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361B1 -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 Google Patents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361B1
KR100952361B1 KR1020080006724A KR20080006724A KR100952361B1 KR 100952361 B1 KR100952361 B1 KR 100952361B1 KR 1020080006724 A KR1020080006724 A KR 1020080006724A KR 20080006724 A KR20080006724 A KR 20080006724A KR 100952361 B1 KR100952361 B1 KR 10095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support
supports
power transmission
gu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768A (ko
Inventor
조주엽
Original Assignee
태인플랜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인플랜트(주) filed Critical 태인플랜트(주)
Priority to KR102008000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3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5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moto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2Bucket gr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절곡부재가 힌지결합되도록 하여 상부로 들어올리는 외부의 힘에 의해 일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체의 간격이 조절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운반 및 회전하고자 하는 맨홀을 고정하는 지지부 및 지지보조대로 구성되어 상기 맨홀의 외주면을 잡아 맨홀의 운반을 가능토록 하되, 상기 지지보조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발생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다양한 공정을 위해 맨홀의 회전이 가능토록 한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맨홀, 지그

Description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ROTATION AND TRANSFER JIG FOR MANHOLE}
본 발명은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통상 맨홀은 하수관거의 청소,환기,점검 및 조사 등을 위한 시설로서 일반적으로 하수관거가 합류하는 장소, 경사, 방향 및 관경이 변하는 장소 및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며 내부에서 외부로 혹은 외부에서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해야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러한 맨홀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한 뒤 지중에 시공되거나 또는 지중에 터파기를 하고 거푸집을 성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 법이 있으며, 상기 맨홀의 매설된 깊이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높이조절부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을 결합 할 경우에는 맨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의 경사부에 방수고무링을 부착한 후 높이조절부을 결합함으로 인해 연결부위로 누수되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맨홀을 운반 및 지중에 설치할 경우 맨홀에는 걸거나 잡아주는 고리를 별도로 부착하여 제작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 운반 및 시공이 난해하여 이동이나 운반시의 충격으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맨홀을 중심에 두고 상기 맨홀의 외주면을 복수개의 지지부가 압착하여 상기 맨홀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다수개의 절곡부재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동력전달부가 상부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상기 동력전달부 하단부의 복수개 지지체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고, 상기 지지체에 지지부를 연결하여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동력 없이도 맨홀의 이동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지지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구비하여 복수개의 지지부에 압착되어 있는 맨홀을 다양한 맨홀공정을 위해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단부에는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체를 형성하되, 외부의 힘으로 상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복수개 지지체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지지체와 수직을 이루며 상호간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의 움직임과 동시에 상호간 대칭되며 좌, 우로 유동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 일단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는 맨홀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상호간 대향되며 면접합하는 제 1, 2지지보조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맨홀을 중심에 두고 상기 맨홀의 외주면을 복수개의 지지부가 압착하여 상기 맨홀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다수개의 절곡부재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동력전달부가 상부로 들어올려 짐으로써 상기 동력전달부 하단부의 복수개 지지체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고, 상기 지지체에 지지부를 연결하여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동력 없이도 맨홀의 이동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지지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구비하여 복수개의 지지부에 압착되어 있는 맨홀을 다양한 맨홀공정을 위해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컨대, 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하단부에는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체를 형성하되, 외부의 힘으로 상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복수개 지지체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지지체와 수직을 이루며 상호간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의 움직임과 동시에 상호간 대칭되며 좌, 우로 유동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 일단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는 맨홀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상호간 대향되며 면접합하는 제 1, 2지지보조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다수개의 절곡부재가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고리부재를 끼워 상부로 들어올림으로써, 각각의 힌지결합부위가 펴지면서 하단부의 복수개 지지체가 상호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로 맨홀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는 상호간 사이에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제 1, 2지지보조대가 면접합시, 상기 맨홀을 복수개의 지지부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가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됨으로 인해 인장된 스프링부재가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에 압입력을 더해줘 맨홀이 제 1, 2지지보조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는 맨홀의 외주면에 면접합될 수 있도록 만곡진 형태를 가지되, 상기 맨홀과 맞닿는 면에 다수개의 고무부재를 접합하여 상기 맨홀과 제 1, 2지지보조대간에 미끄럼을 방지하고 상호간 접합시 완충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절곡부위가 펴지지 않도록 절곡부재간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고정수단은 맨홀의 이동 또는 회전시에는 제 1, 2지지보조대가 맨홀의 외주면을 압입할 수 있게 풀어지도록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는 지지부에 축으로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제 2지지보조대는 상기 축을 동력발생부와 동력전달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동력발생부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력은 축을 통해 제 2지지보조대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는 맨홀을 압입하고 있는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맨홀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는 맨홀(70)을 별도의 부가적인 장비 및 인력 없이도, 맨홀(70)을 손쉽게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동력전달부(10), 지지부(30a, 30b),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 동력발생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0)는 다수개의 절곡부재(11)가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결합으로 인해 굽힘과 펴짐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절곡부재(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10)의 최상단은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부위에 결합공(13)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결합공(13)에 고리부재(14)를 끼울 수 있도록 하며, 하단부는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가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어 벌어진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즉, 상기 결합공(13)에 끼워지는 고리부재(14)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1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다수개의 절곡부재(11)들은 일정각도 굽혀져 있는 상태 에서 소정각도 펴지면서 상기 절곡부재(11)와 결합되어 있으며 동력전달부(10)의 최하단부에서 지면을 바라보고 있는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가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는 최초 일정간격 벌어진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 각각은 수평프레임(20)에 관통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프레임(20)은 동력전달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지지체(12a, 12b)가 관통되는 수평프레임(20)의 관통장공(21)은 상기 동력전달부(10)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할 경우 움직일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함과, 상기 지지체(12a, 12b)는 수평프레임(20)을 관통시 상기 지지체(12a, 12b)의 중단이 수평프레임(20)과 힌지결합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10)에는 일정각도 굽혀져 있는 초기상태의 절곡부재(11)가 동력전달부(10)를 상부로 들어올려도 펴지지 않고 원상태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절곡부재(11)에 고정수단(60)을 구비하게 되는데,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절곡부재(11)에 고정체(61)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체(61)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62)가 지지체(12b)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돌출편(63)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이를 구현할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상기 고정수단(60)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부(30a, 30b)는 선술된 동력전달부(10)의 지지체(12a, 12b)에 결합 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수평프레임(20)을 관통한 지지체(12a, 12b)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는 각각 "┌" 형태와 "┐"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간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각각의 지지부(30a, 30b)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가 움직일 때마다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또한 좌, 우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며, 상호간 대칭된 형태를 가지기에 각각의 지지부(30a, 30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해야 상기 지지부(30a, 30b)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것이다.
더불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는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지만 상단부는 스프링부재(31)에 의해 연결시킨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는 상기 동력전달부(10)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면서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좁아지는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에 의해 지지부(30a, 30b) 간격 또한 좁아져,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사이에 위치되는 맨홀(70)의 외주면을 잡게 될 경우, 상기 맨홀(70)이 지지부(30a, 30b)의 사이에서 고정되지 않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상기 맨홀(70)을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의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가 벌어질때 상기 스프링부재(31) 또한 인장하게 되는데, 맨홀(70)을 위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맨홀(70)을 고정 할 때 인장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부재(31) 또한 원상복귀하려는 압축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30a, 30b)에 압입력을 더해줘 상기 맨홀(70)을 확실히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는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타단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맨홀(70)을 고정할 때, 더욱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는 보통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맨홀(70)의 외주면에 대응 접합되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완만한 곡선의 만곡진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맨홀(70)과 대응되며 접합되는 일면에는 다수개의 고무부재(41)를 형성하여 상기 맨홀(70)을 더욱 용이하게 가압하여 들어올릴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는 단순히 지지부(30a, 30b)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맨홀(7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외에,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를 지지부(30a, 30b)에 축(41a, 41b)을 이용하여 각각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회전되는 축(41a, 41b)을 통해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는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축(41a, 41b)을 회전시키는 방법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동력발생부(50)는 지지부(30b)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체인 등에 의해 상기 축(41b)과 동력전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발생부(50)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손잡이(51)에 의해 내부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된 동력발생부축(52)은 체인에 의해 축(41b)과 연결되어, 상기 축(41b)과 결합되어 있는 제 2지지보조대(40b) 자체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 중 일측의 제 2지지보조대(40b)에만 동력발생부(50)를 동력전달가능하게 결합시키고, 나머지 제 1지지보조대(40a)는 지지부(30a)와 축(41a)으로 연결만 되어 있어, 상기 제 2지지보조대(40b)의 회전에 의해 맨홀(70)이 회전하면서 그에 따라 반대측 제 1지지보조대(40a)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운반 및 회전시키고자 하는 맨홀(70)의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를 위치시키되, 상기 지지부(30a, 30b)가 최대한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동력전달부(10)의 절곡부재(11)를 펴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사이에 맨홀(70)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부재(31)는 인장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가 상호간 대칭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를 벗어나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내측의 맨홀(70) 상부측 빈 공간에 별도의 고정부재(80)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고정수단(60)을 풀고, 상기 동력전달부(10)의 결합공(13)에 고리부재(14)를 끼워 동력전달부(10)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다수개의 절곡부재(11)가 최초 굽혀져 있던 각도에서 상대적으로 일정각도 더 펴지면서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지지체(12a, 12b)에 의해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또한 간격이 좁아지면서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가 맨홀(70)의 외주면을 잡아 고정하게 된다. 더불어, 인장되어 있던 스프링부재(31) 또한 고정수단(60)의 풀림으로 인해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압축되어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가 더 확실히 맨홀(70)을 고정하게 된다.
즉, 맨홀(70)의 상부에서 동력전달부(10)의 상부를 들어올림으로 인해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가 맨홀(70)의 외주면을 잡아 고정하면서 들리게 되고 이 상태로 맨홀(7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맨홀(70)이 본 발명의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에 의해 고정된 채로 지면에서 이격되게 된 후, 맨홀(70)의 기타 고정을 위해 상기 맨홀(70)을 회전시킬 수 있는데, 상기 동력발생부(50)의 회전손잡이(51)를 회전시키게 되면, 동력발생부(50)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동력전달가능하게 축(41b)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축(41b)에 의해 제 2지지보조대(40b)가 회전하면서 맨홀(70)과 함께 반대측 제 1지지보조대(40a) 또한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맨홀(7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의 작동 전 모습을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 후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의 맨홀을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동력전달부 11: 절곡부재
12a, 12b: 지지체 13: 결합공
14: 고리부재 20: 수평프레임
30a, 30b: 지지부 31: 스프링부재
40a: 제 1지지보조대 40b: 제 2지지보조대
41a, 41b:축 50: 동력발생부
51: 회전손잡이 52: 동력발생부축
53: 체인 60: 고정수단
61: 고정체 62: 고리
63: 돌출편 70: 맨홀
80: 고정부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6)

  1. 하단부에는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를 형성하되, 외부의 힘으로 상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복수개 지지체(12a, 12b)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동력전달부(10)와;
    상기 지지체(12a, 12b)와 수직을 이루며 상호간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의 움직임과 동시에 상호간 대칭되며 좌, 우로 유동하는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일단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사이에 위치되는 맨홀(7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맨홀(70)의 외주면에 상호간 대향되며 면접합하는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는 상호간 사이에 스프링부재(31)를 구비하여, 상기 맨홀(70)의 외주면에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가 면접합시, 상기 맨홀(70)을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30a, 30b)가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됨으로 인해 인장된 스프링부재(31)가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에 압입력을 더해줘 맨홀(70)이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2. 하단부에는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를 형성하되, 외부의 힘으로 상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복수개 지지체(12a, 12b)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동력전달부(10)와;
    상기 지지체(12a, 12b)와 수직을 이루며 상호간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의 움직임과 동시에 상호간 대칭되며 좌, 우로 유동하는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일단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사이에 위치되는 맨홀(7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맨홀(70)의 외주면에 상호간 대향되며 면접합하는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는 맨홀(70)의 외주면에 면접합될 수 있도록 만곡진 형태를 가지되, 상기 맨홀(70)과 맞닿는 면에 다수개의 고무부재(41)를 접합하여 상기 맨홀(70)과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간에 미끄럼을 방지하고 상호간 접합시 완충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3. 하단부에는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를 형성하되, 외부의 힘으로 상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복수개 지지체(12a, 12b)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동력전달부(10)와;
    상기 지지체(12a, 12b)와 수직을 이루며 상호간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12a, 12b)의 움직임과 동시에 상호간 대칭되며 좌, 우로 유동하는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일단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30a, 30b) 사이에 위치되는 맨홀(7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맨홀(70)의 외주면에 상호간 대향되며 면접합하는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는 지지부(30a, 30b)에 축(41a, 41b)으로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제 2지지보조대(40b)는 상기 축(41b)을 동력발생부(50)와 동력전달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동력발생부(50)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동력발생부(50)의 회전력은 축(41b)을 통해 제 2지지보조대(40b)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는 맨홀(70)을 압입하고 있는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맨홀(7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10)는 다수개의 절곡부재(11)가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공(13)에 고리부재(14)를 끼워 상부로 들어올림으로써, 각각의 힌지결합부위(a)가 펴지면서 하단부의 복수개 지지체(12a, 12b)가 상호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로 맨홀(70)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10)는 절곡부위가 펴지지 않도록 절곡부재(11)간을 고정하는 고정수단(60)을 구비하되, 고정수단(60)은 맨홀(70)의 이동 또는 회전시에는 제 1, 2지지보조대(40a, 40b)가 맨홀(70)의 외주면을 압입할 수 있게 풀어지도록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6. 삭제
KR1020080006724A 2008-01-22 2008-01-22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KR10095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724A KR100952361B1 (ko) 2008-01-22 2008-01-22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724A KR100952361B1 (ko) 2008-01-22 2008-01-22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68A KR20090080768A (ko) 2009-07-27
KR100952361B1 true KR100952361B1 (ko) 2010-04-09

Family

ID=4129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724A KR100952361B1 (ko) 2008-01-22 2008-01-22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011B1 (ko) * 2014-11-21 2016-12-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숫돌 핸들링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372A (ja) * 1992-09-02 1994-03-22 Tootasu:Kk 物品の荷役用クランプ装置
JPH07330283A (ja) * 1994-06-10 1995-12-19 Hitachi Ltd トング
KR19980070083A (ko) * 1997-01-27 1998-10-26 야꾸신지구니아끼 화물 클램핑 및 리프팅 장치
JPH115684A (ja) 1997-06-13 1999-01-12 Nissei Eng:Kk チャック吊り上げ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372A (ja) * 1992-09-02 1994-03-22 Tootasu:Kk 物品の荷役用クランプ装置
JPH07330283A (ja) * 1994-06-10 1995-12-19 Hitachi Ltd トング
KR19980070083A (ko) * 1997-01-27 1998-10-26 야꾸신지구니아끼 화물 클램핑 및 리프팅 장치
JPH115684A (ja) 1997-06-13 1999-01-12 Nissei Eng:Kk チャック吊り上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768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25689A (ja) 患者搬送装置
WO2009064491A3 (en) System and method for erecting a tower
KR100952361B1 (ko) 맨홀 운반 및 터닝용 지그
JP2021531222A (ja) 筒状素子を倒立させるための素子の外側端部に接続するための連結具
EP2336015A3 (en) Speedy pivoting-and-fixing device for a foldable structure
CN107923186A (zh) 施工平台设备以及安装施工平台设备的方法
US4473977A (en) Erection means for portable drilling system
FR2503208A1 (fr) Dispositif de repartition de la charge sur les pieds et de blocage des pieds pour plate-forme marine mobile
CN103821136B (zh) 悬挂单排脚手架及其施工方法
CN104319697A (zh) 电缆头制作固定支架
CN104370032B (zh) 一种凸轮式倾倒时防外泄垃圾桶
KR20180086956A (ko) 진동발생기를 이용한 관입 성능 향상 구조를 가지는 석션파일 및 그 시공방법
AU2012344261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a crane
US1213043A (en) Scaffold.
KR20130078450A (ko) 수로관 운반장치
KR20180100850A (ko)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한 아웃트리거
KR20150087037A (ko)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KR20190015865A (ko) 철근체결장치
KR200360434Y1 (ko) 시멘트 운반용 버킷
CN107010549A (zh) 杆件吊、运、立、钻孔一体机
CN104370038B (zh) 一种双锁杆式倾倒时防外泄垃圾桶
CN207774286U (zh) 一种防护取料机构
KR20180000679U (ko) 접이식 인양기
JP4855365B2 (ja) 地下構造物用転落防止装置
CN217838099U (zh) 一种吊挂式起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