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524B1 - 검안 장치 - Google Patents

검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524B1
KR100960524B1 KR1020030096492A KR20030096492A KR100960524B1 KR 100960524 B1 KR100960524 B1 KR 100960524B1 KR 1020030096492 A KR1020030096492 A KR 1020030096492A KR 20030096492 A KR20030096492 A KR 20030096492A KR 100960524 B1 KR100960524 B1 KR 10096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ear vision
optometry
timing uni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8064A (ko
Inventor
호소이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04005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정확한 근거리 시력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검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검안 장치(1)는, 각각의 검안창(5a)을 가지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닛(5)과, 검안창(5a)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근거리 시력 막대기(2)와, 제1 근거리 시력 시표를 가지고, 근거리 시력 막대기에 배치되는 제1 정시 유닛(3)과, 제1 정시 유닛(3)을 양쪽 검안창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횡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보유하는 보유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안 장치{Optometric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안 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2는 정시 유닛 및 홀더부의 개략구성도이다.
도3은 도2의 A-A에 따라 자른 개략단면도이다.
도4는 제1 정시 유닛을 홀더부로부터 떼어 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5는 제1 정시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6은 홀더부에 제2 정시 유닛을 설치한 경우의 개략구성도이다.
도7은 홀더부에 제2 정시 유닛을 부착한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8은 제2 정시 유닛에 설치된 특수 시표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 검안 장치 본체 2 … 막대기
3 … 제1 정시 유닛 3a … 근거리 시력 차트 판
5 … 렌즈실 유닛 6 … 지지 유닛
8 … 조인트 부재 20 … 레일
21 … 눈금 22 … 중심 마크
35 … 중심 마크 36 … 눈금
30 … 케이스 50 … 홀더부
51 … 슬라이더 52 … 중간 홀더
53 … 베이스 56 … 고정 나사
57 … 중심 마크 59 … 눈금용 창
60 … 제2 정시 유닛 61 … 부착된 브래킷
62 … 자석 63 … 시표판
본 발명은, 피검사자의 눈의 굴절력을 자각적으로 검사하는 검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시력 시표에 따른 근거리 시력 검사에 적합한 검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검안창을 가지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닛을 구비하는 자각식의 검안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검안 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시력 검사를 행하는 경우, 검안창의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 근거리 시력 막대기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근거리 시력 차트(근거리 시력 시표)를 이용한다.
그런데, 근거리 시력 검사의 하나로서 "단안 조절력 검사"가 있다. 이 검사 는, 검사자의 한쪽의 눈을 차폐하여 피검사자가 정독할 수 있을 때까지 근거리 시력 차트의 최소 문자 시표를 피검안(차폐하지 않은 눈)으로 가깝게 가져가고, 그 시표가 흐리게 보이는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 위치를 굴절 도수로 검산하는 검사법이다. 이러한 검사를 상기의 종래 장치에 의하여 행한 경우, 종래 장치에서는 근거리 시력 차트가 좌우 눈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검안창에 배치된 교정 렌즈를 통한 피검안의 시선이 렌즈의 광학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 때문에, 난시와 프리즘 효과가 발생하고,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피검사자의 동공간 거리와 근거리 시력 차트의 위치에 의해, 좌우 렌즈실 유닛의 폭주각(輻輳角)을 변경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폭주각을 조정하는 폭주 기구는, 좌우 렌즈실 유닛들이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의 광학 중심과 피검안의 시선이 일치하는 근거리 시력 거리를 짧게 할 수 없다. 단안 조절력 검사에서는 피검안으로부터 10㎝ 정도까지 근거리 시력 차트를 가깝게 하기 때문에, 상기 폭주에 의한 대응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최근에 특히, 근거리 시력 검사가 중요시되기 때문에, 양쪽 눈의 시력 기능을 검사하는 특수 시표(예를 들면, 근거리 시력 부등상시증(不等像視症)을 검사하는 시표)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이 특수 시표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의 근거리 시력 차트와의 교체가 필요하고,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고, 또한, 다 른 근거리 시력 차트를 이용한 검사를 용이하게 행하는 검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검안자의 눈의 굴절력을 자각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검안 장치는, 각각의 검안창을 가지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닛과, 검안창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근거리 시력 막대기와, 제1 근거리 시력 시표를 가지고, 근거리 시력 막대기에 배치되는 제1 정시(呈示) 유닛과, 제1 정시 유닛을 양쪽 검안창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횡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보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의 검안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보유 수단은, 근거리 시력 막대기에 대하여 제1 정시 유닛을 상기 횡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3) 상기 (1)의 검안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보유 수단은, 렌즈실 유닛에 대하여 근거리 시력 막대기를 상기 횡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보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4) 상기 (1)의 검안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보유 수단은, 제1 정시 유닛을 근거리 시력 막대기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보유한다.
(5) 상기 (1)의 검안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1 정시 유닛의 상기 횡방향과 거의 평행한 이동 위치를 보고하는 제1 보고 수단을 가진다.
(6) 상기 (1)의 검안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1 정시 유닛이 상기 횡방향과 거의 평행한 이동 범위의 중심 위치에 위치한 것을 보고하는 제2 보고 수단을 가진다.
(7) 상기 (1)의 검안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2 근거리 시력 시표를 가지고, 근거리 시력 막대기에 배치되는 제2 정시 유닛을 더 포함하고, 보유 수단은, 제2 정시 유닛을 상기 횡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보유한다.
(8) 상기 (7)의 검안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보유 수단은, 제1 정시 유닛 및 제2 정시 유닛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보유한다.
(9) 피검사자의 눈의 굴절력을 자각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검안 장치는, 각각 검안창을 가지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닛과, 검안창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근거리 시력 막대기와, 제1 근거리 시력 시표를 가지는 제1 정시 유닛과, 제2 근거리 시력 시표를 가지는 제2 정시 유닛과, 제1 정시 유닛 및 제2 정시 유닛을 근거리 시력 막대기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함과 동시에, 제1 정시 유닛 및 제2 정시 유닛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는 보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상기 (9)의 검안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보유 수단은, 제1 정시 유닛 및 제2 정시 유닛을 각 시표 정시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보유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안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검안 장치 본체1은 좌우 대칭인 한 쌍의 렌즈실 유닛5와, 이 좌우의 렌즈실 유닛5를 매달아 지지(보유)하는 지지 유닛6,을 구비한다. 지지 유닛6에는 암4가 접속되어 있고, 이 암4에 의해 검안 장치 본체1이 매달려 지지(보유)된다.
좌우의 렌즈실 유닛5의 내부에는, 구면 렌즈 및 원기둥 렌즈 등의 다수의 광학 소자와 차폐판 등이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된 렌즈 디스크와 편광판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좌우 렌즈실 유닛5의 각각에 설치된 검안창5a에 광학 소자와 차폐판 등이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검안 장치 본체1(지지 유닛6)은, 피검사자의 동공간 거리에 맞춰서 검안창5a의 간격을 바꾸기 위하여, 좌우 렌즈실 유닛5의 간격을 조정하는 슬라이드 기구 및 좌우 렌즈실 유닛5의 폭주각(내향각)을 조정하는 폭주 기구를 구비한다. 이 슬라이드 기구 및 폭주 기구는 주지된 것이고(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0-14872, US5929971, DE19728262A1 참조), 본 발명과의 관계는 적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유닛6에는, 조인트 부재8을 통하여 검안창5a의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막대기2가 부착되어 있다. 막대기2는 좌우의 렌즈 유닛5의 중간에 해당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막대기2에는 피검안으로부터 후술하는 제1 정시 유닛3까지의 거리(근거리 시력 시표 정시 거리)를 나타내는 눈금이 그려져 있다. 또한, 막대기2는 조인트 부재8에 의해 위쪽으로 차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정시창31로부터 필요한 근거리 시력 시표를 정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2 참조). 또한, 제1 정시 유닛3은 간단하게 근거리 시력 시표가 나타나 있는 근거리 시력 시표판이어도 좋다.
도2는 제1 정시 유닛3 및 홀더부50의 개략구성도이다. 홀더부50은, 슬라이더51과, 중간 홀더52와, 베이스53을 포함한다. 슬라이더51에는, 가이드 구멍51a가 형성되고, 여기에 막대기2가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51은, 막대기2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중간 홀더52는, 슬라이더51의 밑면에 고정된 축55의 수직축V1을 중심으로 하여 36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53은 제1 정시 유닛3을 보유하는 것이고, 중간 홀더52의 수평축H1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슬라이더51에는, 꼭대기 부분을 관통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 구멍에 고정 나사56이 관통한다. 고정 나사56이 체결되면, 막대기2에 대한 슬라이더51의 이동을 고정한다. 고정 나사56을 풀어서, 막대기2에 대한 홀더부50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직축V1 및 수평축H1은 막대기2의 축에 수직이다.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제1 정시 유닛3의 케이스30의 상부에는, 단면이 T형상인 T형상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53의 아래쪽에는 이 T형상부30a를 받는(취합하는) 안내홈53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정시 유닛3은 베이스53에 의해 매달아 보유함과 동시에, 안내홈53a에 따라(렌즈실 유닛5가 폭주되어 있지 않은 형상의) 양쪽 검안창5a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 는 횡(좌우) 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보유된다. 제1 정시 유닛3의 좌우 방향의 이동 거리는, 적어도 피검사자의 동공간 거리 부분(표준적인 동공간 거리 부분)이 확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80㎜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T형상부30a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확보된다. 또한, 제1 정시 유닛3을 한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것에 의해, 베이스53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근거리 시력 차트판3a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도4는 제1 정시 유닛3을 홀더부50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케이스30의 상부에 형성된 T형상부30a의 표면 및 이면에는,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중심 마크35가 그려져 있고, 그 양측에는 중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눈금36이 나타나 있다. 한편, 베이스53의 하부의 표면 및 이면에는 눈금용 창59가 형성되어 있고, 이 눈금용 창59의 상부에는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중심 마크57이 나타나 있다(도2 참조). 제1 정시 유닛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 때에는, 마크57과 눈금용 창59를 통하여 표시된 중심 마크35 및 눈금36에 의해, 제1 정시 유닛3의 좌우 방향의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눈금36에 나타난 거리 표시를, 피검사자의 동공간 거리에 그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중심 위치로부터의 실거리의 2배로 한다.
또한, 베이스53에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판 용수철58이 형성되어 있고(도2 참조), 제1 정시 유닛3이 중심 위치에 이른 때에, 판 스프링58의 볼록부가 T형상부30a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오목부)38과 계합하여, 검사자가 클릭(click)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정시 유닛3을 중심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치에 있어서, 조절력 검사를 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좌우의 렌즈실 유닛5는, 원거리 시력 검사의 때와 같이, 폭주를 시키지 않는다. 오른쪽 눈의 단안 조절력 검사를 행하는 경우, 도1과 같이, 피검사자의 동공간 거리에 맞추고, 눈금창59에 표시된 눈금36을 보면서, 제1 정시 유닛3을 피검사자로부터 보아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 검안창5a에 배치된 교정 렌즈를 통하여 시선이, 렌즈의 광학 중심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근거리 시력 차트의 근거리 시력 시표를 향하게 된다. 또한, 오른쪽 눈의 검사 시에는 왼쪽 눈의 검안창5a에 차폐판을 배치한다.
검사자는, 막대기2에 대하여 홀더부50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제1 정시 유닛3을 눈 앞 50㎝로부터 피검안 측에 천천히 가까워지게 한다. 피검사자에 근거리 시력 시표를 보여주고, 피검사자가 시표의 흐림을 자각하면 제1 정시 유닛3의 이동을 정지한다. 이 때의 제1 정시 유닛3의 정시 거리를 막대기2에 나타낸 눈금으로부터
읽는다. 이 읽어진 값에 기초하여 조절력이 산출된다. 제1 정시 유닛3을 가깝게 가져가는 경우에 있어서도, 피검안의 시선은 교정 렌즈의 광학 중심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있다.
왼쪽 눈의 검사 시에는, 마찬가지로, 눈금창59에 표시되는 눈금36을 보면서, 제1 정시 유닛3을 피검사자로부터 보아 왼쪽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좋다.
도5는, 제1 정시 유닛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5에 있어서, 지지 유닛6의 앞쪽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20이 부착되어 있고, 막대기2의 조인트 부재8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레일20에 보유되어 있다. 또한, 지지 유닛6의 표면에는, 막대기2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눈금21 및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중심 마스크22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막대기2를 동공간 거리에 맞춰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막대기2와 함께 제1 정시 유닛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와 같이, 피검안의 시선에 맞도록 근거리 시력 시표를 정시하고 단안의 조절력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막대기2에 대하여 제1 정시 유닛3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기구와 막대기2를 지지 유닛6(렌즈실 유닛5)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기구 모두를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정시 유닛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근거리 시력 시표를 정시한 경우, 시표의 표시 위치가 적어도 동공간 거리 부분을 이동할 수 있는 크기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정시 유닛을 좌우로 이동시키지 않고, 근거리 시력 시표의 정시 위치를 피검안의 시선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정시 유닛은 막대기2 위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유 수단(홀더부)에 의해 보유시킨다.
도6은, 도1의 홀더부50에 제2 정시 유닛을 설치한 경우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7은 이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6, 도7에 있어서, 60이 제2 정시 유닛이다.
베이스53에는 볼트54a와 너트54b에 의해, 부착된 브래킷61이 고정되어 있다. 부착된 브래킷61은, 막대기2 측으로 연장하는 면과, 베이스53에 보유되는 제1 정시 유닛3의 시표 정시면에 대하여 약90도의 각도로 연장하는 수용면61a를 포함한다. 수용면61a의 앞쪽 끝에는, 특히 오목부61b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된 브래킷61은 자석에 흡인되는 철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2 정시 유닛60의 시표판63의 상부에는 자석62가 고정되어 잇다. 이 자석62를 부착된 브래킷61의 수용면61a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정시 유닛60은 그 시표 정시면이 제1 정시 유닛3의 시표 정시면에 대하여 막대기2측으로 약 90도를 이루는 위치 관계에서 베이스53에 보유된다. 또한, 이 각도는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53은 중간 홀더52의 수평축H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도6에서 화살표B의 방향으로 제1 정시 유닛3과 함께 제2 정시 유닛6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막대기2의 축에 직교하는 면에 제2 정시 유닛60의 시표 정시면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피검안에 정시하는 시표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정시 유닛60은, 자석62에 의해 부착되기 때문에, 베이스53에 대하여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정시 유닛60에 구비되는 시표는, 예를 들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안 시각 기능 검사용의 특수 시표이다. 제2 정시 유닛60의 시표판63에는, 부등상시증 검사용 시표65와 주시 시차(fixation disparity) 검사용 시표68이 형성되어 있다. 시표65는 오른쪽 눈에 정시하는 것과 왼쪽 눈에 정시하는 것을 가지고, 각각 편광축이 직교하는 편광판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시표68에 관 하여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시표 구성에 관하여는, 주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제2 정시 유닛60을 이용하여 양안 시각 기능 검사를 행하는 때에는, 중간 홀더52의 수평축H1을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53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정시 유닛60의 시표 정시면을 피검안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부등상시증 검사의 경우에는, 시표65의 중심이 홀더부50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제2 정시 유닛6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부착한다. 그리고, 좌우의 검안창5a에, 각각 소정의 편광판을 세팅하는 것에 의해, 좌우 눈에서의 부등상시증이 보이는 경우를 검사한다. 주시 시차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시표68의 중심이 홀더부50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제2 정시 유닛6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부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시력 차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안조절력 검사 등의 검사를 보다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근거리 시력 차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0)

  1. 검안자의 눈의 굴절력을 자각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검안 장치로서,
    각각의 검안창을 가지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닛과,
    검안창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근거리 시력 막대기와,
    제1 근거리 시력 시표를 가지고, 근거리 시력 막대기에 배치되는 제1 정시 유닛과,
    제1 정시 유닛을 양쪽 검안창의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횡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보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은, 근거리 시력 막대기에 대하여 제1 정시 유닛을 상기 횡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은, 렌즈실 유닛에 대하여 근거리 시력 막대기를 상기 횡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보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은, 제1 정시 유닛을 근거리 시력 막대기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시 유닛의 상기 횡방향과 거의 평행한 이동 위치를 보고하는 제1 보고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시 유닛이 상기 횡방향과 거의 평행한 이동 범위의 중심 위치에 위치한 것을 보고하는 제2 보고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2 근거리 시력 시표를 가지고, 근거리 시력 막대기에 배치되는 제2 정시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유 수단은, 제2 정시 유닛을 상기 횡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은, 제1 정시 유닛 및 제2 정시 유닛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 전 가능하도록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9. 피검사자의 눈의 굴절력을 자각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검안 장치로서,
    각각의 검안창을 가지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닛과,
    검안창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근거리 시력 막대기와,
    제1 근거리 시력 시표를 가지는 제1 정시 유닛과,
    제2 근거리 시력 시표를 가지는 제2 정시 유닛과,
    제1 정시 유닛 및 제2 정시 유닛을 근거리 시력 막대기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함과 동시에, 제1 정시 유닛 및 제2 정시 유닛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는 보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은, 제1 정시 유닛 및 제2 정시 유닛을 각 시표 정시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KR1020030096492A 2002-12-26 2003-12-24 검안 장치 KR100960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6666A JP3935838B2 (ja) 2002-12-26 2002-12-26 検眼装置
JPJP-P-2002-00376666 2002-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064A KR20040058064A (ko) 2004-07-03
KR100960524B1 true KR100960524B1 (ko) 2010-06-03

Family

ID=3258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492A KR100960524B1 (ko) 2002-12-26 2003-12-24 검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35838B2 (ko)
KR (1) KR100960524B1 (ko)
DE (1) DE1036097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7130B2 (ja) * 2005-09-01 2012-03-28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JP6197274B2 (ja) * 2012-09-14 2017-09-20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JP7095364B2 (ja) * 2018-03-30 2022-07-05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181A (ja) 1996-09-19 1998-04-07 Topcon Corp 近用自覚式検眼装置
JPH10272099A (ja) 1997-03-31 1998-10-13 Nidek Co Ltd 視標呈示装置
JPH10276983A (ja) 1997-04-04 1998-10-20 Hoya Corp 近用距離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903U (ko) * 1989-07-04 1991-02-20
US5220362A (en) * 1991-10-31 1993-06-15 Woodlyn Inc. Ophthalmic ligh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181A (ja) 1996-09-19 1998-04-07 Topcon Corp 近用自覚式検眼装置
JPH10272099A (ja) 1997-03-31 1998-10-13 Nidek Co Ltd 視標呈示装置
JPH10276983A (ja) 1997-04-04 1998-10-20 Hoya Corp 近用距離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02052A (ja) 2004-07-22
DE10360970A1 (de) 2004-07-15
JP3935838B2 (ja) 2007-06-27
DE10360970B4 (de) 2015-02-05
KR20040058064A (ko) 200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388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arameters required when mounting ophthalmic lenses upon a spectacles frame
EP3243428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ordnung eines brillenglases
US73226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pupil distance
US10405742B2 (en) Apparatus for assisting in establishing a correction for correcting heterotropia or heterophoria and method of operating a computer for assisting in establishing a correction for correcting heterotropia or heterophoria
WO2016101204A1 (en) Device for measuring phoria and method for measuring phoria using the device
JP2009112400A (ja) 検眼枠
KR100960524B1 (ko) 검안 장치
JP3240242B2 (ja) アイポイント測定具
CN211094008U (zh) 一种眼镜验配测量架
US7341350B1 (en) Method for evaluating and measuring accommodation amplitude and range and a device for employing same
EP0498363B1 (en) Ophthalmic measuring apparatus
KR102042511B1 (ko) 안과 검사용 기구
Husna et al. Lens decentration of spectacle wearers
JPH01158933A (ja) 瞳孔間距離計
CN211094009U (zh) 一种眼镜验配测量架
CN211094002U (zh) 一种眼镜验配测量架
RU214124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бора оправы и линз корригирующих очков
CN211094000U (zh) 一种针孔镜片及眼镜验配测量架
KR101661852B1 (ko) 다기능 검안 자
RU97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бора оправы и линз корригирующих очков
KR200391189Y1 (ko) 검안자의 얼굴위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호롭터
CN112754423A (zh) 一种眼镜验配测量架
CN112754426A (zh) 一种眼镜验配测量架
JP2005107250A (ja) 双眼拡大鏡の製造治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製造方法
JP2627553B2 (ja) 瞳孔間距離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