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908B1 -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 - Google Patents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908B1
KR100955908B1 KR1020080024786A KR20080024786A KR100955908B1 KR 100955908 B1 KR100955908 B1 KR 100955908B1 KR 1020080024786 A KR1020080024786 A KR 1020080024786A KR 20080024786 A KR20080024786 A KR 20080024786A KR 100955908 B1 KR100955908 B1 KR 100955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rail
pipe
nozzle body
lubr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9663A (ko
Inventor
이상도
차준영
Original Assignee
이상도
대구도시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도, 대구도시철도공사 filed Critical 이상도
Priority to KR102008002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9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3/00Wetting or lubricating rails or wheel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1/00Conduits; Junctions; Fittings for lubrication apertures
    • F16N21/04Nozzles for connection of lubricating equipment to nip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5/00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유기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일의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레일의 이음매부에 설치되어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윤활유를 레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노즐체로 구성된 도유기에 있어서, 이송관으로부터 윤활유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관 및 유입관으로부터 윤활유가 내부로 유입되어 레일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즐체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을 제공한다.
도유기, 노즐부, 레일, 이음매판, 체크밸브

Description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Nozzle of lubricator for fastening joint member between the rails}
본 발명은 도유기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일의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강(鋼) 재질의 빔으로 이루어진 레일 상에, 강(鋼) 재질의 차륜이 맞닿은 채로 회전되면서 주행하기 때문에 차륜이 도4와 같이 곡선레일을 회전시에는 직선레일을 따라 회전할 때와는 달리 레일과 차륜의 심한 접촉마찰 및 회전저항으로 차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아울러 마모가 촉진된다.
이로 인하여 철도차량의 바퀴에서 마찰이 심하게 발생되므로 주행시에 소음(squall)이 발생되어 주변의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만아니라, 승객에게도 소음으로 불쾌함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레일과 차륜의 마찰로 인해, 레일 및 차륜을 교체해야하는 시기가 빨 라져 사용 수명이 짧아진다.
특히, 곡선부에서의 소음과 분기기의 차선변경시 발생되는 소음과 마모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차가 곡선레일을 회전시에는 철도차량에 장착한 도유기를 작동시켜 레일과 차륜의 접촉마찰부분에 오일을 배출시키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도유기는 전기를 이용함과 아울러 공기라인을 이용한 복잡한 구조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각 차륜마다 설치되어 제조 및 설치비를 많이 요하게 됨과 동시에 작동의 정확성이 떨어져 직선레일에서도 분사될 때가 많아 필요 이상으로 오일의 소모가 많고, 또한 오일의 과다유출로 인한 슬립으로 차륜이 공회전하게 되어 속도가 감소하게 됨과 아울러 제동력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도유기는 스위치와 차량의 휠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열차의 휠을 감지하게 되므로 스위치의 파손이 자주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즐 케이스가 체결기구들에 의해 레일의 일측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체결기구가 풀리게 되고, 느슨한 체결기구에 의해 그리스의 분사방향이 어긋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심지어 노즐 케이스가 레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도유기는 노즐들과 연결된 유량조절나사를 조작하여 유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유량조절나사가 풀리게 되면 유량조절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열차가 곡선부 및 분기기의 차선을 통과할 때 차륜과 레일간에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레일의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의 이음매부에 설치되어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윤활유를 레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노즐체로 구성된 도유기에 있어서, 이송관으로부터 윤활유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관 및 유입관으로부터 윤활유가 내부로 유입되어 레일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즐체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은 열차가 곡선부 및 분기기의 차선을 통과할 때 차륜과 레일간에 발생되는 편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배기를 이용함으로써 레일의 양측으로 배출되는 윤활유의 배출량 제어 및 정량배출이 용이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도유기 노즐을 레일의 이음매부에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레일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도유기 노즐에 비하여 레일의 진동에 영향을 덜 받게 되므로 체결기구가 풀리거나 노즐 케이스가 레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유기 노즐과는 달리 레일의 측면에 닿아 마찰되는 차륜 부위에 윤활유를 주입할 뿐만 아니라, 레일의 상면에도 윤활유를 주입함으로써 레일과 차륜의 마찰을 최소화하는데 더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유기의 일측을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유기의 일측을 결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유기 노즐의 일측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은 노즐부(100)와 공급부(200)로 대분된다.
상기 노즐부(100)는 유입관(120)을 일측에 구비하는 노즐체(110)로 구성된다.
이때, 유입관(120)은 노즐체(110)의 일측에 엘보(elbow)관을 연통되도록 일체로 용접결합함으로써 유입관(120)을 통하여 노즐체(110)의 내부로 윤활유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체(110)는 종단면의 형상이 레일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단은 가느다란 사각단면의 바(bar)형상으로 연장형성한다.
또한, 노즐체(110)의 하단에 관통공(미설명 부호)을 천공형성하고 이음매판(미설명 부호)을 노즐체(110) 양측으로 감싸며, 체결너트(미설명 부호) 및 체결볼트(미설명 부호) 등을 이용하여 노즐체(110)를 레일(300)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이음매판이 결합되는 구조는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레일에 형성된 노즐체(110) 중 어느 하나의 노즐체(110)에는 휠플랜지(410)측으로 관통형성되는 측면노즐관(132)이 구비된다.
이러한 측면노즐관(132)은 열차의 회전방향에 대해 원심력이 작용하므로 외측의 레일(300)과 휠플랜지(410)가 서로 맞닿아서 마찰이 발생된다.
즉, 열차의 곡선구간에서 진행방향에 대해 외향되는 측의 레일에 설치되는 도유기 노즐에만 측면노즐관(13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차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원심력이 작용하는 측의 휠플랜지가 레일과 맞닿게 되어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유로(13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노즐관(131)이 상측으로 적어도 3개 이상 연속형성된다.
이때, 상부노즐관(131) 및 측면노즐관(132)은 비교적 작은 직경의 관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윤활유의 압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부(200)는 분배기(210), 체크밸브(220), 제어장치(230)로 구성된다.
분배기(210)는 내부에 분기관(미설명 부호)이 형성되는데, 양측이 관통되고 그 중간점으로부터 일측으로 관통됨으로써 3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된다.
즉, 양측으로 관통되어 각각의 단부에 체크밸브(220)가 형성되고 나머지 분기관에 공급관(250)이 연통형성되는데, 공급관(250)의 타단으로 제어장치(230)가 연결되어서 윤활유가 분배기(2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제어장치(230)는 최초 공급되는 윤활유의 량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어장치(230)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분배기(210)의 양측에 형성된 체크밸브(220)에 의해 이송관(240)을 통하여 양측의 레일(300)로 이송되는 윤활유의 량이 조절되며 윤활유의 공급 및 차단이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레일(300)의 연결부위인 이음매부에 노즐체(110)를 삽입하고 이음매 판, 체결볼트, 체결너트 등을 이용하여 레일(300)에 노즐체(11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한다.
이후, 제어장치(230)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공급관(250)을 통과하고 체크밸브(220)에서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레일(300)측으로 이송관(240)을 지나 유입관(120)으로 인입된다.
이후, 유입관(120)을 통하여 노즐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130)에서 여러 개소로 형성된 상부노즐관(131) 및 측면노즐관(132)으로부터 차륜(400)의 외주면 및 휠플랜지(410)를 향하여 윤활유가 주입된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의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유기 노즐의 일측을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유기 노즐의 일측을 결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유기 노즐의 일측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노즐부 110 : 노즐체
120 : 유입관 130 : 유로
131 : 상부노즐관 132 : 측면노즐관
200 : 공급부 210 : 분배기
220 : 체크밸브 230 : 제어장치
240 : 이송관 300 : 레일
400 : 차륜 410 : 휠플랜지

Claims (4)

  1. 레일의 이음매부에 설치되어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윤활유를 레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노즐체로 구성된 도유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윤활유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관;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윤활유가 내부로 유입되어 레일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즐체;
    상기 노즐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유입관과 연통되는 유로; 및
    상기 유로의 외주면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소 이상 천공형성되는 상부노즐공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양측의 레일에 형성된 노즐체 중 어느 하나에는 유로가 휠플랜지측으로 관통되어 측면으로 윤활유를 배출할 수 있도록 측면노즐공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윤활유를 양측 레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연통되어 연결되는 분배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
KR1020080024786A 2008-03-18 2008-03-18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 KR100955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786A KR100955908B1 (ko) 2008-03-18 2008-03-18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786A KR100955908B1 (ko) 2008-03-18 2008-03-18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663A KR20090099663A (ko) 2009-09-23
KR100955908B1 true KR100955908B1 (ko) 2010-05-03

Family

ID=4135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786A KR100955908B1 (ko) 2008-03-18 2008-03-18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9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4627A (en) 1977-11-09 1980-07-29 Interliz Anstalt Fire tube for a heating boiler
KR100389588B1 (ko) 2001-05-31 2003-06-27 이상도 도유기
WO2005090139A2 (en) 2004-03-23 2005-09-29 Bojan Pavcnik Method and device for reduction of corrugation of rails, of noise and of reduction of friction between wheel and rail
JP2006193109A (ja) 2005-01-17 2006-07-27 Kusano Sangyo Kk 電気制御式レール給油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4627A (en) 1977-11-09 1980-07-29 Interliz Anstalt Fire tube for a heating boiler
KR100389588B1 (ko) 2001-05-31 2003-06-27 이상도 도유기
WO2005090139A2 (en) 2004-03-23 2005-09-29 Bojan Pavcnik Method and device for reduction of corrugation of rails, of noise and of reduction of friction between wheel and rail
JP2006193109A (ja) 2005-01-17 2006-07-27 Kusano Sangyo Kk 電気制御式レール給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663A (ko)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0045A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track-to-wheel friction of the wheels of a locomotive for motive power and decreasing the rolling resistance for trailing loads
US5687814A (en) Assembly for applying one or more materials to a rail
EP2398686A1 (en) Lubricant applicator for a wheel of a railbound vehicle
JP6004426B2 (ja) レールヘッドを湿潤させるまたは潤滑させるための装置
KR100955908B1 (ko) 이음매부에 장착되는 도유기 노즐
US1940527A (en) Means for lubricating car wheels and rails
CN109849962A (zh) 一种动车组及其撒砂润滑系统
JP2002037068A (ja) 自動レール塗油装置
CN209700688U (zh) 一种动车组及其撒砂润滑系统
KR100701511B1 (ko) 선로변환레일의 자동 급유장치
EP2390157B1 (en) Lubricator device for grooved railway and tram rails
JP2012184829A (ja) 構内機関車車輪の塗油装置
JP3806065B2 (ja) レールへの塗油装置
US6464039B1 (en) Actuator element of a hydraulic fluid-operated railway track lubricating system
KR101062625B1 (ko) 철도 곡선구간 소음방지용 수막도포시스템
KR200177134Y1 (ko) 철도레일에 대한 윤활유 공급장치
US699747A (en) Railway-track lubricator.
KR100848374B1 (ko) 탑차 연결구의 급유기구
IT201800003434A1 (it) Procedimento di pulitura di una rotaia per un convoglio ferroviario.
KR0140532Y1 (ko) 철도차량의 공기호스 연결구조
KR910005737Y1 (ko) 차륜의 전자분사식 도유 배관장치
RU2245264C1 (ru) Путевой гребнесмазыватель
RU22382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азки гребней колес колесной пары рельсового экипажа
RU9170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нанесения смазки на боковую поверхность рельса
US397168A (en) I ii w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