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370B1 -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 공유 링크 종단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 공유 링크 종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370B1
KR100955370B1 KR1020080011692A KR20080011692A KR100955370B1 KR 100955370 B1 KR100955370 B1 KR 100955370B1 KR 1020080011692 A KR1020080011692 A KR 1020080011692A KR 20080011692 A KR20080011692 A KR 20080011692A KR 100955370 B1 KR100955370 B1 KR 10095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ink
frame
failure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083A (ko
Inventor
다께히로 요시마루
Original Assignee
아락사라 네트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락사라 네트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락사라 네트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7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using redundant or spare channels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중계 장치, 감시 장치 및 공유 링크 종단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링크 장해를 검출한 경우, 각각의 장치는 장해 발생 시에 장해 검출 프레임을 링 내에 송신하고,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에 링크 장해 정보를 도달시킨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는,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고, 다중 장해 판정을 행하여, 다중 장해로 판정한 경우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의 송신을 정지한다.
Figure R1020080011692
보조 감시 장치, 중계 장치, 공유 링크 종단 장치, 감시 장치, 장해 검출 프레임, 감시 프레임, FDB 플래시 프레임, 공유 링크, 링

Description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SYSTEM FOR DEALING WITH MULTIPLE DISORDER AND SHARING LINK TERMINAL APPARATUS USED THEREIN}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링크의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그 다중 장해에 대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Ethernet(등록 상표) 통신 네트워크로서, 링 구성을 갖는 토폴로지(이하, 링 토폴로지라고 함)에는, 링 프로토콜이라고 불리는 전송 제어 수순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링 프로토콜이란, 레이어2 네트워크 용장 프로토콜로서, 유저 프레임을 링 내에 중계하는 장치(이하, 중계 장치를 말함)를, 링 형상으로 접속하고, 그 중 1개 이상의 중계 장치를, 특히 링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프레임(이하, 감시 프레임이라고 함)을 송신하는 장치(이하, 감시 장치라고 함)로서 지정함으로써, 링크 단의 감시와 포트의 제어를 행하여, 장해의 검출과 그에 수반하는 경로 변경을 고속으로 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와 같은 링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장해 발생에 수반하는 경로 변경을 고속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링 토폴로지를 이용함으로써, 메쉬 토폴로지(각 중계 장치를 메쉬 형상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토폴로지)와 비교하여, 전송로나 인터페이스의 필요량이 적게 완료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한편, 링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 1개의 링만으로는 1개소를 초과하는 네트워크의 장해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복수의 링을 이용하여, 그들 링을 연결 부분(이하, 공유 링크라고 함)에서 연결시켜서, 용장을 갖게 한 구성(이하, 공유 링크를 갖는 멀티 링 구성이라고 함)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유 링크를 갖는 멀티 링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공유 링크 부분에 장해가 발생하면, 연결한 링 사이에서 큰 루프(이하, 슈퍼 루프라고 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링 프로토콜에서는, 복수의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하는 방식으로는, 연결된 2개의 링에서, 공유 링크의 종단에 위치하는 장치(이하, 공유 링크 종단 장치라고 함)로부터, 보조 감시 프레임을, 한쪽의 링의 감시 장치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에 의해, 그 링에, 공유 링크의 장해 발생을 감시하지 않는 링의 역할을 할당하여, 공유 링크가 다운한 경우라도, 보조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는 감시 장치(이하, 이와 같은 감시 장치를 보조 감시 장치라고 함)는, 그 한쪽의 포트를 블로킹 상태, 즉, 감시 프레임은 송수신하지만 유저 프레임은 송수신하지 않는 상태로 계속함으로써, 슈퍼 루프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하기의 비특허 문헌 1에 기재하는 방식으로는, 각 링에 프라이오리티를 설정하고, 그들 공유 링크에 장해가 발생하면, 고프라이오리티측의 링의 감시 프레임을 저프라이오리티측의 링에도 유입시켜서, 감시 프레임을 그들 링에서 주회시킴으로써, 블로킹의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4-201009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Ethernet의 용장화 방법과 루프 방지 후반 P.20 2 노드 접속 멀티 링 구성(MRP) 2004 안도 마사토, WIDE Project School of Internet, JPNIC (URL http://www.soi.wide.ad.jp/class/20040031/slides/24/)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공유 링크를 갖는 멀티 링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링 토폴로지에서의 한정된 복수의 장해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 중, 상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하는 방식으로는, 공유 링크를 감시하고 있는 링 상에서, 공유 링크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에 각각 장해가 발생하면, 공유 링크를 감시하고 있지 않은 링에서는, 감시 장치에 공유 링크 종단 장치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의 도달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 감시 장치에서의 포트의 블로킹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물리적인 접속은 존재하고 있어도, 통신을 복구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비특허 문헌 1의 방식으로는, 공유 링크를 감시하고 있는 링 상에서, 공유 링크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에 각각 장해가 발생하면, 감시 프레임이 도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감시 장치에서의 포트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상기의 특허 문헌 1에서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의 비특허 문헌 1의 방식으로는, 공유 링크에 장해가 발생하면, 그 발생때마다, 감시 프레임이 통과하는 중계 장치의 수가 증가해가기 때문에, 감시 프레임의 지연이 증대하게 됨과 함께, 폭주 등의 발생에 의해 프레임이 폐기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멀티 링 구성에서, 공유 링크를 감시하고 있는 링 상에서, 공유 링크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에 각각 장해가 발생한 경우라도, 감시 프레임이 통과하는 중계 장치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다중 장해 발생을 검출하여, 통신을 계속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제1 링과, 그 제1 링에서의 일부의 링크를 공유 링크로서 공유하도록, 상기 제1 링에 결합된 제2 링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링크의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다중 장해에 대처하는 장해 대처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유 링크의 종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링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하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와, 상기 제2 링 상에 존재하고, 스스로 송신해서 상기 제2 링을 일주한 감시 프레임을 수신함과 함께,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링에 접속되는 포트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포트를 블로킹 상태로 하는 감시 장치를 포 함하고, 상기 공유 링크 종단 장치는,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함과 함께, 링크 장해 발생 시에 상기 링 상에 존재하는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장해 검출 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장해 검출 프레임에 포함되는 링크 장해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저장된 상기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링크의 장해를 포함하는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 프레임이 일정 시간 수신되지 않고, 또한,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특정 포트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이와 같이, 적용예 1의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에서는, 공유 링크의 장해를 포함하는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공유 링크 종단 장치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감시 장치에서는, 감시 프레임이 일정 시간 수신되지 않고, 또한, 보조 감시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특정 포트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감시 프레임이 통과하는 중계 장치를 증가시키지 않고, 특정 포트의 블로킹을 해제하여,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멀티 링 구성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 발생 시에도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적용예 2]
적용예 1에 기재된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에서,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던 링크가 복구된 후, 복구 억지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특 정 포트를 블로킹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제2 링크에 대하여 특정 제어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이와 같이, 감시 장치에서는, 다중 장해로부터 링크가 복구된 경우, 복구 억지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특정 포트를 블로킹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특정 제어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다른 장치에, 장해로부터 링크가 복구된 것을 전할 수 있다.
[적용예 3]
적용예 2에 기재된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에서, 상기 공유 링크 종단 장치에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특정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면,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링크 장해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삭제함과 함께,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이와 같이, 공유 링크 종단 장치에서는, 특정 제어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장해로부터 링크가 복구된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그 복구된 링크에 관련된 링크 장해 정보 등, 불필요하게 된 정보를 기억부로부터 삭제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개시시킨다. 이에 의해, 장해 발생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적용예 4]
적용예 3에 기재된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라도, 상기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속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이와 같이,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라도, 멀티 링의 구성 내용 등에 따라서는, 제2 링 상에 존재하는 감시 장치에서의 특정 포트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지 않아도,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속행시켜도 되기 때문이다.
[적용예 5]
제1 링과, 그 제1 링에서의 일부의 링크를 공유 링크로서 공유하도록, 상기 제1 링에 결합된 제2 링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공유 링크의 종단에 위치하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로서, 상기 제2 링 상에 존재하는 감시 장치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함과 함께, 링크 장해 발생 시에 상기 링 상에 존재하는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장해 검출 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장해 검출 프레임에 포함되는 링크 장해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저장된 상기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
이와 같이, 적용예 5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에서는, 공유 링크의 장해를 포함하는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감시 장치에 대한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감시 장치에서는, 보조 감시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조건 하에서, 특정 포트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프레임이 통과하는 중계 장치를 증가시키지 않고, 특정 포트 의 블로킹을 해제하여,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멀티 링 구성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 발생 시에도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적용예 6]
적용예 5에 기재된 공유 링크 종단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감시 장치로부터 송신된 특정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면,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링크 장해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삭제함과 함께,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
이와 같이, 공유 링크 종단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로부터의 특정 제어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장해로부터 링크가 복구된 것을 인식하고, 그 복구된 링크에 관련된 링크 장해 정보 등, 불필요하게 된 정보는 기억부로부터 삭제함과 함께,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개시시킨다. 이에 의해, 공유 링크 종단 장치를 장해 발생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적용예 7]
적용예 5에 기재된 공유 링크 종단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라도, 상기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속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
이와 같이,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라도, 멀티 링의 구성 내용 등에 따라서는, 제2 링 상에 존재하는 감시 장치에서의 특정 포트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지 않아도,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속행시켜도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이나 공유 링크 종단 장치 등의 장치 발명의 양태에 한하지 않고, 다중 장해 대처 방법 등의 방법 발명으로서의 양태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그들 방법이나 장치를 구축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양태나,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의 양태 등, 다양한 양태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해 검지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서 보고되는 정보의 축적과 해석에 의해 다중 장해의 발생을 검출하고, 그 결과로서 보조 감시 프레임을 정지함으로써, 감시 프레임이 통과하는 중계 장치를 증가시키지 않고, 블로킹 포트의 개방을 행하여,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멀티 링 구성의 링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 발생 시에도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A. 제1 실시예:
B. 제2 실시예:
C. 제3 실시예:
D. 제4 실시예:
E. 실시예의 정리:
A.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의 멀티 링 구성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중, 링(10)은, 감시 장치(1103)와, 중계 장치(1106, 1109)와, 중계 장치(1105)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로 구성된다. 링(20)은, 보조 감시 장치(1101)와, 중계 장치(1104, 1107)와, 중계 장치(1105)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로 구성된다. 또한, 링(10)에는, ID로서 「10」이, 링(20)에는, ID로서 「20」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중계 장치(1105),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8) 사이의 링크는, 링(10)과 링(20)에서 공유되어 있어, 공유 링크(15)로 되어 있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는, 링(20)의 보조 감시 장치(1101)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그 링(20)에, 공유 링크(15)의 장해 발생을 감시하지 않는 링의 역할을 할당한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가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에는, ID 정보로서, 링(20)을 나타내는 ID인 「20」이 포함되어 있다.
감시 장치(1103)는, 감시 프레임(1112)을, 링(10)에 소속하는 포트로부터 송신한다. 그리고, 감시 장치(1103)는, 링(10)을 일주해서 되돌아온 감시 프레임(1112)을 수신함으로써, 링(10)이 정상적으로 링 구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감시한다. 감시 장치(1103)는, 감시 프레임(1112)을 계속해서 수신하고 있는 동안은, 포트(1122)를 블로킹 상태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시 장치(1103)는, 감시 프레임(1112)을 일정 시간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링(10)에 서 장해가 발생했다고 인식하여, 포트(1122)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다른 각 장치가 갖는 FDB를 삭제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인 FDB 플래시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한다.
한편, 보조 감시 장치(1101)는, 감시 프레임(1111)을, 링(20)에 소속하는 포트로부터 송신한다. 그리고, 보조 감시 장치(1101)는, 링(20)을 일주해서 되돌아온 감시 프레임(1111)을 수신하고,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가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을 각각 수신함으로써, 링(20)이 정상적으로 링 구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감시한다. 보조 감시 장치(1101)는, 감시 프레임(1111)을 수신하고, 또한,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을 계속해서 수신하고 있는 동안은, 포트(1121)를 블로킹 상태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 감시 장치(1101)는, 감시 프레임(1111)을 일정 시간 수신하지 않게 되고, 또한,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도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링(20)에서 장해가 발생했다고 인식하여, 포트(1121)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FDB 플래시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감시 프레임(1111)을 수신하지 않게 되어도,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을 계속해서 수신하고 있는 경우, 또는,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을 수신하지 않게 되어도, 감시 프레임(1111)을 계속해서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포트(1121)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감시 프레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링에 소속하는 한쪽의 포트로부터만 송신하도록 하여도 되고, 링에 소속하는 양쪽의 포트로부터 각각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중계 장치(1104, 1105, 1106, 1107, 1109)는, 프레임을 전송할 뿐이며, 장해가 일어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특별히 그 이외의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장치는, 그 장치의 각 포트를 통해서, 그 포트가 소속하는 링을 각각 감시한다. 그리고, 그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에 장해가 발생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그 검출한 장치는, 그 포트가 소속하는 링(즉, 그 포트를 통해서 감시하고 있는 링)에 대하여, 장해 발생 프레임을 송신한다. 따라서, 그 장해가 발생한 링크가, 공유 링크 이외의 링크인 경우에는, 그 포트가 소속하는 링은 1개이기 때문에, 그 1개의 링에 대해서만, 장해 발생 프레임을 송신한다. 또한, 그 장해가 발생한 링크가, 복수의 링에 의해 공유되어 있는 공유 링크인 경우에는, 그 포트는 공유 포트로서, 그 포트가 소속하는 모든 링, 즉,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에 대하여, 링마다 장해 발생 프레임을 송신한다.
또한, 장해 발생을 검출하고, 장해 발생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는, 루프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서, 송신한 장해 검출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그대로 폐기한다. 또한, 감시 장치에서는, 블로킹 상태에 있는 포트에서도, 장해 검출 프레임의 송수신은 이루어진다.
장해 발생 프레임에는, 그 장해 발생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의 MAC 어드레스나, 링크 장해의 발생을 검출한 포트가 소속하고 있는 링(즉, 그 포트를 통해서 감시하고 있는 링)의 ID(이하, 감시 링 ID라고 함)나, 링크 장해의 발생을 검출한 포트가 공유 포트인 경우(즉, 장해가 발생한 링크가 공유 링크인 경우), 공유하고 있 는 링의 ID(이하, 공유 링 ID라고 함)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는, 각각, 장치 내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CPU(110)와, 원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120)와, 다른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130)를 주로 포함하고 있다. 이 중, 메모리(120)에는, 후술하는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나, 프레임의 전송처를 제어하는 정보 테이블인 포워딩 데이터베이스(Forwarding DataBase: FDB)(124)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FDB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 이외의 각 장치에도, 탑재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의 CPU(110)는, 청구항에서의 제어부에, 메모리(120)는, 청구항에서의 기억부에, 각각 상당한다.
도 3은, 도 1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유 링크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와 중계 장치(1105) 사이의 공유 링크(15)에 장해(1131)가 발생한 경우, 중계 장치(1105)는, 그 장해(1131)를 검출한 포트가 공유 포트이기 때문에, 그 공유 링크(15)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10, 2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1116)을 송신한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도, 마찬가지로, 그 장해(1131)를 검출한 포트가 공유 포트이기 때문에, 그 공유 링크(15)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10, 2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1117)을 송신한다.
이렇게 해서 송신된 장해 검출 프레임(1116, 1117)은, 보조 감시 장치(1101)에서의 블로킹 상태에 있는 포트(1121)나 감시 장치(1103)에서의 블로킹 상태에 있 는 포트(1122)를 통과해서,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및 1108)에 도달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및 1108)는, 장해 검출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를 추가하여, 그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다중 장해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도 4는 도 3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1개의 링크 장해 정보는, 전술한 「MAC 어드레스」와, 「감시 링 ID」와, 「공유 링 ID」로 구성된다. 또한, 도 4에서는, 그 MAC 어드레스를 갖는 장치의 부호를 괄호 쓰기로 병기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의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에서 실행되는 다중 장해 판정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금회, 공유 링크(15)에 장해(1131)가 발생한 것에 수반하여,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및 1108)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메모리(120) 내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1∼R4를 추가하고, CPU(110)는, 그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다중 장해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링크 장해 정보 R1, R3으로부터, 감시 링 ID는 「 10」이기 때문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은 링(10)이며, 공유 링 ID는 「10」, 「20」이기 때문에, CPU(110)는, 링(10, 20)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마찬가지로, 링크 장해 정보 R2, R4로부터, 감시 링 ID는 「20」이기 때문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은 링(20)이며, 공유 링 ID는 「10」, 「20」이기 때문에, 링(10, 20)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CPU(110)는,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2). 즉, 서로 다른 링크 장해 정보 R1, R3에서, 동일한 감시 링 ID 「10」에 대해서, 공유 링 ID는 「10」, 「20」과 동일하게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링크 장해 정보 R2, R4에서, 동일한 감시 링 ID 「20」에 대해서, 공유 링 ID는 「10」, 「20」과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CPU(110)는, 처리를 스텝 S116으로 이행하여, 통신부(130)에, 보조 감시 프레임(1113 및 1114)의 송신을 계속시킨다.
링(10)에서의 감시 장치(1103)는, 스스로 송신한 감시 프레임(1112)을 일정 시간 수신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링(10)에서 장해가 발생했다고 인식하여, 포트(1122)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FDB 플래시 프레임(1115)을 송신한다. 또한, 장해 발생에 대하여, 신속한 경로 변경을 실시하기 때문에, 감시 장치(1103)에서는, 장해 검지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즉석에서, 포트(1122)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FDB 플래시 프레임(1115)을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링(20)에서의 보조 감시 장치(1101)는, 스스로 송신한 감시 프레임(1111)을 수신하고 있지 않지만,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은 각각 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포트(1121)의 블로킹 상태를 유지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 및 중계 장치(1105, 1106, 1109)는, 감시 장치(1103)가 발한 FDB 플래시 프레임(1115)을 수신하면,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하고, 네트워크에 경로 변경을 재촉한다. 또한, FDB의 삭제는, 장치 전체로서 행하여도 되며, 포트마다 행하여도 된다.
도 6은, 도 1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공유 링크(15)에 발생한 장해(1131) 외에, 중계 장치(1109)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8) 사이의 링크에 장해(1132)가 발생한 경우, 중계 장치(1109)는, 그 장해(1132)를 검출한 포트가 소속하는 링(10)에 대해서만, 장해 검출 프레임(1141)을 송신한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8)도, 마찬가지로, 그 장해(1132)를 검출한 포트가 소속하는 링(10)에 대해서만, 장해 검출 프레임(1142)을 송신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및 1108)에서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메모리(120) 내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5, R6을 더 추가하고, CPU(110)는, 이들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다중 장해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5, R6으로부터, 감시 링 ID는 「10」이기 때문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은 링(10)이며, 공유 링 ID는 「―」이기 때문에, CPU(110)는, 공유 링크 이외의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CPU(110)는,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2). 즉, 동일한 감시 링 ID 「10」에 대해서, 링크 장해 정보 R1, R3에서는, 공유 링 ID는 「10」, 「20」(즉, 링(10, 2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15)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고, 링크 장해 정보 R5, R6에서는, 공유 링 ID는 「―」(즉, 공유 링크 이외의 링크에서 장해 발생)로 되어 있어, 양자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링(10)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CPU(110)는,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감시 링 ID 중에, 자 장치가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I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4). 이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가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에는, 각각, ID 정보로서, 링(20)을 나타내는 ID인 「20」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링크 장해 정보 R2, R4에서의 감시 링 ID는 「20」이기 때문에, CPU(110)는, 감시 링 ID 중에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ID가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공유 링 ID 중에, 자 장치가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보다 번호가 큰 I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6). 이 경우, 링크 장해 정보 R1∼R4에서의 공유 링 ID는, 「10」, 「20」이며,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인 「20」보다도 큰 번호는 없기 때문에, CPU(110)는,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에는, 「20」보다도 큰 번호의 ID를 갖는 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스텝 S108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공유 링크 이외의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8). 이 경우, 링크 장해 정보 R5, R6에서, 공유 링크 ID가 「―」로 되어 있기 때문에, CPU(110)는, 공유 링크 이외의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스텝 S110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자 장치가 복수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0). 이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는 보조 감시 프레임을 1개의 링(20)에 대해서만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CPU(110)는, 복수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CPU(110)는, 이 결과, 처리를 스텝 S114로 이행하고, 통신부(130)에, 보조 감시 프레임(1113 및 1114)의 송신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는, 각각,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한다.
링(20)에서의 보조 감시 장치(1101)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로부터 보조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링(20)에서의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여, 포트(1121)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한 후, FDB 플래시 프레임(1118)을 송신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는, 보조 감시 장치(1101)로부터의 FDB 플래시 프레임(1118)을 수신한 경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10)에 대하여 FDB 플래시 프레임(1119, 1120)을 송신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 중계 장치(1104, 1105, 1106, 1107, 1109) 및 감시 장치(1103)는, FDB 플래시 프레임을 수신하면,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하고, 네트워크에 경로 변경을 재촉한다.
도 7은, 도 1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로부터 1개의 링크가 복구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계 장치(1109)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8) 사이의 링크가 장해(1132)로부터 복구된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8)의 포트(1124) 및 중계 장치(1109)의 포트(1123)는, 각각, 루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블로킹 상태로 된다.
한편,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와 중계 장치(1106) 사이의 공유 링크에서 발생하고 있는 장해(1131)는 아직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감시 장치(1103)로부터 송신되는 감시 프레임(1112)은, 중계 장치(1109)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8) 사이의 링크가 장해(1132)로부터 복구된 것 만으로는, 링(10) 내를 일주할 수 없다. 따라서, 링(10)이 복구된 것으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감시 장치(1103)는, FDB 플래시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는 없다. 이 결과,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8) 및 중계 장치(1109)는, FDB 플래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포트(1124 및 1123)에서, 블로킹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유저 프레임의 통신 자체는, 블로킹 상태에 있는 포트를 통하지 않고, 우회하고 있기 때문에, 영향을 받는 경우는 없다.
도 8은, 도 1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로부터 모든 링크가 복구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와 중계 장치(1105) 사이의 공유 링크(15)가 장해(1131)로부터 복구된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의 포트(1125) 및 중계 장치(1105)의 포트(1126)는, 각각, 루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블로킹 상태로 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와 중계 장치(1105) 사이의 공유 링크(15)가 복구된 것에 의해, 감시 장치(1103) 및 보조 감시 장치(1101)가 송신한 감시 프레임(1112 및 1111)은, 링(10) 또는 링(20)을 일주해서 각각 되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감시 장치(1103) 및 보조 감시 장치(1101)는, 자 장치가 송신한 감시 프레임(1112 및 1111)을 수신하게 되었기 때문에, 링(10, 20)이 복구된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감시 장치(1103) 및 보조 감시 장치(1101)는, 우선, 복구 억지 상태로 된다. 즉, 링(10, 20)의 복구를 인식하여도, 즉석에서, FDB 플래시 프레임을 송신하거나 하는 등의 일은 하지 않는다.
그 후, 유저의 조작에 의해 복구 억지 상태가 해제된 경우에, 감시 장치(1103) 및 보조 감시 장치(1101)는, 링(10) 또는 링(20)에 접속하고 있는 포트의 한쪽(즉, 포트(1122, 1121))을 블로킹 상태로 한 후, FDB 플래시 프레임(1115, 1118)을 송신한다. 이 경우, 유저는, 루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조 감시 장치(1101) 쪽으로부터 먼저 복구 억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즉, 유저가, 우선, 보조 감시 장치(1101)의 복구 억지 상태를 해제하면, 보조 감시 장치(1101)는, 포트(1121)를 블로킹 상태로 하고, FDB 플래시 프레 임(1118)을 송신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및 1108)에서는, 통신부(130)가, FDB 플래시 프레임(1118)을 수신하면, CPU(110)는, 링(20)이 장해로부터 복구된 것을 인식하여, 메모리(120) 내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링(20)에 관련되는 링크 장해 정보 R2, R4를 삭제하고, 통신부(130)에, 보조 감시 프레임(1113 및 1114)의 송신을 개시시킨다. 그리고,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및 중계 장치(1105)는, 포트(1125 및 1126)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중계 장치(1104, 1105, 1107), 및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는, FDB 플래시 프레임(1118)을 수신하면,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하여, 네트워크에 경로 변경을 재촉한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및 1108)는, 복구 시의 FDB 플래시 프레임(1118)을 링(10)에 전송하지 않는다.
유저가, 다음으로, 감시 장치(1103)의 복구 억지 상태를 해제하면, 감시 장치(1103)는, 포트(1122)를 블로킹 상태로 하고, FDB 플래시 프레임(1115)을 송신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및 1108)에서는, 통신부(130)가, FDB 플래시 프레임(1115)을 수신하면, CPU(110)는, 링(10)이 장해로부터 복구된 것을 인식하여, 메모리(120) 내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링(10)에 관련되는 링크 장해 정보 R1, R3, R5, R6을 삭제한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8) 및 중계 장치(1109)는, 포트(1124 및 1123)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중계 장치(1105, 1106, 1109),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는, FDB 플래시 프레임(1115)을 수신하면,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하고, 네트워크에 경로 변경을 재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다중 장해로서, 공유 링크(15)의 장해(1131) 및 그 이외의 링크의 장해(1132)가 발생한 경우에,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의 송신을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링(20)에서의 보조 감시 장치(1101)에서는, 감시 프레임(1111)이 일정 시간 수신되지 않고, 또한, 보조 감시 프레임(1113, 1114)이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포트(1121)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감시 프레임이 통과하는 중계 장치를 증가시키지 않고, 포트(1121)의 블로킹을 해제하여,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멀티 링 구성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 발생 시에도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감시 프레임이 중계되는 장치가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감시 프레임의 지연에 대해서 고려할 필요가 없다.
B.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의 멀티 링 구성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링(10)은, 감시 장치(2107)와, 중계 장치(2106)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로 구성되어 있다. 링(20)은, 보조 감시 장치(2105)와, 중계 장치(2102, 2109)와, 중계 장치(2106)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로 구성되어 있다. 링(30)은, 보조 감시 장치(2104)와, 중계 장치(2101, 2108)와, 중계 장치(2106)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링(10)에는, ID로서 「10」이, 링(20)에는, ID로서 「20」이, 링(30)에는, ID로서 「30」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2), 중계 장치(2106),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10) 사이의 링크는, 링(10, 20, 30)의 3개의 링에서 공유되어 있어, 공유 링크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가 복수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는, 링(20)의 보조 감시 장치(2105)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2113, 2114)을 송신함과 함께, 링(30)의 보조 감시 장치(2104)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2115, 2116)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링(20) 및 링(30)에, 공유 링크의 장해 발생을 감시하지 않는 링의 역할을 할당한다. 또한, 보조 감시 프레임(2113, 2114)에는, ID 정보로서, 링(20)을 나타내는 ID인 「20」이 포함되어 있고, 보조 감시 프레임(2115, 2116)에는, ID 정보로서, 링(30)을 나타내는 ID인 「30」이 포함되어 있다.
감시 장치(2107)는, 감시 프레임(2117)을 송신하고, 링(10)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를 순차적으로 전파시켜, 일주해서 되돌아온 그 감시 프레임(2117)을 수신함으로써, 링(10)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또한, 보조 감시 장치(2105)는, 감시 프레임(2112)을 송신하고, 링(20)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를 순차적으로 전파시켜, 일주해서 되돌아온 그 감시 프레임(2112)을 수신함과 함께,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및 2110)로부터 송신된 보조 감시 프레임(2113 및 2114)을 수신함으로써, 링(20)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보조 감시 장치(2104)는, 감시 프레임(2111)을 송신하고, 링(30)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를 순차적으로 전파시켜, 일주해서 되돌아온 감시 프레임(2111)을 수신함과 함께,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및 2110)로부터 송신된 보조 감시 프레임(2115 및 2116)을 수신함으로써, 링(30)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또한, 감시 프레임은, 이와 같이, 링에 소속하는 양쪽의 포트로부터 각각 송신하도록 하여도 되고, 제1 실시예와 같이, 링에 소속하는 한쪽의 포트로부터만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중계 장치(2101, 2102, 2106, 2108, 2109)는, 프레임을 전송할 뿐이며, 장해가 일어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특별히 그 이외의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9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와 중계 장치(2106) 사이의 공유 링크에 장해(2131)가 발생한 경우, 중계 장치(2106)는, 그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10, 20, 3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2141)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도, 그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10, 20, 3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2142)을 송신한다. 계속해서, 감시 장치(2107)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10) 사이의 링크에 장해(2132)가 발생한 경우, 감시 장치(2107)는, 그 링크가 소속하고 있는 링(10)에 대해서만, 장해 검출 프레임(2118)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10)도, 그 링크가 소속하고 있는 링(10)에 대해서만, 장해 검출 프레임(2119)을 송신한다. 또한, 감시 장치(2107)는, 자신이 송신한 감시 프레임(2117)을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포트(2123)의 블로킹을 해제한다.
도 11은 도 10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및 2110)는, 도 2에 도시한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메모리(120) 내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11∼R18을 추가하고, 그 후, 그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한 다중 장해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이 경우,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 R11, R14로부터, 감시 링 ID는 「10」이기 때문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은 링(10)이며, 공유 링 ID는 「10」, 「20」, 「30」이기 때문에, 링(10, 20, 30)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마찬가지로, 링크 장해 정보 R12, R15로부터, 감시 링 ID는 「20」이기 때문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은 링(20)이며, 공유 링 ID는 「10」, 「20」, 「30」이기 때문에, 링(10, 20, 30)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동일하게, 링크 장해 정보 R13, R16으로부터, 감시 링 ID는 「30」이기 때문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은 링(30)이며, 공유 링 ID는 「10」, 「20」, 「30」이기 때문에, 링(10, 20, 30)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또한,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 R17, R18로부터, 감시 링 ID는 「10」이기 때문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은 링(10)이며, 공유 링 ID는 「―」이기 때문에, 공유 링크 이외의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CPU(110)는, 도 5에 도시한 스텝 S102의 판정을 행한다. 즉, 동일한 감시 링 ID 「10」에 대해서, 링크 장해 정보 R11, R14에서는, 공유 링 ID는 「10」, 「20」, 「30」(즉, 링(10, 20, 3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고, 링크 장해 정보 R17, R18에서는, 공유 링 ID는 「―」(즉, 공유 링크 이외의 링크에서 장해 발생)로 되어 있어, 양자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링(10)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CPU(110)는,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스텝 S104의 판정을 행한다. 이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가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 중, 보조 감시 프레임(2113, 2114)에는, ID 정보로서, 링(20)을 나타내는 ID인 「20」이 포함되어 있고, 보조 감시 프레임(2115, 2116)에는, ID 정보로서, 링(30)을 나타내는 ID인 「30」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링크 장해 정보 R12, R15에서의 감시 링 ID는 「20」이며, 링크 장해 정보 R13, R16에서의 감시 링 ID는 「30」이기 때문에, CPU(110)는, 감시 링 ID 중에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ID가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스텝 S106의 판정을 행한다. 이 경우, 링크 장해 정보 R11∼R16에서의 공유 링 ID는, 「10」, 「20」, 「30」이며,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인 「20」, 「30」보다도 큰 번호는 없기 때문에, CPU(110)는,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 는 ID보다도 큰 번호의 ID를 갖는 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스텝 S108로 이행한다.
스텝 S108에서는,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 R17, R18에서, 공유 링크 ID가 「―」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유 링크 이외의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스텝 S110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는 보조 감시 프레임을, 링(20 및 30)의 2개의 링에 대하여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스텝 S110에서는, CPU(110)는, 복수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CPU(110)는, 이 결과, 처리를 스텝 S112로 이행하고, 공유 링 ID 중, 그 ID의 번호가 작은 링에의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 링크 장해 정보 R11∼R16에서의 공유 링 ID는 「10」, 「20」, 「30」(즉, 링(10, 20, 3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서, 그들 링 중, 보조 감시 프레임이 송신되어 있는 것은 링(20) 및 링(30)이며, 그 중, ID의 번호가 작은 링은, 링(20)이다. 따라서,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는, 각각, 링(20)에 대한 보조 감시 프레임(2113, 2114)의 송신을 정지한다. 단, 링(30)에 대한 보조 감시 프레임(2115, 2116)의 송신은 계속한다.
링(10)에서의 감시 장치(2107)는, 스스로 송신한 감시 프레임(2117)을 일정 시간 수신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링(10)에서 장해가 발생했다고 인식하여, 포트(2123)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FDB 플래시 프레임(2146)을 송신한다.
링(20)에서의 보조 감시 장치(2105)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및 2110) 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링(20)에서의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여, 포트(2122)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한 후, FDB 플래시 프레임(2143)을 송신한다.
중계 장치(2102, 2109) 및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는, FDB 플래시 프레임을 수신하면,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하고, 네트워크에 경로 변경을 재촉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는, FDB 플래시 프레임(2143)을 수신한 경우, 링(10)에 대하여 FDB 플래시 프레임(2144, 2145)을 송신한다. 중계 장치(2106) 및 감시 장치(2107)는, 이들 FDB 플래시 프레임을 수신하면,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하고, 네트워크에 경로 변경을 재촉한다.
링(30)에 소속하는 중계 장치(2101, 2108) 및 보조 감시 장치(2104)에 관해서는, 장해(2131 및 2132)가 발생한 경우라도, 특별한 동작을 하지 않고, 계속해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가 복수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에서, 다중 장해로서, 공유 링크의 장해(2131) 및 그 이외의 링크의 장해(2132)가 발생했을 때에,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로부터, ID의 번호가 작은 링(20)에의 보조 감시 프레임(2113, 2114)의 송신을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링(20)에서의 보조 감시 장치(2105)에서는, 감시 프레임(2112)이 일정 시간 수신되지 않고, 또한, 보조 감시 프레임(2113, 2114)이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포트(2122)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 서, 감시 프레임이 통과하는 중계 장치를 증가시키지 않고, 포트(2122)의 블로킹을 해제하여,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 제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의 멀티 링 구성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공유 링크가 존재하고 있다. 링(10)은, 감시 장치(3103)와, 중계 장치(3106)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3105, 3108, 3109, 3142, 3143)로 구성되어 있다. 링(20)은, 보조 감시 장치(3101)와, 중계 장치(3104)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3105)로 구성되어 있다. 링(30)은, 보조 감시 장치(3107)와, 중계 장치(3141)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 3142)로 구성되어 있다. 링(40)은, 보조 감시 장치(3110)와, 중계 장치(3144),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9, 314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링(10)에는, ID로서 「10」이, 링(20)에는, ID로서 「20」이, 링(30)에는, ID로서 「30」이, 링(40)에는, ID로서 「40」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5) 사이의 링크는, 링(10)과 링(20)으로 공유되어 있어, 공유 링크로 되어 있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42) 사이의 링크는, 링(10)과 링(30)에서 공유되어 있어, 공유 링크로 되어 있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9)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43) 사이의 링크는, 링(10)과 링(40)에서 공유되어 있어, 공유 링크로 되어 있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3105)는, 링(20)의 보조 감시 장치(3101)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3112, 3113)을 송신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 3142)는, 링(30)의 보조 감시 장치(3107)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3116, 3117)을 송신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9, 3143)는, 링(40)의 보조 감시 장치(3110)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3118, 3119)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이들 링(20, 30, 40)에, 공유 링크의 장해 발생을 감시하지 않는 링의 역할을 할당한다. 또한, 보조 감시 프레임(3112, 3113)에는, ID 정보로서, 링(20)을 나타내는 ID인 「20」이, 보조 감시 프레임(3116, 3117)에는, 링(30)을 나타내는 ID인 「30」이, 보조 감시 프레임(3118, 3119)에는, 링(40)을 나타내는 ID인 「40」이, 각각 포함되어 있다.
감시 장치(3103)는, 감시 프레임(3114)을 송신하고, 링(10)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를 순차적으로 전파시켜, 일주해서 되돌아온 그 감시 프레임(3114)을 수신함으로써, 링(10)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또한, 보조 감시 장치(3101)는, 감시 프레임(3111)을 송신하고, 링(20)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를 순차적으로 전파시켜, 일주해서 되돌아온 그 감시 프레임(3111)을 수신함과 함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및 3105)로부터 송신된 보조 감시 프레임(3112 및 3113)을 수신함으로써, 링(20)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보조 감시 장치(3107)는, 감시 프레임(3115)을 송신하고, 링(30)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를 순차적으로 전파시켜, 일주해서 되돌아온 그 감시 프레임(3115)을 수신함과 함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 및 3142)로부터 송신된 보조 감시 프레임(3116 및 3117)을 수신함으로써, 링(30)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보조 감시 장치(3110)는, 감시 프레임(3120)을 송신하고, 링(4O)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를 순차적으로 전파시켜, 일주해서 되돌아온 그 감시 프레임을 수신함과 함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9 및 3143)로부터 송신된 보조 감시 프레임(3118 및 3119)을 수신함으로써, 링(40)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또한, 감시 프레임은, 이와 같이, 링에 소속하는 양쪽의 포트로부터 각각 송신하도록 하여도 되고,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링에 소속하는 한쪽의 포트로부터만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중계 장치(3104, 3106, 3141, 3144)는, 프레임을 전송할 뿐이며, 장해가 일어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특별히 그 이외의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3105, 3108, 3109, 3142, 3143)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도 12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5) 사이의 공유 링크에 장해(3131)가 발생한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는, 그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10, 2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3151)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5)도, 그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10, 2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3154)을 송신한다. 계속해서,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42) 사이의 공유 링크에 장해(3132)가 발생한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는, 그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10, 3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3155)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42)도, 그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10, 30)에 대해서는 장해 검출 프레임(3158)을 송신한다.
도 14는 도 13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15는 동일하게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5)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에서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3154, 3158)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메모리(120) 내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21∼R25를 추가한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5)에서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3151, 3155)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메모리(120) 내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21∼R24, R26을 추가한다. 그 후,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3105)의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한 다중 장해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CPU(110)는, 스텝 S102의 판정을 행한다. 이 경우, 동일한 감시 링 ID 「10」에 대해서, 링크 장해 정보 R21∼R24에서는, 공유 링 ID는 「10」, 「20」(즉, 링(10, 2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고, 링크 장해 정보 R25 또는 R26에서는, 공유 링 ID는 「10」, 「30」(즉, 링(10, 3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어, 양자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링(10)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CPU(110)는,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스텝 S104의 판정을 행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3105)가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3112, 3113)에는, ID 정보로서, 링(20)을 나타내는 ID인 「20」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링크 장해 정보 R22, R24에서의 감시 링 ID는 「20」이기 때문에, CPU(110)는, 감시 링 ID 중에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ID가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스텝 S106의 판정을 행한다. 이 경우, 링크 장해 정보 R21∼R26에서의 공유 링 ID는, 「10」, 「20」, 「30」이며, 보조 감시 프레임(3112, 3113)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인 「20」보다도 큰 번호가 있기 때문에, CPU(110)는,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3112, 3113)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보다도 큰 번호의 ID를 갖는 링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스텝 S110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3105)는 보조 감시 프레임을, 1개의 링(20)에 대해서만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스텝 S110에서는, CPU(110)는, 복수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CPU(110)는, 이 결과, 처리를 스텝 S114로 이행하고, 통신부(130)에,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3105)는, 보조 감시 프레임(3112, 3113)의 송신을 정지한다.
링(10)에서의 감시 장치(3103)는, 스스로 송신한 감시 프레임(3114)을 일정 시간 수신하지 않고 있음으로써, 링(10)에서 장해가 발생했다고 인식하여, 포트(3122)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FDB 플래시 프레임(3159)을 송신한다.
링(20)에서의 보조 감시 장치(3101)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및 3105)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링(20)에서의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여, 포트(3121)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한 후, FDB 플래시 프레임(3152)을 송신한다.
중계 장치(3104)는, FDB 플래시 프레임(3152)을 수신하면,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하고, 네트워크에 경로 변경을 재촉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3105)는, FDB 플래시 프레임(3152)을 수신한 경우,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한 후, 링(10)에 대하여 FDB 플래시 프레임(3153, 3156)을 송신한다. 중계 장치(3106) 및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 3142, 3143, 3109), 감시 장치(3103)는, 이들 FDB 플래시 프레임을 수신하면,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하고, 네트워크에 경로 변경을 재촉한다.
도 16은 도 13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17은 동일하게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42)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에서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3154, 3158)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16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31∼R35를 추가한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42)에서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3151, 3155)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31∼R34, R36을 추가한다. 그 후,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 3142)의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한 다중 장해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CPU(110)는, 스텝 S102의 판정을 행한다. 이 경우, 동일한 감시 링 ID 「10」에 대해서, 링크 장해 정보 R31∼R34에서는, 공유 링 ID는 「10」, 「20」(즉, 링(10, 2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고, 링크 장해 정보 R25 또는 R26에서는, 공유 링 ID는 「10」, 「30」(즉, 링(10, 3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어, 양자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링(10)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CPU(110)는,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스텝 S104의 판정을 행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 3142)가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3116, 3117)에는, ID 정보로서, 링(30)을 나타내는 ID인 「30」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링크 장해 정보 R32, R34에서의 감시 링 ID는 「30」이기 때문에, CPU(110)는, 감시 링 ID 중에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ID가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스텝 S106의 판정을 행한다. 이 경우, 링크 장해 정 보 R31∼R36에서의 공유 링 ID는, 「10」, 「20」, 「30」이며, 보조 감시 프레임(3116, 3117)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인 「30」보다도 큰 번호는 없기 때문에, CPU(110)는,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3112, 3113)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보다도 큰 번호의 ID를 갖는 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스텝 S108로 이행한다.
스텝 S108에서는,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 R31∼R36의 어느 것에서도, 공유 링크 ID가 「―」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유 링크 이외의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CPU(110)는, 이 결과, 처리를 스텝 S116으로 이행하고, 통신부(130)에, 보조 감시 프레임(3116 및 3117)의 송신을 계속시킨다.
도 18은 도 13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9, 3143)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9 및 3143)에서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3151, 3158)을 수신함으로써,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41, R42를 추가한다. 그 후,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9, 3143)의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한 다중 장해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CPU(110)는, 스텝 S102의 판정을 행한다. 이 경우, 동일한 감시 링 ID 「10」에 대해서, 링크 장해 정보 R41에서는, 공유 링 ID는 「10」, 「20」(즉, 링(10, 2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고, 링크 장해 정 보 R42에서는, 공유 링 ID는 「10」, 「30」(즉, 링(10, 3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어, 양자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링(10)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CPU(110)는,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CPU(110)는, 스텝 S104의 판정을 행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9, 3143)가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3118, 3119)에는, ID 정보로서, 링(40)을 나타내는 ID인 「40」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링크 장해 정보 R41, R42에서의 감시 링 ID는 「10」이기 때문에, CPU(110)는, 감시 링 ID 중에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ID는 없다고 판정한다.
CPU(110)는, 이 결과, 처리를 스텝 S116으로 이행하고, 통신부(130)에, 보조 감시 프레임(3118 및 3119)의 송신을 계속시킨다.
따라서, 링(30 및 40)에 소속하는 각 장치는, 장해(3131 및 3132)가 발생한 경우라도, 특별한 동작을 하지 않고, 계속해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공유 링크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서, 다중 장해로서, 복수의 공유 링크의 장해(3131, 3132)가 발생했을 때에, ID의 번호가 작은 링(20)에 대하여,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 3105)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3112, 3113)의 송신을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링(20)에서의 보조 감시 장치(3101)에서는, 감시 프레임(3111)이 일정 시간 수신되지 않고, 또한, 보조 감시 프레임(3112, 3113)이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포트(3121)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감시 프레임이 통과하는 중계 장치를 증가시키지 않 고, 포트(3121)의 블로킹을 해제하여, 공유 링크 부분의 다중 장해에 관계없이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 제4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의 멀티 링 구성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링을 넘은 링이 존재한다. 링(10)은, 감시 장치(4101)와, 중계 장치(4102, 4103)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 4106)로 구성되어 있다. 링(20)은, 보조 감시 장치(4107)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 4108)로 구성되어 있다. 링(30)은, 보조 감시 장치(4109)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 4106, 410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링(10)에는, ID로서 「10」이, 링(20)에는, ID로서 「20」이, 링(30)에는, ID로서 「30」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 사이의 링크는, 링(10)과 링(20)에서 공유되어 있어, 공유 링크로 되어 있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6) 사이의 링크는, 링(10)과 링(30)에서 공유되어 있어, 공유 링크로 되어 있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8) 사이의 링크는, 링(20)과 링(30)에서 공유되어 있어, 공유 링크로 되어 있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는, 링(20)의 보조 감시 장치(4107)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4113, 4114)을 송신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6, 4108) 는, 링(30)의 보조 감시 장치(4109)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4116, 4117)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이들 링(20, 30)에, 공유 링크의 장해 발생을 감시하지 않는 링의 역할을 할당한다. 또한, 보조 감시 프레임(4113, 4114)에는, ID 정보로서, 링(20)을 나타내는 ID인 「20」이, 보조 감시 프레임(4116, 3117)에는, 링(30)을 나타내는 ID인 「30」이, 각각 포함되어 있다.
감시 장치(4101)는, 감시 프레임(4111)을 송신하고, 링(10)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를 순차적으로 전파시켜, 일주해서 되돌아온 그 감시 프레임(4111)을 수신함으로써, 링(10)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또한, 보조 감시 장치(4107)는, 감시 프레임(4112)을 송신하고, 링(20)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를 순차적으로 전파시켜, 일주해서 되돌아온 그 감시 프레임(4112)을 수신함과 함께,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및 4105)로부터 송신된 보조 감시 프레임(4113 및 4114)을 수신함으로써, 링(20)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보조 감시 장치(4109)는, 감시 프레임(4115)을 송신하고, 링(30)을 구성하는 상기 장치를 순차적으로 전파시켜, 일주해서 되돌아온 그 감시 프레임(4115)을 수신함과 함께,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6 및 4108)로부터 송신된 보조 감시 프레임(4116 및 4117)을 수신함으로써, 링(30)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다. 또한, 감시 프레임은, 이와 같이, 링에 소속하는 양쪽의 포트로부터 각각 송신하도록 하여도 되고,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링에 소속하는 한쪽의 포트로부터만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중계 장치(4102, 4103)는, 프레임을 전송할 뿐이며, 장해가 일어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특별히 그 이외의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 4106, 4108)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도 19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 사이의 공유 링크에 장해(4131)가 발생한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는, 그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10, 2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4118)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는, 그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10, 2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4119)을 송신한다. 계속해서,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와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8) 사이의 공유 링크에 장해(4132)가 발생한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는, 그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20, 3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4120)을 송신한다. 단, 링(20)에 대해서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로부터 링(20)에 연결되는 모든 링크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장해 검출 프레임을 송신할 수 없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8)는, 그 공유 링크를 공유하고 있는 모든 링(20, 30)에 대하여, 장해 검출 프레임(4141)을 송신한다.
도 21은 도 20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22는 동일하게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23은 동일하게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6)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24는 동일하게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8)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에서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4119, 4141)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메모리(120) 내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51∼R55를 추가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에서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4118, 4141)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51∼R54, R56∼R58을 추가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6)에서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4118, 4119, 4120, 4141)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51, R53, R57∼R59를 추가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8)에서는, 통신부(130)가, 장해 검출 프레임(4118, 4120)을 수신하거나, 자신의 포트를 통해서 링크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거나 함으로써, CPU(110)는,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22)에,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52, R54, R56∼R58, R60을 추가한다. 그 후,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 4106, 4108)의 CPU(110)는, 도 5에 도시한 다중 장해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6)에서는, CPU(110)가 스텝 S102의 처리를 행하면,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감시 링 ID 「10」에 대해서는, 링크 장해 정 보 R51, R53의 모두가, 공유 링 ID는 「10」, 「20」(즉, 링(10, 2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다. 동일한 감시 링 ID 「3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링크 장해 정보 R57∼R59의 모두가, 공유 링 ID는 「20」, 「30」(즉, 링(10, 2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링(10), 링(30) 모두, 서로 다른 개소에서는 장해가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CPU(110)는,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6)의 CPU(110)는, 이 결과, 처리를 스텝 S116으로 이행하고, 통신부(130)에, 보조 감시 프레임(4116)의 송신을 계속시킨다.
한편,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 4108)에서는, CPU(110)가 스텝 S102의 처리를 행하면, 도 21, 도 22,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감시 링 ID 「20」에 대해서, 링크 장해 정보 R52, R54에서는, 공유 링 ID는 「10」, 「20」(즉, 링(10, 2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고, 링크 장해 정보 R55, R56, R60에서는, 공유 링 ID는 「20」, 「30」(즉, 링(20, 30)에서 공유하는 공유 링크에서 장해 발생)으로 되어 있어, 양자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링(20)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개소에서 장해(즉,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CPU(110)는, 동일한 감시 링 I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개소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 4108)의 CPU(110)는, 스텝 S104의 판정을 행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에서는,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4113, 4114)의 ID 정보는, 링(20)을 나타내는 ID인 「20」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1, 도 22에 도시하는 링크 장해 정보 R52, R54, R56에서는, 감시 링 ID가, 상기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20」으로 되어 있다. 한편,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8)에서는, 송신하는 보조 감시 프레임(4117)의 ID 정보는, 링(30)을 나타내는 ID인 「30」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4에 도시하는 링크 장해 정보 R57, R58에서는, 감시 링 ID가, 상기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30」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 4108)의 CPU(110)는, 모두, 감시 링 ID 중에 보조 감시 프레임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ID가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 4108)의 CPU(110)는, 스텝 S106의 판정을 행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에서는, 도 21,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51∼R58에서의 공유 링 ID는, 「10」, 「20」, 「30」이며, 보조 감시 프레임(4113, 4114)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인 「20」보다도 큰 번호가 있기 때문에, CPU(110)는,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4113, 4114)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보다도 큰 번호의 ID를 갖는 링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스텝 S110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는, 보조 감시 프레임을, 1개의 링(20)에 대해서만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스텝 S110에서는, CPU(110)는, 복수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 결과, CPU(110)는, 이 결과, 처리를 스텝 S114로 이행하고, 통신부(130)에,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 지시킨다. 따라서,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는, 보조 감시 프레임(4113, 4114)의 송신을 정지한다.
한편,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8)에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장해 정보 R52, R54, R56∼R58, R60에서의 공유 링 ID는, 「10」, 「20」, 「30」이며, 보조 감시 프레임(4117)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인 「30」보다도 큰 번호는 없기 때문에, CPU(110)는,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4117)의 ID 정보가 나타내는 ID보다도 큰 번호의 ID를 갖는 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스텝 S108로 이행한다.
이 경우, 도 24에 도시하는 링크 장해 정보 R52, R54, R56∼R58, R60의 어느 것에서도, 공유 링크 ID가 「―」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텝 S108에서는, CPU(110)는, 공유 링크 이외의 링크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 결과, CPU(110)는, 처리를 스텝 S116으로 이행하고, 통신부(130)에, 보조 감시 프레임(3117)의 송신을 계속시킨다.
링(10)에서의 감시 장치(4101)는, 스스로 송신한 감시 프레임(4111)을 일정 시간 수신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링(10)에서 장해가 발생했다고 인식하여, 포트(4121)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FDB 플래시 프레임(4142)을 송신한다.
링(20)에서의 보조 감시 장치(4107)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링(20)에서의 장해의 발생을 인식하여, 포트(4122)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한 후, FDB 플래시 프레임(4143)을 송신한다.
링(10)에 소속하는 각 장치는, FDB 플래시 프레임(4142)을 수신하면,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하고, 네트워크에 경로 변경을 재촉한다. 또한, 링(20)에 소속하는 각 장치는 FDB 플래시 프레임(4143)을 수신하면, 장치 내에 갖고 있는 FDB를 삭제하고, 네트워크에 경로 변경을 재촉한다.
링(30)에 소속하는 각 장치는, 장해(4131 및 4132)가 발생한 경우라도, 특별한 동작을 하지 않고, 계속해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링을 넘은 링이 존재하는 경우에서, 다중 장해로서, 복수의 공유 링크의 장해(4131, 4132)가 발생했을 때에, ID의 번호가 작은 링(20)에 대하여,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 4105)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4113, 4114)의 송신을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링(20)에서의 보조 감시 장치(4107)에서는, 감시 프레임(4112)이 일정 시간 수신되지 않고, 또한, 보조 감시 프레임(4113, 4114)이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 포트(4122)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감시 프레임이 통과하는 중계 장치를 증가시키지 않고, 포트(4122)의 블로킹을 해제하여,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링을 넘은 링이 존재함으로써, 이중 삼중의 장해에 대한 우회 경로를 작성할 수 있다.
E. 실시예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계 장치, 감시 장치 및 공유 링크 종단 장치(이하, 각 장치)에서 링크 장해를 검출한 경우, 각각의 장치는 장해 발생 시에 장해 검출 프레임을 링 내에 송신하고, 공유 링크 종단 장치에 링크 장해 정보를 도달시 킨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는,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고, 다중 장해 판정을 행하여, 다중 장해로 판정한 경우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한다.
링크 장해 시, 각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장해 검출 프레임은, 감시 장치의 블로킹 상태에 있는 포트로부터도 송수신된다. 또한, 장해 검출 프레임은 루프를 피하기 위해서, 송신한 각 장치에서 폐기된다. 장해가 발생한 포트가, 복수의 링에서의 공유 포트인 경우에는, 장해 검출 프레임은 감시하는 링의 각각에 대하여 송신한다.
장해 검출 프레임에는, 장해가 발생한 포트를 감시하고 있는 측의 링의 정보 및 공유하고 있는 링의 정보가 부가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는 장해 검출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자신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중 장해의 판단을 행하고, 다중 장해로 판단한 경우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의 링크 장해 시에도,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보조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는 보조 감시 장치는, 자신이 송신하는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고, 또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 자신의 포트의 블로킹을 해제한다. 단, 자신이 송신하는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블로킹을 해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블로킹을 해제한 후, 링 내에 경로의 절환을 재촉하기 때문에, 링의 각 장치가 갖는 프레임의 전송처를 제어하는 정보 테이블(즉, FDB)을 클리어하기 위한 제어 프 레임(즉, FDB 플래시 프레임)을 송신한다. FDB 플래시 프레임을 수신한 공유 링크 종단 장치는,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링에 대하여 FDB 플래시 프레임을 송신한다.
링크 복구 시, 각 장치는 복구된 링크를 블로킹으로 하고, FDB 플래시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유저에 의한 해제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유저 프레임은 송수신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공유 링크 종단 장치는 FDB 플래시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자신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운한 링크의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다중 장해 판정을 행하여, 다중 장해로부터 회복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재개한다.
보조 감시 장치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로부터의 보조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또는 자신이 송신한 감시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링 접속 포트의 한쪽을 블로킹 상태로 한다. 또한, 블로킹을 설정한 후, FDB를 클리어하기 위한 제어 프레임(즉, FDB 플래시 프레임)을 송신한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에 따르면, 장해 검지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서 보고되는 정보의 축적과 해석에 의해 다중 장해의 발생을 검출하고, 그 결과로서 보조 감시 프레임을 정지함으로써, 감시 프레임이 통과하는 중계 장치를 증가시키지 않고, 블로킹 포트의 개방을 행하여,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멀티 링 구성의 링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 발생 시에도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 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의 멀티 링 구성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유 링크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1102, 1108)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1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에서 실행되는 다중 장해 판정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1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도 1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로부터 1개의 링크가 복구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도 1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로부터 모든 링크가 복구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의 멀티 링 구성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도 9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 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2103, 2110)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의 멀티 링 구성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도 12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도 13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2)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도 13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5)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도 13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8)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도 13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42)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도 13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3109, 3143)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의 멀티 링 구성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도 19에서의 Etherne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 의 모습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1은 도 20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4)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2는 도 20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5)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3은 도 20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6)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4는 도 20에서의 공유 링크 종단 장치(4108)의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CPU
120: 메모리
122: 링크 장해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
124: 포워딩 데이터베이스
130: 통신부
10, 20: 링
15: 공유 링크
1101: 보조 감시 장치
1102: 공유 링크 종단 장치
1103: 감시 장치
1104, 1105, 1106, 1107, 1109: 중계 장치
1108: 공유 링크 종단 장치
1111, 1112: 감시 프레임
1113, 1114: 보조 감시 프레임
1115: FDB 플래시 프레임
1116, 1117, 1217: 장해 검출 프레임

Claims (7)

  1. 제1 링과, 그 제1 링에서의 일부의 링크를 공유 링크로서 공유하도록, 상기 제1 링에 결합된 제2 링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링크의 다중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다중 장해에 대처하는 장해 대처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유 링크의 종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링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하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와,
    상기 제2 링 상에 존재하고, 스스로 송신해서 상기 제2 링을 일주한 감시 프레임을 수신함과 함께,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링에 접속되는 포트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포트를 블로킹 상태로 하는 감시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링크 종단 장치는,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함과 함께, 링크 장해 발생 시에 상기 링 상에 존재하는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장해 검출 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장해 검출 프레임에 포함되는 링크 장해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저장된 상기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링크의 장해를 포함하는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 프레임이 일정 시간 수신되지 않고, 또한, 상 기 보조 감시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특정 포트의 블로킹 상태를 해제하는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던 링크가 복구된 후, 복구 억지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특정 포트를 블로킹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제2 링에 대하여 특정 제어 프레임을 송신하는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링크 종단 장치에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특정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면,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링크 장해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삭제함과 함께,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개시시키는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라도, 상기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속행시키는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5. 제1 링과, 그 제1 링에서의 일부의 링크를 공유 링크로서 공유하도록, 상기 제1 링에 결합된 제2 링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공유 링크의 종단에 위치하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로서,
    상기 제2 링 상에 존재하는 감시 장치에 대하여 보조 감시 프레임을 송신함과 함께, 링크 장해 발생 시에 상기 링 상에 존재하는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장해 검출 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장해 검출 프레임에 포함되는 링크 장해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저장된 상기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링크의 장해를 포함하는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감시 장치로부터 송신된 특정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면,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링크 장해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삭제함과 함께,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개시시키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라도, 상기 링크 장해 정보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감시 프레임의 송신을 속행시키는 공유 링크 종단 장치.
KR1020080011692A 2007-07-19 2008-02-05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 공유 링크 종단장치 KR100955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8223A JP4874185B2 (ja) 2007-07-19 2007-07-19 多重障害対処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共有リンク終端装置
JPJP-P-2007-00188223 2007-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083A KR20090009083A (ko) 2009-01-22
KR100955370B1 true KR100955370B1 (ko) 2010-04-29

Family

ID=4026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692A KR100955370B1 (ko) 2007-07-19 2008-02-05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 공유 링크 종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18842B2 (ko)
JP (1) JP4874185B2 (ko)
KR (1) KR100955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5971B1 (en) * 2007-10-04 2011-12-07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Data network with time synchronization mechanism
JP2009206891A (ja) * 2008-02-28 2009-09-10 Nec Corp レイヤ2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その管理方法
US8095820B2 (en) * 2009-06-02 2012-01-10 Hitachi, Ltd.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s for the same
CN101938395B (zh) * 2009-07-03 2014-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以太环网的单环地址刷新方法及系统
WO2011114537A1 (ja) * 2010-03-19 2011-09-22 富士通株式会社 伝送装置、障害復旧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592172B2 (ja) * 2010-06-18 2014-09-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リング接続ノード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の制御方法
JP5592224B2 (ja) * 2010-10-12 2014-09-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リング接続ノード、監視制御装置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の制御方法
EP2727290A1 (en) * 2011-06-30 2014-05-07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Dual-ring switch for rstp networks
US9143338B2 (en) * 2012-10-05 2015-09-22 Advanced Micro Devices, Inc. Position discovery by detecting irregularities in a network topology
WO2014199471A1 (ja) 2013-06-12 2014-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プロテクション方法
WO2016206010A1 (zh) * 2015-06-24 2016-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链路故障定位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7056140A1 (ja) * 2015-09-28 2017-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ノード
JP2017098842A (ja) * 2015-11-26 2017-06-0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5933924B (zh) * 2016-04-20 2019-09-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交互软件的在线状态检测方法、装置及终端
CN106656606A (zh) * 2016-12-27 2017-05-1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数据通路的测试方法、测试服务器及测试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119A1 (en) 2002-03-04 2003-09-04 Hsu Ivy Pei-Shan Network configuration protocol and method for rapid traffic recovery and loop avoidance in ring topologies
JP2004201009A (ja) * 2002-12-18 2004-07-15 Hitachi Cable Ltd スイッチングハブ
WO2006128808A1 (en) * 2005-05-31 2006-12-07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ethod for protection sw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482B1 (en) * 2001-10-31 2004-07-20 Extreme Networks Ethernet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US8520507B1 (en) * 2004-03-08 2013-08-27 Extreme Networks, Inc. Ethernet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JP2005269059A (ja) * 2004-03-17 2005-09-29 Fujitsu Ltd データ中継装置、データ中継方法およびデータ中継プログラム
JP4627205B2 (ja) * 2005-03-28 2011-02-09 富士通株式会社 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障害復旧方法
US7606240B1 (en) * 2005-06-16 2009-10-20 Extreme Networks Ethernet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119A1 (en) 2002-03-04 2003-09-04 Hsu Ivy Pei-Shan Network configuration protocol and method for rapid traffic recovery and loop avoidance in ring topologies
JP2004201009A (ja) * 2002-12-18 2004-07-15 Hitachi Cable Ltd スイッチングハブ
WO2006128808A1 (en) * 2005-05-31 2006-12-07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ethod for protection swi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18842B2 (en) 2011-09-13
US20090022052A1 (en) 2009-01-22
JP2009027433A (ja) 2009-02-05
KR20090009083A (ko) 2009-01-22
JP4874185B2 (ja)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370B1 (ko) 다중 장해 대처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 공유 링크 종단장치
KR101519624B1 (ko) 이더넷 링 네트워크의 비환원 모드에서의 장애 복구 방법
US79448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recovery from multiple link failures
US7440397B2 (en) Protection that automatic and speedily restore of Ethernet ring network
JP5546461B2 (ja) チェーン及びリング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透過的なオートリカバリ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7961602B2 (en) Method and device using a backup communication path to transmit excess traffic
JP5643185B2 (ja) Eapsシステム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損失の削減
JP4682887B2 (ja) 故障復旧方法およびノードならびにネットワーク
US8724519B2 (en) Technique for dual homing interconnection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US9525609B2 (en) Relay system and switching device
JP5012485B2 (ja) 冗長方法及びスイッチ装置
JP5084772B2 (ja) リング型ネットワーク
CN101626272A (zh) 一种光网络中错连阻错的实现方法
CN101425952B (zh) 保障以太环网可靠运行的方法及装置
EP27706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cast service
CN107995111B (zh) 业务转发、链路变化通告方法、汇聚设备及接入设备
CN104081723A (zh) 用于网络保护的方法和装置
JP2005033360A (ja) ブリッジ装置、及び該装置のブリッジ処理方法
KR101982730B1 (ko) 네트워크의 보호 절체 방법 및 장치
WO2010095268A1 (ja) リング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マスタノード、スレーブノードおよびリングネットワーク
JP3689062B2 (ja) 上位ノードおよびネットワーク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7208900A (ja) 警報転送システム
JP4653800B2 (ja) 伝送路システム、フレーム伝送装置、伝送路システムにおける伝送路切り替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48761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6418713A (zh) 一种流量的保护方法和路由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