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392B1 -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392B1
KR100957392B1 KR1020030030995A KR20030030995A KR100957392B1 KR 100957392 B1 KR100957392 B1 KR 100957392B1 KR 1020030030995 A KR1020030030995 A KR 1020030030995A KR 20030030995 A KR20030030995 A KR 20030030995A KR 100957392 B1 KR100957392 B1 KR 10095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television
screen
menu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754A (ko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3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2005/1450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mechanically driven, e.g. spring or clock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2005/14513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with secondary fluid driving or regulating the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 A61M2209/045Tools for specific apparatus for filling, e.g. for filling reservo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게임롬이나 게임전용 마이컴 없이 오에스디(OSD)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면서, 화면의 일측으로는 방송 화면을 출력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텔레비전의 화면을 통한 사용자의 게임 메뉴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게임 메뉴가 선택된 경우, '게임+영상'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게임+영상' 기능이 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텔레비전의 화면을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복수의 화면 중 제1 영역에 게임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화면 중 제2 영역에 게임 상황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화면 중 제3 영역에 방송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중인 게임 종료 시, 상기 출력되는 방송 영상을 상기 텔레비전의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GAME PLAY METHOD FOR TELEVISION USING ON SCREEN DISPLAY FUNCTION}
도 1은 종래의 텔레비전을 이용한 게임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실행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게임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텔레비전 화면을 게임과 영상 출력을 위한 영역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리모컨을 게임 실행 장치로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게임롬이나 게임전용 마이컴 없이 오에스디(OSD : On Screen Display)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면서, 화면의 일측으로는 방송 화면을 출력하여 시청 할 수 있도록 하는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은 전용 게임기를 비디오 단자에 연결하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내부에 게임전용 마이컴을 구비하고 게임롬이나 게임팩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 텔레비전도 있다.
도1은 종래의 텔레비전을 이용한 게임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텔레비전이나 리모컨의 제어키에 의해 또는 메뉴에서 게임모드가 선택된 경우(S101), 다수의 게임 소프트웨어가 게임롬에 내장된 때에는 게임의 종류를 선택하고 해당 게임에 필요한 환경변수를 셋업한 후(S102), 게임시작을 선택하면(S103), 게임이 플레이되게 되며(S104), 그 게임롬의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따라 마이컴(미도시)이 음성 처리부(미도시)와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제어하여 게임이 수행되게 된다.
또, 게임시작을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TV모드/게임모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게임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다시 게임 종류의 선택과 셋업을 할 수 있도록 복귀하고(S105), TV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TV모드를 수행한다(S106).
한편, 게임모드에서 게임롬으로부터의 프로그램을 입력받아 게임을 전용으로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마이컴, 비디오 프로세서, 사운드 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게임모드가 선택된 때에 TV의 마이컴으로부터의 게임 플레이 명령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는 별도의 마이컴, 비디오 프로세서, 사운드 프로세서 등에 의해 제어되고 실행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텔레비전을 이용한 게임 방법은, 게임 수행에 있어서 별도의 게임 롬이 필요하고 나아가 전용 마이컴을 필요로 하여 텔레비전 수상기가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게임기를 텔레비전에 연결하여 게임을 수행할 경우에는 그러한 게임기를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게임 모드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화면에 게임을 표시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방송을 시청할 수 없고, TV 모드에서는 전화면에 방송 화면을 출력하기 때문에 게임을 실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별도의 게임롬이나 게임전용 마이컴 없이 오에스디(OSD)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면서, 화면의 일측으로는 방송 화면을 출력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화면을 통한 사용자의 게임 메뉴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게임 메뉴가 선택된 경우, '게임+영상'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게임+영상' 기능이 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텔레비전의 화면을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복수의 화면 중 제1 영역에 게임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화면 중 제2 영역에 게임 상황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화면 중 제3 영역에 방송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중인 게임 종료 시, 상기 출력되는 방송 영상을 상기 텔레비전의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실행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이 온 상태인가를 우선 판단하여(S201), 텔레비전이 온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게임 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S202).
이때, 상기 게임 메뉴의 선택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영상, 음성, 시간 등의 설정을 위한 주메뉴에 게임 선택을 위한 게임 메뉴를 추가로 구비하고, 시청자가 주메뉴에서 게임 메뉴를 선택한 후 부메뉴에서 게임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게임으로는 바둑, 오목, 장기, 체스, 오델로 등 오에스디(OSD)에 의해서 쉽게 게임 화면을 구성할 수 있고, 그래픽이나 멀티미디어 요소가 없어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게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리모컨이나 메뉴를 통해, 게임과 방송 시청을 같이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영상' 기능을 온으로 설정하는지 판단한다(S203). 즉, 텔레비전을 온 시키면 방송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게 되고(TV 모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게임을 선택하면 게임 모드로 전환되어 전체 화면으로 게임을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게임+영상' 기능을 온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영상을 줄여 화면의 일측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게임이 온 상태인 경우 리모컨에 구비된 핫키(Hot key)를 눌러 '게임+영상' 기능을 온으로 설정하거나, 화면 설정 메뉴를 통해 '게임+영상' 기능을 온으로 설정한 경우, 사이즈(Size)를 줄인 방송 영상을 화면의 일측에 출력하는 것이다(S204).
이때, 게임 화면을 주 화면에서 실행하게 하고, 방송 화면을 부 화면에서 실행하게 되는데(S205), 그 비율은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지만, 오에스디(OSD)를 이용한 텍스트나 그래픽은 해상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주 화면을 크게 하고 부 화면을 작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와 같이 게임과 영상을 같이 실행하던 중 게임을 종료되는지 판단하고(S206), 사용자가 게임을 종료시키면 현재 실행 중이던 게임을 정지시키고(S207), 그에 따라 현재의 '게임+영상' 모드에서 TV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방송 영상을 화면 전체에 표시하게 된다(S208). 만약, 이전의 모드가 '게임+영상' 모드가 아니었다면, TV 모드로 전환되더라도 방송 영상이 출력되지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게임을 종료할 경우 텔레비전 제어부(미도시)는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하고, 화면의 일측에 작은 사이즈로 출력하던 방송 영상의 크기를 전체 화면 크기로 전환시키게 된다.
한편, 텔레비전이 오프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오프 상태가 아닌 경우, 이전 단계(S202)로 복귀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대기하게 되고, 텔레비전이 오프 상태인 경우 동작을 종료한다(S209).
이때, 상기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는 리모컨을 이용할 수 있는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의 채널/볼륨 업/다운키를 상/하, 좌/우 이동키로 활용하고, 다른 임의의 키를 확인/선택키 및 실행 취소키 등으로 설정하여 활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키에 의한 좌/우 또는 상/하 이동은, 널리 알려져 있는 종래의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바둑, 오목, 장기, 체스, 오델로 등의 게임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게임 동작 시 화면 구성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게임 영역(100)과 게임의 상황을 알려주는 OSD 게임 상황 영역(200), 방송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영역(300)으로 나눈다.
여기서, OSD 게임 영역(100)은 실제 사용자가 게임을 하는 영역으로, 일반 영상 출력에 관계없이 출력이 가능하며, 일반 영상 위에 게임 화면을 출력할 경우 정상적인 시청이 어려우므로, 일반 영상의 크기를 줄여 영상 출력 영역(300)에서만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OSD 게임 상황 영역(200)은 현재의 게임 상태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기본적으로 현재 누구의 차례인지를 나타내고, 바둑의 경우 죽은 알의 수를 나타내거나, 장기와 체스의 경우는 죽은 말의 개수를 나타내는 용도로 이용한다.
다음, 영상 출력 영역(300)은 영상을 출력하는 영역으로 16:9나 4:3 등 원하는 비율 및 화면 출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은 별도의 게임롬이나 게임전용 마이컴 없이 오에스디(OSD)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면서, 화면의 일측으로는 방송 화면을 출력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텔레비전의 기능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기능의 추가에 따른 비용을 거의 추가하지 않고도 게임 가능한 텔레비전을 구현함으로써, 동일한 가격에서 일반 텔레비전과 차별화된 기능을 구비할 수 있게 되어, 사업자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텔레비전의 화면을 통한 사용자의 게임 메뉴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게임 메뉴가 선택된 경우, '게임+영상' 기능이 온으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게임+영상' 기능이 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텔레비전의 화면을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복수의 화면 중 제1 영역에 게임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화면 중 제2 영역에 게임 상황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화면 중 제3 영역에 방송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실행 중인 게임 종료 시, 상기 출력되는 방송 영상을 상기 텔레비전의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상황 영상은,
    진행 중인 게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뉴는,
    채널 메뉴, 영상 메뉴, 음성 메뉴, 시간 메뉴 및, 게임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메뉴에 포함되며, 하나 이상의 게임을 포함하는 부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뉴의 선택, '게임+영상' 기능의 설정 및, 게임의 실행 중 어느 하나는,
    리모컨에 구비된 핫키(Hot key)나 채널/볼륨의 설정을 위한 기능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은,
    바둑, 오목, 장기, 체스, 오델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KR1020030030995A 2003-05-15 2003-05-15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KR10095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995A KR100957392B1 (ko) 2003-05-15 2003-05-15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995A KR100957392B1 (ko) 2003-05-15 2003-05-15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754A KR20040098754A (ko) 2004-11-26
KR100957392B1 true KR100957392B1 (ko) 2010-05-11

Family

ID=3737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995A KR100957392B1 (ko) 2003-05-15 2003-05-15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755A1 (ko) * 2013-03-29 201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게임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175B1 (ko) * 2005-09-06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방송을 이용한 바둑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966A (ko) * 1998-10-30 2000-05-15 전주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의 문자열 짜맞추기 게임실행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42734A (ko) * 1998-12-26 2000-07-15 전주범 더블윈도우 텔레비전의 게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966A (ko) * 1998-10-30 2000-05-15 전주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의 문자열 짜맞추기 게임실행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42734A (ko) * 1998-12-26 2000-07-15 전주범 더블윈도우 텔레비전의 게임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755A1 (ko) * 2013-03-29 201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게임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754A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0612B2 (en) Media return system
KR100725502B1 (ko) 전자장치, 전자장치 시스템 및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US7453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input video signals in display device
KR960006534A (ko) 티브이겸용 게임장치 및 기능제어방법
KR100788654B1 (ko)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5637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57392B1 (ko) 텔레비전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게임 방법
KR10071628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JP3481230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91096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hannel searching in image display device
JP2008122507A (ja) 画面表示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osd表示方法
JP2021020090A (ja) ビデオゲーム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4498126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744842B2 (ja) 遠隔制御装置およ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JP6993316B2 (ja) ビデオゲーム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KR10066364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62607B1 (ko) 동작 취소/동작 재실행 장치 및 방법
KR10061994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100213042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의한 리모콘 키 선택 방법
JPH06165876A (ja) ゲーム機におけるレーダー表示選択方法
JP387400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におけるコンピュータの情報処理方法
JP2004248140A (ja) 二画面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JP3147854B2 (ja)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表示方法
KR100443692B1 (ko) 멀티미디어 가정용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KR101102389B1 (ko) 텔레비전의 채널정보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