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79U - 접이식 인양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79U
KR20180000679U KR2020160005031U KR20160005031U KR20180000679U KR 20180000679 U KR20180000679 U KR 20180000679U KR 2020160005031 U KR2020160005031 U KR 2020160005031U KR 20160005031 U KR20160005031 U KR 20160005031U KR 20180000679 U KR20180000679 U KR 201800006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ok
folding
entranc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390Y1 (ko
Inventor
김병곤
Original Assignee
(주) 원스틸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원스틸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 원스틸산업개발
Priority to KR2020160005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9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6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4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ev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인양기에 대한 것으로, 상판의 중앙부에 중심 로프 출입구와 외측에 외측 로프 출입구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풀리가 고정되고, 상판의 하부에는 복수의 힌지연결대가 결합되어, 상기 힌지연결대에 복수의 접이식 다리가 힌지결합되며, 복수의 접이식 다리의 일정한 높이에 다리벌림조절걸이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벌림조절걸이를 통과하는 벌림조절줄이 결합된다. 상기 다리 중 하나의 중간부에 로프를 감기 위한 로프릴이 결합되고 로프릴에 일단이 고정된 로프는 외측 로프 출입구에 삽입되어 풀리를 거쳐 중심 로프 출입구를 통해 하부에 있는 인양대상물에 연결되며, 로프의 끝에 로프걸이가 결합되고 로프걸이에는 30도정도 중간부가 휜 걸이구가 연결되고, 인양대상물의 상부에 다리를 다리벌림조절걸이로 조절하여 설치 후 인양대상물을 걸이구에 걸어 로프릴을 감아 인양대상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인양기 {A folding hoist}
본 고안은 접이식 인양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하 또는 수중에 있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간단하게 설치하며 작은힘으로 인양하도록 구성된 접이식 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활동을 하면서 지하나 수중에 설비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한 예로서, 지하 또는 수중에 설비되는 정화시스템, 펌프시스템, 하수 처리 시스템 등에는 모터, 배관, 침전물 등 무거워 사람이 운반하기 힘든 물건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설비들을 설치하기 위해 여러가지장치들을 지하나 수중으로 운반하거나 인양하여야 하는데 설비들의 무게가 무거워 여러명이 인력으로 운반하거나 좁은 공간을 통과해야하는 작업들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시설들이 고장 또는 수명이 다해 교체해야 하는 경우 다시 지상으로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힘든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2003-0020301호 에서는, 건설현장에서 타워크레인으로 인양하기 어려운 3.5톤 이상의 무거운 중량을 갖는 대형 갱폼을 전문적으로 인양하므로써 크레인 사용에 따른 경비의 절감은 물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축용 갱폼 인양기가 개시 되어 있다. 도 1와 같은 형태이다.
그러나 건축용 갱폼 인양기는 구동모터를 포함한 수 많은 구성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운반이 힘들고 지하에서 지면으로 올리도록 고안된 것이 아니고 지면에서 건물의 위로 올리기 위해 적합하며, 인양하는 부분이 중심이 아니라 한쪽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려 들어올리는 동안 인양물이 흔들려 사고의 위험이 있고 인양물의 무게가 갱폼 인양기의 무게를 넘어설 경우 인양기 자체가 넘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인양 부분을 인양기의 중심에 배치하여 안정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며, 지하 또는 수중에 있는 모터나 배관 등 소규모의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접이식 인양기를 간편하게 옮겨 설치하고, 안전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접이식 인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부에 중심 로프 출입구(230)와 외측에 외측 로프 출입구(110)가 형성된 상판(240); 중심 로프 출입구(230)와 외측 로프 출입구(110) 사이에 형성된 풀리고정구(220)에 결합된 풀리(100); 상판(240)의 하부에 고정된 복수의 힌지연결대(120); 상기 힌지연결대(120)에 결합된 복수의 접이식 다리(170); 상기 다리(170)의 일정한 높이에 형성된 다리벌림조절걸이(190)와 상기 다리벌림조절걸이(190)에 연결된 벌림조절줄(130); 상기 일측 다리(170)에 결합된 로프릴(150); 상기 복수의 다리(170)의 하부에 다리고정걸이(180); 로프릴(150)에 결합된 로프(140)의 끝에 로프걸이(210) 및 걸이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인양물을 걸이구(200)에 걸고 로프릴(150)을 회전시키면 인양물이 들리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접이식 인양기는 인양부분을 인양기의 중심에 배치하여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더라도 기울어지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지하나 수중에 있는 모터나 배관과 같은 물건을 인양 및 설치하기 위해 설치와 이동이 간편하고, 작은힘으로 안전하게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양기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인양기의 실사용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인양기 상판의 측면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인양기 로프릴의 결합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인양기 걸이구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접이식 인양기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술하도록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공지기능의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인양기는 상부에 있는 상판(240)의 중앙부에 중심 로프 출입구(230)와 상기 중심 로프 출입구(230)의 외측에 외측 로프 출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중심 로프 출입구(230)와 외측 로프 출입구(110) 사이에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이 뚫린 풀리고정구(220)가 1쌍이 용접 결합되고, 풀리고정구(220)의 상부에 풀리(100)가 핀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상판(240)의 하부 테두리에는 핀홀이 뚫리고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힌지연결대(120)가 용접고정된다.
상기 힌지연결대(120)에 상부에 힌지결합구가 형성된 다리(170)가 연결핀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상기 다리(170)는 세 개 이상이 설치되고, 다리(170)의 일정한 높이에 고리의 형태로 다리벌림조절걸이(190)가 각각 용접 결합되며, 다리벌림조절걸이(190)의 사이를 쇠사슬, 로프 등의 벌림조절줄(130)이 결합된다. 상기 벌림조절줄(130)은 작업중에 다리(170)들이 미끌어지거나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리(170)의 하단에 고리의 형태를 지닌 다리고정걸이(180)가 용접 결합되고, 다리고정걸이(180)에 벌림조절줄(130)을 설치하거나 고정핀이나 말뚝 등을 걸어서 지면에 박아 다리(170)가 지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할수 있다.
상기 다리(170) 중 하나의 중앙 외측에 손잡이(160)가 부착된 로프릴(150)이 결합된다. 상기 로프릴(150)은 내부에 로프(140)가 감기는 풀리(100)와 속도조절기어가 포함되며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손잡이(160)를 잡고 감거나 풀때에는 작동되고 손잡이(160)를 놓으면 자동으로 잠궈지는 로프릴(150)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로프릴(150)은 공지된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로프(140)는 로프릴(150)에서 일단 고정되어 상판(240)의 외측 로프 출입구(110)에 삽입되어 풀리(100)의 상단을 지나 중심 로프 출입구(230)를 통과하여, 인양대상물에 연결된다. 로프(140)의 끝에는 갈고리 모양의 로프걸이(210)가 결합되어 인양물을 들어올리 때 로프걸이(210)에 걸어서 들어올린다. 이 때, 로프걸이(210)에 걸이구(200)가 채결되고 걸이구(200)는 걸쇠의 중앙부를 20~45° 구부려 놓은 형태로, 180도로 내려받는 힘을 20~45° 구부려 로프(140)가 무게가 이겨내지 못하고 끊어지는 것을 탄성에 의해 어느 정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로프(140)가 접이식 다리(170)들의 중앙부분에서 인양대상물을 들어올리므로 무거운 물건을 인양하더라도 인양중에 인양기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인양 작업을 할때는 인양장소의 상부에 접이식 인양기의 다리(170)를 벌려 설치하고, 접이식 다리(170)들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다리벌림조절걸이(190)에 벌림조절줄(130)을 체결하여 벌림정도를 조절하며, 필요할 경우에는 하부에 결합된 다리(170)고정걸이에 꺽쇠나 말뚝을 걸어 지면에 박아 접이식 다리(170)를 단단히 고정한다. 인양대상물을 걸이구(200)에 연결하고 로프릴(150)을 회전 시키면 복합 도르레의 원리로 인양 대상물을 작은힘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릴수 있다.
100 : 풀리 110 : 외측 로프 출입구
120 : 힌지연결대 130 : 벌림조절줄
140 : 로프 150 : 로프릴
160 : 손잡이 170 : 다리
180 : 다리고정걸이 190 : 다리벌림조절걸이
200 : 걸이구 210 : 로프걸이
220 : 폴리고정구 230 : 중심 로프 출입구
240 : 상판

Claims (3)

  1. 중앙부에 중심 로프 출입구(230)와 일측 외측에 외측 로프 출입구(110)가 형성된 상판(240);
    상기 중심 로프 출입구(230)와 외측 로프 출입구(110) 사이에 형성된 풀리고정구(220)에 결합된 풀리(100);
    상기 상판(240)의 하부에 고정된 복수의 힌지연결대(120);
    상기 힌지연결대(120)에 힌지결합된 복수의 접이식 다리(170);
    상기 일측 다리(170)에 결합된 로프릴(150); 및
    상기 복수의 접이식 다리(170)의 일정한 높이에 형성된 다리벌림조절걸이(190)와 상기 다리벌림조절걸이(190)에 연결된 벌림조절줄(130);
    상기 로프릴(150)에 일단이 고정되어 감기며, 외측 로프 출입구(110)에 삽입되어 풀리(100)를 거쳐서 중심 로프 출입구(230)를 통해 하부로 연결되며, 타단에 걸이구(200)가 결합된 로프(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인양대상물의 상부에 복수의 다리(170)를 벌려 설치한 후 인양 대상물을 걸이구(200)에 연결한 로프(140)를 걸고 상기 로프릴(150)을 이용해 인양 대상물을 들어 올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인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이식 다리(170)의 하단에 고정된 다리고정걸이(180)와 상기 접이식 다리(17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꺽쇠 또는 말뚝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인양기.
  3. 제 2항에 있어서,
    로프(140)의 끝 로프걸이(210)에 연결되는 걸이구(200)는 고리 형태의 중간부가 20~45° 구부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인양기.
KR2020160005031U 2016-08-30 2016-08-30 접이식 인양기 KR200486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031U KR200486390Y1 (ko) 2016-08-30 2016-08-30 접이식 인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031U KR200486390Y1 (ko) 2016-08-30 2016-08-30 접이식 인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79U true KR20180000679U (ko) 2018-03-08
KR200486390Y1 KR200486390Y1 (ko) 2018-05-14

Family

ID=6164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031U KR200486390Y1 (ko) 2016-08-30 2016-08-30 접이식 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055A (ko) 2020-10-26 2022-05-03 장진우 차량용 센서 미니선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7327A (ja) * 1995-12-25 1997-07-08 Alinco Inc 仮囲い用支柱の支持杭
KR20130061550A (ko) * 2011-12-01 2013-06-11 한국도로공사 콘크리트 포장용 프리캐스트 패널 보수를 위한 평탄성 확보 유닛 및 그 보수 방법
KR20150001572U (ko) * 2013-10-16 2015-04-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성이 향상된 포터블 대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7327A (ja) * 1995-12-25 1997-07-08 Alinco Inc 仮囲い用支柱の支持杭
KR20130061550A (ko) * 2011-12-01 2013-06-11 한국도로공사 콘크리트 포장용 프리캐스트 패널 보수를 위한 평탄성 확보 유닛 및 그 보수 방법
KR20150001572U (ko) * 2013-10-16 2015-04-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성이 향상된 포터블 대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055A (ko) 2020-10-26 2022-05-03 장진우 차량용 센서 미니선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90Y1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12223A (ja) 風車のタワー壁部分を持ち上げるための装置及び風車のタワー壁部分を持ち上げるための方法
BE1026086B1 (nl) Hijsblok voor een kraan
JP2018523052A (ja) 風力タービンコンポーネントを移動させる方法、及び風力タービンコンポーネントを移動させる搬送システム
JP2006240878A (ja) 簡易クレーン装置
EP2277818B1 (en) Device for handling bundles of profiles such as beams, I-beams, pipes and the like
KR200486390Y1 (ko) 접이식 인양기
US1720714A (en) Derrick
US31033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EP0661232B1 (en) A lifting device
KR101103938B1 (ko) 중량물 권상 및 이동장치
JP2008222382A (ja) 据付用昇降装置移動方法
JP6628310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JP5331539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JP2016199997A (ja) 簡易クレーン
US2263857A (en) Handling apparatus
JPS6048438B2 (ja) 負荷昇降方法及び装置
CN106044564B (zh) 盲穿安装导向结构的安装方法
CN210855091U (zh) 一种简易的可移动重物垂直提升设备
CN106049971B (zh) 高耸贵金属塔桅无触点吊具的安装方法
CN106044544B (zh) 高耸贵金属塔桅吊具系统的安装方法
CN211444796U (zh) 玻璃幕墙安装吊机
JP2016023021A (ja) 柱吊り治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7301762B2 (ja) 法面用の削孔機の移動補助機および法面削孔装置、ならびに法面削孔装置の移動方法
EP3045417A1 (en) Stabilizing group for a tower crane and tower crane comprising such a group
JP7358298B2 (ja) ボイラ用バックステーの付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