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214B1 - 난연성 연료용 버너 - Google Patents

난연성 연료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214B1
KR100951214B1 KR1020070103787A KR20070103787A KR100951214B1 KR 100951214 B1 KR100951214 B1 KR 100951214B1 KR 1020070103787 A KR1020070103787 A KR 1020070103787A KR 20070103787 A KR20070103787 A KR 20070103787A KR 100951214 B1 KR100951214 B1 KR 10095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lame retardant
farmer
retardant fuel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966A (ko
Inventor
류우헤이 다까시마
고오따로오 후지무라
아끼야스 오까모또
다까유끼 스또오
이와마로 아마노
도시히로 히라따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23D1/04Burners producing cylindrical flames without centrifugal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2Pneumatic feeding arrangements, i.e. by air bl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1/00Burners adapted for particulate solid or pulverulent fuels
    • F23D2201/20Fuel flow 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보일러 부하 등의 변동에 따라서 가스량이 변화되어도 양호한 착화성이나 안정 연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분말형의 난연성 연료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하고, 화로 내에 배치된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에 분배하여 연소시키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의 하류로부터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로 연통하는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 및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 중 적어도 한 쪽에 코어나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와 같은 가변 제어 수단을 마련하였다.
버너, 세퍼레이터, 가스 배관, 코어,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

Description

난연성 연료용 버너 {BURNER FOR NONCOMBUSTIBLE FUEL}
본 발명은 난연성 연료를 사용하는 미분탄 연소 보일러 등의 각종 연소 장치에 적용되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무연탄이나 석유 코크스 등과 같은 난연성 연료를 미세한 분말형으로 하여 사용하는 미분탄 연소 보일러에 있어서는, 분말형으로 한 난연성 연료를 연소시키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이하, 「버너」라 부름)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연탄을 미세한 분말형으로 한 미분탄을 연료로 하여 보일러의 화로(1) 내에서 연소시키는 종래의 버너(10A)에는 버너 중심부에 위치하여 미분탄 및 1차 공기의 혼합 유체를 흐르게 하는 약 100 ℃의 미분탄 혼합기 계통과, 그 외주부에 위치하여 약 300 내지 350 ℃의 2차 공기를 흐르게 하는 2차 공기 계통에 의해 구성된 것이 있다.
1차 공기 계통은 착화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버너부의 상류에 설치한 세퍼레이터(20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세퍼레이터(20A)는 사이클론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연료 입자가 짙은 부분(농부)과 옅은 부분(담부)을 형성할 수 있다.
1차 공기 계통의 세퍼레이터 하류측은 연료 입자의 농도가 높은 고입자 농도 가스를 도입하여 연소시키는 농부 노즐(24)과, 연료 입자의 농도가 낮은 저입자 농도 가스를 도입하여 연소시키는 담부 노즐(26)로 분기되어 있다. 난연성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착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버너(10A) 전체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담부 노즐(26)에 대해서는 화로(1)를 형성하는 화로벽(2)측에 설치함으로써 산화 분위기로 하여 슬러깅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부호 23은 세퍼레이터(20A)로부터 농부 노즐(24)로 고입자 농도 가스를 유도하는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 도면 중 부호 25는 세퍼레이터(20A)로부터 담부 노즐(26)로 저입자 농도 가스를 유도하는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이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178210호 공보 (도5) 참조].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보일러 부하 등의 변동에 따라서 가스량이 변화되면, 착화성이나 안정 연소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난연성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화염이 간섭함으로써도 착화성이나 안정 연소에 영향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료 입자의 농담 분포 효율은 세퍼레이터(20A)의 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이로 인해, 가스 공급량이 저하되는 부분 부하 시에 있어서는 원심력의 저하에 의해 세퍼레이터(20A)의 분리 효율도 저하되므로,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에 원하는 농담 분포율을 얻는 것은 곤란해진다.
또한, 부분 부하 시나 예비 버너에서 버너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담부 노즐 배관(25)으로부터 세퍼레이터(20A)의 방향으로 부압에 의해 가스의 역류가 일 어날 수 있다.
상술한 농담 분포율의 변동이나 가스의 역류, 또는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화염 간섭은 난연성 연료의 연료 입자를 세퍼레이터(20A)에 의해 분배하도록 구성된 난연성 연료용 버너(10A)의 착화성이나 안정 연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이 문제를 해결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의 개발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보일러 부하 등의 변동에 따라서 가스량이 변화되어도, 양호한 착화성이나 안정 연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는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분말형의 난연성 연료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하고, 화로 내에 배치된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에 분배하여 연소시키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하류로부터 상기 농부 노즐 및 상기 담부 노즐로 연통하는 가스 유로 내의 적어도 한 쪽에 유로 단면적의 가변 제어 수단을 마련하였다.
본 발명의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따르면, 세퍼레이터의 하류로부터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로 연통하는 가스 유로 내의 적어도 한 쪽에 유로 단면적의 가변 제어 수단을 마련하였으므로, 가스 유로의 유로 단면적을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부분 부하 등의 운전 상황에 따른 최적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제어 수단은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상기 농부 노즐로 고입자 농도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로 내에 설치된 가동식 저항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농부 노즐로 고입자 농도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로의 유로 단면적을 적절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운전 상황에 따라서 고입자 농도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로 내의 가스 유량을 조정하여, 세퍼레이터의 분리 효율을 부분 부하 등의 운전 상황에 따라서 최적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제어 수단은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상기 담부 노즐로 저입자 농도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로 내에 설치된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담부 노즐로 저입자 농도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로의 단면적을 완전 개방으로부터 완전 폐쇄까지 적절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운전 상황에 따라서 저입자 농도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로 내의 가스 유량을 조정하거나, 혹은 버너 비사용 시에 가스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내에 공급된 난연성 연료가 충돌하는 벽면에 내마모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난연성 연료가 충돌하는 벽면의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는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분말형의 난연성 연료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하고, 화로 내에 배치된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에 분배하여 연소시키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농부 노즐과 상기 담부 노즐의 취출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오프셋하였다.
이와 같은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따르면, 농부 노즐과 담부 노즐의 취출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오프셋하였으므로, 노즐 사이의 화염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는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분말형의 난연성 연료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하고, 화로 내에 배치된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에 분배하여 연소시키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담부 노즐의 취출 각도를 수평 방향의 노벽측을 향해 오프셋하였다.
이와 같은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따르면, 담부 노즐의 취출 각도를 수평 방향의 노벽측을 향해 오프셋하였으므로, 노즐 사이의 화염 간섭을 방지하는 동시에, 화로 벽면의 슬러깅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난연성 연료의 연료 입자를 세퍼레이터에 의해 분배하도록 구성된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운전 상황에 따른 농담 분포율의 변동이나 가스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양호한 착화성 및 안정 연소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화염 간섭을 방지함으로써도, 양호한 착화성 및 안정 연소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일러 부하 등의 변동에 따라서 가스량이 변화되어도, 양호한 착화성이나 안정 연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하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이하, 「버너」라 부름)(10)는, 예를 들어 미분탄 연소 보일러 등의 화로(1) 내에 설치된다. 이 버너(10)는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난연성 연료의 분립체(미세한 분말형)를 화로(1) 내에서 연소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난연성 연료의 구체예를 들면, 무연탄이나 석유 코크스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난연성 연료인 무연탄을 미세한 분말형으로 한 연료인 미분탄의 공급을 받아 연소시키는 버너(10)에 대해 설명한다.
버너(10)는 약 100 ℃로 비교적 저온의 1차 공기와 함께 미분탄의 공급을 받는 미분탄 공급 계통과, 약 300 내지 350 ℃로 비교적 고온으로 한 2차 공기의 공급을 받는 2차 공기 계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미분탄 공급 계통은 대강 버너(1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고, 착화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1차 공기 및 미분탄의 혼합 유체를 후술하는 농부 및 담부에 분배하는 세퍼레이터(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세퍼레이터(20)는 원심 분리를 이용한 사이클론이 구성이 되고, 외통(21)의 측면에는 접선 방향으로부터 혼합 유체를 공급하는 1차 공기 배관(22)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21)을 원뿔대 형상으로 조인 세경부(21a)에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23)이 접속되고, 그 선단부에는 화로(1) 내를 향해 개방되는 농부 노즐(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21)의 내부에는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이 동심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 저입자 농도 배관(25)은 외통(21)으로부터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23)과 반대측으로 나와 U턴하고 있고, 그 선단부에는 농부 노즐(24)과 대략 동일 레벨에서 인접하도록 하여 담부 노즐(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의 개구부(25a)는 혼합 유체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 1차 공기 배관(22)의 접속부보다 하류측[농부 노즐(24)측]이 된다.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의 위치 관계는 저입자 농도 가스를 연소시키는 담부 노즐(26)이 화로(1)를 형성하는 화로벽(2)측에 배치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0)의 하류에는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에 연통하는 가스 유로 내의 적어도 한 쪽에 유로 단면적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제어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도시한 구성에서는 세퍼레이터(20)로부터 농부 노즐(24)로 고입자 농도 가스를 공급하는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23)과 접속된 세경부(21a) 내에, 가스 유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식 저항체로서, 예를 들어 삼각형 단면의 코어(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코어(27)는 세경부(21a) 내를 화살표(28)로 나타내는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세퍼레이터(20)로부터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23)으로 연통하는 유로 단면적이 변화되므로, 실질적으로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23)의 유로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것과 동일해진다.
또한, 가동식 저항체로서는, 도시한 코어(27)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버터플라이 밸브와 같이,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23)의 유로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세퍼레이터(20)로부터 담부 노즐(26)로 저입자 농도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로 내에는, 즉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 내의 적소에는 가변 제어 수단으로서 버터플라이 밸브 등의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29)는 밸브 본체를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까지 변화시킴으로써, 세퍼레이터(20)로부터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으로 연통하는 유로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29)는 필요에 따라서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을 완전 폐쇄(유로 단면적 = 0)로 할 수도 있다.
농부 노즐(24) 및 담부 가스(26)의 외주부에는 양 노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화로(1) 내로 연통하는 2차 공기 공급 유로(2차 공기 배관)(3O)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2차 공기 공급 유로(30)가, 양 노즐(24, 26)에 비교적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한 2차 공기 계통이 된다.
상술한 세퍼레이터(20)에서는 1차 공기 배관(22)으로부터 공급된 혼합 유체가 외통(21)의 내부에서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의 주위를 선회하여 흐름으로써, 외주측의 농부와 중심부측의 담부로 원심 분리된다. 이 결과, 미분탄의 입자 농도가 높은 농부의 고입자 농도 가스는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의 주위를 가스 유동 방향으로 흐르고, 세경부(21a) 및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23)을 통해 농부 노즐(24)로 유도된다. 한편, 미분탄의 입자 농도가 낮은 담부의 저입자 농도 가스는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의 주위를 따라서 가스 유동 방향으로 흐른 후, U턴하여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의 개구부(25a)로 들어가고,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을 통해 담부 노즐(26)로 유도된다.
무연탄을 분말형으로 한 미분탄을 연료로 하는 경우에 적절한 연료 입자의 농담 분배율은, 즉 양호한 착화성 및 안정된 연소를 계속하는 데 적합한 미분탄 입자의 농담 분배율은 전체 혼합 유체 중, 농부 노즐(24)에 미분탄의 93 내지 95 % 정도 및 공기량의 50 내지 55 % 정도를 분배하고, 담부 노즐(26)에 미분탄의 5 내지 7 % 정도 및 공기량의 45 내지 50 % 정도를 분배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의 노즐(10)에 있어서는, 보일러 부하의 변동 등에 따라서 혼합 가스의 공급량이 변동된 경우, 연료 입자의 농담 분배율도 변동되므로, 코어(27)의 위치를 조정하여 소정의 농담 분배율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의 개구부(25a)는 정격 운전 시 등 소정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 공급되는 혼합 가스의 공급량에서 원하는 농담 분배율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혼합 가스의 공급량이 감소된 경우에는 원심력의 저하에 의해 고입자 농도 가스측에 분배되는 미분탄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혼합 가스 공급량의 저하에 따라서 코어(27)를 화살표(28)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퍼레이터(20)로부터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23)으로 연통하는 유로 단면적을 증가시킨다. 이 결과, 농부 노즐(24)에 이르는 유로 저항이 감소되고, 농부 노즐(24)측에 분배되는 미분탄량이 증가되므로, 미분탄의 농담 분배율은 소정의 값으로 조정된다.
한편, 혼합 가스의 공급량이 증가된 경우에는, 원심력의 증대에 의해 고입자 농도 가스측에 분배되는 미분탄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혼합 가스 공급량의 증가에 따라서 코어(27)를 화살표(28)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퍼레이터(20)로부터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23)으로 연통하는 유로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이 결과, 농부 노즐(24)에 이르는 유로 저항이 증대되고, 농부 노즐(24)측에 분배되는 미분탄량이 감소되므로,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미분탄의 농담 분배율은 소정의 값으로 조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농담 분배율의 조정은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에 설치한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29)를 조작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혼합 가스의 공급량이 감소된 경우에는 혼합 가스 공급량의 저하에 따라서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29)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의 유로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이 결과, 담부 노즐(26)에 이르는 유로 저항이 증가되는 반면, 농부 노즐(24)에 이르는 유로 저항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농부 노즐(24)측에 분배되는 미분탄량이 증가되어 미분탄의 농담 분배율은 소정의 값으로 조정된다.
한편, 혼합 가스의 공급량이 증가된 경우에는, 혼합 가스 공급량의 증가에 따라서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29)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의 유로 단면적을 증가시킨다. 이 결과, 담부 노즐(26)에 이르는 유로 저항이 저하되는 반면, 농부 노즐(24)에 이르는 유로 저항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므로, 농부 노즐(24)측에 분배되는 미분탄량이 감소되어 미분탄의 농담 분배율은 소정의 값으로 조정된다.
이와 같이, 미분탄의 농담 분배율은 코어(27) 또는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29) 중 어느 한쪽을 조작하여 조정 가능하므로, 적어도 어느 한쪽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지만, 양쪽을 동시에 조작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29)에 대해서는 이를 완전 폐쇄 위치로 하여 저입자 농도 가스 배관(25)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버너(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담부 노즐(26)로부터 세퍼레이터(20)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세퍼레이터(20)의 외통(21)에는 1차 공기 배관(22)으로부터 고속으로 유입된 미분탄의 입자가 충돌하는 영역이 있다. 그래서, 이 영역의 내벽면에 대해,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내마모 처리를 실시한 내마모 벽면(21b)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적절한 내마모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세라믹재의 부착이나 내마모 경화 패딩(25 Cr 주철, CHR-3 등)이 채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내마모 벽면(21b)을 형성함으로써 내마모성이 향상되므로, 미분탄의 입자가 충돌해도 조기에 두께를 줄이지 않아, 세퍼레이터(2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에 대해서는, 담부 노즐(26)을 화로벽(2)측으로 치우친 배치로 하지만, 또한 담부 노즐(26)을 수평 방향의 화로벽(2)측으로 오프셋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담부 노즐(26)의 취출 각도는, 평면에서 볼 때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 화로벽(2)과 평행한 취출 방향의 농부 노즐(24)로부터 오프셋 되고, 그 취출 방향은 화로벽(2)측을 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의 적절한 취출 각도(θh)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농 부 노즐(24)로부터 화로벽(2)측으로 10도 정도 경사진 각도이다.
이와 같이, 담부 노즐(26)의 취출 각도를 수평 방향에서 화로벽(2)측으로 오프셋하면, 인접하는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의 노즐 사이에 발생하는 화염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연분을 저감시킨 양호한 연소의 계속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착화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담부 노즐(26)의 취출 방향이 오프셋에 의해 화로벽(2)을 향하게 됨으로써, 화로(1)의 벽면에 석탄회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슬러깅을 완화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에 대해서는 담부 노즐(26)을 화로벽(2)측으로 치우친 배치로 하지만,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의 취출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담부 노즐(26)의 취출 각도를 수평으로 설정하고, 농부 노즐(24)의 취출 각도(θv)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농부 노즐(24)의 적절한 경사 각도(θv)는 수평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하향을 마이너스(-)로 하면, 대강 ―10도 내지 -30도의 범위이지만, 가장 바람직한 경사 각도(θv)는 하향으로 30도이다. 이는, 경사 각도(θv)를 30도 이상으로 크게 설정하면, 이번에는 인접하는 상하의 농부 노즐(24) 사이에서 화염 간섭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의 취출 각도를 상하 방향에서 오프셋시킴으로써, 인접하는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의 노즐 사이에 발생하는 화염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연분을 저감시킨 양호한 연소의 계속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착화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의 취출 각도는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오프셋을 조합함으로써, 화염 간섭의 방지가 한층 용이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난연성 연료의 연료 입자를 세퍼레이터(20)에 의해 분배하도록 구성된 버너(10)에 있어서, 코어(27)나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29)의 조작에 의해, 운전 상황에 따른 농담 분포율의 변동이나 가스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양호한 착화성 및 안정 연소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농부 노즐(24) 및 담부 노즐(26)의 취출 방향으로 오프셋을 설치하고,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화염 간섭을 방지함으로써도 양호한 착화성 및 안정 연소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2는 도1의 세퍼레이터 및 1차 공기 배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3은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에 설정된 취출 각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4는 종래의 난연성 연료용 버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5는 도4의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에 설정된 취출 각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로
2 : 화로벽
10 : 버너
20 : 세퍼레이터
21 : 외통
22 : 1차 공기 배관
23 : 고입자 농도 가스 배관
24 : 농부 노즐
26 : 담부 노즐
27 : 코어

Claims (10)

  1.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분말형의 난연성 연료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하고, 화로 내에 배치된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에 분배하여 연소시키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하류로부터 상기 농부 노즐 및 상기 담부 노즐로 연통하는 가스 유로 내의 적어도 한 쪽에 유로 단면적의 가변 제어 수단을 마련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이며,
    상기 농부 노즐과 상기 담부 노즐 중 적어도 한쪽의 취출 각도를,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제어 수단이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상기 농부 노즐로 고입자 농도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로 내에 설치된 가동식 저항체이며,
    상기 가동식 저항체가, 가스 유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제어 수단이 상기 세퍼레이터로부터 상기 담부 노즐로 저입자 농도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로 내에 설치된 유량 조정ㆍ차단 밸브인 난연성 연료용 버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내에 공급된 난연성 연료가 충돌하는 벽면에 내마모 처리를 실시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
  5.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분말형의 난연성 연료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하고, 화로 내에 배치된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에 분배하여 연소시키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농부 노즐과 상기 담부 노즐의 취출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오프셋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
  6.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분말형의 난연성 연료를 세퍼레이터에서 분리하고, 화로 내에 배치된 농부 노즐 및 담부 노즐에 분배하여 연소시키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담부 노즐의 취출 각도를 수평 방향의 노벽측을 향해 오프셋한 난연성 연료용 버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부 노즐이, 상기 농부 노즐보다도 상기 화로의 수평 방향의 화로벽측에 배치된 난연성 연료용 버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담부 노즐이, 상기 수평 방향의 화로벽측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된 난연성 연료용 버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담부 노즐의 취출 각도가, 상기 수평 방향의 화로벽측으로 상기 농부 노즐에 대하여 0도 내지 10도의 범위에 있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농부 노즐 및 상기 담부 노즐의 취출 각도가, 상하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설치되고,
    상기 농부 노즐의 취출 각도가, 수평 방향에 대하여 -10 내지 -30도의 범위에 있는 난연성 연료용 버너.
KR1020070103787A 2006-10-20 2007-10-16 난연성 연료용 버너 KR100951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86692 2006-10-20
JP2006286692A JP5021999B2 (ja) 2006-10-20 2006-10-20 難燃性燃料用バー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966A KR20080035966A (ko) 2008-04-24
KR100951214B1 true KR100951214B1 (ko) 2010-04-06

Family

ID=3880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787A KR100951214B1 (ko) 2006-10-20 2007-10-16 난연성 연료용 버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092789A1 (ko)
EP (1) EP1916476A3 (ko)
JP (1) JP5021999B2 (ko)
KR (1) KR100951214B1 (ko)
CN (1) CN101165400A (ko)
CA (1) CA2608051C (ko)
CL (1) CL2007002944A1 (ko)
MX (1) MX2007012952A (ko)
TW (1) TWI429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1441B (zh) * 2010-06-18 2013-03-27 王兴道 煤粉气化燃烧水解助燃装置及方法
US8882400B2 (en) * 2010-10-29 2014-11-11 General Electric Company Solids feeder discharge port
GB201502891D0 (en) * 2015-02-20 2015-04-08 Doosan Babcock Ltd Downshot burner
CN107152678B (zh) * 2016-03-02 2019-08-30 山西三合盛节能环保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增强分流增浓的煤粉解耦燃烧器及燃烧方法
CN110043898B (zh) * 2019-04-10 2020-02-21 清华大学 多级回流逆喷式旋流煤粉燃烧器
IT201900020510A1 (it) 2019-11-06 2021-05-06 Ac Boilers S P A Gruppo bruciatore, metodo per operare detto gruppo bruciatore e impianto comprendente detto gruppo bruciato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709U (ko) * 1986-02-21 1987-08-28
JPH08178210A (ja) * 1994-12-26 1996-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旋回燃焼火炉用バーナ装置
KR0136388B1 (ko) * 1987-10-07 1998-04-25 요꼬다 이찌로오 개선된 화염 리테이너를 갖는 미분탄 연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069A (en) * 1979-04-13 1981-02-24 Combustion Engineering, Inc. Low load coal bucket
US4448135A (en) 1981-11-16 1984-05-15 The Babcock & Wilcox Company Inline air-coal separator
US4412496A (en) * 1982-04-27 1983-11-01 Foster Wheeler Energy Corp.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for a coal-fired furnace utilizing a low load coal burner
CA1190093A (en) * 1982-08-06 1985-07-09 Ralph D. Winship Method of reducing no.sub.x and so.sub.x emission
US4570549A (en) * 1984-05-17 1986-02-18 Trozzi Norman K Splitter for use with a coal-fired furnace utilizing a low load burner
US4627366A (en) * 1985-09-16 1986-12-09 The Babcock & Wilcox Company Primary air exchange for a pulverized coal burner
US4655148A (en) * 1985-10-29 1987-04-07 Combustion Engineering, Inc. Method of introducing dry sulfur oxide absorbent material into a furnace
JPH0512578Y2 (ko) * 1987-04-24 1993-03-31
FI87246C (fi) * 1989-04-10 1992-12-10 Ahlstroem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inmatning av foerbraenningsluft i en eldstad
JPH0348643A (ja) * 1989-07-18 1991-03-01 Mitsui Toatsu Chem Inc 非環状のエチレンアミン類の製造方法
US5363812A (en) * 1994-02-18 1994-11-15 The Babcock & Wilcox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ed temperature in a circulating fluidized bed reactor
FI96541C (fi) * 1994-10-03 1996-07-10 Ahlstroem Oy Järjestely seinämässä sekä menetelmä seinämän pinnoittamiseksi
US5678499A (en) * 1995-07-03 1997-10-21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System for preheating fuel
US5611682A (en) * 1995-09-05 1997-03-1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Low-NOx staged combustion device for controlled radiative heating in high temperature furnaces
JP2995013B2 (ja) * 1997-03-31 1999-12-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微粉状燃料燃焼バーナ
US5937772A (en) * 1997-07-30 1999-08-17 Institute Of Gas Technology Reburn process
US6475267B2 (en) * 2000-12-13 2002-11-05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gas from a stream of a mixture of gas and particulate solids
JP3679998B2 (ja) * 2001-01-31 2005-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微粉炭バーナ
CA2625463C (en) * 2001-11-16 2011-03-08 Hitachi, Ltd. Solid fuel burner, burning method using the same, combus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mbustion apparatus
US6986311B2 (en) * 2003-01-22 2006-01-17 Joel Vatsky Burner system and method for mixing a plurality of solid fuels
US6923203B2 (en) * 2003-05-29 2005-08-02 Rickey E. Wark Variable orifice valve for airstream containing particulate co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709U (ko) * 1986-02-21 1987-08-28
KR0136388B1 (ko) * 1987-10-07 1998-04-25 요꼬다 이찌로오 개선된 화염 리테이너를 갖는 미분탄 연소장치
JPH08178210A (ja) * 1994-12-26 1996-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旋回燃焼火炉用バー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6476A3 (en) 2013-02-27
CL2007002944A1 (es) 2008-05-30
US20080092789A1 (en) 2008-04-24
CN101165400A (zh) 2008-04-23
MX2007012952A (es) 2009-02-13
CA2608051C (en) 2013-01-08
TW200829833A (en) 2008-07-16
CA2608051A1 (en) 2008-04-20
EP1916476A2 (en) 2008-04-30
TWI429853B (zh) 2014-03-11
JP2008101883A (ja) 2008-05-01
KR20080035966A (ko) 2008-04-24
JP5021999B2 (ja)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214B1 (ko) 난연성 연료용 버너
CA2487215C (en) Solid fuel burner, solid fuel burner combustion method, combustion apparatus and combustion apparatus operation method
KR100515013B1 (ko) 고체연료버너, 이를 이용하는 연소방법, 연소장치 및 연소장치의 작동방법
KR101660051B1 (ko) 고체 연료 버너, 고체 연료 버너를 이용한 연소장치와 그 운전방법
US8561554B2 (en) Burner structure
US20120210917A1 (en) Solid Fuel Burner
JP2009079794A (ja) 固体燃料バーナ、固体燃料バーナを用いた燃焼装置とその運転方法
JP2010270992A (ja) 石炭焚ボイラ
JP5535521B2 (ja) 石炭焚ボイラ
JP3790489B2 (ja) 微粉固体燃料燃焼装置
JP5386230B2 (ja) 燃料バーナ及び旋回燃焼ボイラ
CA2827903C (en) Combustion device
CA2654922C (en) Oxygen to expand burner combustion capability
WO2020054750A1 (ja) ボイラ
JP7349308B2 (ja) 固体燃料バーナ及びボイラ
JPS63271007A (ja) 微粉炭燃焼装置
RU2279606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топлива для трубы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кот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