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931B1 - 전기분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분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931B1
KR101459931B1 KR1020130088515A KR20130088515A KR101459931B1 KR 101459931 B1 KR101459931 B1 KR 101459931B1 KR 1020130088515 A KR1020130088515 A KR 1020130088515A KR 20130088515 A KR20130088515 A KR 20130088515A KR 101459931 B1 KR101459931 B1 KR 10145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sis system
electrolysis
heat
electrolytic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정예현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아이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씨디 filed Critical (주)아이씨디
Priority to KR102013008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28D3/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with tubular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전기분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전해조와,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전해조의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물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설치된 역화방지부와, 일측이 전해조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이 역화방지부에 수용된 물 속으로 연장 형성된 방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해조는 원피스형으로 제작된 용기로 제공되어 전해액이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전기분해 시스템은 냉각성능이 향상되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어서 생산수율이 대폭으로 향상된다.

Description

전기분해 시스템{ELECTROLYSIS SYSTEM}
본 발명은 전기분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성능이 향상된 전기분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분해 장치 또는 시스템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와 수소를 발생하여 산소와 수소를 각각 활용하거나, 이들을 다시 환원하여 정제된 물을 얻는다.
이러한 전기분해 시스템은 양극과 음극이 구비된 전해조에 물과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전해액을 함께 수용시킨 후 양극과 음극에 전원을 인가하면 양극에서는 산소가 발생되고 음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되는 산소와 수소를 포집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분해 시스템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분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분해 장치는 원통형의 몸체(110)와 몸체의 양측 개구부에 배치되는 커버(121, 122)로 이루어진 전해조(100)를 포함한다. 전해조(100) 내부에는 전극부가 설치되며, 몸체(110)의 상부에는 가스배출구(111)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기분해 장치의 전해조(100) 내부에는 물과 전해액이 수용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고, 상술한 상태에서 전원공급부가 전극부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기분해가 개시된다. 전기분해의 산물인 산소와 수소가 발생되면, 상부의 가스배출구(111)를 통해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포집부(미도시)나 저장부로 이송된다.
그러나 전기분해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전기분해 시에 매우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121, 122) 측에 열전소자 등을 배치하거나 방열팬 등을 전해조 주위에 배치하여 냉각을 수행하지만,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원하는 만큼의 전기분해 산물을 얻을 정도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하지 못하게 되어, 수율이 떨어지고 있다.
더구나, 상술한 종래의 전기분해 장치는 전해조 몸체(111)의 양측면의 개구부에 커버(121, 122)가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전해액을 포함하는 액체가 누출될 위험성이 있다. 물론, 커버(121, 122)와 몸체(111) 사이에는 실링부재(123)가 개재되기는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 시에는 매우 높은 온도와 높은 압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종종 커버(121, 122)와 몸체(111) 사이로 누출이 발생된다.
이 때문에 장치를 효율적으로 가동할 수 없고 이는 결과적으로 수율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한국특허공개 10-2007-004079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냉각성능이 향상된 전기분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기분해로 발생되는 기체의 역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역화방지부를 전해조의 냉각에 활용하는 전기분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해액을 포함하는 액체의 누출 위험성이 대폭으로 감소된 전기분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냉각과 압력 제어를 통해 생산 수율이 높은 전기분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기분해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시스템은: 전해조;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상기 전해조의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상기 물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설치된 역화방지부; 및 일측이 상기 전해조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이 역화방지부에 수용된 물 속으로 연장 형성된 방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분해에 발생된 기체는 산소와 수소일 수 있다.
상기 역화방지부는 상기 전해조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역화방지부는: 각각 물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조; 및 상기 전해조의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상기 다수개의 기밀 수조들 각각에 수용된 물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이송하는 가스이송라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역화방지부는 상기 다수개의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일측이 상기 전해조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다수개의 수조 각각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 다수개의 열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개의 열전달부재 각각은 각기 타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방열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재는 히트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전해조는: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를 기밀시키도록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조의 상기 몸체는 원피스(one-piece) 형일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외면에 배열된 다수개의 방열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성능이 대폭 향상된 전기분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전기분해 시스템은 전해조의 상면에 배치된 다수개의 수조를 포함하고, 전해조 내부와 수조 내부로 각각 연장 형성된 열전달부재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전해조를 냉각시킨다. 특히 열전달부재를 히트파이프로 설치할 경우에는 냉각효과가 더 좋아질 수 있다. 또한 전해조 상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조는 발생되는 기체의 역화방지 및 필터링 역할을 겸하기 때문에 장치 구성에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채용되는 전해조의 몸체는 원피스형의 용기이기 때문에, 전해액 누출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분해 시스템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높은 가동률을 유지하여 생산수율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분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에 채용된 열전달부재로서 히트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에 채용된 전해조의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시스템의 일부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은 전해조(1)와, 역화방지부(2)와, 방열부(3)를 포함한다.
전해조(1)에서는 물이 전기분해되어 산소와 수소를 발생시킨다. 전해조(1)의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로서 산소와 수소는 역화방지부(2)에 수용된 물을 통과하면서 역류됨 없이 후단에 배치되는 포집부(미도시) 또는 저장부로 이송되며, 또한 물을 통과하면서 함께 배출될 수도 있는 전해액 등과 같은 불순물을 필터링하거나 희석시킨다. 또한, 방열부(3)는 일측이 전해조(1)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이 역화방지부(2) 내부로 연장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방열부(3)는 전해조(1) 내부의 열을 역화방지부(2)로 전달하여 발열시킴으로써 전해조 냉각 기능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역화방지부(2)는 역화방지, 필터링, 및 냉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화방지부(2)는 전해조(1)의 상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조(21a, 21b, 21c)와 가스이송라인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수조(21a, 21b, 21c)들은 각각 물을 수용한 기밀 용기로서 전해조(1)의 상면, 즉 전해조의 커버(12) 상에 배열하여 설치된다.
가스이송라인부(22)는 전해조(1)의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산소와 수소를 이송하며, 이송 중에 산소와 수소가 포함된 발생 기체가 각각의 수조(21a, 21b, 21c)에 수용된 물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산소, 수소와 함께 발생될 수 있는 전해액과 같은 불순물을 필터링 또는 희석함과 동시에 산소와 수소가 역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가스이송라인부(22)는 전해조(1)에서 발생되는 산소와 수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선단의 수조(21a)에 수용된 물 내부로 이송하는 제1가스이송유닛(22a), 수조(21a, 21b)의 물로부터 배출되는 산소와 수소를 다음 수조(21b, 21c)의 각각에 수용된 물 내부로 이송하는 제2 및 제3가스이송유닛(22b, 22c), 그리고 후단의 수조(21c)의 물로부터 배출되는 산소와 수소를 포집부(미도시) 또는 저장부로 이송하는 제4가스이송유닛(22d)을 포함한다.
이들 수조(21a, 21b, 21c)의 수와 가스이송유닛(22a, 22b, 22c, 22d)의 수에는 특별한 제약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가스이송유닛(22a, 22b, 22c, 22d)들은 전해조(1) 또는 직전의 수조(21a, 21b)의 상부에 형성된 가스배출구(14, 24a, 24b, 24c)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수조(21a, 21b, 21c)들의 가스유입구(23a, 23b, 23c)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물 속에 배치된다. 각 가스이송유닛(22a, 22b, 22c, 22d)은 타단에 분출부재(29)를 구비하여 분출되는 기체가 수조(21a, 21b, 21c) 내에서 넓은 범위로 퍼지도록 할 수 있다.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스배출구(14, 24a, 24b, 24c)와 가스유입구(23a, 23b, 23c)에는 실링부재(41)들이 삽입된다. 가스이송유닛(22a, 22b, 22c, 22d)들로는 호스나 관과 같이 기체를 이송할 수 있는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이송유닛(22a, 22b, 22c, 22d)들을 포함하는 가스이송라인부(22)에 의해 전해조(1)의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산소와 수소가 역화 없이 포집부로 이송될 수 있고, 또한 이송 중에 기체에 포함될 수 있는 불순물을 필터링하거나 희석시킬 수 있다.
역화방지부(2)는 다수개의 수조(21a, 21b, 21c)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5)를 포함한다.
물공급부(25)는 물공급원(미도시)의 물을 수조(21a, 21b, 21c)들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공급원과 물이송유닛(25a, 25b, 25c, 25d)을 포함한다. 물이송유닛(22a, 22b, 22c, 22d)은 관이나 호스와 같이 물을 이송할 수 있는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제1물이송유닛(25d)이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을 수조(21c)로 이송한다. 제2물이송유닛(25c)은 수조(21c)의 물을 그 앞의 수조(21b)로 이송한다. 제3물이송유닛(25b)은 수조(21b)의 물을 그 앞의 수조(21a)로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제4물이송유닛(25a)은 수조(21a)의 물을 배출한다.
이를 위해, 수조(21a, 21b, 21c)에는 물이송유닛(25b, 25c, 25d)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물유입구(26a, 26b, 26c)와 물이송유닛(25a, 25b, 25c)의 타단이 연결되는 물배출구(27a, 27b, 27c)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물배출구(27a, 27b, 27c)의 위치가 각 수조(21a, 21b, 21c)의 물의 수위를 결정하게 되며, 각 수조(21a, 21b, 21c) 마다 수용된 물이 물배출구(27a, 27b, 27c) 위치 보다 높을 때 그를 통해 배출된다. 수조(21a, 21b, 21c)들의 물배출구(27a, 27b, 27c)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 각 수조(21a, 21b, 21c)의 물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물이송유닛(25d)과 제4물이송유닛(25a)에는 각각 밸브(27a, 27d)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과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물유입구(26a, 26b, 26c)와 물배출구(27a, 27b, 27c)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28)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물의 이송을 통해 수조(21a, 21b, 21c)에 수용된 물을 교체함으로써 그와 동시에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온도 제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방열부(3)를 통한 전해조(1)의 냉각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에 채용되는 방열부(3)는 일측이 전해조(1)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이 다수개의 수조(21a, 21b, 21c) 각각의 내부로 연장 현성된 다수개의 열전달부재(3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열전달부재(31)들은 적어도 각각의 수조(21a, 21b, 21c) 내부에 위치되는 부위에 하나 이상의 방열핀(32)을 가질 수 있고, 그럼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열을 발산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달부재(31)에 있어서 수조(21a, 21b, 21c) 내부에 위치되는 부위는 각각의 수조(21a, 21b, 21c)에 수용된 물과 접촉한 상태로 있게 되어 냉각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는 도시한 실시예서와 같이 역화방지부(2)의 수조(21a, 21b, 21c)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해조(1)의 상면, 즉 커버(12) 위에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기분해 시스템에서 열전달부재(31)에 도 4a 및 4b와 같은 히트파이프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에 채용된 열전달부재로서 히트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테면 열전달부재(31)가 밀폐 용기인 파이프(311) 또는 봉 형상을 갖고, 내부에 작동유체(312)로서 휘발성 물질을 수용한다. 이때는 전해조(1) 측에 삽입된 부위가 가열부가 되고 각각의 수조(21a, 21b, 21c)에 삽입된 부위가 응축부가 된다. 밀폐 용기 내부에 수용된 작동유체(312)가 전해조(1) 내부에 위치하는 가열부에서 가열되어 증발되면 수조(21a, 21b, 21c) 내부에 위치하는 응축부에서 응축되면서 열을 발산하고 다시 가열부로 복귀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체의 증발과 응축을 위해 히트파이프형 열전달부재(31)의 내부에 기체 이동통로와 액체 이동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파이프(311) 내벽에 원통형의 모세관구조물(313)을 배치함으로써 중앙 통로에 기체 이동통로가 배치되고 그 주위에 모세관구조물(313)로서 액체 이동통로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와 같이 열전달부재(31)가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경우에는, 도 4a와 같이, 모세관구조물 없는 파이프(311)만으로도 중력을 이용하여 응축된 작동유체(312)를 아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히트파이프 구성은 매우 효과적으로 전해조(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전기분해 시스템을 최대한 가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에 채용되는 전해조(1)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해조(1)는 몸체(11), 커버(12) 및 전극부(1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해조(1)의 몸체(1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피스(one-piece)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전해조 몸체(11)의 측벽 부위가 볼트/너트 및 실링부재와 같은 결합부재들을 사용하여 결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합부재들을 사용하여 측면 커버부위를 결합하게 되면, 그 부위를 통해 전해액 등이 누출될 가능성이 상존하게 된다. 전해액 등이 누출될 경우 정비를 위한 가동 중지가 필요하고, 그대로 방치될 경우에는 대형 사고로도 이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해조 몸체(11)는 상술한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원피스형이기 때문에, 측면으로의 누출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따라서 측면 누출로 인해 야기되던 기존의 손실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해조의 몸체(11)는 바닥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내압에 강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몸체(11)를 지지하는 베이스(18) 또는 지지다리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전해조 몸체(11)의 외면에는 배치된 다수개의 방열판(15)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조 몸체(11)의 내부에 전극부(13)가 설치된다. 전극부(13)는 양극과 음극을 위한 전극판들이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전극판(17)과 전극판들을 이격하여 지지하는 전극지지부재(16)를 포함한다. 전극지지부재(16)는 전극판(17)들의 테두리 부위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슬롯을 구비한다. 이러한 슬롯들에 양극을 위한 전극판과 음극을 위한 전극판들이 교번적으로 삽입되어, 서로 대면한 상태로 이격되어 지지된다. 전해조 몸체(11)에는 (+) 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가 마련된다.
전해조 커버(12)는 몸체(11)의 상부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몸체(11)와 커버(12) 사이에 실링부재가 배치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도 2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해조(1) 내부의 압력 및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42), 온도센서(43), 및 레벨센서(4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센서들의 감지값을 표시하기 위한 계기로서 표시부(45)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표시부(45)는 센서 마다 하나씩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이들 센서(42, 43, 44)의 감지값에 따라 시스템의 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한다. 제어부(46)는 전해조(1)의 압력, 온도, 또는 용액(물+전해액)이 설정값 이상일 때, 파워부(47) 또는 밸브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이를테면, 파워를 off 시키거나, 밸브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밸브부는 방열부에 배치되는 밸브(27a, 27d)를 솔레노이드밸브로 설치할 때 개방, 폐쇄, 또는 개방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해조(1) 내부에 물과 NaOH와 같은 전해액이 수용된 상태에서 정해진 전압이 인가되면, 물과 전해액을 포함하는 액체가 전기분해되어 양극과 음극에서 산소와 수소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산소와 수소는 전해조(1)의 상부에서부터 이송유닛(22a, 22b, 22c, 22d)들에 의해 수조(21a, 21b, 21c)에 수용된 물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역화됨 없이 포집부나 저장부로 이송된다. 이때, 산소, 수소와 함께 배출되는 전해액 등은 수조(21a, 21b, 21c)의 물에 의해 필터링 되거나 희석된다.
또한 전해조(1)는 본 발명에 채용된 냉각시스템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특히, 다수개의 열전달부재(31)를 채용하는 방열부(3)에 의해 전해조(1)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수조(21a, 21b, 21c)로 발산한다. 이러한 열전달부재(31)로 히트파이프형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본 발명의 냉각시스템은 각 센서(42, 43, 44)를 이용하여 전해조(1)의 온도, 압력, 및 수위 레벨을 체크하여 그에 맞게 파워를 오프하거나 밸브를 개폐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전해조 2: 역화방지부
3: 방열부 11: 전해조 몸체
12: 커버 13: 전극부
14, 24a, 24b, 24c: 가스배출구 15: 방열판
16: 전극지지부재 17: 전극판
18: 베이스 21a, 21b, 21c: 수조
22: 가스이송라인부 22a, 22b, 22c, 22d: 가스이송유닛
23a, 23b, 23c: 가스유입구 25: 물공급부
25a, 25b, 25c, 25d: 물이송유닛 26a, 26b, 26c: 물유입구
27a, 27b, 27c: 물배출구 28, 41: 실링부재
29: 분출부재 42: 압력센서
43: 온도센서 44: 레벨센서
45: 표시부 46: 제어부
47: 파워부 311: 파이프
312: 작동유체 313: 모세관구조물

Claims (11)

  1. 전기분해 시스템으로서:
    전해조;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상기 전해조의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상기 물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설치된 역화방지부; 및
    일측이 상기 전해조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이 역화방지부에 수용된 물 속으로 연장 형성된 방열부;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에 발생된 기체는 산소와 수소인,
    전기분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화방지부는 상기 전해조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인,
    전기분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역화방지부는:
    각각 물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조; 및
    상기 전해조의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기체가 상기 다수개의 기밀 수조들 각각에 수용된 물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이송하는 가스이송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분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역화방지부는 상기 다수개의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분해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일측이 상기 전해조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다수개의 수조 각각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 다수개의 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분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열전달부재 각각은 각기 타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방열핀을 가지는 것인,
    전기분해 시스템.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히트파이프인 것인,
    전기분해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는: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를 기밀시키도록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분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의 상기 몸체는 원피스(one-piece) 형인 것인,
    전기분해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면에 배열된 다수개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것인,
    전기분해 시스템.
KR1020130088515A 2013-07-26 2013-07-26 전기분해 시스템 KR10145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515A KR101459931B1 (ko) 2013-07-26 2013-07-26 전기분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515A KR101459931B1 (ko) 2013-07-26 2013-07-26 전기분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931B1 true KR101459931B1 (ko) 2014-11-07

Family

ID=5228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515A KR101459931B1 (ko) 2013-07-26 2013-07-26 전기분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9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124B1 (ko) 2016-04-26 2017-02-13 주식회사 아쿠아인텍 전해질 및 용매 전기분해 장치 및 방법
KR20180092806A (ko) 2017-02-09 2018-08-20 정진호 전해질의 전기분해장치
KR20220023277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테크로스 정류기 일체형 전기분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375Y1 (ko) * 2002-01-19 2002-05-06 주식회사 이노에너지 혼합가스 역화방지구
KR20050047697A (ko) * 2003-11-18 2005-05-23 김승철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및 그 전해조
KR100637538B1 (ko) * 2006-04-22 2006-10-23 신철 수산화가스 발생기의 습식 역화방지장치
KR100954545B1 (ko) * 2009-03-23 2010-05-06 주식회사 수산에너지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375Y1 (ko) * 2002-01-19 2002-05-06 주식회사 이노에너지 혼합가스 역화방지구
KR20050047697A (ko) * 2003-11-18 2005-05-23 김승철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및 그 전해조
KR100637538B1 (ko) * 2006-04-22 2006-10-23 신철 수산화가스 발생기의 습식 역화방지장치
KR100954545B1 (ko) * 2009-03-23 2010-05-06 주식회사 수산에너지 기수 분리 역화 방지기 및 그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124B1 (ko) 2016-04-26 2017-02-13 주식회사 아쿠아인텍 전해질 및 용매 전기분해 장치 및 방법
KR20180092806A (ko) 2017-02-09 2018-08-20 정진호 전해질의 전기분해장치
KR20220023277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테크로스 정류기 일체형 전기분해장치
KR102412590B1 (ko) 2020-08-20 2022-06-24 주식회사 테크로스 정류기 일체형 전기분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9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ly robust energy storage system
JP4074322B2 (ja) 電気分解を利用した燃焼ガス発生装置及び車載用燃焼ガス発生装置
JP5942317B2 (ja) 熱電発電装置
CN101346596B (zh) 冷凝水蒸发器和具有该冷凝水蒸发器的冷却设备
KR101459931B1 (ko) 전기분해 시스템
KR100515412B1 (ko) 용융염 전해장치
JP6108021B1 (ja) 陰イオン検出システム
AU2013200564B2 (en) Steam generation apparatus
ES2954989T3 (es) Celda electrolítica para motor de combustión interna
JP4929404B2 (ja) 電気分解を利用した電解装置
CN112490570A (zh) 一种蓄电池专用箱体
JP2005146302A (ja) 水素と酸素の混合ガス発生装置およびその電解槽
CN106016882B (zh) 一种防干燥自动水冷降温结构
JP2004154722A (ja) 紫外線照射装置
CN210371161U (zh) 一种气液分离冷却系统
CN212910528U (zh) 一种带液冷板的高压控制器
CN215974965U (zh) 带放电单元的臭氧发生装置
KR200258521Y1 (ko) 가변형 전해조에 의한 대용량 산소, 수소 혼성가스발생장치
JP2005048290A (ja) 溶融塩電解装置
JP2007085599A (ja) 熱交換器
CN217876576U (zh) 冷却液快速置换装置
JP3618166B2 (ja) 高純度水素酸素発生装置
CN210290922U (zh) 一种电磁脉冲阀的阀体结构
JP2012052686A (ja) 燃料電池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CN212594134U (zh) 一种新型的油水分离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