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989B1 -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989B1
KR100949989B1 KR1020090036446A KR20090036446A KR100949989B1 KR 100949989 B1 KR100949989 B1 KR 100949989B1 KR 1020090036446 A KR1020090036446 A KR 1020090036446A KR 20090036446 A KR20090036446 A KR 20090036446A KR 100949989 B1 KR100949989 B1 KR 100949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door
drive
sliding doo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우리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전기(주) filed Critical 우리전기(주)
Priority to KR102009003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벨트풀리 방식에 의한 도어의 개폐 시 계절적인 온도변화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벨트의 신축변화에 의하여 벨트의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아 도어의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구동샤프트를 타고 진퇴 가능한 구동체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도입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고, 또 구동유닛의 구동체와 연결된 벨트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 각 벨트와 롤러결합체 사이에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종동유닛과, 그리고 각 벨트 또는 각 벨트에 결합된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도어유닛을 도입하여 구동샤프트를 따라 진퇴하는 구동체의 스트로크 거리를 한쪽 도어의 스트로크 거리만큼으로 한정할 수 있어 도어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부피 감소로 인한 재료 및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동시에 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자체 하중에 의한 도어의 부하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Figure R1020090036446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구동유닛, 구동샤프트, 구동체, 종동유닛, 벨트풀리, 작동로드, 도어유닛, 롤러결합체, 비상개폐수단, 스토퍼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SLIDING DOOR ASSEMBLY}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벨트풀리 방식에 의한 도어의 개폐 시 계절적인 온도변화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벨트의 신축변화에 의하여 벨트의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아 도어의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구동샤프트를 타고 진퇴 가능한 구동체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도입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고,
또 구동유닛의 구동체와 연결된 벨트와 벨트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종동유닛과, 그리고 각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도어유닛을 도입하여 구동샤프트를 따라 진퇴하는 구동체의 스트로크 거리를 한쪽 도어의 스트로크 거리만큼으로 한정할 수 있어 도어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부피 감소로 인해 재료 및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동시에 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자체 하중에 의한 도어의 부하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는 전철이나 지하절 플랫폼에 설치되는 스크린 도 어나 백화점, 대형 할인매장, 건물 현관 등에 설치되는 자동문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로는 특허권자 (주) 이엔이씨에 의한 등록특허 제10-0805366호(2008.02.13.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가 게시되어 있다.
우선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타이밍벨트와 고정구동부풀리와 보조풀리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벨트와 풀리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방식은 벨트가 일정 이상의 장력을 갖도록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나
계절적인 요인이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온도변화에 따른 벨트의 신축변형과, 벨트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벨트가 늘어져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벨트의 장력을 원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벨트와 풀리와의 결합이 느슨해져 도어에 구동력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도어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더 나아가 그 변형 자체가 심한 경우에는 풀리에서 벨트가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벨트와 풀리만으로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에는 만약에 슬라이딩 도어가 전철이나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 도어를 승객이나 이용자들이 강제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벨트풀리 방식에 의한 도어의 개폐 시 계절적인 온도변화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벨트의 신축변화에 의하여 벨트의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아 도어의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구동샤프트를 타고 진퇴 가능한 구동체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도입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고,
또 구동유닛의 구동체와 연결된 벨트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 각 벨트와 롤러결합체 사이에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종동유닛과, 그리고 각 벨트 또는 각 벨트에 결합된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도어유닛을 도입하여 구동샤프트를 따라 진퇴하는 구동체의 스트로크 거리를 한쪽 도어의 스트로크 거리만큼으로 한정할 수 있어 도어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부피 감소로 인한 재료 및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동시에 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자체 하중에 의한 도어의 부하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개폐수단을 도입하여 평상시에는 불필요한 도어의 개방을 막아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아울러 비상시에는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승객의 안전한 대피를 보장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작동로드는 링크부재와 중계부재에 의하여 각각 구동체 및 롤러결합체와 연결되도록 하여 도어어셈블리의 구조적인 결합을 합리화하고,
또한 구동체가 구동샤프트를 따라 진퇴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어 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도어어셈블리의 효과적인 운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측에 배열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샤프트와, 그리고 상기 구동샤프트를 따라 진퇴 가능한 구동체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상기 프레임 양측에 배열되는 벨트풀리와, 상기 구동체에 연결되어 양측의 상기 벨트풀리를 축으로 회전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종동유닛; 상기 프레임에 배열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벨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두 롤러결합체와, 그리고 상기 두 롤러결합체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패널을 포함하는 도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유닛에서 상기 구동샤프트 외주면에는 나선 형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 내측면에는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는 대응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샤프트와 연결되고, 상호 밀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디스크로 이루어진 비상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종동유닛은 상기 한 쌍의 도어패널이 폐쇄된 상태에서 양단이 각각 양측의 벨트풀리를 벗어나지 않으며, 일단은 각각 벨트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각각 상기 롤러결합체가 결합되는 두 작동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는 종래의 벨트풀리 방식에 의한 도어의 개폐 시 계절적인 온도변화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벨트의 신축변화에 의하여 벨트의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아 도어의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구동샤프트를 타고 진퇴 가능한 구동체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도입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고,
또 구동유닛의 구동체와 연결된 벨트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 각 벨트와 롤러결합체 사이에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종동유닛과, 그리고 각 벨트 또는 각 벨트에 결합된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도어유닛을 도입하여 구동샤프트를 따라 진퇴하는 구동체의 스트로크 거리를 한쪽 도어의 스트로크 거리만큼으로 한정할 수 있어 도어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부피 감소로 인한 재료 및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동시에 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자체 하중에 의한 도어의 부하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개폐수단을 도입하여 평상시에는 불필요한 도어의 개방을 막아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아울러 비상시에는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승객의 안전한 대피를 보장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작동로드는 링크부재와 중계부재에 의하여 각각 구동체 및 롤러결합체와 연결되도록 하여 도어어셈블리의 구조적인 결합을 합리화하고,
또한 구동체가 구동샤프트를 따라 진퇴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어 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도어어셈블리의 효과적인 운전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의 구현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의 또 다른 구현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구현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단면도이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 기준을 첨부된 도 2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지면상에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윗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그 아랫방향을 ‘전방’이라 특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는 전철이나 지하철 플랫폼에 설치되는 스크린 도어나 백화점, 대형 할인매장, 건물 현관 등에 설치되는 자동문 등에 적용 가능한 포괄적인 개념의 도어어셈블리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 일측에 배열되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와 연결된 구동샤프트(23)와, 그리고 상기 구동샤프트(23)를 따라 진퇴 가능한 구동체(25)를 포함하는 구동유닛(20); 상기 프레임(10) 양측에 배열되는 벨트풀리(31)와, 상기 구동체(25)에 연결되어 양측의 상기 벨트풀리(31)를 축으로 회전하는 벨트(31a)를 포함하는 종동유닛(30); 상기 프레임(10)에 배열되는 가이드레일(41)과, 상기 벨트(31a)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두 롤러결합체(43)와, 그리고 상기 두 롤러결합체(43)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패널(45)을 포함하는 도어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에서, 상기 프레임(10)은
그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패널(10A)과, 상기 상부 패널(10A) 양측 하부에 연결되어 도어패널(45)이 수용되는 측면 패널(10B)과, 그리고 상기 측면 패널(10B) 사이에는 진출입을 위한 출입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상부 패널(10A) 후면에는 구동유닛(20)이 수용되는 고정브라켓(11)이 상부 패널(10A)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1) 양측에는 결합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상기 상부 패널(10A) 하부에는 도어유닛(40)의 가이드레일(41)이 형성되어, 도어패널(45)과 연결된 롤러결합체(43)가 상기 가이드레일(41)을 타고 측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에서, 상기 구동유닛(20)은
상기 프레임(10) 일측에 배열되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와 연 결된 구동샤프트(23)와, 그리고 상기 구동샤프트(23)를 따라 진퇴 가능한 구동체(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유닛(20)에서 상기 구동모터(21)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1)의 결합부(13)에 구동모터(21)가 연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샤프트(23)는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축(21a)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1)의 각 결합부(13)에는 베어링(29a)이 내장된 베어링하우징(29)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샤프트(23)의 양단부가 상기 베어링(29a)에 수용되어 구동샤프트(23)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고, 동시에 상기 구동샤프트(23)를 지지하게 되며,
또 상기 구동샤프트(23)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기어부(23a)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체(25)는 상기 구동샤프트(23)를 따라 진퇴 가능한데, 상기 구동체(25)는 중공부(25a)를 갖는 블록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부(25a) 내측면에는 상기 구동샤프트(23)의 기어부(23a)와 치합되는 대응기어부(25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샤프트(23)가 상기 구동체(25)의 중공부(25a)에 삽입되어 구동샤프트(23)의 기어부(23a)와 구동체(25)의 대응기어부(25b)가 상호 맞물려 치 합되어,
상기 구동모터(21)가 일방향(도어를 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샤프트(23)가 연동하고 이때 상기 구동체(25)는 구동샤프트(23)를 따라 도어를 여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구동모터(21)가 반대방향(도어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체(25)가 구동샤프트(23)를 따라 도어를 닫는 방향을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유닛(20)과 연동하여 종동유닛(30)을 설명하면서, 상기 구동유닛(20)과 종동유닛(30)과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에서, 상기 종동유닛(30)은
상기 프레임(10) 양측에 배열되는 벨트풀리(31)과, 상기 구동체(25)와 연결되어 양측의 벨트풀리를 축으로 회전하는 벨트(31a)를 갖는 벨트풀리(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종동유닛(30)에서 상기 벨트풀리(31)는 복수의 풀리(31b)와 상기 풀리(31b)에 연결되는 벨트(31a)로 이루어지면, 그리고 상기 풀리(31b)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패널(10A) 후면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1)과 인접한 양측에 블록형태 의 연결부(15)에 구비되고, 이 경우 상기 각 연결부(15)에는 상기 풀리(31b)의 회전축(31c)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 풀리(31b)에 벨트(31a)가 연결되어 상부와 하부에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상부 또는 하부에 배열된 벨트(31a)에는 상기 구동유닛(20)의 구동체(25)와 연결될 수 있으나, 첨부된 도 1에서는 상기 구동체(25)와 하부에 배열된 벨트(31a)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기 구동모터(21)에 의하여 연동하는 구동체(25)가 상부 또는 하부에 배열되는 벨트(31a) 중 어느 한쪽과 연결되어도 벨트(31a)는 풀리(31b)에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부와 하부에 배열된 벨트(31a)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따라서 구동체(25)를 벨트(31a) 양쪽으로 연결할 필요성은 없으며,
또한 하부에 배열된 벨트(31a)에 상기 구동체(25)를 연결하는 것이 상부에 배열된 벨트(31a)에 구동체(25)를 연결하는 것보다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체(25)와 상기 벨트(31a)의 배열 위치는 벨트(31a)가 후방 쪽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체(25)와 벨트(31a)는 링크부재(27)에 의하여 연결 고정된다.
더 나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동유닛에는 상부 및 하부에 배열된 벨트(31a)에 각각 연결되는 작동로드(33)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작동로드(33)는 상기 한 쌍의 도어패널(45)이 폐쇄된 상태에서 양단이 각각 양측의 벨트풀리(31)를 벗어나지 않으며, 일단은 각각 벨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결합체가 결합된다.
즉 상기 작동로드(33)은 도어패널(45)이 폐쇄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양측의 벨트풀리(31) 간의 이격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최소한의 스트로크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재료 및 그 비용을 절감하고 장치 자체의 부하를 감소시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33)가 자중에 의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패널(10A)에는 롤러 형태의 지지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작동로드(33)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동로드(33)는 상부 및 하부에 배열된 벨트(31a)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므로,
벨트(31a)가 도어를 여는 방향으로, 예컨대 도 1에서 하부에 배열된 벨트(31a)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에 배열된 벨트(31a)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벨트(31a)에 연결된 각 작동로드(33) 역시 각각 반대 방향으로 동 작하면서 작동로드(33)와 연결된 도어패널(45)을 개방하게 된다.
반대로 벨트(31a)가 도어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하부에 배열된 벨트(31a)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에 배열된 벨트(31a)는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벨트(31a)에 연결된 각 작동로드(33) 역시 각각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면서 작동로드(33)와 연결된 도어패널(45)이 닫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에서, 상기 도어유닛(40)은
상기 프레임(10)에 배열되는 가이드레일(41)과, 상기 벨트(31a)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1)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두 롤러결합체(43)와, 그리고 상기 두 롤러결합체(43)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패널(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41)은 프레임(10)의 상부 패널(10A) 하부가 절곡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절곡부(미도시)에 구비되고,
상기 롤러결합체(43)는 연결부재(43a)와, 상기 연결부재(43a)에 구비된 롤러(43b)가 상기 가이드레일(41)을 타고 활주하게 되며, 또 상기 연결부재(43a) 상단부는 각 벨트(31a)와 연결된다,
또 상기 프레임(10)의 측면 패널(10B) 사이인 지면과, 그 후방에는 보조 가이드레일(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어패널(45) 하단면에는 상기 보조 가이드레일(미도시)을 타고 활주 가능한 롤러(미도시)가 구비되어 도어패널(45)을 지지하고 그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결합체(43)와 상부에 배열되는 벨트(31a)는 중계부재(47)를 통하여 연결되는데,
이는 상부에 배열된 벨트(31a)의 경우에는 그 배열 위치가 하부에 배열된 벨트(31)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어 있어, 각 벨트(31a)에 연결되는 도어패널(45)의 위치가 서로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계부재(47)는 상부에 배열된 벨트(31a)와 롤러결합체(43)의 연결부재(43a) 상단부와 연결되어 각 벨트(31a)에 연결되는 도어패널(45)이 나란한 위치에 배열되어 동작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 및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벨트(31a)와 연결되고, 상기 롤러결합체(43)와 결합되는 두 작동로드(33)가 도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로드(33)에 의하여 벨트(31a)와 롤러결합체(43)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중계부재(47)에 의하여 상부에 배열되는 작동로드(33)와 롤러결합체(43)을 연결하게 된다.
더 나아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개폐수단(50)은
상기 구동샤프트(23) 단부에 연결되고, 상호 밀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디스크(5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비상개폐수단(50)은 상기 구동유닛(20)의 구동샤프트(23)와 연결되는 제1 디스크(51)와, 상기 제1 디스크(51)와 밀착 및 분리 가능한 제2 디스크(53)와, 상기 제1 디스크(51)와 제2 디스크(53)가 내장되는 케이스(56)와, 상기 제2 디스크(53)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그리고 상기 와이어(미도시)와 연결된 비상핸들(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 디스크(51)는 상기 구동샤프트(23)와 연동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크(53)는 상기 구동샤프트(23)의 구동 시에는 상기 상부 패널(10A)에 연결된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C)의 신호를 받아 제1 디스크(51)와 분리되고,
아울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디스크(53)가 상기 제어부(C)의 신호를 받아 제1 디스크(51)와 밀착되어 상기 구동샤프트(23)를 구속함으로써 도어의 강제 개방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비상시에는 도어를 강제로 개방하여 승객이나 이용자들의 안전한 대 피를 유도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이를 통한 안전사고를 미연 방지하기 위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밀착된 제1 및 제2 디스크(51)(53)를 상기 비상핸들(55)을 회전시켜 제2 디스크(53)와 연결된 와이어(미도시)를 당기게 되면 상기 제2 디스크(53)가 제1 디스크(51)에서 분리되고,
따라서 상기 구동샤프트(23)는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도어를 승객이나 이용자가 강제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비상시 승객이나 이용자들의 안전한 대비가 가능해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60)는
상기 프레임(10)의 고정브라켓(11) 양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도어패널(45)의 개폐 시 구동유닛(20)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60)는 리미트 스위치(61)로 상기 구동유닛(20)의 구동체(25)의 스트로크 거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샤프트(23)를 따라 진퇴하는 구동체(25) 상부가 리미트 스위치(61)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C)에서 접촉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모터(21)를 정지시켜 구동체(25)의 동작을 멈추게 함으로써
도어를 닫는 경우에는 각 도어패널(45) 간의 충돌을 막고, 반대로 도어를 여는 경우에는 가이드레일(41)과 롤러결합체(43)의 충돌이나 이탈을 방지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의 구현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의 또 다른 구현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구현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C : 제어부
10 : 프레임 10A : 상부 패널
10B : 측면 패널 11 : 고정브라켓
13 : 결합부 15 : 연결부
17 : 절곡부
20 : 구동유닛 21 : 구동모터
21a : 구동축 23 : 구동샤프트
23a : 기어부 25 : 구동체
25a : 중공부 25b : 대응기어부
27 : 링크부재 29 : 베어링 하우징
29a : 베어링
30 : 종동유닛 31 : 벨트풀리
31a : 벨트 31b : 풀리
31c : 회전축 33 : 작동로드
40 : 도어유닛 41 : 가이드레일
43 : 롤러결합체 43a : 연결부재
43b : 롤러 45 : 도어패널
47 : 중계부재
50 : 비상개폐수단 51 : 제1 디스크
53 : 제2 디스크 55 : 비상핸들
57 : 케이스
60 : 스토퍼 61 : 리미트 스위치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측에 배열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샤프트와, 그리고
    상기 구동샤프트를 따라 진퇴 가능한 구동체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상기 프레임 양측에 배열되는 벨트풀리와,
    상기 구동체에 연결되어 양측의 상기 벨트풀리를 축으로 회전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종동유닛; 및
    상기 프레임에 배열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벨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두 롤러결합체와, 그리고
    상기 두 롤러결합체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패널을 포함하는 도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샤프트와 연결되고, 상호 밀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디스크로 이루어진 비상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종동유닛은
    상기 한 쌍의 도어패널이 폐쇄된 상태에서 양단이 각각 양측의 벨트풀리를 벗어나지 않으며,
    일단은 각각 벨트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각각 상기 롤러결합체가 결합되는 두 작동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에서
    상기 구동샤프트 외주면에는 나선형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 내측면에는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는 대응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중 상부에 배열된 벨트와 상기 롤러결합체에 구비된 연결부를 잇는 중계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 양측에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KR1020090036446A 2009-04-27 2009-04-27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KR100949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446A KR100949989B1 (ko) 2009-04-27 2009-04-27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446A KR100949989B1 (ko) 2009-04-27 2009-04-27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989B1 true KR100949989B1 (ko) 2010-03-29

Family

ID=4218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446A KR100949989B1 (ko) 2009-04-27 2009-04-27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98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6455A (zh) * 2016-05-17 2016-07-13 厦门市佰社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建筑移动门的推拉装置
CN105775641A (zh) * 2016-05-17 2016-07-20 石狮市鸾蝶帽业有限公司 一种装修用移门的推拉装置
CN105927080A (zh) * 2016-05-17 2016-09-07 石狮市鸾蝶帽业有限公司 一种具有封闭式导轨且结构稳定的推拉装置
CN105927079A (zh) * 2016-05-17 2016-09-07 厦门市佰社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封闭式导轨且便于维护的推拉装置
CN105927078A (zh) * 2016-05-17 2016-09-07 厦门市佰社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移门用的新型推拉装置
CN105927081A (zh) * 2016-05-17 2016-09-07 石狮市鸾蝶帽业有限公司 一种装修用的推拉门推拉结构
CN105952298A (zh) * 2016-05-17 2016-09-21 石狮市鸾蝶帽业有限公司 一种具有封闭式导轨且防超程的推拉装置
WO2023039984A1 (zh) * 2021-09-18 2023-03-23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一种滑动门及方便拆装的隔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610Y1 (ko) * 1992-12-19 1995-07-14 조기동 자동문 개폐장치
JPH1088902A (ja) 1996-09-03 1998-04-07 Otis Elevator Co 滑りドア運転装置及び滑りドア運転方法
JP2002067940A (ja) 2000-09-05 2002-03-08 Nabco Ltd 鉄道車両用扉の閉じ方法及び装置
JP2007191923A (ja) * 2006-01-19 2007-08-02 Nakao Seisakusho:Kk 吊り引き戸の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610Y1 (ko) * 1992-12-19 1995-07-14 조기동 자동문 개폐장치
JPH1088902A (ja) 1996-09-03 1998-04-07 Otis Elevator Co 滑りドア運転装置及び滑りドア運転方法
JP2002067940A (ja) 2000-09-05 2002-03-08 Nabco Ltd 鉄道車両用扉の閉じ方法及び装置
JP2007191923A (ja) * 2006-01-19 2007-08-02 Nakao Seisakusho:Kk 吊り引き戸の開閉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6455A (zh) * 2016-05-17 2016-07-13 厦门市佰社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建筑移动门的推拉装置
CN105775641A (zh) * 2016-05-17 2016-07-20 石狮市鸾蝶帽业有限公司 一种装修用移门的推拉装置
CN105927080A (zh) * 2016-05-17 2016-09-07 石狮市鸾蝶帽业有限公司 一种具有封闭式导轨且结构稳定的推拉装置
CN105927079A (zh) * 2016-05-17 2016-09-07 厦门市佰社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封闭式导轨且便于维护的推拉装置
CN105927078A (zh) * 2016-05-17 2016-09-07 厦门市佰社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移门用的新型推拉装置
CN105927081A (zh) * 2016-05-17 2016-09-07 石狮市鸾蝶帽业有限公司 一种装修用的推拉门推拉结构
CN105952298A (zh) * 2016-05-17 2016-09-21 石狮市鸾蝶帽业有限公司 一种具有封闭式导轨且防超程的推拉装置
WO2023039984A1 (zh) * 2021-09-18 2023-03-23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一种滑动门及方便拆装的隔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989B1 (ko) 슬라이딩 도어어셈블리
KR100805364B1 (ko)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CN102892701B (zh) 带有滚轮-小齿轮驱动器的升降机
JP4970473B2 (ja) プラットフォーム遮蔽ドア装置
EP2500225A1 (en) Automatic platform gate
US6289963B1 (en) Dual closure system for overhead doors
CN115279984A (zh) 门操作系统
CN102642563A (zh) 机动运送器用尤其是机动车辆用舱盖系统
EP3106364B1 (en) Safety equipment for train platform
EP2474458A1 (en) Automatic platform gates
CN107000551B (zh) 用于机动车的窗玻璃的遮蔽装置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HRP20170676T1 (hr) Okov za podizno-klizne elemente te podizno-klizni element
CN201013167Y (zh) 电动伸缩屏蔽站台门
KR20050015979A (ko) 리프팅 이동 전기자
RU2577928C2 (ru) Остекленная крыша с подвижной сдвигаемой и приподнимающейся панелью
KR101869806B1 (ko) 수직 및 수평이동식 아케이드 구조물
KR101850348B1 (ko) 나선형 롤링 도어
KR100898194B1 (ko) 출입문 개폐장치
CN111433104B (zh) 用于锁定屏蔽门的门扇的系统
CN211500271U (zh) 用于车辆的门玻璃组件
CN1300437C (zh) 电动螺杆开窗装置
KR0174657B1 (ko) 엘리베이터용 승강장 도어
KR20080101101A (ko) 비상시 여닫이형 개폐가 가능한 스크린 도어
JP4829607B2 (ja) 出窓の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