스템 | |
KR100961051B1 (ko) | 독립 hst 페달 링크 장치 | |
JP2012066735A (ja) | 移植機 | |
KR101900286B1 (ko) | Hst 변속조작장치 | |
KR102464872B1 (ko) |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 |
JP2005160445A (ja) | 農作業機 | |
JP6700808B2 (ja) | 水田作業機 | |
JP2550931Y2 (ja) | 作業車の走行用操作構造 | |
JP3468837B2 (ja) | 作業機 | |
US5679083A (en) | Wheel driving device for loader | |
JP2000346170A (ja) | 耕耘機の駆動伝達構造 | |
CN221634397U (zh) | 一种离合装置 | |
JPS5931469Y2 (ja) | 移動農機の走行伝動構造 | |
JP2003200747A (ja) | 変速操作装置 | |
JPH0637459Y2 (ja) | 農作業機における変速操作装置 | |
JP5381339B2 (ja) | 歩行型管理機 | |
JPH02133235A (ja) | トラクターのptoクラッチ機構 | |
JPH10159923A (ja) | 伝動正逆切換装置 | |
KR950008293A (ko) | 힘 변속장치 | |
JPS6121635Y2 (ko) | ||
US1131671A (en) | Stop mechanism. | |
JP2576643Y2 (ja) | 移動農機の変速装置 | |
JPH063699Y2 (ja) | 移動農機の後進耕耘牽制装置 | |
JPH039150A (ja) | 動力移動農機における無段変速装置 | |
JP4782275B2 (ja) | 管理機のレバ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