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489B1 -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 Google Patents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489B1
KR100960489B1 KR1020070011840A KR20070011840A KR100960489B1 KR 100960489 B1 KR100960489 B1 KR 100960489B1 KR 1020070011840 A KR1020070011840 A KR 1020070011840A KR 20070011840 A KR20070011840 A KR 20070011840A KR 100960489 B1 KR100960489 B1 KR 10096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ogen
carbon atoms
alkenyl
aralkyl
a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169A (ko
Inventor
유동우
심정섭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1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489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1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integral means to prevent the glass from slipping or tipping-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란기를 포함하는 노보넨계 단량체 및 다양한 가공성을 부여하는 노보넨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필름은 내열성, 접착성 및 흡광도가 우수하여 PDP 필터용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노보넨계 단량체. 실란기, 노보넨계 공중합체. PDP, 보호필름

Description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NORBORNENE COPOLYMER AND FILM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실시예 4, 6, 7 및 8에서 제조된 노보넨계 공중합체의 TGA(Thermal Gravity Analysis)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3, 14, 17 및 18에서 제조된 노보넨계 공중합체의 TGA(Thermal Gravity Analysis)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7, 8, 13 및 14의 자외선-가시광선-근적외선 영역에서의 빛 흡수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실란기를 포함하는 노보넨계 단량체로 제조된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PDP(plasma display panel)는 유리기판 위에 전극과 형광체를 도포하고 그 사이의 공간에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대형화에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LCD와 경쟁을 하고 있는 방식이다.
PDP의 전면에 PDP 필터(filter)가 장착되는데, 이 필터는 PDP TV의 광학특성을 향상시키고 전자파를 차폐하는 핵심부품으로서, 주요 기능으로는 색보정, 색재현성 향상, 콘트라스트(contrast) 개선, 반사 방지, 전자파 차폐, 기기 오작동 등을 유발하는 근적외선(NIR)의 차폐 기능이 있다. 기존의 필터는 주로 유리를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나, 대형화가 가속화되면서 PDP 패널(panel)의 중량 감소 및 박형화 요구에 따라 고분자 필름(film)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PDP 필터로서 고분자 필름의 재료로 현재 사용되고 있거나, 검토중인 물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AC),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등이 있다.
그런데, PDP 패널 공정의 대형화와 공정단순화를 위한 프린팅 공정으로 인해, 기존 공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공정온도(~150℃)가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고분자의 물성도 공정온도에서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또한, 전자파 차폐물질로 사용되는 Cu 또는 Ag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Cu 또는 Ag로 이루어진 메시 패턴(mesh pattern)에 대한 접착력도 하나의 검토조건으로 판단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란기를 포함하는 노보넨계 단량체로 제조된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내열성 및 고접착성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노보넨계 단량체 10 ~ 99 몰%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노보넨계 단량체 1 ~ 90 몰%를 포함하는 노보넨계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보넨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노보넨계 단량체 50 ~ 80 몰%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 20 ~ 50 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노보넨계 단량체는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시, 열적 안정성과 표면에 대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노보넨계 공중합체로 제조될시, 구조적 단단함을 완화시켜 열팽창 계수(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를 조절할 수 있고, 비용을 낮추며, 용매에 대한 용해도 향상 등의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1081637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p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R1, R2, R3, 및 R4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실란기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 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랄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인, 황 또는 보론을 포함하는 극성기(polar grou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작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R1, R2, R3, 및 R4 는 수소, 할로겐 또는 극성 작용기가 아니면, R1과 R2, 또는 R3와 R4가 서로 연결되어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리덴 그룹을 형성하거나, 또는 R1 또는 R2 가 R3 및 R4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탄소수 4 내지 1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고리, 또는 탄소수 6 내지 24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7010816377-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p’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R1’,R2’,R3’및 R4’ 는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수소; 할로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 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랄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인, 황 또는 보론을 포함하는 극성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극성 작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R1’,R2’,R3’및 R4’ 가 수소, 할로겐, 또는 극성 작용기가 아닌 경우, R1’과 R2’ 또는 R3’와 R4’가 서로 연결되어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리덴 그룹을 형 성하거나, 또는 R1’또는 R2’가 R3’및R4’중의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탄소수 4 내지 1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고리, 또는 탄소수 6 내지 24의 방향족 고리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R1, R2, R3, 및 R4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실란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는,
Figure 112007010816377-pat0000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0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0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0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0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0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0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1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1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1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1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1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1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1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1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1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1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2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2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2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2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2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2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2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2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2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2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3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3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3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3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34
, 및
Figure 112007010816377-pat00035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화합물에서, R11은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 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 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랄킬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실렌; 또는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의 카보닐옥실렌이며, R11이 2개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R12,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 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랄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 또는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의 카보 닐옥시이고, R12가 2이상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극성 작용기는,
-R8OR9, -OR9, -OC(O)OR9, -R8OC(O)OR9, -R8C(O)OR9 , -C(O)R9, -R8C(O)R9, -C(O)OR9, -OC(O)R9, -R8OC(O)R9, -(R8O)k-OR9(k는 1~10의 정수), -(OR8)k-OR9(k는 1~10의 정수), -C(O)-O-C(O)R9, -R8C(O)-O-C(O)R9, -SR9, -R8SR9, -SSR9, -R8SSR9, -S(=O)R9, -R8S(=O)R9, -R8C(=S)R9, -R8C(=S)SR9, -R8SO3R9, -SO3R9, -R8N=C=S, -N=C=S, -NCO, -R8-NCO, -CN, -R8CN, -NNC(=S)R9, -R8NNC(=S)R9, -NO2, -R8NO2,
Figure 112007010816377-pat0003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3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3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3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4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4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4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4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4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4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4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4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4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4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5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5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5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5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5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5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5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5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5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5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6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6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6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6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6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6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6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6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6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6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7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71
Figure 112007010816377-pat00072
으로 표시된 치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R8 및 R11은 상기 화학식 1의 R11의 범위와 같으며, R8 또는 R11이 2개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R9, R12, R13 및 R14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상기 화학식 1의 R12, R13 및 R14의 범위와 동일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예시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 중에서도 하기 예시된 바와 같은 트리알콕시실란기, 트리할로알콕시실란기, 트리카보닐옥시실란기, 트리할로카보닐옥시실란기, 트리아릴옥시실란기, 트리할로아릴옥시실란기, 트리실릴실란기, 트리실록시실란기 등을 갖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10816377-pat0007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7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7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7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7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7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7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8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8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8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8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8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8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8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8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88
또한, 상기 예시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 중에서도 하기 예시된 바와 같은 에스테르기 또는 아세테이트기, 즉 -OC(O)OR9, -R8OC(O)OR9, -R8C(O)OR9 , -C(O)OR9, -OC(O)R9, -R8OC(O)R9, -C(O)-O-C(O)R9 및 -R8C(O)-O-C(O)R9를 갖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노보넨계 단량체들을 포함하는 노보넨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는 공중합체의 중합이 가능한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개환중합 또는 부가중합에 따라 중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로 제조된 노보넨계 공중합체는 250℃ 이상에서 열적으로 분해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열적안정성을 갖고 있고, 접착력이 우수하다. 또한,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톨루엔(toluene)과 같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 및 필름형성 가능성이 상당히 우수하여 공정 용이성 면에서 아주 우수한 물질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 노보넨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은 PDP 필터용 보호필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150℃ 이상의 온도에서 필름이 변색되거나 불투명해지는 현상이 없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용도의 고분자 필름의 가장 근본적인 물성이 필름의 투명도인데, 본 발명의 필름은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에 걸쳐서 거의 모든 빛을 5% 미만으로 흡수하고, 바람직하게는 3% 미만으로 흡수하고 나머지는 투과하며, 열처리 후에도 그 현상은 변화가 없다.
이는 기존의 고분자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 예를 들면, 고온에서 필름이 불투명해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문제점, 투과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의 문제점 등을 제거함과 동시에 장점들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노보넨계 공중합체를 용매에 녹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용액을 기판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건조된 필름을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액 캐스팅을 이용한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PDP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름은 PDP 필터에서 PDP 필터용 보호필름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DP 필터는 반사 방지(anti-reflecion)층, 전자파 차폐층, 색보정층(color control layer), 근적외선 차폐층 등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성층을 포함하는데, 상기 기능성층들 중에서 최외각층 또는 기능성층들의 사이에 상기 PDP 필터용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름, 이를 포함하는 PDP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PDP를 제공하는데, 이는 PDP 공정에 있어서 우수한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노보넨 단량체 합성
<실시예 1>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
2L 고압반응기에 DCPD(dicyclopentadiene, 알드리치, 48.9g, 0.37㏖), 비닐트리에톡시실란(140g, 0.74㏖)을 넣은 후 온도를 180 ℃까지 올렸다. 300rpm로 교반하면서 6 시간 반응시킨 후, 종료하여 반응물을 식히고 증류장치로 옮겼다.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1torr로 감압 증류하여 100℃에서 생성물을 얻었다(수율: 71 %). 엑소 / 엔도 = 48 / 52
1H-NMR (600MHz, CDCl3); δ 6.33~5.91 (m, 2H), 3.80 (m, 6H), 2.91 (b, 2H), 1.88 (m, 1H), 1.79 (m, 1H), 1.36 (dd, 2H), 1.17 (m, 9H), 0.47 (m, 1H).
<실시예 2> 노보넨 카복실릭산 메틸에스테르
2L 고압반응기에 DCPD(dicyclopentadiene, 알드리치, 256.5㎖, 1.9㏖), 메틸아크릴레이트(알드리치, 405㎖, 4.5㏖), 하이드로퀴논(3.2g, 0.03㏖)을 넣은 후 온도를 180 ℃까지 올렸다. 300 rpm로 교반하면서 6 시간 반응시킨 후, 종료하여 반응물을 식히고 증류장치로 옮겼다.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1 torr로 감압 증류하여 50 ℃에서 생성물을 얻었다(수율: 86 %). 엑소 / 엔도 = 52 / 48
1H-NMR (600MHz, CDCl3), endo: δ 6.17 (dd, 1H), 5.91 (dd, 1H), 3.60 (s, 3H), 3.17 (b, 1H), 2.91 (m, 1H), 2.88 (b, 1H), 1.90 (m, 1H), 1.42 (m, 2H), 1.28 (m, 1H); exo: δ 6.09 (m, 2H), 3.67 (s, 3H), 3.01 (b, 1H), 2.88 (b, 1H), 2.20 (m, 1H), 1.88 (m, 1H), 1.51 (d, 1H), 1.34 (m, 2H).
13C-NMR (600MHz, CDCl3), endo: δ 29.10 (CH2), 42.39 (CH), 43.03 (CH), 45.52(CH), 49.47(CH2), 51.28(CH3), 132.23(CH), 137.56(CH), 175.02(C); exo: δ 30.20(CH2), 41.49(CH), 42.83(CH), 46.21(CH2), 46.43(CH), 51.53(CH3), 135.59(CH), 139.90(CH), 176.52(C).
<실시예 3> 5-노보넨-2-메틸아세테이트
2L 고압반응기에 DCPD(dicyclopentadiene, 알드리치, 248㎖, 1.852㏖), 알릴아세테이트(알드리치, 500 ㎖, 4.63㏖), 하이드로퀴논(0.7g, 0.006㏖)을 넣은 후 온도를 180 ℃까지 올렸다. 300 rpm로 교반하면서 5 시간 반응시킨 후, 종료하여 반응물을 식히고 증류장치로 옮겼다.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1 torr로 감압 증류를 2회에 걸쳐서 실시하여 56 ℃에서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0 %). 엑소 / 엔도 = 17 / 83
1H-NMR (300MHz, CDCl3): δ.17 ~5.91 (m, 2H), 4.15 ~ 3.63 (m, 2H), 2.91 ~ 2.88 (m, 2H), 2.38 (m, 1H) , 2.05 (s, 3H), 1.83 (m, 1H), 1.60 ~ 1.25 (m, 2H) , 0.57 (m, 1H )
실시예 4 내지 18: 공중합체 합성
<실시예 4>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1g, 3.9m㏖)과 노보넨 카복실릭산 메틸에스테르 (5.34g, 35.1m㏖)를 톨루엔(63㎖)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와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27%, 분자량(Mw): 93k (PDI, polydispersity index = 1.81)).
<실시예 5>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3g, 11.7m㏖)과 노보넨 카복실릭산 메틸에스테르 (4.15g, 27.3m㏖)을 톨루엔(72㎖)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와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44%, 분자량(Mw): 176k(PDI = 2.01)).
<실시예 6>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5g, 19.5m㏖)과 노보넨 카복실릭산 메틸에스테르 (2.97g, 19.5m㏖)을 톨루엔(80㎖)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와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54%, 분자량(Mw): 283k(PDI = 2.79)).
<실시예 7>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7g, 27.3m㏖)과 노보넨 카복실릭산 메틸에스테르 (1.78g, 11.7m㏖)을 톨루엔(88㎖)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 ㏖)와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86%, 분자량(Mw): 502k(PDI = 3.18)).
<실시예 8>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8g, 31.2m㏖)과 노보넨 카복실릭산 메틸에스테르 (1.19g, 7.8m㏖)을 톨루엔(92㎖)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와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60%, 분자량(Mw): 863k(PDI = 2.31)).
<실시예 9>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8g, 31.2m㏖)과 노보넨 카복실릭산 메틸에스테르 (1.19g, 7.8m㏖)을 톨루엔(92㎖)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3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와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3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29%, 분 자량(Mw): 653k(PDI = 1.26)).
<실시예 10>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8g, 31.2m㏖)과 노보넨 카복실릭산 메틸에스테르 (1.19g, 7.8m㏖)을 톨루엔(92㎖)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와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18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62%, 분자량(Mw): 831k(PDI = 2.10)).
<실시예 11>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8g, 31.2m㏖)과 노보넨 카복실릭산 메틸에스테르 (1.19g, 7.8m㏖)을 톨루엔(64㎖)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와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72%, 분자량(Mw): 553k(PDI = 3.00)).
<실시예 12>
노보넨 카복실릭산 메틸에스테르(1.19g, 7.8m㏖)을 톨루엔(64㎖)에 섞어 질 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과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시린지펌프를 사용하여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8g, 31.2m㏖)를 약 5㎖의 톨루엔에 희석시킨 후, 3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투입하였다. 그리고, 2시간 더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64%, 분자량(Mw): 257k(PDI = 2.02)).
<실시예 13>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7g, 27.3m㏖)과 5-노보넨-2-메틸아세테이트(1.95g, 11.7m㏖, 엔도/엑소=55/45)을 톨루엔(63㎖)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과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51%, 분자량(Mw): 637k(PDI = 2.09).
<실시예 14>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8g, 31.2m㏖)과 5-노보넨-2-메틸아세테이트(1.25g, 7.5m㏖, 엔도/엑소=55/45)을 톨루엔(65㎖)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과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52%, 분자량(Mw): 549k(PDI = 2.14)).
<실시예 15>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1g, 3.9m㏖)과 5-노보넨-2-메틸아세테이트 (5.83g, 35.1m㏖, 엔도/엑소=55/45)을 톨루엔(48㎖)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과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56%, 분자량(Mw): 623k(PDI = 2.2).
<실시예 16>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2g, 7.8m㏖)과 5-노보넨-2-메틸아세테이트 (5.2g, 31.2m㏖, 엔도/엑소=55/45)을 톨루엔(50㎖)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0.87mg, 3.9μ㏖)과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7.9mg, 81.9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58%, 분자량(Mw): 523k(PDI = 2.57).
<실시예 17>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3g, 11.7m㏖)과 5-노보넨-2-메틸아세테이트 (4.53g, 27.3m㏖, 엔도/엑소=55/45)을 톨루엔(53㎖)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1.74mg, 7.8μ㏖)와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15.8mg, 163.8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81%, 분자량(Mw): 401k(PDI = 4.15)).
<실시예 18>
5-노보넨-2-트리에톡시실란(5g, 19.5m㏖)과 5-노보넨-2-메틸아세테이트 (3.24g, 19.5m㏖, 엔도/엑소=55/45)을 톨루엔(58㎖)에 섞어 질소대기하에서 30분동안 교반을 하였다. 교반 후, 온도를 90℃까지 올리고, MC(1㎖)에 녹아있는 Pd(acetate)2(1.74mg, 7.8μ㏖)과 트리스(시클로헥산)포스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염(15.8mg, 163.8μ㏖) 혼합용액을 위 반응용액에 투입하였다. 약 5시간동안 90℃에서 교반한 후, 에탄올에 침전을 시키고, 흰색의 파우더를 얻었다. (수율: 73%, 분자량(Mw): 408k(PDI = 2.39)).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4, 6, 7, 8, 13, 14, 17 및 18에서 얻은 각각의 고분자 파우더에 대한 열분석을 위해 TGA(Thermal Gravity Analysis)를 통하여 열적거동을 확인하였다. TGA는 10℃/min씩 온도를 올리며 700℃까지 수집하였다. TGA에 따른 결과는 도 1 및 2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4 ~ 18에서 얻은 각각의 고분자에 대한 용해도를 MEK(methyl ethyl ketone), EA(ethyl acetate), THF(tetrahydrofuran), 톨루엔(toluene)에 대해 확인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체 용액대비 10, 15 또는 20wt%를 넣고 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100g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최대 질량”을 나타내는 용해도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그 결과 용액대비 고분자의 농도가 10wt%일 때 깨끗하게 용해되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4 ~ 18에서 얻은 각각의 고분자를 톨루엔에 15wt%로 녹인 후, 10시간동안 쉐이커(shaker)로 흔들어 주었다. 표면이 깨끗한 유리판에 약 5㎖ 가량을 잘 뿌린 후, 유리판에서 100㎛ 위에 위치한 칼날로 밀어내었다. 이렇게 표면에 코팅된 고분자 필름을 상온에서 약 1시간동안 에이징(aging) 한 후, 100℃ 오븐에서 1시간동안 건조하였다. 건조한 후에 필름을 유리판에서 떼어내어, 투명한 고분자 필름을 얻었다.
<실험예 4>
상기 실험예 3에서 실시예 18의 고분자로 제조한 고분자 필름의 열팽창 계 수(CTE)를 측정하기 위해 2㎝×5㎝ 크기로 필름을 잘라서 TMA를 통하여 CTE는 170ppm/℃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3을 통해 얻은 각각의 고분자 필름 및 PEN 필름에 이소포론에 분산시킨 Ag 페이스트(paste)를 코팅한 후에 150℃에서 열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상온에서 격자모양으로 9 조각을 내고, 테이프를 붙였다가 떼어내었다. PEN 필름의 경우, PEN 필름에 테이핑한 부분이 필름까지 깨끗하게 떨어져나갔다. 반면, 본 발명의 고분자 필름은 시행한 모든 필름에 대해서 페이스트가 떨어져나가지 않거나 떨어져나가도 표면부분의 페이스트만 일부분 떨어져나갔다.
따라서, 본 실험예를 통해, 기존의 필름보다 본 발명의 고분자 필름의 페이스트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상기 실시예 7, 8, 13, 및 14에서 얻은 고분자의 약 0.1g씩을 각각 취하여 UV-Vis 분광계(spectrometer, Agilent 8453)의 샘플 패드(sample pad) 위에 놓고,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 3과 같이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3의 그래프를 보는바와 같이, 측정된 결과에 의하면 실험의 모든 고분자들이 5% 미만의 흡광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MEK(wt%) EA(wt%) THF(wt%) 톨루엔(wt%)
4 10 10 10 20
5 10 10 10 20
6 10 10 15 20
7 15 20 15 20
8 15 15 10 20
9 15 20 15 20
10 15 15 10 20
11 20 20 15 20
12 20 20 15 20
13 15 15 15 20
14 10 10 10 20
15 10 10 10 20
16 15 15 10 20
17 15 15 15 20
18 15 15 15 20
본 발명에 따른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은 내열성, 접착성 및 흡광도가 우수하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 10 ~ 99 몰%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 1 ~ 90 몰%를 포함하는 것인 노보넨계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07010816377-pat00089
    상기 화학식 1에서,
    p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R1, R2, R3, 및 R4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실란기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할로 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랄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인, 황 또는 보론을 포함하는 극성기(polar grou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작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R1, R2, R3, 및 R4 는 수소, 할로겐 또는 극성 작용기가 아니면, R1과 R2, 또는 R3와 R4가 서로 연결되어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리덴 그룹을 형성하거나, 또는 R1 또는 R2 가 R3 및 R4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탄소수 4 내지 1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고리, 또는 탄소수 6 내지 24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화학식 2]
    Figure 112007010816377-pat00090
    상기 화학식 2에서,
    p’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R1’,R2’,R3’및 R4’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수소; 할로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 할로겐, 알킬, 알케 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랄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인, 황 또는 보론을 포함하는 극성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극성 작용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R1’,R2’,R3’및 R4’가 수소, 할로겐, 또는 극성 작용기가 아닌 경우, R1 과 R2’ 또는R3’와 R4’가 서로 연결되어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리덴 그룹을 형성하거나, 또는 R1’또는 R2’가 R3’및 R4’중의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탄소수 4 내지 1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고리, 또는 탄소수 6 내지 24의 방향족 고리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1, R2, R3, 및 R4 중에서 적어도 하나 는,
    Figure 112007010816377-pat0009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9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9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9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9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9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9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9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09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0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0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0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0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0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0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0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0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0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0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1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1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1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1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1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1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1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1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1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1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2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2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22
    , 및
    Figure 112007010816377-pat00123
    으로 표시되는 치환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인 노보넨계 공중합체로서,
    여기서 R11은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랄킬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실렌; 또는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 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의 카보닐옥실렌이며, R11이 2개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R12,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 의 시클로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랄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 또는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의 카보닐옥시이고, R12가 2이상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인 노보넨계 공중합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50 ~ 80 몰%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 20 ~ 50 몰%로 포함되는 것인 노보넨계 공중합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및 2의 극성 작용기는,
    -R8OR9, -OR9, -OC(O)OR9, -R8OC(O)OR9, -R8C(O)OR9 , -C(O)R9, -R8C(O)R9, -C(O)OR9, -OC(O)R9, -R8OC(O)R9, -(R8O)k-OR9(k는 1~10의 정수), -(OR8)k-OR9(k는 1~10의 정수), -C(O)-O-C(O)R9, -R8C(O)-O-C(O)R9, -SR9, -R8SR9, -SSR9, -R8SSR9, -S(=O)R9, -R8S(=O)R9, -R8C(=S)R9, -R8C(=S)SR9, -R8SO3R9, -SO3R9, -R8N=C=S, -N=C=S, -NCO, -R8-NCO, -CN, -R8CN, -NNC(=S)R9, -R8NNC(=S)R9, -NO2, -R8NO2,
    Figure 112007010816377-pat0012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2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2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2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2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2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3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3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3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3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3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3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3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3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3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3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4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4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4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4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4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4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4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4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4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49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50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51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52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53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54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55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56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57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58
    ,
    Figure 112007010816377-pat00159
    Figure 112007010816377-pat00160
    으로 표시된 치환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노보넨계 공중합체로서,
    여기서, R8 및 R11은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 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랄킬렌;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실렌; 또는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의 카보닐옥실렌이며, R8 또는 R11이 2개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R9, R12, R13 및 R14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할로겐; 할로겐, 알 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 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랄킬;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 또는 할로겐,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아릴, 할로아릴, 아랄킬, 할로아랄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카보닐옥시, 할로카보닐옥시, 아릴옥시, 할로아릴옥시, 실릴 및 실록시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의 카보닐옥시인 노보넨계 공중합체.
  5. 청구항 1 내지 4 중 한 항의 노보넨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
  6. 청구항 5에 있어서, PDP 필터용 보호필름인 것인 필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흡광도가 5% 미만인 것인 필름.
  8. 청구항 1 내지 4 중 한 항의 노보넨계 공중합체를 용매에 녹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용액을 기판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건조된 필름을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액 캐스팅을 이용한 필름의 제조방법.
  9. 청구항 5의 필름을 포함하는 PDP 필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PDP 필터용 보호필름으로서 포함하는 PDP 필터.
  11. 청구항 9의 PDP 필터를 포함하는 PDP.
KR1020070011840A 2007-02-05 2007-02-05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KR10096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840A KR100960489B1 (ko) 2007-02-05 2007-02-05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840A KR100960489B1 (ko) 2007-02-05 2007-02-05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169A KR20080073169A (ko) 2008-08-08
KR100960489B1 true KR100960489B1 (ko) 2010-06-01

Family

ID=3988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840A KR100960489B1 (ko) 2007-02-05 2007-02-05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4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0832B1 (en) 1998-12-09 2002-02-26 The B. F. Goodrich Company Mold addition polymerization of norbornene-type monomers using group 10 metal complex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0832B1 (en) 1998-12-09 2002-02-26 The B. F. Goodrich Company Mold addition polymerization of norbornene-type monomers using group 10 metal complex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169A (ko) 200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89226B (zh) 用于lcd的使用光反应性聚合物的配向膜和包括该配向膜的lcd
TWI696888B (zh) 觸控面板用感光性樹脂組合物及其硬化膜、以及具有該硬化膜的觸控面板
JP5369629B2 (ja) 架橋性ケイ素化合物、その製造方法、架橋性組成物、シロキサンポリマー、シリコーン膜、該架橋性ケイ素化合物の原料となるケイ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49655B1 (ko) 경화성 조성물, 광학 재료용 조성물, 광학 재료,액정표시장치, 투명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E112007002992T5 (de) Direkt photostrukturierbare Polymer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davon
CN107614577B (zh) 聚酰亚胺系膜
KR20130051402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조성물
KR20140034882A (ko) 신규한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경화 조성물
KR100960489B1 (ko) 노보넨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Spring et al.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therm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ert-butyldiphenylsilyl substituted poly (norbornene-dicarboximide) s
JP2002088244A (ja) 硬化性組成物、光学材料用組成物、光学材料、液晶表示装置、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02722B1 (ko)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466879B (zh) 聚合物树脂化合物、用于制备其的方法、以及包含其的光敏树脂组合物
KR101100351B1 (ko) 저유전율 및 저손실 특성을 가진 노르보넨계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절연재
CN109196021A (zh) 具有两种不同结构单元的芳香族聚酮
CN113748177B (zh) 用于制造钝化层的组合物和使用所述组合物的钝化层
KR101521618B1 (ko) 고내열성 및 고내화학성의 보호박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보호박막을 제조하는 방법
JP2022054996A (ja) ワニスおよび樹脂膜
JP3952706B2 (ja) 高分子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09339B1 (ko) 아이소소바이드 유도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및 투광성 복합시트
KR20210121647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필름
KR20200098641A (ko) 터치 센서 패널용 투명 필름 기재 및 그것을 이용한 터치 센서 패널
KR101175819B1 (ko) 노보넨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Goonewardena et al. One-dimensional inclusion polymerization of diene and vinyl monomers by using methyl cholate as a host
JP6634541B1 (ja) 光学フィルタ、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