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882B1 - 조습장치 - Google Patents

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882B1
KR100949882B1 KR1020077025036A KR20077025036A KR100949882B1 KR 100949882 B1 KR100949882 B1 KR 100949882B1 KR 1020077025036 A KR1020077025036 A KR 1020077025036A KR 20077025036 A KR20077025036 A KR 20077025036A KR 100949882 B1 KR100949882 B1 KR 10094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water
air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6941A (ko
Inventor
도모히로 야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absorption or de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온수가 제 1 입구(21)로부터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거쳐 제 1 출구(22)로 흐름과 더불어, 냉수가 제 2 입구(23)로부터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거쳐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1 상태와, 온수가 제 1 입구(21)로부터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거쳐 제 1 출구(22)로 흐름과 더불어, 냉수가 제 2 입구(23)로부터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거쳐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2 상태로 되도록 물 유통을 전환하는 물회로(20)를 구비한다. 이 전환 시에 각 입구(21, 23)와 각 출구(22, 24)가 연통되는 우회통로(36)를 구비한다. 이로써, 각종 삼방밸브(31, 33, …)가 작동불량을 일으켜도, 냉온수가 확실하게 우회통로(36)를 지나 각 출구(22, 24)로 흐른다.
제 1 열교환기, 제 2 열교환기, 우회통로, 물 유통, 수분의 흡탈착, 전환수단

Description

조습장치{HUMIDITY CONDITIONER}
본 발명은, 조습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물회로를 구비하며 일괄식 운전동작을 행하는 조습장치 배관 등의 보호대책에 관한 것이다.
종래, 흡착제와 냉동주기를 이용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조습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2004-60954호 공보)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의 조습장치는, 흡착제를 갖는 2개의 흡착소자와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매회로를 구비한다. 이 조습장치는, 제 1 흡착소자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함과 더불어, 냉매회로의 응축기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로 제 2 흡착소자를 재생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소자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함과 더불어, 응축기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로 제 1 흡착소자를 재생하는 제 2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이들 2개의 동작이 교대로 반복되어, 제습된 제 1 공기 또는 가습된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흡착소자와 열교환기를 일체화하여, 흡착제가 담지된 흡착열교환기를 이용하는 기술이 고안되었다. 이 경우, 흡착열교환기는, 다수의 판상 핀과 이 핀을 관통하는 동관을 구비한, 이른바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핀 및 동관의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된다. 이 열교환기에서는, 흡착제에 의해 유통공기의 제습과 가습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동관 내를 흐르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의 가열이나 냉각이 이루어진다.
또, 냉매회로 대신, 냉수나 온수가 흐르는 물회로를 이용한 조습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 즉, 냉수와 온수를 흡착열교환기로 교대로 보냄으로써, 그 흡착제의 냉각이나 가열이 이루어진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전술한 물회로를 이용하는 종래의 제습장치에서는, 물 유통을 전환할 때에 물 흐름이 막힐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해 삼방밸브나 십자밸브를 이용하여 전환하는데, 이 삼방밸브 등이 작동불량 등에 의해 정상으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에 물 흐름이 차단된다. 이 때문에, 물이 비압축성 유체인 점에서, 배관이나 열교환기 내에 고압이 작용하며, 최악의 경우 이들이 파열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물 유통을 전환하여 흡착열교환기의 흡착제로 수분의 흡탈착을 행하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물 유통을 전환할 때에 전환밸브의 작동불량 등에 의해 물 흐름이 차단된 경우에, 배관 등 내에 작용하는 고압을 억제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은, 흡착제를 가지며, 공기 중 수분의 흡착과 탈리에 의한 공기 중으로의 수분 방출을 행하는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가 접속되고, 냉수 및 온수의 물이 흐르는 물회로(20)를 구비하며,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1 열교환기(32)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름과 더불어,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2 열교환기(42)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2 열교환기(42)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름과 더불어,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1 열교환기(32)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2 유통상태로 전환되도록 물 유통을 전환하고,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에서 수분의 흡탈착을 교대로 행하는 조습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물 유통을 전환할 때, 각 입구(21, 23)와 각 출구(22, 24)가 연통되는 우회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냉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 공기가 제습된다. 한편, 온수가 흐르는 제 2 열교환기(42) 또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흡착제로부터 탈리한 수분이, 통과하는 공기 중으로 방출되며, 이 공기가 가습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냉수 및 온수가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를 교대로 흐르도록 물 유통을 전환하며, 공기의 제가습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상기 물회로(20)에서의 물 유통 전환은, 예를 들어 삼방밸브나 십자밸브 등의 유로전환밸브를 전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로전환밸브가 작동불량 등에 의해 전혀 전환되지 않거나, 중간개방도 상태로 유지되면, 물 흐름이 차단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물이 비압축성 유체인 점에서, 배관이나 열교환기(32, 42) 등에 고압이 작용해버린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유로전환밸브의 전환 시에, 즉, 물 유통을 전환할 때에 각 입구(21, 23)와 각 출구(22, 24)가 연통되는 우회통로를 구비하므로, 유로전환밸브가 작동불량 등을 일으킨 경우, 각 입구(21, 23)로부터 도입된 물이 확실하게 각 출구(22, 24)로 흐른다. 따라서 물 흐름이 차단되는 일은 없으며, 배관 등에 고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흡착제를 가지며, 공기 중 수분의 흡착과 탈리에 의한 공기 중으로의 수분 방출을 행하는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가 접속되고,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한쪽 물이 흐르는 물회로(20)를 구비하며, 상기 물회로(20)는,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물이 제 1 열교환기(3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1 유통상태와,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물이 제 2 열교환기(4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2 유통상태로 전환되도록 물 유통을 전환하고,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에서 수분의 흡탈착을 교대로 행하는 조습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물 유통을 전환할 때, 입구(21)와 출구(22)가 연통되는 우회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물회로(20)를 냉수만 흐르는 경우, 냉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 공기가 제습된다. 한편, 냉수가 흐르지 않는 제 2 열교환기(42) 또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흡착제로부터 자연탈리한 수분이, 통과하는 공기 중으로 방출되며, 이 공기가 가습된다.
또, 상기 물회로(20)를 온수만 흐르는 경우, 온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흡착제로부터 탈리한 수분이, 통과하는 공기 중으로 방출되며, 이 공기가 가습된다. 한편, 온수가 흐르지 않는 제 2 열교환기(42) 또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 공기가 제습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냉수 또는 온수가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를 교대로 흐르도록 물 유통이 유로전환밸브에 의해 전환된다.
여기서, 전술한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유로전환밸브가 작동불량 등을 일으켜도, 각 입구(21, 23)로부터 도입된 물이 확실하게 각 출구(22, 24)로 흐른다. 따라서 물 흐름이 차단되는 일은 없으며, 배관 등에 고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회통로가, 우회차단밸브(37)를 가지며, 제 1 열교환기(32)의 상류 쪽 및 하류 쪽 중 한쪽과, 제 2 열교환기(42)의 상류 쪽 및 하류 쪽 중 한쪽에 접속된다.
상기 발명에서는 물 유통의 전환 시, 예를 들어 물이 제 1 열교환기(32)를 통과하는 경로를 흐른 경우, 유로전환밸브가 작동불량을 일으켜 이 경로가 차단되어도, 우회차단밸브(37)를 개방함으로써 이 물이 우회통로를 통해 제 2 열교환기(42)를 지나는 경로로 흐르고, 그대로 출구(22, 24)로 흐른다. 또 제 2 열교환기(42)를 통과하는 경로가 차단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물이 우회통로를 통해 제 1 열교환기(32)의 경로로 흐르고 출구(22, 24)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물 흐름의 차단이 방지된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가,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온수용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과, 냉수용 입구측 전환수단(41) 및 출구측 전환수단(4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우회통로는 우회차단밸브(37)를 가지며, 온수용 입구측 전환수단(31)의 상류 쪽과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의 하류 쪽에 접속되는 온수용 우회통로, 및 우회차단밸브(37)를 갖고, 냉수용 입구측 전환수단(41)의 상류 쪽과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의 하류 쪽에 접속되는 냉수용 우회통로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온수용 우회차단밸브(37)를 개방함으로써, 온수용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의 양쪽이 작동불량에 의해 중간개방도 상태로 된 경우라도,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온수용 우회통로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확실하게 흐른다. 또, 물 유통의 전환 시에 냉수용 우회차단밸브(37)를 개방함으로써, 냉수용 입구측 전환수단(41) 및 출구측 전환수단(43)의 양쪽이 중간개방도 상태로 된 경우라도,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냉수용 우회통로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확실하게 흐른다. 따라서, 적어도 냉온수 중 어느 한쪽 물 흐름의 차단이 회피되며, 배관 등에 고압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가,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온수용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과, 냉수용 입구측 전환수단(41) 및 출구측 전환수단(43)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물 유통의 전환 시에, 각 출구측 전환수단(33, 43)을 전환한 후에 각 입구측 전환수단(31, 41)을 전환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물 유통의 전환 시에, 각 출구측 전환수단(33, 43)부터 먼저 전환하므로, 각 입구측 전환수단(31, 41)을 먼저 전환하는 경우에 비해, 냉수 및 온수를 전환완료까지 소정의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로 계속 보낼 수 있다. 이로써 물 유통 전환 시의 제가습능력 저하가 억제된다.
제 6 발명은, 상기 제 5 발명에 있어서, 가습운전의 경우, 상기 물 유통의 전환 시에,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을 전환한 후에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을 전환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가습운전의 경우, 온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가습된 공기가 이용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물 유통의 전환 시에,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을 먼저 전환하므로,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이 전환될 때까지의 사이, 냉수의 흐름이 차단되게 된다. 즉, 이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온수가 냉수보다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를 긴 시간 흐르게 된다. 따라서 가습능력의 저하가 억제된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5 발명에 있어서, 제습운전의 경우, 상기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을 전환한 후에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을 전환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제습운전의 경우, 냉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습된 공기가 이용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을 먼저 전환하므로,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이 전환될 때까지의 사이, 온수의 흐름이 차단되게 된다. 즉, 이 물 유통의 전환 시에, 냉수가 온수보다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를 긴 시간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습능력의 저하가 억제된다.
제 8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가,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우회통로는, 우회차단밸브(37)를 가지며, 입구측 전환수단(31)의 상류 쪽과 출구측 전환수단(33)의 하류 쪽에 접속된다.
상기 발명에서는,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우회차단밸브(37)를 개방함으로써,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의 양쪽이 작동불량에 의해 중간개방도 상태로 된 경우라도,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냉수 또는 온수가 우회통로를 지나 출구(22)로 확실하게 흐른다. 따라서 물 흐름의 차단이 회피되며, 배관 등에 고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가,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출구측 전환수단(33)을 전환한 후에 입구측 전환수단(31)을 전환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출구측 전환수단(33)부터 먼저 전환되므로, 입구측 전환수단(31)을 먼저 전환하는 경우에 비해, 냉수 또는 온수를 물 유통의 전환완료까지 소정의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로 조금이라도 길게 계속 보낼 수 있다. 이로써, 물 유통 전환 시의 제가습 능력 저하가 억제된다.
제 10 발명은, 흡착제를 가지며, 공기 중 수분의 흡착과 탈리에 의한 공기 중으로의 수분 방출을 행하는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가 접속되고, 냉수 및 온수의 물이 흐르는 물회로(20)를 구비하며, 상기 물회로(20)가,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1 열교환기(32)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름과 더불어,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2 열교환기(42)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2 열교환기(42)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름과 더불어,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1 열교환기(32)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2 유통상태로 전환되도록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31, 33, 41, 43)을 구비하고,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에서 수분의 흡탈착을 교대로 행하는 조습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출구측 전환수단(33, 43)보다 상류 쪽에 냉수 및 온수의 버퍼탱크(39, 49)를 구비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제 1 발명과 마찬가지로, 물 유통의 전환이, 예를 들어 삼방밸브나 십자밸브 등 유로전환밸브의 전환에 의해 이루어지며, 유로전환밸브가 작동불량 등에 의해 전환되지 않는 경우 등에는, 물 흐름이 차단되어 배관 내에 고압이 작용하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출구측 전환수단(33, 43)보다 상류 쪽에 버퍼탱브(39, 49)가 배치되므로, 각 입구(21, 23)로부터 도입된 온수 및 냉수가 그대로 버퍼탱크(39, 49)에 저류된다. 즉, 배관 등 내에 발생한 고압이 버퍼탱크(39, 49)에 흡수된다. 이로써, 배관이나 열교환기(32, 42)에 작용하는 고압이 억제된다.
제 11 발명은, 흡착제를 가지며, 공기 중 수분의 흡착과 탈리에 의한 공기 중으로의 수분 방출을 행하는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가 접속되고,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한쪽 물이 흐르는 물회로(20)를 구비하며, 상기 물회로(20)는,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물이 제 1 열교환기(3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1 유통상태와,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물이 제 2 열교환기(4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2 유통상태로 전환되도록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31, 33)을 구비하고,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에서 수분의 흡탈착을 교대로 행하는 조습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출구측 전환수단(33)보다 상류 쪽에 물 버퍼탱크(39, 49)를 구비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제 2 발명과 마찬가지로, 물 유통의 전환이, 예를 들어 삼방밸브나 십자밸브 등 유로전환밸브의 전환에 의해 이루어지며, 유로전환밸브가 작동불량 등에 의해 전환되지 않는 경우 등에는, 물 흐름이 차단되어 배관 내에 고압이 작용하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출구측 전환수단(33, 43)보다 상류 쪽에 물 버퍼탱크(39, 49)가 배치되므로, 입구(21, 23)로부터 도입된 온수 및 냉수가 그대로 버퍼탱크(39, 49)에 저류된다. 즉, 배관 등 내에 발생한 고압이 버퍼탱크(39, 49)에 흡수되므로, 배관이나 열교환기(32, 42)에 작용하는 고압이 억제된다.
제 1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통상태에서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함과 더불어,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하며, 상기 제 2 유통상태에서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함과 더불어,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하도록, 물 유통과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통은, 냉수 및 온수의 적어도 한쪽 유통이 전환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전환된다.
상기 발명에서는, 냉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됨과 더불어, 냉수에 의해 흡착제 및 제 1 공기가 냉각된다. 한편, 온수가 흐르는 제 2 열교환기(42) 또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흡착제로부터 탈착된 수분이 제 2 공기 중으로 방출됨과 더불어, 온수에 의해 흡착제 및 제 2 공기가 가열된다. 그리고 냉방제습운전 시에는 제 1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난방가습운전 시에는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여기서,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냉수만, 또는 냉수 및 온수의 유통이 전환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공기 유통이 전환된다. 이로써, 공기 유통이 전환될 때까지 사이에, 온수에 의해 가열된 열교환기(32, 42)가 미리 냉수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공기 유통의 전환 후에 그 열교환기(32, 42)를 통과하는 제 1 공기가 가열되는 일은 없다. 이로써, 실내로 온풍이 공급되는 일은 없다.
한편,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온수만, 또는 온수 및 냉수의 유통이 전환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공기 유통이 전환된다. 이로써, 공기 유통이 전환될 때까지 사이에, 냉수에 의해 냉각된 열교환기(32, 42)가 미리 온수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공기 유통의 전환 후에 그 열교환기(32, 42)를 통과하는 제 2 공기가 냉각되는 일은 없다. 이로써, 실내로 냉풍이 공급되는 일은 없다.
제 13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통상태에서는, 냉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함과 더불어,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하며, 상기 제 2 유통상태에서는, 냉수가 흐르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함과 더불어,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하도록, 냉수 유통과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통은, 냉수 유통이 전환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전환된다.
상기 발명에서는, 물회로(20)에서 냉수만 흐른다. 그리고 냉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됨과 더불어, 냉수에 의해 흡착제 및 제 1 공기가 냉각된다. 한편, 냉수가 흐르지 않는 제 2 열교환기(42) 또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흡착제로부터 탈착된 수분이 제 2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냉방제습운전 시에는 제 1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난방가습운전 시에는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여기서,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냉수의 유통이 전환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공기 유통이 전환된다. 이로써, 공기 유통이 전환될 때까지 사이에, 열교환기(32, 42)가 미리 냉수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공기 유통의 전환 후에 그 열교환기(32, 42)를 통과하는 제 1 공기가 가열되는 일은 없다. 이로써, 실내로 온풍이 공급되는 일은 없다.
제 14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통상태에서는, 온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함과 더불어,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하며, 상기 제 2 유통상태에서는, 온수가 흐르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함과 더불어,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하도록, 온수 유통과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통은, 온수 유통이 전환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전환된다.
상기 발명에서는, 물회로(20)에서 온수만 흐른다. 그리고 온수가 흐르지 않는 제 1 열교환기(32) 또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된다. 한편, 온수가 흐르는 제 2 열교환기(42) 또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흡착제로부터 탈착된 수분이 제 2 공기 중으로 방출됨과 더불어, 온수에 의해 흡착제 및 제 2 공기가 가열된다. 그리고 냉방제습운전 시에는 제 1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난방가습운전 시에는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여기서,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온수의 유통이 전환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공기 유통이 전환된다. 이로써, 공기 유통이 전환될 때까지 사이에, 열교환기(32, 42)가 미리 온수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공기 유통의 전환 후에 그 열교환기(32, 42)를 통과하는 제 2 공기가 냉각되는 일은 없다. 이로써, 실내로 냉풍이 공급되는 일은 없다.
제 15 발명은, 상기 제 12 발명에 있어서, 제습한 제 1 공기를 이용측으로 공급하는 제습운전 시, 냉수 유통을 전환한 후 공기 유통을 전환할 때까지의 소정시간 동안, 온수의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로의 유통이 저지되는 중간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발명에서는, 중간상태에서, 제 1 공기가 흐르는 열교환기(32, 42)로는 온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제 1 공기가 가열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중간상태에서도 실내로 온풍이 공급되지 않다.
제 16 발명은, 상기 제 12 발명에 있어서, 가습한 제 2 공기를 이용측으로 공급하는 가습운전 시, 온수 유통을 전환한 후 공기 유통을 전환할 때까지의 소정시간 동안, 냉수의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로의 유통이 저지되는 중간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발명에서는, 중간상태에서, 제 2 공기가 흐르는 열교환기(32, 42)로는 냉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제 2 공기가 냉각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중간상태에서도 실내로 냉풍이 공급되지 않다.
제 17 발명은, 상기 제 1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는, 중간상태 시에 온수가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를 우회하여 흐르는 우회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중간상태에서, 온수가 우회통로를 흐로고 열교환기(32, 42)를 우회하므로, 온수의 열교환기(32, 42)로의 흐름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따라서 중간상태에서 온풍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8 발명은, 상기 제 1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는, 중간상태 시에 냉수가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를 우회하여 흐르는 우회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중간상태에서, 냉수가 우회통로를 흐르고 열교환기(32, 42)를 우회하므로, 냉수의 열교환기(32, 42)로의 흐름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따라서 중간상태에서 냉풍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물 유통을 전환할 때에 각 입구(21, 23)와 각 출구(22, 24)가 연통되는 우회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므로, 유로전환밸브가 작동불량을 일으켜도, 냉수 및 온수를 확실하게 우회통로를 통해 각 출구(22, 24)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물 흐름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관이나 열교환기(32, 42)로 고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에 의하면, 냉수만 또는 온수만 흐르는 물회로(20)에서도, 유로전환밸브가 작동불량을 일으켜도, 냉수 또는 온수를 확실하게 우회통로를 통해 출구(22)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이나 열교환기(32, 42)에 고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에 의하면, 제 1 열교환기(32)의 상류 쪽 및 하류 쪽 중 한쪽과, 제 2 열교환기(42)의 상류 쪽 및 하류 쪽 중 한쪽에 접속되는 우회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므로, 예를 들어 제 1 열교환기(32)를 지나는 경로에서 물 흐름이 차단되어도, 그 경로를 흘렀던 물을 제 2 열교환기(42)를 지나는 경로로 보내고, 그대로 출구(22, 24)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배관 등에의 고압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4 발명에 의하면, 온수용 우회통로를 온수용 입구측 전환수단(31)의 상류 쪽과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의 하류 쪽에 접속하며, 냉수용 우회통로를 냉수용 입구측 전환수단(41)의 상류 쪽과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의 하류 쪽에 접속하도록 하므로, 각 입구측 전환수단(31, 41) 및 각 출구측 전환수단(33, 43)의 양쪽이 중간개방도 상태로 된 경우라도, 확실하게 냉수 또는 온수를 각 우회통로를 통해 각 출구(22, 24)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냉온수 흐름의 차단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배관 등을 고수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5 발명에 의하면, 물 유통의 전환 시에, 냉수용 및 온수용 각 출구측 전환수단(33, 43)을 전환한 후에 각 입구측 전환수단(31, 41)을 전환하도록 하므로, 그 물 유통을 전환하는 동안, 냉수 및 온수를 소정의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로 조금이라도 길게 유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있어서 제가습 능력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6 또는 제 7 발명에 의하면, 가습운전의 경우에는,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을 전환한 후에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을 전환하며, 제습운전의 경우에는,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을 전환한 후에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을 전환하도록 하므로, 물 유통의 전환 시에, 가습 또는 제습한 공기를 이용측으로 공급하는 열교환기(32, 42)에 대해 온수 또는 냉수를 조금이라도 긴 시간 보낼 수 있다. 따라서 물 유통 전환 시의 제가습 능력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8 발명에 의하면, 우회통로를 입구측 전환수단(31)의 상류 쪽과 출구측 전환수단(33)의 하류 쪽에 접속하도록 하므로,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의 양쪽이 중간개방도 상태로 된 경우라도, 확실하게 냉수 또는 온수를 우회통로를 통해 출구(22)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물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으므로, 배관 등을 고수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9 발명에 의하면, 물 유통의 전환 시에, 물의 출구측 전환수단(33)을 전환한 후에 입구측 전환수단(31)을 전환하도록 하므로, 그 물 유통을 전환하는 동안, 냉수 또는 온수를 소정의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로 조금이라도 길게 유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있어서 각 열교환기(32, 42)의 제습 또는 가습의 능력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0 발명에 의하면, 출구측 전환수단(33, 43)보다 상류 쪽에 냉수 및 온수의 버퍼탱크(39, 49)를 구비하도록 하므로, 유로전환밸브의 작동불량 등이 일어나 물 흐름이 차단되어도, 냉온수를 버퍼탱크(39, 49)에 저류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이나 열교환기(32, 42)에 작용하는 고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배관 등을 고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11 발명에 의하면, 냉수만 또는 온수만 흐르는 물회로(20)에서도, 출구측 전환수단(33)보다 상류 쪽에 물 버퍼탱크(39, 49)를 구비하도록 하므로, 유로전환밸브가 작동불량을 일으켜 물 흐름이 차단되어도, 냉수 또는 온수를 버퍼탱크(39, 49)에 저류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 등 내에 작용하는 고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2 발명에 의하면, 냉수 등의 유통을 전환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하므로, 미리 열교환기(32, 42)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제습운전 시에는 제 1 공기를 가열하는 일없이 실내로 공급하며, 난방가습운전 시에는 제 2 공기를 냉각하는 일없이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3 발명에 의하면, 냉수의 유통을 전환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하므로, 제 1 공기가 흐르는 열교환기(32, 42)를 미리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제습운전 시에는 제 1 공기를 가열하는 일없이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14 발명에 의하면, 온수의 유통을 전환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하므로, 제 2 공기가 흐르는 열교환기(32, 42)를 미리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제습운전 시에는 제 2 공기를 냉각하는 일없이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5 발명에 의하면, 제습운전의 경우, 중간상태에서 온수를 어느 열교환기(32, 42)로도 보내지 않도록 하므로, 중간상태에서도 제 1 공기를 가열하지 않고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쾌적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 제 16 발명에 의하면, 가습운전의 경우, 중간상태에서 냉수를 어느 열교환기(32,42)로도 보내지 않도록 하므로, 중간상태에서도 제 2 공기를 냉각하지 않고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쾌적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한 제 17 또는 제 18 발명에 의하면, 중간상태에서, 온수 또는 냉수가 열교환기(32, 42)를 우회하여 흐르는 우회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므로, 중간상태에서도 제 1 공기를 가열하지 않는 채, 또 제 2 공기를 냉각하지 않는 채 각각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 통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 변형예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냉방제습운전 시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19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20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21은, 제 4 실시형태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 통도이다.
도 22는, 제 4 실시형태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23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24는,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25는,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26은,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27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28는,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29는,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30은,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31은, 제 9 실시형태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 통도이다.
도 32는,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33은,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34는, 제 10 실시형태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35는, 제 10 실시형태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36은,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도 37은,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물회로를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조습장치 20 : 물회로
21, 23 : 제 1 입구, 제 2 입구 22, 24 : 제 1 출구, 제 2 출구
31, 41 : 입구측 삼방밸브(입구측 전환수단)
33, 43 : 출구측 삼방밸브(출구측 전환수단)
32 : 제 1 흡착열교환기(제 1 열교환기)
36 : 우회통로, 입구측 분기통로, 출구측 분기통로
37 : 우회용 삼방밸브, 우회용 양방향밸브(우회차단밸브)
39, 49 : 버퍼탱크
42 : 제 2 흡착열교환기(제 2 열교환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실내공기의 제습과 가습을 행하는 장치이다. 이 조습장치(10)는, 냉수와 온수가 흐르는 물회로(20)를 구비함과 더불어, 제 1 공기 및 제 2 공기를 도입하여 유통시키는 공기통로(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상기 물회로(20)에는, 온수용 제 1 입구(21) 및 제 1 출구(22)와, 냉수용 제 2 입구(23) 및 제 2 출구(24)가 형성된다.
상기 물회로(20)는 제 1 통로(30) 및 제 2 통로(4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통로(30)는, 제 1 입구(21)와 제 1 출구(22)를 연통시키는 통로이며, 제 2 통로(40)는, 제 2 입구(23)와 제 2 출구(24)를 연통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제 1 통로(30)에는, 제 1 입구(21) 쪽부터 차례로, 입구측 삼방밸브(31), 제 1 흡착열교환기(32) 및 출구측 삼방밸브(33)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통로(40)에는, 제 2 입구(21) 쪽부터 차례로, 입구측 삼방밸브(41), 제 2 흡착열교환기(42) 및 출구측 삼방밸브(43)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통로(30) 및 제 2 통로(40)에는, 각각 입구측 분기통로(34, 44)와 출구측 분기통로(35, 45)가 접속된다. 상기 제 1 통로(30)의 입구측 분기통로(34)는, 한끝이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와 제 2 흡착열교환기(42)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통로(30)의 출구측 분기통로(35)는, 한끝이 제 1 통로(30)의 제 1 흡착열교환기(32)와 출구측 삼방밸브(33) 사이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에 접속된다. 상기 제 2 통로(40)의 입구측 분기통로(44)는, 한끝이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2)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제 2 통로(40)의 출구측 분기통로(45)는, 한끝이 제 2 통로(40)의 제 2 흡착열교환기(42)와 출구측 삼방밸브(43) 사이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는, 제 1 입구(21) 측이,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상류 쪽과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입구측 분기통로(34)와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는, 제 1 출구(22) 측이,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하류 쪽과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출구측 분기통로(45)와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는, 제 2 입구(23) 측이,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상류 쪽과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입구측 분기통로(44)와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 으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는, 제 2 출구(22) 측이,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하류 쪽과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출구측 분기통로(35)와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흡착열교환기(32) 및 제 2 흡착열교환기(42)는 각각 크로스핀식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흡착열교환기(32) 및 제 2 흡착열교환기(42)는,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알루미늄제 핀과, 이 핀을 관통하는 동제 전열관을 구비한다.
상기 핀 및 전열관의 외표면에는, 수분의 흡탈착이 가능한 흡착제가 접착제인 바인더와 함께 침지 성형(dip molding)에 의해 담지된다. 상기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 또는 흡수성을 갖는 유기고분자 폴리머계 재료, 카루복실산기 또는 술폰산기를 갖는 이온교환수지계 재료, 감온성고분자 등의 기능성 고분자재료 등이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흡착열교환기(32)가 제 1 열교환기를 구성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42)가 제 2 열교환기를 구성한다.
상기 물회로(20)는, 온수가 제 1 입구(21)로부터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거쳐 제 1 출구(22)로 흐름과 더불어, 냉수가 제 2 입구(23)로부터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거쳐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1 주기동작과, 온수가 제 1 입구(21)로부터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거쳐 제 1 출구(22)로 흐름과 더불어, 냉수가 제 2 입구(23)로부터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거쳐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2 주기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냉온수 유통 및 공기 유통이 전환된다. 즉, 상기 물 회로(20)는, 냉온수의 유통이 전환되어 제 1 주기동작을 행하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주기동작을 행하는 제 2 유통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온수용 입구측 전환수단 및 출구측 전환수단을 구성한다. 또, 상기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 및 출구측 삼방밸브(43)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냉수용 입구측 전환수단 및 출구측 전환수단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주기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의 수분이 흡착제로 흡착되어 이 제 1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 제 1 공기 및 흡착제가 냉수에 의해 냉각되는 한편,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제 2 공기로 방출되어 이 제 2 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 제 2 공기 및 흡착제가 온수에 의해 가열된다. 또 상기 제 2 주기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 1 공기의 수분이 흡착제로 흡착되어 이 제 1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 제 1 공기 및 흡착제가 냉수에 의해 냉각되는 한편,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제 2 공기로 방출되어 이 제 2 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 제 2 공기 및 흡착제가 온수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조습장치(10)는, 냉방제습운전과 난방가습운전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방제습운전 시에는, 제 1 공기가 실내로 공급됨과 더불어 제 2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며, 난방가습운전 시에,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됨과 더불어 제 1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통이 전환된다.
또 상기 조습장치(10)는,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우회용 삼방밸브(37)를 갖는 우회통로(36)가 형성된다. 이 우회통로(36)는, 한끝이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보다 상류 쪽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보다 하류 쪽에 접속된다.
상기 우회용 삼방밸브(37)는, 온수가 우회통로(36)를 통해 우회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우회차단밸브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이 우회용 삼방밸브(37)는, 제 1 입구(21)로부터 우회통로(36)로 흐른 온수가 그대로 제 1 출구(22) 쪽을 향해 흐르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다시 제 1 통로(30)로 돌아오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우회통로(36)는,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우회용 삼방밸브(37)를 제 2 상태로 전환하며,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를 제 1 흡착열교환기(32) 및 제 2 흡착열교환기(42)와, 입구측 삼방밸브(3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우회시켜 제 1 출구(22)로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덧붙여 말하면, 상기 우회통로(36)는,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제 1 입구(21)와 제 1 출구(22)가 연통되는 통로를 구성한다.
또 상기 물회로(20)에서, 제 1 통로(30)의 출구측 분기통로(35) 및 제 2 통로(40)의 출구측 분기통로(45)는, 물 유통의 전환 시에, 각 입구(21, 23)와 각 출구(22, 24)가 연통되는 우회통로를 겸한다.
또한 상기 조습장치(10)는,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의 전환 시, 물 유통을 전환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 어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냉수의 유통을 전환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또 난방가습운전의 경우는, 온수의 유통을 전환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또 상기 물회로(20)는, 냉온수의 유통을 전환할 때, 각 출구측 삼방밸브(33, 43)를 전환한 후 각 입구측 삼방밸브(31, 41)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온수용인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한 후, 냉수용인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를 전환한다. 한편,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냉수용인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를 전환한 후, 온수용인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한다.
-운전동작-
상기 조습장치(10)의 운전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조습장치(10)에서는 냉방제습운전과 난방가습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우선, 냉방제습운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냉방제습운전은, 제습한 제 1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운전이다. 여기서는, 주로 제 1 주기동작에서 제 2 주기동작으로의 전환동작에 대해 도 1∼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회로(20)가 제 1 주기동작을 실행하는 제 1 유통상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각 입구측 삼방밸브(31, 4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 43)가 제 1 상태로 설정되며, 우회용 삼방밸브(37)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또 이 조습장치(10)는, 실외공기(OA)가 제 1 공기로서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 흐르며, 실내공기(RA)가 제 2 공기로서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흐르도록 공기 유통이 설정된다. 그리고 온수가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되며, 냉수가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다.
먼저, 상기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는, 입구측 삼방밸브(31)를 지나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흐른다. 이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온수에 의해 흡착제 및 제 2 공기가 가열되며, 이때,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제 2 공기로 방출되어 이 제 2 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진다. 그 후, 이 제 2 공기는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 나온 온수는,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지나 제 1 출구(22)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는, 입구측 삼방밸브(41)를 지나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 흐른다. 이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는, 냉수에 의해 흡착제 및 제 2 공기가 냉각되며, 이때,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이 제 1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그 후, 이 제 1 공기는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부터 나온 냉수는, 출구측 삼방밸브(43)를 지나 제 2 출구(24)로부터 배출된다. 즉 이 제 1 주기동작에서, 온수는 제 1 통로(30)만을 흐르며, 냉수는 제 2 통로(40)만을 흐른다.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주기동작이 소정시간 이루어지면, 우회용 삼방밸브(37),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가 차례로 제 2 상태로 전환된다.
우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우회용 삼방밸브(37)가 제 2 상태로 전 환되면,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의 일부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향해 흐르는 동시에, 나머지가 제 1 통로(30)로부터 우회통로(36)로 분기되어 제 1 출구(22)로 흐른다. 즉 이 상태에서는, 온수의 제 1 입구(21)부터 제 1 출구(22)까지의 경로(Route)가 2가지 확보된다.
이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가 제 2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의 전체량이 우회통로(36)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른다. 한편,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부터 나온 냉수의 일부가 제 2 출구(24)로 흐르는 동시에, 나머지가 제 2 통로(40)로부터 출구측 분기통로(45)로 분기되며,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른다. 이와 같이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하기 전에 우회용 삼방밸브(37)를 전환하므로, 온수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일없이,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를 제 1 출구(22)로 확실하게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가 제 2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의 일부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지난 후, 출구측 분기통로(35)를 통해 제 2 출구(24)로 흐르는 동시에, 나머지가 제 1 통로(30)로부터 우회통로(36)로 분기되어 제 1 출구(22)로 흐른다. 즉 이 상태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통과한 온수가 제 2 출구(24)로 흐르며,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통과한 냉수의 전체량이 제 1 출구(22)로 흐른다.
이와 같이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한 후에 제 2 통 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를 전환하므로, 냉수의 흐름이 차단될 우려가 없어진다. 즉 각 출구측 삼방밸브(33, 43)를 동시에 전환할 경우, 예를 들어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가 작동불량 등 때문에 전환되지 않으면 냉수의 흐름이 차단될 우려가 있지만, 순차 전환함으로써, 그 전환대상인 출구측 삼방밸브(33, 43)가 작동불량 등을 일으켜도 반드시 냉수를 제 1 출구(22) 또는 제 2 출구(24)로 보낼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가 제 2 상태로 전환되면, 물회로(20)가 중간상태로 전환된다. 이로써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는 입구측 분기통로(44)를 지나 제 1 통로(30)로 흐르며, 그 후,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의 일부와 합류하여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흐른다. 한편, 상기 제 2 흡착열교환기(42)는 냉수 및 온수 모두 유통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도, 미리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한 상태이므로, 만일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가 전환불량을 일으켜도 냉수는 제 1 출구(22)로 확실하게 흐르므로, 냉수의 흐름이 차단되어 배관 등이 파열될 우려는 없어진다.
이와 같이 각 출구측 삼방밸브(33, 43)를 각 입구측 삼방밸브(31, 41)보다 먼저 전환하며, 더욱이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한 후에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를 전환하도록 하므로, 이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이용측인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 냉수를 될 수 있는 한 길게 유통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습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중간상태에서 제 1 흡착열교환기(32)는, 그때가지 유통했던 온수에 의한 온열이 잔존하지만, 냉수가 가해지고 흐름으로써 서서히 냉각된다. 그 때, 제 2 공기가 냉각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 2 흡착열교환기(42)는, 그때가지 유통했던 냉수에 의한 냉열이 잔존하므로, 그 잔존하는 냉열에 의해 제 1 공기가 냉각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또 상기 제 2 흡착열교환기(42)는 온수가 흐르지 않는 점에서, 온수에 의해 가열되지 않으므로, 제 1 공기의 가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중간상태에서는, 제 1 주기동작에서 냉수의 흐름만이 다음 제 2 주기동작으로 전환되는 한편, 이용측인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의 온수 흐름(공급)이 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 중간상태에서는, 온수가 우회통로(36)를 흐름으로써, 온수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우회하여 흐르게 된다는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회로(20)는, 중간상태로 전환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가 제 2 상태로 전환됨과 더불어, 공기의 유통이 전환되며, 제 2 주기동작이 행해진다. 즉 제 1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흐르며, 제 2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 흐르도록 공기 유통이 전환된다.
상기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는 온수에 의해 흡착제 및 제 2 공기가 가열되며, 이때, 이 제 2 공기가 가습되어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는 냉수에 의해 흡착제 및 제 1 공기가 냉각되며, 이때, 이 제 1 공기가 제습되어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주기동작으로 가열된 제 1 흡착열교환기(32)는, 중간상태에 있는 소정시간 사이에 냉수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전환 후,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 1 공기가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일은 없으므로, 실내의 쾌적성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회용 삼방밸브(37)가 제 1 상태로 전환되며, 제 2 주기동작을 행하는 제 2 유통상태로의 전환이 완료된다.
상기 제 2 주기동작에서 제 1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은, 전술한 전환과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물회로(20)는, 제 2 주기동작이 소정시간 행해지면, 우회용 삼방밸브(37)가 제 2 상태로 전환된 후,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가 차례로 제 1 상태로 전환되어 중간상태로 된다. 이 중간상태인 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가 제 1 상태로 전환됨과 더불어, 제 1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 흐르며, 제 2 공기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흐르도록 공기 유통이 전환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우회용 삼방밸브(37)가 제 1 상태로 전환되며, 제 1 주기동작을 행하는 제 1 유통상태로의 전환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 경우도,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일은 없으며, 배관 등이 파열될 우려가 없어진다.
다음에, 난방가습운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난방가습운전은, 가습한 제 2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운전이다. 즉 이 운전의 경우, 실내공기(RA)가 제 1 공기로서 도입되며, 실외공기(OA)가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예를 들어 제 1 주기동작에서 제 2 주기동작으로 전환할 때는, 우회용 삼방밸브(37),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 브(33),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가 차례로 제 2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우회용 삼방밸브(37)가 제 1 상태로 전환되며, 제 2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이 완료된다. 이 경우도,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일은 없으므로, 배관 등이 파열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 제 2 주기동작에서 제 1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은, 우회용 삼방밸브(37)가 제 2 상태로 전환된 후,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가 차례로 제 1 상태로 전환되며, 우회용 삼방밸브(37)가 제 1 상태로 전환되고, 제 1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이 완료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우회용 삼방밸브(37) 대신, 양방향밸브인 개폐밸브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 중은 양방향밸브를 폐상태로 설정하며,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의 전환 중은 양방향밸브를 개상태로 설정한다. 즉, 상기 양방향밸브의 폐상태가 우회용 삼방밸브(37)의 제 1 상태에 대응하며, 양방향밸브의 개상태가 우회용 삼방밸브(37)의 제 2 상태에 대응하도록 양방향밸브를 전환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제 1 입구(21)와 제 1 출구(22)가 연통되는 우회통로(36)를 형성하도록 하므로, 또 각 출구측 분기통로(35, 45)가, 물 유통의 전환 시에 각 입구(21, 23)와 각 출구(22, 24)로 연통되는 우회통로를 겸하도록 하므로, 각종 삼방밸브(31, 33, 41, 43)가 작동불량을 일으켜도,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물을 확실하게 제 1 출구(22)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냉온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배관이나 열교환기(32, 42)에 대해 고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물 유통의 전환 시에, 각 출구측 삼방밸브(31, 33)부터 먼저 전환하도록 하므로, 각 열교환기(32, 42)에 대해 조금이라도 긴 시간동안 냉온수를 유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 유통의 전환 시에, 공기의 제가습 능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방제습운전의 경우는,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한 후에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를 전환하도록 하며, 난방가습운전의 경우는,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를 전환한 후에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하도록 하므로, 이용측 열교환기(32, 42)에 대해 냉수 및 온수를 조금이라도 길게 유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 유통 전환 시의 제가습 능력 저하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의 전환 전에, 냉수의 유통만을 전환하는 중간상태를 소정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하므로, 그때까지 제 2 공기를 가습했던 흡착열교환기(32, 42)를 냉수에 의해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통의 전환 직후, 제 1 공기가 그 흡착열교환기(32, 42)에서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일은 없으므로,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상태에서, 제 1 공기가 흡착열교환기(32, 42)에 잔존하는 냉열에 의해 냉각되므로, 중간상태에서도 쾌적성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 중간상태에 서, 온수가 어느 흡착열교환기(32, 42)로도 흐르지 않으므로, 제 1 공기를 확실하게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쾌적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제 2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가 물회로(20)의 유로전환수단으로서 각종 삼방밸브(31, 33, 41, …)를 이용한 대신, 복수의 양방향밸브(3a, 4a, 3b, …)를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통로(30)는, 제 1 입구(21) 쪽부터 차례로, 제 1 양방향밸브(3a), 제 1 흡착열교환기(32), 및 제 2 양방향밸브(3b)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통로(40)는, 제 2 입구(23) 쪽부터 차례로, 제 1 양방향밸브(4a), 제 2 흡착열교환기(42), 및 제 2 양방향밸브(4b)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로(30) 및 제 2 통로(40)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입구측 분기통로(34, 44)와 출구측 분기통로(35, 45)가 접속된다.
상기 제 1 통로(30)의 입구측 분기통로(34)는, 도중에 제 3 양방향밸브(3c)가 배치되며, 한끝이 제 1 통로(30) 제 1 양방향밸브(3a)의 상류 쪽에 접속되고, 다른 끝이 제 2 통로(40)의 제 1 양방향밸브(4a)와 제 2 흡착열교환기(42)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로(30)의 제 1 양방향밸브(3a)와 입구측 분기통로(34)의 제 3 양방향밸브(3c)는, 온수용 입구측 전환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제 1 통로(30)의 출구측 분기통로(35)는, 도중에 제 4 양방향밸브(3d)가 배치되며, 한끝이 제 1 통로(30)의 제 1 흡착열교환기(32)와 제 2 양방향밸브(3b) 사이에 접속되고, 다른 끝이 제 2 통로(40)의 제 2 양방향밸브(4b) 하류 쪽 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측 분기통로(35)의 제 4 양방향밸브(3d)와 제 2 통로(40)의 제 2 양방향밸브(4b)는,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제 2 통로(40)의 입구측 분기통로(44)는, 도중에 제 3 양방향밸브(4c)가 배치되며, 한끝이 제 2 통로(40) 제 1 양방향밸브(4a)의 상류 쪽에 접속되고, 다른 끝이 제 1 통로(30)의 제 1 양방향밸브(3a)와 제 1 흡착열교환기(32)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통로(40)의 제 1 양방향밸브(4a)와 입구측 분기통로(44)의 제 3 양방향밸브(4c)는, 냉수용 입구측 전환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제 2 통로(40)의 출구측 분기통로(45)는, 도중에 제 4 양방향밸브(4d)가 배치되며, 한끝이 제 2 통로(40)의 제 2 흡착열교환기(42)와 제 2 양방향밸브(4b) 사이에 접속되고, 다른 끝이 제 1 통로(30)의 제 2 양방향밸브(3b) 하류 쪽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로(30)의 제 2 양방향밸브(3b)와 출구측 분기통로(45)의 제 4 양방향밸브(4d)는,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을 구성한다. 즉, 상기 물회로(20)에는 8개의 양방향밸브가 이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각 입구측 분기통로(34, 44) 및 각 출구측 분기통로(35, 45)는, 물 유통의 전환 시에 각 입구(21, 23)와 출구(22, 24)가 연통되는 우회통로를 겸용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냉방제습운전 동작에 대해 도 8∼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회로(20)가 제 1 주기동작을 행하는 제 1 유통상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각 제 1 양방향밸브(3a, 4a) 및 각 제 2 양방향밸브(3b, 4b)가 개상태로 설정되며, 각 제 3 양방향밸브(3c, 4c) 및 각 제 4 양방향밸브(3d, 4d)가 폐상태로 설정된다. 여기서 공기 흐름 및 냉온수의 도입구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상태에서,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 흡착제 및 제 2 공기를 가열하여 제 1 출구(22)로 흐른다. 이때, 제 2 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흡착제 및 제 1 공기를 냉각하여 제 2 출구(24)로 흐른다. 이때, 제 1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주기동작이 소정시간 행해지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 4 양방향밸브(3d, 4d)가 개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 나온 온수의 일부가 제 1 출구(22)로 흐르는 동시에, 나머지가 출구측 분기통로(35)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른다. 또 상기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부터 나온 냉수의 일부가 제 1 통로(30)의 온수와 합류하여 제 2 출구(24)로 흐르는 동시에, 나머지가 출구측 분기통로(45)를 지나 제 1 통로(30)의 온수와 합류하여 제 1 출구(22)로 흐른다. 즉, 이 상태에서는,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의 출구로의 경로가 2가지 확보되며,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의 출구로의 경로가 2가지 확보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물회로(2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 2 양방향밸브(3b, 4b)가 폐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 나온 온수의 전체량이 제 2 출구(24)로 흐르며,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부터 나온 냉수의 전체량이 제 1 출구(22)로 흐른다. 여기서 각 제 2 양방향밸브(3b, 4b)가 작동불량 등을 일으켜도, 냉수 및 온수의 출구로의 경로가 미리 2가지 확보되므로, 냉온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상기 물회로(2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 3 양방향밸브(3c, 4c)가 각각 개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의 일부와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의 일부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른다. 또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의 나머지와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의 나머지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른다. 상기 제 1 흡착열교환기(32)는, 냉수의 흐름이 가해짐으로써, 다소 냉각된다. 한편, 상기 제 2 흡착열교환기(42)는, 온수의 흐름이 가해짐으로써, 다소 가열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회로(20)는, 전술한 상태로부터 각 제 1 양방향밸브(3a, 4a)가 각각 폐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공기 유통이 전환되어, 제 2 주기동작을 행하는 제 2 유통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각 제 1 양방향밸브(3a, 4a)가 작동불량 등을 일으켜도, 냉수 및 온수의 출구로의 경로가 미리 2가지 확보되므로, 냉온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일은 없다. 이 제 2 주기동작에서는,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흡착제 및 제 2 공기를 가열하여 제 1 출구(22)로 흐른다. 이때, 제 2 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 흡착제 및 제 1 공기를 냉각하여 제 2 출구(24)로 흐른다. 이때, 제 1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주기동작에서 제 1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은, 도시하지 않지만, 각 제 2 양방향밸브(3b, 4b)가 개상태로, 각 제 4 양방향밸브(3d, 4d)가 폐상태로 차례로 전환된다. 그 후, 각 제 1 양방향밸브(3a, 4a)가 개상태로 전환된 후, 제 3 양방향밸브(3c, 4c)가 폐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제 1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 흐르며, 제 2 공기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흐르도록 공기 유통이 전환된다. 이로써 제 1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이 교대로 전환되며, 냉방제습운전이 연속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난방가습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이 난방가습운전은, 실내공기(RA)가 제 1 공기로서 도입되어 제습된 후 실외로 배출되며, 실외공기(OA)가 제 2 공기로서 도입되어 가습된 후 실내로 공급된다. 즉, 예를 들어 제 1 주기동작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 흐르며, 제 2 공기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흐른다. 그리고 이 난방가습운전에서는, 전술한 냉방제습운전 시와 마찬가지의 전환동작이 이루어지며,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이 전환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변형예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주기동작과 제 2 주기동작을 전환할 때에 중간상태로 전환하도록 한 것이다. 즉, 제 1 주기동작에서 제 2 주기동작으로 전환할 때,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의 상태에서 2개의 제 3 양방향밸브(3c, 4c)를 개상태로 전환하여 도 11의 상태로 전환했으나, 본 변형예에서는 도 10의 상태에서 도 13에 나타낸 중간상태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회로(20)는, 제 2 통로(40)의 제 1 양방향밸브(4a)가 폐 상태로 전환됨과 더불어, 제 2 통로(40) 입구측 분기통로(44)의 제 3 양방향밸브(4c)가 개상태로 전환되어, 중간상태로 전환된다. 이 중간사태에서는,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입구측 분기통로(44)를 지나 제 1 통로(30)로 흐르고, 온수와 합류한 후에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흐른다. 이 제 1 흡착열교환기(32)는, 냉수의 흐름이 가해짐으로써 서서히 냉각된다. 한편, 상기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는, 온수 및 냉수 어느 쪽도 유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공기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 잔존하는 냉열에 의해 냉각된다. 즉, 이 냉방제습운전의 중간상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냉수의 흐름만이 전환되며, 이용측인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의 온수 흐름(공급)이 저지된다.
상기 중간상태로 전환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 1 통로(30) 입구측 분기통로(44)의 제 3 양방향밸브(4c)가 개상태로, 제 1 통로(30)의 제 1 양방향밸브(3a)가 폐상태로 각각 전환되는 동시에, 공기 유통이 전환되며 제 2 주기동작이 이루어진다(도 12 참조). 이 제 2 주기동작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제 2 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지며,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 1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주기동작에서 가열된 제 1 흡착열교환기(32)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간상태의 소정시간 동안에 냉수에 의해 냉각되므로, 제 1 공기가 가열되지 않고 냉각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주기동작에서 제 1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은, 도시하지 않지만, 각 제 2 양방향밸브(3b, 4b)가 개상태로, 각 제 3 양방향밸브(3c, 4c)가 폐상태로 순 차 전환된 후, 제 2 통로(40)의 제 1 양방향밸브(4a)가 개상태로, 제 2 통로(40) 입구측 분기통로(44)의 제 3 양방향밸브(4c)가 폐상태로 각각 전환되어, 중간상태로 전환된다. 이 중간상태에서는, 냉수 및 온수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른다. 그 후 물회로(20)는, 중간상태인 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 1 통로(30) 제 1 양방향밸브(3a)가 개상태로, 제 1 통로(30) 입구측 분기통로(44)의 제 3 양방향밸브(3c)가 폐상태로 각각 전환되는 동시에, 제 1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로 흐르며, 제 2 공기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흐르도록 공기 유통이 전환된다. 이로써 제 1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이 완료된다. 그리고, 난방가습운전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전환동작이 이루어진다.
또 본 변형예는, 중간상태에서 냉수 및 온수의 흐름 양쪽을 동시에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의 상태로부터, 2개의 제 1 양방향밸브(3a, 4a)를 폐상태로 전환하는 동시에, 2개의 제 3 양방향밸브(3c, 4c)를 개상태로 전환하여, 도 12에 나타낸 냉온수의 유통상태(중간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공기 흐름은 전환하지 않는다. 그리고 중간상태인 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 흐름이 전환된다. 이 경우, 냉방제습운전의 중간상태에서, 제 1 공기가 유통하는 흡착열교환기(32, 42)가 온수에 의해 서서히 가열되지만, 냉열이 잔존하므로, 제 1 공기는 그다지 가열되는 일없이 실내로 공급된다. 즉, 냉온수의 유통과 동시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는 경우보다 제 1 공기가 가열되는 일은 없다. 이에 대해서는, 난방가습운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 3 실시형태]
본 제 3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물회로(20)에서 우회용 삼방밸브(37)를 갖는 우회통로(36)를 제 2 통로(40)에 추가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는, 온수용 우회통로(36)에 더불어, 냉수용 우회통로(36)가 추가된 것이다.
상기 우회통로(36)는, 제 1 통로(30)의 우회통로와 마찬가지로, 한끝이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보다 제 2 입구(23) 쪽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보다 제 2 출구(24) 쪽에 접속된다. 상기 우회용 삼방밸브(37)는, 제 2 입구(23)로부터 우회통로(36)로 흐른 냉수가, 그대로 제 2 출구(24) 쪽을 향해 흐르는 제 2 상태(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다시 제 2 통로(40)로 돌아오는 제 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우회통로(36)는,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를 제 1 흡착열교환기(32) 및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우회시켜 그대로 제 2 출구(24)로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입구(21)로부터 온수가 고정적으로 도입되며, 제 2 입구(23)로부터 냉수가 고정적으로 도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수전용 우회통로(36)와, 냉수전용 우회통로(36)가 형성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냉방제습운전 동작에 대해, 도 14∼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동작 및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회로(20)가 제 1 주기동작을 행하 도록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2개의 우회용 삼방밸브(37)가 모두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그 후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우회용 삼방밸브(37)가 제 2 상태로 전환된다.
이어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출구측 삼방밸브(33, 43)가 거의 동시에 제 2 상태로 전환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 및 냉수 각각의 우회통로(36)가 형성되므로, 각 출구측 삼방밸브(33, 43)가 작동불량을 일으켜도, 온수 및 냉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등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입구측 삼방밸브(31, 41)가 거의 동시에 제 2 상태로 전환된다. 이 경우에도, 각 입구측 삼방밸브(31, 41)가 작동불량을 일으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 및 냉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우회용 삼방밸브(37)가 모두 제 1 상태로 전환되며, 제 2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전환동작의 단계가 적게 되므로, 전환시간이 짧아진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4 실시형태]
본 제 4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회로(20)가 온수만 흐르는 회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회로(20)는, 온수의 입구(21) 및 출구(22)를 1개씩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제 1 통로(30)와,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구성을 변경한 제 2 통로(38)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통로(30)는 입구(21)와 출구(22)를 연통시키는 것이며, 입구(21) 쪽부터 차례로, 입구측 삼방밸브(31), 제 1 흡착열교환기(32), 및 출구측 삼방밸브(33)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통로(38)는, 도중에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가지며, 입구측 삼방밸브(31)와 출구측 삼방밸브(33)에 접속된다.
상기 물회로(20)는, 입구측 삼방밸브(3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의 전환에 의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1 주기동작(제 1 유통상태)과,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2 통로(38)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지난 후, 출구(22)로 흐르는 제 2 주기동작(제 2 유통상태)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입구측 삼방밸브(3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온수 유통을 전환하는 입구측 전환수단 및 출구측 전환수단을 구성한다. 또 이 조습장치(10)는, 냉방제습운전과 난방가습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도 19 및 도 20은, 난방가습운전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온수가 흐르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 또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 실외공기(O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가습한 후,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도 19 및 도 20 참조). 또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도시하지 않지만, 온수가 흐르지 않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 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 실외공기(O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제습한 후,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에는 우회통로(36)가 형성된다. 이 우회통로(36)는, 한끝이 제 1 통로(30)의 입구측 삼방밸브(31)보다 입구(21) 쪽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1 통로(30)의 출구측 삼방밸브(33)보다 출구(22) 쪽에 접속된다. 이 우회통로(36)에는, 우회차단밸브인 우회용 양방향밸브(37)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난방가습운전 시의 제 1 주기동작에서 제 2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 1 주기동작이 소정시간 이루어지면, 우회용 양방향밸브(37)가 개상태로 전환된다. 이어서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제 2 상태로 전환한 후 입구측 삼방밸브(31)를 제 2 상태로 전환한다. 그 후, 우회용 양방향밸브(37)를 폐상태로 전환함과 더불어,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이와 같이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입구측 삼방밸브(31)보다 먼저 전환하도록 하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온수를 될 수 있는 한 길게 보랜 수 있다. 이로써 가습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우회용 양방향밸브(37)를 개방하므로,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해도,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를 우회통로(36)를 통해 출구(22)로 확실하게 보낼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이나 열교환기(32, 42)에 대해 고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회용 양방향밸브(37)로서 삼방밸브를 이용하도록 해도 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유통을 우회용 양방향밸브(37)의 전환과 동시에 전환하도록 하지만, 우회용 양방향밸브(37)를 폐상태로 전환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즉, 우회용 양방향밸브(37)를 폐상태로 전환한 후 소정시간 동안,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중간상태로 전환된다. 이로써,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제 2 공기가 흐르기 전에 흡착열교환기(32, 42)가 미리 온수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공기 유통의 전환 직후라도, 실내로 확실하게 온풍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쾌적성이 손상되지 않다.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변형예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4 실시형태가 물회로(20)를 온수만 흐르는 회로로 구성한 대신, 물회로(20)를 냉수만 흐르는 회로로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변형예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우회통로(36) 및 우회용 양방향밸브(37)의 설치위치를 변경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회로(20)는, 입구측 삼방밸브(3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의 전환에 의해,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1 주기동작(도 21의 상태)과,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2 통로(38)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지난 후, 출구(22)로 흐르는 제 2 주기동작(도 22의 상태)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 이 조습장치(10)는, 냉방제습운전과 난방가습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21 및 도 22는 냉방제습운전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냉수가 흐르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 또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 실외공기(O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제습한 후,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도 21 및 도 22 참조). 또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도시하지 않지만, 냉수가 흐르지 않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 또는 제 1 흡 착열교환기(32)에 실외공기(O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가습한 후,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상기 우회통로(36)는, 한끝이 제 1 통로(30)의 제 1 흡착열교환기(32)와 출구측 삼방밸브(33) 사이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2 통로(38)의 제 2 흡착열교환기(42) 하류 쪽에 접속된다. 즉, 이 우회통로(36)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하류 쪽과 제 2 흡착열교환기(42) 하류 쪽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 우회통로(36)의 도중에는, 우회차단밸브인 우회용 양방향밸브(37)가 배치된다.
본 변형예에서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의 전환은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예를 들어 냉방제습운전 시의 제 1 주기동작에서 제 2 주기동작으로의 전환에서,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입구측 삼방밸브(31)보다 먼저 전환하므로,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 냉수를 될 수 있는 한 길게 보낼 수 있다. 이로써 제습능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우회용 양방향밸브(37)를 개방하므로,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해도, 냉수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일없이, 제 1 흡착열교환기(32)로부터 나온 냉수를 우회통로(36)를 통해 제 2 통로(38)로 보내고, 출구측 삼방밸브(33)를 통해 출구(22)로 확실하게 보낼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이나 열교환기(32, 42)에 대해 고압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회통로(36)를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상류 쪽과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상류 쪽에 접속해도 되며, 상류 쪽과 하류 쪽에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도, 우회용 양방향밸브(37)를 폐상태로 전환하고 나서 소 정시간 후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제 1 공기가 흐르기 전에 흡착열교환기(32, 42)가 미리 냉수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공기 유통의 전환 직후라도, 실내로 확실하게 냉풍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쾌적성이 손상되지 않다.
[제 5 실시형태]
본 제 5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가 유로전환수단으로서 4개의 삼방밸브(31, 33, …)를 이용하도록 한 대신, 유로전환수단으로서 2개의 십자밸브(3, 4)를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입구(21)로부터 냉수가 고정적으로 도입되며, 제 2 입구(23)로부터 온수가 고정적으로 도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회로(20)는, 도중에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갖는 제 1 통로(30)와, 도중에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갖는 제 2 통로(40)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각종 분기통로(34, 35, 44, 45)가 생략된다. 상기 제 1 십자밸브(3)는, 제 1 통로(30)에 있어서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제 1 입구(21) 쪽과, 제 2 통로(40)에 있어서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제 2 출구(24) 쪽에 접속된다. 상기 제 2 십자밸브(4)는, 제 1 통로(30)의 제 1 흡착열교환기(32) 제 1 출구(22) 쪽과, 제 2 통로(40)의 제 2 흡착열교환기(42) 제 2 입구(23) 쪽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십자밸브(3)는, 제 1 입구(21)와 제 1 흡착열교환기(32) 한끝이 연통되는 동시에,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한끝과 제 2 출구(24)가 연통되는 상 태(도 23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제 1 입구(21)와 제 2 흡착열교환기(42) 한끝이 연통되는 동시에,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한끝과 제 2 출구(24)가 연통되는 상태(도 24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십자밸브(4)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다른 끝과 제 1 출구(22)가 연통되는 동시에, 제 2 입구(23)와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다른 끝이 연통되는 상태(도 23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제 2 입구(23)와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다른 끝이 연통되는 동시에,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다른 끝과 제 1 출구(22)가 연통되는 상태(도 24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십자밸브(3) 및 제 2 십자밸브(4)가 도 23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되면, 냉수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르며, 온수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1 주기동작을 행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 1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며,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제 2 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십자밸브(3) 및 제 2 십자밸브(4)가 도 24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되면, 냉수가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르며, 온수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2 주기동작을 행한다. 이때,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 2 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지며,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상기 조습장치(10)는, 냉방제습운전과 난방가습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도 21 및 도 22는 난방가습운전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온수가 흐르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 또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 실외공기(O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가습한 후,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도 23 및 도 24 참조). 또한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도시하지 않지만, 냉수가 흐르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 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 실외공기(O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제습한 후,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또 상기 물회로(20)에는 2개의 우회통로(36)가 형성된다. 이 우회통로(36)는, 제 1 통로(30)에 있어서, 제 1 십자밸브(3)보다 제 1 입구(21) 쪽 부분과 제 2 십자밸브(4)보다 제 1 출구(22) 쪽 부분 사이에 접속된다. 또 하나의 우회통로(36)는, 제 2 통로(40)에 있어서, 제 1 십자밸브(3)보다 제 2 출구(24) 쪽 부분과 제 2 십자밸브(4)보다 제 2 입구(23) 쪽 부분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각 우회통로(36)에는, 우회차단밸브인 우회용 양방향밸브(37)가 설치된다. 이 각 우회용 양방향밸브(37)는, 제 1 십자밸브(3) 및 제 2 십자밸브(4)를 전환하기 전에 폐상태에서 개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의 전환 시에, 예를 들어 제 1 십자밸브(3) 및 제 2 십자밸브(4)가 모두 작동불량에 의해 중간개방도 상태로 된 경우라도, 냉수 및 온수는 각 우회통로(36)를 지나 제 1 출구 및 제 2 출구(24)로 흐르므로,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배관 등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회용 양방향밸브(37)로서 삼방밸브를 이용하도록 해도 됨은 물론이다.
[제 6 실시형태]
본 제 6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가 물회로(20)에 우회통로(36) 및 우회용 삼방밸브(37)를 설치하도록 한 대신, 2개의 버퍼탱크(39, 49)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 도 25 및 도 26은, 냉방제습운전 시의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각 버퍼탱크(39, 49)는, 제 1 통로(30) 및 제 2 통로(4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1 통로(30)의 버퍼탱크(39)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상류 쪽에 배치되며, 제 2 통로(40)의 입구측 분기통로(44)와 접속된다. 상기 제 2 통로(40)의 버퍼탱크(49)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상류 쪽에 배치되며, 제 1 통로(30)의 입구측 분기통로(34)와 접속된다. 즉 이 각 버퍼탱크(39, 49)는 각 출구측 삼방밸브(33, 43)의 상류 쪽에 배치되며, 적어도 물 유통의 전환 시에 각 입구(21, 23)에 연통되는 통로에 설치된다.
상기 버퍼탱크(39, 49)는, 소정용적을 갖는 완충용기를 구성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통로(30)에서 제 1 주기동작에서 제 2 주기동작으로의 전환 시에, 출구측 삼방밸브(33)가 제 2 상태로 정상적으로 전환되며, 입구측 삼방밸브(31)가 작동불량을 일으킨 경우,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버퍼탱크(39)에 저류된다. 한편, 제 2 통로(40)에서도, 예를 들어 출구측 삼방밸브(43)가 제 2 상태로 정상적으로 전환되며, 입구측 삼방밸브(41)가 작동불량을 일으킨 경우,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버퍼탱크(49)에 저류된다. 이로써, 물 흐름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고압이 억제된다. 그 결과, 배관 등을 고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 다.
또 상기 버퍼탱크(39, 49)는, 모든 삼방밸브(31, 33, …)의 전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그 전환에 의해 냉온수의 유통이 급격하게 전환되지만, 그 수격(water hammer)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유통의 전환 시에, 배관 등을 수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버퍼탱크(39, 49)를 제 1 흡착열교환기(32) 및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상류 쪽에 배치하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각 흡착열교환기(32, 42)의 하류 쪽에 배치하도록 해도 되며, 한쪽 흡착열교환기(32, 42)의 상류 쪽과 다른 쪽 흡착열교환기(32, 42)의 하류 쪽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제 7 실시형태]
본 제 7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가 물회로(20)에 우회통로(36) 및 우회용 삼방밸브(37)를 설치하도록 한 대신, 2개의 버퍼탱크(39, 49)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 도 27 및 도 28은, 난방가습운전 시의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각 버퍼탱크(39, 49)는, 제 1 통로(30) 및 제 2 통로(38)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1 통로(30)의 버퍼탱크(39)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와 입구측 삼방밸브(3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통로(38)의 버퍼탱크(49)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상류 쪽에 배치된다. 즉, 이 각 버퍼탱크(39, 49)는 출구측 삼방밸브(33)의 상류 쪽에 배치되며, 적어도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입구(21)로 연통되는 통로에 설치된다.
상기 버퍼탱크(39, 49)는, 소정용적을 갖는 완충용기를 구성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주기동작에서 제 2 주기동작으로의 전환 시, 출구측 삼방밸브(33)는 제 2 상태로 정상으로 전환되며, 입구측 삼방밸브(31)가 작동불량을 일으킨 경우,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버퍼탱크(39)에 저류된다.
반대로, 입구측 삼방밸브(31)는 제 2 상태로 정상적으로 전환되며, 출구측 삼방밸브(33)가 작동불량을 일으킨 경우,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2 통로(38)의 버퍼탱크(49)에 저류된다.
따라서, 물 흐름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고압이 버퍼탱크(39)에 흡수되며, 배관 내 등의 고압이 억제된다. 이로써, 물 흐름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고압이 억제된다. 그 결과, 배관 등을 고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상기 버퍼탱크(39, 49)는, 모든 삼방밸브(31, 33, …)의 전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그 전환에 의해 냉온수의 유통이 급격하게 전환되지만, 그 수격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유통의 전환 시에, 배관 등을 수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버퍼탱크(39, 49)를 제 1 흡착열교환기(32) 및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상류 쪽에 배치하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각 흡착열교환기(32, 42)의 하류 쪽에 배치하도록 해도 되며, 한쪽 흡착열교환기(32, 42)의 상류 쪽과 다른 쪽 흡착열교환기(42, 32)의 하류 쪽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제 8 실시형태]
본 제 8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 물회로(20)를 2개 병렬로 접속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물회로(20a, 20b) 공통의 냉온수의 각 입구(21, 23) 및 출구(22, 24)가 1조씩 형성된다. 즉,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 및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1 물회로(20a)와 제 2 물회로(20b)로 분기되어 흐른다.
이 조습장치(10)는, 제 1 물회로(20a) 및 제 2 물회로(20b)에서 냉방제습운전과 난방가습운전이 전환된다. 즉, 제 1 물회로(20a)와 제 2 물회로(20b)는, 별개로 독립되어 냉방제습운전 및 난방가습운전을 전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도, 각 물회로(20a, 20b)에서,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의 전환 시에 냉온수의 흐름이 차단될 우려는 없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9 실시형태]
본 제 9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물회로(20)에 공기열교환기(47)를 갖는 제 3 통로(46)를 추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통로(46)는, 도중에 공기열교환기(47)가 설치되며, 한끝이 제 2 통로(40)의 입구측 삼방밸브(41)보다 제 2 입구(23) 쪽에 접속되며, 다른 끝이 제 2 통로(40)의 출구측 삼방밸브(43)보다 제 2 출구(24) 쪽에 접속된다. 여기서 본 도면은, 냉방제습운전 시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공기열교환기(47)는, 이른바 크로스핀식의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 현열 열교환기이다. 이 공기열교환기(47)는, 냉방제습운전 시에 냉수가 흐르며, 난방가습운전 시에 온수가 흐른다. 또 이 공기열교환기(47)는, 냉방제습운전 시에 제습한 제 1 공기가 흐름과 더불어, 실내공기(RA)가 제 3 공기로서 흐르는 한편, 난방가습운전 시에 가습한 제 2 공기가 흐름과 더불어 실내공기(RA)가 제 3 공기로서 흐르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냉방제습운전 및 난방가습운전에서, 제 1 주기동작 및 제 2 주기동작의 전환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방제습운전 시에, 제 1 흡착열교환기(32) 또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가 공기열교환기(47)에서 냉수에 의해 냉각되어 실내로 공급됨과 더불어, 제 3 공기가 공기열교환기(47)에서 냉수에 의해 냉각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냉방능력이 향상된다. 또 난방가습운전 시에, 제 1 흡착열교환기(32) 또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가습된 제 2 공기가 공기열교환기(47)에서 온수에 의해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됨과 더불어, 제 3 공기가 공기열교환기(47)에서 온수에 의해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난방능력이 향상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냉방제습운전에서는 제 2 공기 및 제 3 공기를, 난방가습운전에서는 제 1 공기 및 제 3 공기를 각각 별개로 도입하도록 했으나, 도입한 제 2 공기 또는 제 1 공기의 일부를 제 3 공기로서 공기열교환기(47)로 보내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공기열교환기(47)를 갖는 제 3 통로(46)는, 제 2 실시형태의 물회로(2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제 9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변형예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9 실시형태가 제습한 제 1 공기 또는 가습한 제 2 공기를 공기열교환기(47)로 보내도록 한 대신, 제습 후의 제 1 공기 또는 가습 후의 제 2 공기를 그대로 실내로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즉, 냉방제습운전의 경우는, 제습된 제 1 공기가 그대로 실내로 공급됨과 더불어, 공기열교환기(47)에서 냉각된 제 3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또 난방가습운전의 경우는, 가습된 제 2 공기가 그대로 실내로 공급됨과 더불어, 공기열교환기(47)에서 가열된 제 3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냉방능력 및 난방능력이 향상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변형예의 공기열교환기(47)를 갖는 제 3 통로(46)는, 제 2 실시형태의 물회로(2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제 10 실시형태]
본 제 10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회로(20)가 온수만 흐르는 회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회로(20)는, 온수의 입구(21) 및 출구(22)를 1개씩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제 1 통로(30)와,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구성을 변경한 제 2 통로(38)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통로(30)는 입구(21)와 출구(22)를 연통시키는 것이며, 입구(21) 쪽부터 차례로, 입구측 삼방밸브(31), 제 1 흡착열교환기(32), 및 출구측 삼방밸브(33)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통로(38)는, 도중에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가지며, 입구측 삼방밸브(31)와 출구측 삼방밸브(33)에 접속된다.
상기 물회로(20)는, 입구측 삼방밸브(3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의 전환에 의해,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1 주기동작(도 32의 상태)과,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2 통로(38)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지난 후, 출구(22)로 흐르는 제 2 주기동작(도 33의 상태)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 이 조습장치(10)는, 냉방제습운전과 난방가습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도 32 및 도 33은, 난방가습운전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온수가 흐르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 또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가습한 제 2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도 32 및 도 33 참조). 또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도시하지 않지만, 온수가 흐르지 않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 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 제습한 제 1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입구측 삼방밸브(3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하고 나서, 즉 온수의 유통을 전환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정시간 동안에, 제 1 공기를 제습했던 제 1 흡착열교환기(32) 또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가 미리 가열되므로, 공기 유통의 전환 후, 제 2 공기가 바로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이로써 실내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제 10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변형예는,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0 실시형태의 물회로(20)를 온수만 흐르는 회로로 구성했으나, 물회로(20)를 냉수만 흐르는 회로 로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물회로(20)는, 입구측 삼방밸브(3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의 전환에 의해,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1 주기동작(도 34의 상태)과,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2 통로(38)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지난 후, 출구(22)로 흐르는 제 2 주기동작(도 35의 상태)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 이 조습장치(10)는, 냉방제습운전과 난방가습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34 및 도 35는 냉방제습운전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냉수가 흐르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 또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에서 제습한 제 1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도 34 및 도 35 참조). 또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도시하지 않지만, 냉수가 흐르지 않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 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에서 가습한 제 2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기 유통을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물회로(20)는, 냉방제습운전의 경우, 입구측 삼방밸브(3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를 전환하고 나서, 즉 냉수의 유통을 전환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정시간 동안에, 제 2 공기를 가습했던 제 1 흡착열교환기(32) 또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가 미리 냉각되므로, 공기 유통의 전환 후, 제 1 공기가 바로 냉각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이로써 실내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제 11 실시형태]
본 제 11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0 실시형태 물회로(20)의 입구측 삼방밸브(31) 및 출구측 삼방밸브(33) 대신, 복수의 양방향밸브를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 1 통로(30)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상류 쪽 및 하류 쪽에 각각 제 1 양방향밸브(3a) 및 제 2 양방향밸브(3b)가 배치된다. 또 상기 제 2 통로(38)에는,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상류 쪽 및 하류 쪽에 각각 제 3 양방향밸브(3c) 및 제 4 양방향밸브(3d)가 배치된다.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양방향밸브(3a) 및 제 2 양방향밸브(3b)가 개상태로, 제 3 양방향밸브(3c) 및 제 4 양방향밸브(3d)가 폐상태로 각각 설정되는 상태와, 제 1 양방향밸브(3a) 및 제 2 양방향밸브(3b)가 폐상태로, 제 3 양방향밸브(3c) 및 제 4 양방향밸브(3d)가 개상태로 각각 설정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즉 상기 물회로(20)는,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1 흡착열교환기(3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1 주기동작(도 36의 상태)과,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2 통로(38)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42)를 지난 후, 출구(22)로 흐르는 제 2 주기동작(도 37의 상태)이 교대로 행해지도록 구성된다. 또 이 조습장치(10)는, 냉방제습운전과 난방가습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36 및 도 37은 난방가습운전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도 물회로(20)는, 난방가습운전의 경우, 온수의 유통을 전환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공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 유통의 전환 후, 제 2 공기가 바로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이로써 실내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물회로(20)는, 온수가 아닌 냉수만 흐르는 회로로 구성된 경우, 냉수의 유통을 전환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공 기 유통을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3 실시형태의 물회로(20)에서, 우회통로(36)의 설치위치를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32)의 상류 쪽 및 하류 쪽 중 한쪽과, 제 2 흡착열교환기(42)의 상류 쪽 및 하류 쪽 중 한쪽에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우회용 삼방밸브(37)는 양방향밸브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흡착열교환기를 갖는 물회로를 구비한 조습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19)

  1. 흡착제를 가지며, 공기 중 수분의 흡착과 탈리에 의한 공기 중으로의 수분 방출을 행하는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가 접속되고, 냉수 및 온수의 물이 흐르는 물회로(20)를 구비하며,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1 열교환기(32)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름과 더불어,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2 열교환기(42)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2 열교환기(42)를 지나 제 1 출구(22)로 흐름과 더불어,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1 열교환기(32)를 지나 제 2 출구(24)로 흐르는 제 2 유통상태로 전환되도록 물 유통을 전환하고,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에서 수분의 흡탈착을 교대로 행하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는, 물 유통을 전환할 때, 제 1 입구(21)와 제 1 출구(22)가 연결되는 우회통로와, 제 2 입구(23)와 제 2 출구(24)가 연결되는 우회통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2. 흡착제를 가지며, 공기 중 수분의 흡착과 탈리에 의한 공기 중으로의 수분 방출을 행하는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가 접속되고, 냉수 및 온수 중 어느 한쪽 물이 흐르는 물회로(20)를 구비하며,
    상기 물회로(20)는,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물이 제 1 열교환기(3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1 유통상태와, 입구(21)로부터 도입된 물이 제 2 열교환 기(42)를 지나 출구(22)로 흐르는 제 2 유통상태로 전환되도록 물 유통을 전환하고,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에서 수분의 흡탈착을 교대로 행하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는, 물 유통을 전환할 때, 입구(21)와 출구(22)가 연통되는 우회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우회통로는 우회차단밸브(37)를 가지며, 제 1 열교환기(32)의 상류 쪽 및 하류 쪽 중 어느 한쪽과, 제 2 열교환기(42)의 상류 쪽 및 하류 쪽 중 어느 한쪽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온수용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과, 냉수용 입구측 전환수단(41) 및 출구측 전환수단(43)을 구비하며,
    상기 우회통로는 우회차단밸브(37)를 갖고, 온수용 입구측 전환수단(31)의 상류 쪽과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의 하류 쪽에 접속되는 온수용 우회통로, 및 우회차단밸브(37)를 가지며, 냉수용 입구측 전환수단(41)의 상류 쪽과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의 하류 쪽에 접속되는 냉수용 우회통로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온수용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과, 냉수용 입구측 전환수단(41) 및 출구측 전환수단(43)을 구비하며,
    상기 물 유통의 전환 시에, 각 출구측 전환수단(33, 43)을 전환한 후에 각 입구측 전환수단(31, 41)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가습운전의 경우, 상기 물 유통의 전환 시에,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을 전환한 후에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제습운전의 경우, 상기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온수용 출구측 전환수단(33)을 전환한 후에 냉수용 출구측 전환수단(43)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을 구비하며,
    상기 우회통로는 우회차단밸브(37)를 갖고, 입구측 전환수단(31)의 상류 쪽과 출구측 전환수단(33)의 하류 쪽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유통상태와 제 2 유통상태로 물 유통을 전환하기 위한 입구측 전환수단(31) 및 출구측 전환수단(33)을 구비하며,
    상기 물 유통의 전환 시에, 출구측 전환수단(33)을 전환한 후에 입구측 전환수단(31)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통상태에서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함과 더불어,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하며, 상기 제 2 유통상태에서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함과 더불어,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하도록, 물 유통과 공기 유통을 전환하는 한편,
    상기 공기 유통은, 냉수 및 온수의 적어도 어느 한쪽 유통이 전환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통상태에서는, 냉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함과 더불어,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하며, 상기 제 2 유통상태에서는, 냉수가 흐르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함과 더불어,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하도록, 냉수 유통과 공기 유통을 전환하는 한편,
    상기 공기 유통은, 냉수 유통이 전환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통상태에서는, 온수가 흐르는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함과 더불어,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하며, 상기 제 2 유통상태에서는, 온수가 흐르는 제 2 열교환기(42)에서 제 2 공기를 가습함과 더불어, 제 1 열교환기(32)에서 제 1 공기를 제습하도록, 온수 유통과 공기 유통을 전환하는 한편,
    상기 공기 유통은, 온수 유통이 전환되고 나서 소정시간 후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습한 제 1 공기를 이용측으로 공급하는 제습운전 시, 냉수 유통을 전환한 후 공기 유통을 전환할 때까지의 소정시간 동안, 온수의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로의 유통이 저지되는 중간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가습한 제 2 공기를 이용측으로 공급하는 가습운전 시, 온수 유통을 전환한 후 공기 유통을 전환할 때까지의 소정시간 동안, 냉수의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로의 유통이 저지되는 중간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는, 중간상태 시에 온수가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를 우회하여 흐르는 우회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물회로(20)는, 중간상태 시에 냉수가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를 우회하여 흐르는 우회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9. 흡착제를 갖고 공기 중의 수분의 흡착과 탈리에 의한 공기 중으로의 수분의 방출을 행하는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가 접속되고, 냉수 및 온수의 물이 흐르는 물회로(20)를 구비하고,
    상기 물회로(20)는, 제 1 열교환기(32)를 갖고, 제 1 입구(21)와 제 1 출구(22)를 연결시키는 제 1 통로(30)와, 제 2 열교환기(42)를 갖고, 제 2 입구(23)와 제 2 출구(24)를 연결하는 제 2 통로(40)와, 상기 제 1 통로(30) 및 제 2 통로(40)의 입구(21, 23)측끼리를 연결하는 입구측 분기통로(34, 44)와, 상기 제 1 통로(30) 및 제 2 통로(40)의 출구(22, 24)측끼리 연결하는 출구측 분기통로(35, 45)를 구비하는 한편,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제 1 열교환기(32)를 통하여 제 1 출구(22)로 흐르는 동시에,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제 2 열교환기(42)를 통하여 제 2 출구(24)에 흐르는 제 1 유통 상태와, 제 1 입구(21)로부터 도입된 온수가 입구측 분기통로(34)를 통하여 제 2 열교환기(42)에 흐른 후, 출구측 분기통로(45)를 통하여 제 1 출구(22)에 흐르는 동시에, 제 2 입구(23)로부터 도입된 냉수가 입구측 분기통로(44)를 통하여 제 1 열교환기(32)에 흐른 후, 출구측 분기통로(35)를 통하여 제 2 출구(24)에 흐르는 제 2 유통 상태로 절환되도록 물 흐름을 절환하고, 제 1 열교환기(32) 및 제 2 열교환기(42)에서 수분의 흡탈착을 교대로 행하는 조습 장치이며,
    상기 물회로(20)는, 물 흐름을 절환할 때에, 입구측 분기통로(34, 44) 및 출구측 분기통로(35, 45)에 의해 제 1 입구(21)와 제 2 출구(24)가 연통하고 또한 제 2 입구(23)와 제 1 출구(22)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KR1020077025036A 2005-03-31 2006-03-27 조습장치 KR100949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3777A JP3879763B2 (ja) 2005-03-31 2005-03-31 調湿装置
JPJP-P-2005-00103777 200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941A KR20070116941A (ko) 2007-12-11
KR100949882B1 true KR100949882B1 (ko) 2010-03-25

Family

ID=3707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036A KR100949882B1 (ko) 2005-03-31 2006-03-27 조습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33532B2 (ko)
EP (1) EP1890088A4 (ko)
JP (1) JP3879763B2 (ko)
KR (1) KR100949882B1 (ko)
CN (1) CN101151493B (ko)
AU (1) AU2006231190B2 (ko)
WO (1) WO2006106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4982B2 (ja) * 2005-05-30 2007-0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2009109124A (ja) * 2007-10-31 2009-05-21 Daikin Ind Ltd 調湿装置
DE102010024624B4 (de) 2010-06-22 2016-03-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rptionswärmetauscheranlage und Sorptionswärmetauscheranlage hierfür
CN103069246B (zh) 2010-06-24 2016-02-03 北狄空气应对加拿大公司 液体-空气膜能量交换器
US8915092B2 (en) 2011-01-19 2014-12-23 Venmar Ces, Inc. Heat pump system having a pre-processing module
US9810439B2 (en) 2011-09-02 2017-11-07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Energy exchange system for conditioning air in an enclosed structure
US9816760B2 (en) 2012-08-24 2017-11-14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Liquid panel assembly
US9057531B2 (en) 2012-09-25 2015-06-16 Chin-Cheng Huang Thermal humidifier
US9109808B2 (en) * 2013-03-13 2015-08-18 Venmar Ces, Inc. Variable desiccant control energy exchange system and method
US9772124B2 (en) 2013-03-13 2017-09-26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Heat pump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US10352628B2 (en) 2013-03-14 2019-07-16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Membrane-integrated energy exchange assembly
US10584884B2 (en) 2013-03-15 2020-03-10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liquid desiccant air delivery system
US11408681B2 (en) 2013-03-15 2022-08-09 Nortek Air Solations Canada, Iac. Evaporative cooling system with liquid-to-air membrane energy exchanger
DK3183051T3 (da) 2014-08-19 2020-06-02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Væske-til-luftmembranenergivekslere
US11092349B2 (en) 2015-05-15 2021-08-17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oling to a heat load
CN107850335B (zh) 2015-05-15 2021-02-19 北狄空气应对加拿大公司 利用液-气式膜能量交换器进行液体冷却
KR101667979B1 (ko) * 2015-06-19 2016-10-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습 및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와 이를 이용한 제습냉방 및 가습난방 방법
EP3314188B1 (en) 2015-06-26 2021-05-12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Three-fluid liquid to air membrane energy exchanger
CN105588244A (zh) * 2016-01-29 2016-05-18 北京科技大学 立式多级吸附式新风处理塔
SG10201913897RA (en) 2016-03-08 2020-03-30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oling to a heat load
US11892193B2 (en) 2017-04-18 2024-02-06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Desiccant enhanced evaporative cooling systems and methods
JP7036491B2 (ja) * 2018-04-11 2022-03-15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CN111912144A (zh) * 2019-05-07 2020-11-10 开利公司 热交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311U (ja) * 1991-05-23 1992-12-08 清男 小林 床暖房装置
JPH07265649A (ja) * 1994-03-31 1995-10-17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JP2003251354A (ja) * 2001-12-27 2003-09-09 Sanyo Electric Co Ltd 水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5219B (sv) * 1980-09-12 1982-09-13 Jacob Weitman Sett och anordning att rena en forsmutsad gas, exempelvis procrssfranluft, och att dervid styra temperaturen och relativa fuktigheten
US5088295A (en) * 1990-07-30 1992-02-18 Carrier Corporation Air conditioner with dehumidification mode
US5237833A (en) * 1991-01-10 1993-08-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conditioning system
JP3282225B2 (ja) * 1992-08-07 2002-05-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吸着式空気調和装置
US5510087A (en) * 1994-07-05 1996-04-23 The Babcock & Wilcox Company Two stage downflow flue gas treatment condensing heat exchanger
US5453223A (en) * 1994-09-12 1995-09-26 Acma Limited Method of air cooling and heat exchange apparatus
CN2495363Y (zh) * 2001-02-26 2002-06-19 杭州汉业气源净化设备有限公司 压缩空气的净化干燥装置
US6446942B1 (en) * 2001-05-02 2002-09-10 Ming-Kun Tsai Cooling tower
JP2004060954A (ja) 2002-07-26 2004-02-26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3861902B2 (ja) * 2004-09-09 2006-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US7770405B1 (en) * 2005-01-11 2010-08-10 Ac Dc, Llc Environmental air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311U (ja) * 1991-05-23 1992-12-08 清男 小林 床暖房装置
JPH07265649A (ja) * 1994-03-31 1995-10-17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JP2003251354A (ja) * 2001-12-27 2003-09-09 Sanyo Electric Co Ltd 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1493A (zh) 2008-03-26
AU2006231190A1 (en) 2006-10-12
KR20070116941A (ko) 2007-12-11
WO2006106630A1 (ja) 2006-10-12
JP3879763B2 (ja) 2007-02-14
JP2006284079A (ja) 2006-10-19
US20090267243A1 (en) 2009-10-29
US8033532B2 (en) 2011-10-11
EP1890088A4 (en) 2014-02-19
EP1890088A1 (en) 2008-02-20
CN101151493B (zh) 2013-09-11
AU2006231190B2 (en)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882B1 (ko) 조습장치
JP4466774B2 (ja) 調湿装置
US6619064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3861902B2 (ja) 調湿装置
JP3891207B2 (ja) 調湿装置
JP4075950B2 (ja) 空気調和装置
JP3695417B2 (ja) 調湿装置
AU2004264477B2 (en) Humidity control device
KR102003821B1 (ko) 공기조화장치
JP4497012B2 (ja) 調湿装置
JP2002018228A (ja) 調湿装置
JP2002022206A (ja) 調湿装置
JP2005164220A (ja) 空気調和装置
JP4529530B2 (ja) 調湿装置
JP2022189334A (ja) 空調システム
JP4273829B2 (ja) 調湿装置
JP2005283075A (ja) 調湿装置
JPH10227542A (ja) 吸着式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