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545B1 -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545B1
KR100954545B1 KR1020090024416A KR20090024416A KR100954545B1 KR 100954545 B1 KR100954545 B1 KR 100954545B1 KR 1020090024416 A KR1020090024416 A KR 1020090024416A KR 20090024416 A KR20090024416 A KR 20090024416A KR 100954545 B1 KR100954545 B1 KR 100954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mixed gas
chamber
oxygen mixed
flash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호인
박원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산에너지
박원달
천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산에너지, 박원달, 천호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산에너지
Priority to KR102009002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6Bipolar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수용액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전해조; 및 상기 전해조에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을 위한 수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전해조에서 발생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경유되면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의 수분이 분리되는 수용액 탱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의하면, 수용액 탱크가 수용액 공급관을 통해 전해조에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을 위한 수용액을 공급하고, 수소산소 혼합가스 공급관을 통해 전해조에서 발생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경유되면서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의 수분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수용액 탱크가 수용액 공급 수단은 물론 1차적인 기수 분리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액 공급 수단과 1차적인 기수 분리기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Air-water separating and backfire preventing apparatus, and hydrogen-oxygen mixed gas produc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전해액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가스 및 산소가스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전기 분해가 일어나는 전해조와, 그러한 전해조에서 전기 분해에 의해 형성된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물과 분리하는 기수 분리기, 전해액을 전해조로 보충해주는 수용액 탱크와, 화염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 방지기 등으로 구성된다.
전해조에는 복수 개의 대전판이 전해액에 담긴 상태로 배치되고, 대전판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전해조 내부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의하면, 기수 분리기, 역화 방지기, 수용액 탱크가 각각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 설치되어,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그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는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수용액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전해조; 및 상기 전해조에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을 위한 수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전해조에서 발생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경유되면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의 수분이 분리되는 수용액 탱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는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역화 방지액이 내부에 수용된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유입을 위한 가스 유입관이 연결되는 제 1 챔버와,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유출을 위한 가스 유출관이 연결되는 제 2 챔버를 형성하는 격벽;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를 연통시키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출관을 통한 역화의 확산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2 챔버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위는 상기 관통 홀의 형성 위치보다 높게 유지되고, 상기 가스 유입관을 통해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유입되면, 유입된 상기 수소산소 혼합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챔버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제 2 챔버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챔버 내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위가 상기 관통 홀보다 낮아지고, 그에 따라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제 1 챔버 내의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상기 제 2 챔버로 이동되어 상기 가스 유출관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의하면, 수용액 탱크가 수용액 공급관을 통해 전해조에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을 위한 수용액을 공급하고, 수소산소 혼합가스 공급관을 통해 전해조에서 발생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경유되면서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의 수분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수용액 탱크가 수용액 공급 수단은 물론 1차적인 기수 분리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액 공급 수단과 1차적인 기수 분리기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의하면, 전해조에서 한 쌍의 커버판에는 같은 전류 극성이 걸리고, 중간판에는 한 쌍의 커버판과 반대의 전류 극성이 걸림으로써, 한 쌍의 커버판의 어느 하나에 양극이, 나머지 하나에 음극이 걸리는 경우에 비해 동일한 크기의 전해조에서도 전기 분해 능력이 증대되어, 수용액의 순환 속도가 증가되고, 그에 따라 전해조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 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의하면, 절연 지지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절연 지지체는 전해조와 외부 케이스 사이를 절연시키면서, 전해조가 외부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해조에 대한 절연체와, 전해조를 외부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체가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의하면,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가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와, 격벽과, 관통 홀을 포함하고, 제 2 챔버 내부의 역화 방지액의 수위가 관통 홀의 형성 위치보다 높게 유지됨으로써, 가스 유출관을 통한 역화의 확산이 방지될 수 있고, 가스 유입관을 통해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유입되면, 유입된 수소산소 혼합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 1 챔버 내부의 역화 방지액 중 적어도 일부가 관통 홀을 통해 제 2 챔버로 이동되면서, 제 1 챔버 내의 역화 방지액의 수위가 관통 홀보다 낮아지고, 그에 따라 관통 홀을 통해 제 1 챔버 내의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제 2 챔버로 이동되어 가스 유출관으로 이동됨으로써, 수소산소 혼합가스에 대한 2차적인 기수 분리가 되면서, 수소산소 혼합가스의 원활한 유출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가 상기와 같이 역화 방지기 및 2차적인 기수 분리기의 기능을 함께 수행함에 따라, 역화 방지기 및 2차적인 기수 분리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보다 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의하면, 제 1 챔버 내부의 역화 방지액의 수위는 가스 유입관의 말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우, 제 1 챔버 내부의 역화 방지액이 가스 유입관을 통해 유출되지 아니하므로,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에 역화 방지액을 추가적으로 공급할 필요없이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내의 역화 방지액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의 기능 수행이 원활해지고, 그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의하면, 냉각 팬에 의해 외기 도입 홀을 통해 외기가 도입되어, 외부 케이스 내부에 공기 유동이 발생되고, 그러한 공기 유동에 의해 전해조와 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 수용액 탱크 및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가 순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액 탱크 및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이도, 수용액 탱크 및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에 대한 냉각이 가능하므로,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 장치의 안정적인 연속 운전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의 구성을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적용되는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에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유출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적용되는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에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유출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100)는 외부 케이스(110)와, 전해조(120)와, 전원 공급부(130)와, 수용액 탱크(140)와,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내부에 상기 전해조(120), 상기 전원 공급부(130), 상기 수용액 탱크(140) 및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전해조(120)는 상기 전원 공급부(130)와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된 수용액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전해조(120)는 한 쌍의 커버판(121, 123)과, 중간판(122)과, 복수 개의 대전판(1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은 상기 전해조(120)의 양 측면부를 이루는 것이고, 상기 중간판(122)은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의 사이,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의 대략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과 상기 중간판(122)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130)에서 연장된 각 전원 케이블(131, 132, 133)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복수 개의 대전판(124)은 그 내부에 수용액 공급관(161)을 통해 상기 수용액 탱크(140)로부터 공급된 상기 수용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사이 사이에는 절연체가 삽입된다. 상기 복수 개의 대전판(124) 양 말단에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대전판(124) 사이에 상기 중간판(122)이 설치된다. 상기 복수 개의 대전판(124)은 카본 스틸 등의 물질에 니켈이 도금되거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해조(120) 내부에서 발생된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수분과 함께 거품 형태로 수소산소 혼합가스 공급관(162)을 통해 상기 수용액 탱크(140)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에는 같은 전류 극성이 걸리고, 상기 중간판(122)에는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과 반대의 전류 극성이 걸린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에 양극이 걸리면, 상기 중간판(122)에는 음극이 걸린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해조(120)에서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에는 같은 전류 극성이 걸리고, 상기 중간판(122)에는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과 반대의 전류 극성이 걸리면,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의 어느 하나에 양극이, 나머지 하나에 음극이 걸리는 경우에 비해 동일한 크기의 전해조(120)에서도 전기 분해 능력이 증대되어, 수용액의 순환 속도가 증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해조(12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해조(120)와 상기 외부 케이스(110) 사이에 절연 지지체(125)가 설치된다. 상기 절연 지지체(125)는 상기 전해조(120), 상세히는 상기 한 쌍의 커버판(121, 123)의 형성된 홀(123a)에 삽입되는 삽입체(125a)와, 상기 삽입체(125a)를 받치는 받침체(125b)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 지지체(125)의 적어도 일 부분, 예를 들어 상기 삽입체(125a), 상기 받침체(125b), 또는 상기 삽입체(125a)와 상기 받침체(125b) 모두가 플라스틱 등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절연 지지체(125)는 상기 전해조(120)와 상기 외부 케이스(110) 사이를 절연시키면서, 상기 전해조(120)가 상기 외부 케이스(110)에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해조(120)에 대한 절연체와, 상기 전해조(120)를 상기 외부 케이스(110)에 결합시키는 결합체가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30)는 상기 전해조(120)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정류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액 탱크(140)는 상기 수용액 공급관(161)을 통해 상기 전해조(120)에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을 위한 수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공급관(162)을 통해 상기 전해조(120)에서 발생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경유되면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의 수분이 분리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수용액 탱크(140)의 케이스(141) 내부에는 수용액이 소정 높이로 수용되어 있는데,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공급관(162)을 통해 공급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상기 수용액 탱크(140)의 케이스(141) 내에 수용된 수용액의 수면 위를 경유하는 동안,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부에 함유된 수분이 중력에 의해 낙하됨으로써,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에서 수분이 1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용액 탱크(140)가 상기 수용액 공급관(161)을 통해 상 기 전해조(120)에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을 위한 수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공급관(162)을 통해 상기 전해조(120)에서 발생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경유되면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의 수분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액 탱크(140)가 수용액 공급 수단은 물론 1차적인 기수 분리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액 공급 수단과 1차적인 기수 분리기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액 탱크(140)를 경유한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가스 유입관(163)을 통해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 내부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가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151)와, 격벽(152)과, 관통 홀(153)로 구성된다.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151) 내부에는 역화 방지액이 수용된다. 상기 역화 방지액은 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격벽(152)은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151) 내부를 수직 방향으로 구획되어, 제 1 챔버(154) 및 제 2 챔버(155)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챔버(154)에는 상기 가스 유입관(163)이 소정 높이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제 2 챔버(155)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결된 가스 유출관(164)이 연결된다. 상기 가스 유출관(164)을 통해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챔버(155)의 크기가 상기 제 1 챔버(154)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153)은 상기 격벽(152)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챔버(154)와 상기 제 2 챔버(155)를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151) 내부의 역화 방지액의 수위, 특히 상기 제 2 챔버(155) 내부의 역화 방지액의 수위는 상기 관통 홀(153)의 형성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된다. 그러면, 상기 가스 유출관(164)을 통해 외부 화염의 역화가 발생되더라도, 그러한 역화가 상기 제 1 챔버(154)까지 확산되지 못하므로,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가 역화 방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유입관(163)을 통해 상기 제 1 챔버(154)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유입되면, 유입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챔버(154)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홀(153)을 통해 상기 제 2 챔버(155)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챔버(154) 내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위가 상기 관통 홀(153)의 형성 위치보다 낮아지고, 그에 따라 상기 관통 홀(153)이 상기 제 1 챔버(154) 내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면 위에 노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도면 번호 V1은 상기 제 1 챔버(154) 내에서 감소된 역화 방지액의 체적을, 도면 번호 V2는 상기 제 2 챔버(155) 내에서 증가된 역화 방지액의 체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두 체적(V1, V2)는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수면 위에 노출된 상기 관통 홀(153)을 통해 상기 제 1 챔버(154) 내의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상기 제 2 챔버(155)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챔버(155)로 이동된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상기 가스 유출관(164)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가스 유입관(163)을 통해 유입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151) 내부를 경유하는 동안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의 수분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가 2차적인 기수 분리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가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151)와, 상기 격벽(152)과, 상기 관통 홀(153)을 포함하고, 제 2 챔버(155)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위가 상기 관통 홀(153)의 형성 위치보다 높게 유지됨으로써, 상기 가스 유출관(164)을 통한 역화의 확산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가스 유입관(163)을 통해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유입되면, 유입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 1 챔버(154)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홀(153)을 통해 상기 제 2 챔버(155)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챔버(154) 내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위가 상기 관통 홀(153)보다 낮아지고, 그에 따라 상기 관통 홀(153)을 통해 상기 제 1 챔버(154) 내의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상기 제 2 챔버(155)로 이동되어 상기 가스 유출관(164)으로 이동됨으로써, 수소산소 혼합가스에 대한 2차적인 기수 분리가 되면서, 수소산소 혼합가스의 원활한 유출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가 상기와 같이 역화 방지기 및 2차적인 기수 분리기의 기능을 함께 수행함에 따라, 역화 방지기 및 2차적인 기수 분리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보다 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챔버(154)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위는 상기 가스 유입관(163)의 말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챔버(154)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이 상기 가스 유입관(163)을 통해 유출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에 역화 방지액을 추가적으로 공급할 필요없이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 내의 역화 방지액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의 기능 수행이 원활해지고, 그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조(120)와 대면되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부분에 냉각 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 팬(170) 주변의 상기 외부 케이스(110) 부분에는 외기 도입 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내기 유출 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 팬(170)은 상기 전원 공급부(130)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수용액 탱크(140) 및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는 상기 전해조(120)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냉각 팬(170)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외기 도입 홀(111)을 통해 외기가 도입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10) 내부에 공기 유동이 발생되고, 그러한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전해조(120), 상기 수용액 탱크(140) 및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가 순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액 탱크(140) 및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이도, 상기 수용액 탱크(140) 및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에 대한 냉각이 가능하므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 장치(100)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 고,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 장치(100)의 안정적인 연속 운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130)와 대면되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부분에도 상기 냉각 팬이 설치되어, 그 냉각 팬에 의해 상기 외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전원 공급부(130), 상기 수용액 탱크(140) 및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150)를 순차적으로 냉각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의하면, 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의 구성을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적용되는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에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유출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적용되는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에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유출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적용되는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에 있어서,
    역화 방지액이 내부에 수용된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유입을 위한 가스 유입관이 연결되는 제 1 챔버와,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유출을 위한 가스 유출관이 연결되는 제 2 챔버를 형성하는 격벽;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를 연통시키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챔버의 크기는 상기 제 1 챔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가스 유출관을 통한 역화의 확산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2 챔버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위는 상기 관통 홀의 형성 위치보다 높게 유지되고,
    상기 가스 유입관을 통해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유입되면, 유입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챔버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제 2 챔버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챔버 내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위가 상기 관통 홀의 형성 위치보다 낮아지고, 그에 따라 상기 관통 홀이 상기 제 1 챔버 내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면 위에 노출되어,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제 1 챔버 내의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상기 제 2 챔버로 이동되어 상기 가스 유출관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스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상기 기수 분리 역화 방지 케이스 내부를 경유하는 동안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의 수분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이 상기 가스 유입관을 통해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 1 챔버 내부의 상기 역화 방지액의 수위는 상기 가스 유입관의 말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20090024416A 2009-03-23 2009-03-23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0954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416A KR100954545B1 (ko) 2009-03-23 2009-03-23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416A KR100954545B1 (ko) 2009-03-23 2009-03-23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545B1 true KR100954545B1 (ko) 2010-05-06

Family

ID=4228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416A KR100954545B1 (ko) 2009-03-23 2009-03-23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451Y1 (ko) 2010-07-19 2012-07-12 주식회사 수산에너지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1459931B1 (ko) * 2013-07-26 2014-11-07 (주)아이씨디 전기분해 시스템
CN114832515A (zh) * 2022-05-18 2022-08-02 美魁医疗器械(上海)有限公司 一种氢氧机用水气分离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2Y1 (ko) * 2000-02-19 2000-10-16 구광익 물을 전기분해하여 연소용 가스에너지를 얻는장치
US20040014777A1 (en) * 2000-10-10 2004-01-22 Toyama Chemical Co., Ltd. Remedies for retinal nerve diseases containing 1,2-ethanediol derivatives or salts thereof
KR20050114316A (ko) * 2004-06-01 2005-12-06 주식회사 워터맥스 산ㆍ수소 가스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2Y1 (ko) * 2000-02-19 2000-10-16 구광익 물을 전기분해하여 연소용 가스에너지를 얻는장치
US20040014777A1 (en) * 2000-10-10 2004-01-22 Toyama Chemical Co., Ltd. Remedies for retinal nerve diseases containing 1,2-ethanediol derivatives or salts thereof
KR20050114316A (ko) * 2004-06-01 2005-12-06 주식회사 워터맥스 산ㆍ수소 가스 발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451Y1 (ko) 2010-07-19 2012-07-12 주식회사 수산에너지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1459931B1 (ko) * 2013-07-26 2014-11-07 (주)아이씨디 전기분해 시스템
CN114832515A (zh) * 2022-05-18 2022-08-02 美魁医疗器械(上海)有限公司 一种氢氧机用水气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167B2 (en) Electrolytic cell and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JP2008013821A (ja) 電気分解を利用した燃焼ガス発生装置及び車載用燃焼ガス発生装置
WO2016133262A1 (ko) 기능수 생성장치
KR20160037936A (ko) 중수의 전해농축 방법
KR950027988A (ko) 전해수 생성 방법 및 장치
KR970074981A (ko) 수소 및 산소 발생 장치
TWI654144B (zh) 臭氧水製造裝置
EP197170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mbustible fluid
JP3209320U (ja) 水素・酸素混合ガス発生器
TW200907111A (en) Electrolysis apparatus, electrode used in the electrolysis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lysis
KR100954545B1 (ko)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CN210796652U (zh) 便携式氢氧仪
WO2014064627A1 (en) Gas generating apparatus and components thereof
KR20180092806A (ko) 전해질의 전기분해장치
KR100878052B1 (ko) 가스 발생장치
KR101387800B1 (ko) 수소챔버 및 산소챔버를 구비한 물통
KR200461451Y1 (ko)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0620801B1 (ko) 전해효율이 향상된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및 그 사용방법
EA023659B1 (ru) Электролизер со спиральным впускным шлангом
JPS6184386A (ja) 電気化学的セルパイルの電解液空間から電解液誘導本管を電気的に分離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の実施のための電気化学的装置
US20240167180A1 (en) Method for Treating Process Fluids, and Filter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011099165A (ja) 電気分解を利用した電解装置
KR102283295B1 (ko) 휴대형 수소수 제조 장치
JPS59127378A (ja) 電極反応装置における漏洩電流防止方法
KR100424665B1 (ko) 가변형 전해조에 의한 대용량 산소, 수소 혼성 가스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