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821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821B1
KR102003821B1 KR1020170099759A KR20170099759A KR102003821B1 KR 102003821 B1 KR102003821 B1 KR 102003821B1 KR 1020170099759 A KR1020170099759 A KR 1020170099759A KR 20170099759 A KR20170099759 A KR 20170099759A KR 102003821 B1 KR102003821 B1 KR 10200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eat exchange
air
exhaust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936A (ko
Inventor
박한샘
박장희
정용기
하도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8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5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0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in which the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takes place by means of a heat-pump or by means of a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4Air-mixing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외기가 실내측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와, 내기가 실외측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압축기와 제 1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제 2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제 1열교환기 및 제 2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증발기로 기능하게 구비되는 냉매 열교환 모듈; 및 상기 급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급기 열교환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기 열교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 내의 공기와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 내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게 구비되는 공기 열교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급기 유로 및 배기 유로 중, 어느 하나 상에는 상기 제 1열교환기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 상에는 상기 제 2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 및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열교환 시스템이 구비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실내 공기(내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고, 실외 공기(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외기를 가열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난방 운전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고, 외기를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냉방 운전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외기를 제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제습 운전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고, 외기를 가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 운전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데시칸트(Desiccant) 방식을 이용하여, 제습 운전이나 가습 운전을 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서, 내기를 실외로 배기함에 따라 실내의 냉방 부하가 높아지거나, 외기를 실내로 급기함에 따라 실내의 난방 부하를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데시칸트 방식으로 제습 운전을 하면,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치 않게 실내의 온도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간절기 때 이러한 문제는 더욱 커진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데시칸트 방식으로 가습 운전을 하면, 실내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치 않게 실내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간절기 때 이러한 문제는 더욱 커진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겨울철과 같이 외기가 저온일 때, 공기조화장치로 유입된 외기에 의해, 공기조화장치 내부 구성에 결로가 발생하거나 내부 구성이 동결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사용자의 취향 및 실내외의 상태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기능하는 공기조화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외기가 실내측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와, 내기가 실외측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압축기와 제 1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제 2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제 1열교환기 및 제 2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증발기로 기능하게 구비되는 냉매 열교환 모듈; 및 상기 급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급기 열교환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기 열교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 내의 공기와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 내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게 구비되는 공기 열교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급기 유로 및 배기 유로 중, 어느 하나 상에는 상기 제 1열교환기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 상에는 상기 제 2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 및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의 외부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공기중으로 수분을 탈착시키게 구비되는 흡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급기 유로 상에서 상기 냉매 열교환 모듈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배기 유로 상에서 상기 냉매 열교환 모듈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의 외부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공기중으로 수분을 방출시키게 구비되는 흡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급기 유로 상에서 상기 냉매 열교환 모듈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배기 유로 상에서 상기 냉매 열교환 모듈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열교환 모듈은,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 및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 중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 열교환 유로를 우회하는 분리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유로는, 상기 급기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 중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가 속하는 유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의 상류 부분을 개폐하는 열교환 상류 댐퍼;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의 하류 부분을 개폐하는 열교환 하류 댐퍼; 및 상기 분리 유로를 개폐하는 분리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유로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를 열고 상기 분리 유로를 닫는 열회수 모드, 및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를 닫고 상기 분리 유로를 여는 미회수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공기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 열교환 모듈은,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수행하는 증발기의 기능 및 응축기의 기능을 서로 전환시켜주는 냉매절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1열교환 모드, 및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2열교환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 1공유 유로; 및 상기 제 2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 2공유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의 외부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공기중으로 수분을 탈착시키게 구비되는 흡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공유 유로가 상기 배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2공유 유로가 상기 급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유로 모드, 및 상기 제 1공유 유로가 상기 급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2공유 유로가 상기 배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유로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열교환 모듈을 통해서, 실내의 냉방 부하 또는 난방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바, 에너지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공기 열교환 모듈을 통해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실외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바, 재실자가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와 급기되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른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이 아닌 환기 운전시, 이는 더욱 두드러지는 효과이다.
상기 공기 열교환 모듈을 통해서, 겨울철과 같이 외기가 저온일 때, 배기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외기를 상기 1열교환기 또는 제 2열교환기로 이동시킴으로써, 내부 결로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내부 구성 동결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상기 흡착제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급기 유로 상에서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배기 유로 상에서 하류측에 배치되게 한다. 이를 통해, 겨울철 가습 운전시 저온 건조한 외기가 먼저 가열된 후 상기 흡착제를 거치게 되어, 흡착제의 온도 감소 요인이 줄어드는 바, 흡착제의 가습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여름철 제습 운전시 고온 다습한 외기가 먼저 냉각된 후 상기 흡착제를 거치게 되어, 흡착제의 온도 증가 요인이 줄어드는 바, 흡착제의 제습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착제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급기 유로 상에서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배기 유로 상에서 상류측에 배치되게 한다. 이를 통해, 간절기 때 제습 운전을 하여 온도가 내려간 급기를 내기와 열교환시켜, 실내의 온도가 지나치게 내려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간절기 때 가습 운전을 하여 온도가 올라간 급기를 내기와 열교환시켜, 실내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기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 및 실내외의 상태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공기조화장치의 기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기 열교환 모드 및 상기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의 조합이나, 상기 복수의 공기 열교환 모드 및 상기 복수의 유로 모드의 조합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보다 다앙하게 공기조화장치의 기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일부가 투영된 사시도로서,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장치의 제 1층을 라인 S1-S1'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장치의 제 2층을 라인 S2-S2'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공기조화장치의 냉매 흐름 및 공기 흐름의 개념도이다.
도 4a는,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와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가 열리고,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와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가 닫힌 상태의 공기 흐름을 보여준다.
도 4b는,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와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가 닫히고,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와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가 열린 상태의 공기 흐름을 보여준다.
도 5 내지 도 10은,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을 추가로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냉매 및 공기 흐름 개념도로서,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의 각각의 실시예(70a, 70b, 80a, 80b, 80c, 80d)에 따른 도면이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70a)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은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70b)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80a)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은 제 4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80b)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9는 제 5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80c)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제 6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80d)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의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면들에 표기된 화살표 O 및 I는 각각 실외측(O) 및 실내측(I)을 의미한다. 실외측(O) 및 실내측(I)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가 흡입하거나 토출하는 공기와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실외측(O) 및 실내측(I)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도시되었으나, 서로 반대 방향이 아닐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X축 방향은 +X축 방향과 -X축 방향을 포괄하는 의미이며, Y축 방향은 +Y축 방향과 -Y축 방향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도면에서는, Y축 방향 및 X축 방향을 각각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지칭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상류' 및 '하류'는, 해당되는 유로 상에서 유체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의 용어 중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는,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 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외기(Outdoor Air)(OA)가 실내측(I)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OA-SA)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내기(Indoor Air)(IA)가 실외측(O)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IA-EA)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가 실외 측으로 토출되도록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배기팬(2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가 실내 측으로 토출되도록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급기팬(3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 중 수분을 변경시키는 냉매 열교환 모듈(4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급기 유로(OA-SA) 상의 공기와 배기 유로(IA-EA) 상의 공기가 서로 현열 열교환하도록 구비된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케이스(10) 내의 공기의 흐름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급기 유로(OA-SA)는 외기(OA)가 유입되어 급기(Supplying Air)(SA)로 배출되기 까지의 경로를 가진 유로를 의미한다. 배기 유로(IA-EA)는 내기(IA)가 유입되어 배기(Exhaust Air)(EA)로 배출되기 까지의 경로를 가진 유로를 의미한다. 급기 유로(OA-SA) 및 배기 유로(IA-EA)는 후술할 댐퍼들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다. 외기(OA)는 급기 유로(OA-SA)를 거치며 급기(SA)가 되고, 내기(IA)는 배기 유로(IA-EA)를 거치며 배기(EA)가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케이스(10)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급기 유로(OA-SA) 및 배기 유로(IA-EA)가 형성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배기팬(20) 및 급기팬(30)이 배치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냉매 열교환 모듈(40)이 배치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이 배치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후술할 챔버들 및 댐퍼들이 배치된다.
배기팬(20)은 내기 챔버(52) 및 배기 챔버(58)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팬(20)은 배기 챔버(58)에 배치된다.
급기팬(30)은 외기 챔버(56) 및 급기 챔버(54)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기팬(30)은 급기 챔버(54)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 유로 상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9)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유로(OA-SA) 상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9b, 19c)와, 배기 유로(IA-EA) 상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9a, 19d)가 구비될 수 있다. 내기 챔버(52) 상에 필터(19a)가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챔버(58) 상에 필터(19d)가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챔버(56) 상에 필터(19c)가 배치될 수 있다. 급기 챔버(54) 상에 필터(19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냉매가 순환하는 압축기(45)와 제 1열교환기(41)와 팽창밸브(43)와 제 2열교환기(42)를 포함한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압축기(45)와 제 1열교환기(41)와 팽창밸브(43)와 제 2열교환기(42)를 연결하는 냉매배관 (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 중 어느 하나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증발기로 기능하게 구비된다. 냉매가 압축기(45)와 제 1열교환기(41)와 팽창밸브(43)와 제 2열교환기(42)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냉매 사이클을 형성할 경우, 제 1열교환기(41)가 응축기로 기능하고 제 2열교환기(42)가 증발기로 기능한다. 냉매가 압축기(45)와 제 2열교환기(42)와 팽창밸브(43)와 제 1열교환기(41)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냉매 사이클을 형성할 경우, 제 2열교환기(42)가 응축기로 기능하고 제 1열교환기(41)가 증발기로 기능한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가 수행하는 증발기의 기능 및 응축기의 기능을 서로 전환시켜주는 냉매절환밸브(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매절환밸브(44)에 의해, 냉매 사이클이 전환될 수 있고,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의 응축기 기능 및 압축기 기능이 서로 전환될 수 있다.
압축기(45)를 거친 냉매는, 냉매절환밸브(44)에 의하여 절환되어 제 1열교환기(41) 측으로 유입되거나 제 2열교환기(42)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45) 및 냉매절환밸브(44)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냉매절환밸브(44)에 의해 선택된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 중 어느 하나로 먼저 이동한 후, 팽창밸브(43)를 거쳐,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 중 다른 하나로 이동한다. 제 1열교환기(41), 팽창밸브(43) 및 제 2열교환기(42)를 모두 거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미도시)를 지나 다시 압축기(45)로 회수될 수 있다.
제 1열교환기(41)는 제 1공유 유로(11) 상에 배치된다. 제 2열교환기(42)는 제 2공유 유로(12) 상에 배치된다.
급기 유로(OA-SA) 및 배기 유로(IA-EA) 중, 어느 하나 상에는 제 1열교환기(41)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 상에는 제 2열교환기(42)가 배치된다.
도 4a를 참고하여, 제 1공유 유로(11)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2공유 유로(12)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유로 모드에서, 배기 유로(IA-EA) 상에 제 1열교환기(41)가 배치되고 급기 유로(OA-SA) 상에 제 2열교환기(42)가 배치된다.
도 4b를 참고하여, 제 1공유 유로(11)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2공유 유로(12)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유로 모드에서, 배기 유로(IA-EA) 상에 제 2열교환기(42)가 배치되고 급기 유로(OA-SA) 상에 제 1열교환기(41)가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10은, 예시적으로 상기 제 1유로 모드를 기준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냉매절환밸브(44)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의 기능을 서로 절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 1유로 모드(도 4a 참고) 및 제 2유로 모드(도 4b 참고)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시킴으로써, 가습 운전 모드 및 제습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습 운전 모드 및 제습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 1유로 모드 및 제 2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과 동시에, 냉매절환밸브(44)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의 기능을 서로 절환시킴으로써,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가 서로 번갈아가며 증발기 기능 및 응축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제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에 의해서, 급기(SA)를 제습할 수 있고, 배기(EA)를 제습할 수도 있다. 제습 운전이란, 급기(SA)를 제습하는 운전을 의미한다. 제습 운전시, 배기(EA)의 가습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할 수 있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실내측(I)으로 토출될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실내측(I)으로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실외측(O)으로 토출될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여, 실외측(O)으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게 할 수 있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가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에 의해서, 급기(SA)를 가습할 수 있고, 배기(EA)를 가습할 수도 있다. 가습 운전이란, 급기(SA)를 가습하는 운전을 의미한다. 가습 운전시, 배기(EA)의 제습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흡착하여 저장된 수분을 공기 중에 탈착하여 가습할 수 있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실내측(I)으로 토출될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여, 실내측(I)으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실외측(O)으로 토출될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실외측(O)으로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게 할 수 있다.
냉매 열교환 모듈(40)은 제습 운전 및 가습 운전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 1열교환기(41) 및 제 2열교환기(42)의 외부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공기중으로 수분을 탈착시키게 구비되는 흡착제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의 표면에 데시칸트(Desiccant) 코팅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시칸트 코팅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열을 가할 경우 흡수된 수분을 공기 중으로 방출 시킬 수 있는 재질이며,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소재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는 전환 사이클에 따라 교대로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하고, 증발기로 사용될 때 상기 흡착제에 의해 수분을 흡수하고, 응축기로 사용될 때 상기 흡착제에 의해 흡수한 수분을 공기 중으로 방출시킨다. 상기 흡착제는 수분을 흡착함에 따라 수분 포화도가 높아지는데, 상기 전환 사이클에 따라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가 교대로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하게 하여, 지속적인 상기 제습 운전 또는 상기 가습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 1열교환기(41)가 배치되는 제 1공유 유로(11)와, 제 2열교환기(42)가 배치되는 제 2공유 유로(12)를 포함한다.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는 서로 별도의 유로를 형성한다.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는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공유 유로(12)는 제 1공유 유로(11)의 상측에 적층된다.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는 케이스(10) 내에 배치된다.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는 공유 유로 분리판(13)에 의해 제 1층 및 제 2층으로 구획되게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유 유로 분리판(13)의 하측에는 제 1공유 유로(11)가 배치되고, 공유 유로 분리판(13)의 상측에는 제 2공유 유로(12)가 배치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측에 제 2공유 유로(12)가 배치되고 상측에 제 1공유 유로(11)가 배치될 수도 있고,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의 양단측(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챔버(52, 54, 56, 58)를 포함한다. 복수의 챔버(52, 54, 56, 58)는 각각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와 유로상 연결 가능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챔버(52, 54, 56, 58)는 각각 상기 공유 유로 분리판(1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결된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챔버(52, 54, 56, 58)는 각각 공유 유로 분리판(13)을 상하로 가로지르며 연결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챔버(52, 54, 56, 58)는 각각, 공유 유로 분리판(13) 하측의 제 1공유 유로(11) 및 공유 유로 분리판(13) 상측의 제 2공유 유로(12)에 연결 가능하게 배치된다. 후술할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에 의해, 복수의 챔버(52, 54, 56, 58)는 각각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와 유로상 연결 여부가 변경된다.
외기 챔버(56)는 실외측(O)으로부터 외기(OA)를 흡입한다. 외기 챔버(56)는 급기 유로(OA-SA)의 상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급기 챔버(54)는 실내측(I)으로 급기(SA)를 토출시킨다. 급기 챔버(54)는 상기 급기 유로의 하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내기 챔버(52)는 실내측(I)으로부터 내기(IA)를 흡입한다. 내기 챔버(52)는 배기 유로(IA-EA)의 상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배기 챔버(58)는 실외측(O)으로 배기(EA)를 토출시킨다. 배기 챔버(58)는 배기 유로(IA-EA)의 하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외기 챔버(56)와 급기 챔버(54)의 사이에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가 배치된다. 내기 챔버(52)와 배기 챔버(58)의 사이에 제 1공유 유로(11) 및 제 2공유 유로(12)가 배치된다.
제 1유로 모드에서, 외기(OA)는 외기 챔버(56)로 유입된 후, 제 2공유 유로(12) 및 급기 챔버(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제 1유로 모드에서, 내기(IA)는 내기 챔버(52)로 유입된 후, 제 1공유 유로(11)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제 2유로 모드에서, 외기(OA)는 외기 챔버(56)로 유입된 후, 제 1공유 유로(11) 및 급기 챔버(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제 2유로 모드에서, 내기(IA)는 내기 챔버(52)로 유입된 후, 제 2공유 유로(12) 및 배기 챔버(58)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내기 챔버(52)와 급기 챔버(54)는 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를 기준으로 실내측(I)에 배치될 수 있다. 내기 챔버(52)와 급기 챔버(54)는 실내측 챔버 분리판(17)에 의해 좌우(X축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내측 챔버 분리판(17)은 공유 유로 분리판(1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내측 챔버 분리판(17)에 의해 분리된 두 공간의 배열 방향(X축 방향)과 공유 유로 분리판(13)에 의해 분리된 두 공간의 배열 방향(Y축 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외기 챔버(56)와 배기 챔버(58)는 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를 기준으로 실외측(O)에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챔버(56)와 배기 챔버(58)는 실외측 챔버 분리판(18)에 의해 좌우(X축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측 챔버 분리판(18)은 공유 유로 분리판(1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외측 챔버 분리판(18)에 의해 분리된 두 공간의 배열 방향(X축 방향)과 공유 유로 분리판(13)에 의해 분리된 두 공간의 배열 방향(Y축 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고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와 상기 복수의 챔버(52, 54, 56, 58) 사이의 유로상 연결을 조절하는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을 포함한다.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은 제 1공유 유로(11)의 말단 또는 제 2공유 유로(12)의 말단에 배치된다.
제 1내기 댐퍼(62a) 및 제 1배기 댐퍼(68a)는 제 1공유 유로(1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제 1내기 댐퍼(62a) 및 제 1배기 댐퍼(68a)는, 제 1공유 유로(11)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할 때 열림된다. 제 1내기 댐퍼(62a) 및 제 1배기 댐퍼(68a)는, 제 1공유 유로(11)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할 때 닫힘된다.
제 1내기 댐퍼(62a)는 제 1공유 유로(11)와 배기 유로(IA-EA)의 상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1배기 댐퍼(68a)는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의 하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1외기 댐퍼(66a)는 제 1공유 유로(11)와 급기 유로(OA-SA)의 상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1급기 댐퍼(64a)는 제 1공유 유로(11)와 급기 유로(OA-SA)의 하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2내기 댐퍼(62b)는 제 2공유 유로(12)와 배기 유로(IA-EA)의 상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2배기 댐퍼(68b)는 제 2공유 유로(12)와 배기 유로(IA-EA)의 하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2외기 댐퍼(66b)는 제 2공유 유로(12)와 급기 유로(OA-SA)의 상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2급기 댐퍼(64b)는 제 2공유 유로(12)와 급기 유로(OA-SA)의 하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한다.
제 1내기 댐퍼(62a) 및 제 1배기 댐퍼(68a)는 제 1공유 유로(1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제 1내기 댐퍼(62a) 및 제 1배기 댐퍼(68a)는, 제 1공유 유로(11)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할 때 열림된다. 제 1내기 댐퍼(62a) 및 제 1배기 댐퍼(68a)는, 제 1공유 유로(11)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할 때 닫힘된다.
제 1외기 댐퍼(66a) 및 제 1급기 댐퍼(64a)는 제 1공유 유로(1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제 1외기 댐퍼(66a) 및 제 1급기 댐퍼(64a)는 제 1공유 유로(11)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할 때 열림된다. 제 1외기 댐퍼(66a) 및 제 1급기 댐퍼(64a)는 제 1공유 유로(11)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할 때 닫힘된다.
제 2내기 댐퍼(62b) 및 제 2배기 댐퍼(68b)는 제 2공유 유로(12)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제 2내기 댐퍼(62b) 및 제 2배기 댐퍼(68b)는 제 2공유 유로(12)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할 때 열림된다. 제 2내기 댐퍼(62b) 및 제 2배기 댐퍼(68b)는 제 2공유 유로(12)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할 때 닫힘된다.
제 2외기 댐퍼(66b) 및 제 2급기 댐퍼(64b)는 제 2공유 유로(12)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제 2외기 댐퍼(66b) 및 제 2급기 댐퍼(64b)는 제 2공유 유로(12)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할 때 열림된다. 제 2외기 댐퍼(66b) 및 제 2급기 댐퍼(64b)는 제 2공유 유로(12)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할 때 닫힘된다.
제어부(2)는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는 제습 운전 모드와 가습 운전 모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운전 모드는 환기 운전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 운전 모드에서, 급기 유로(OA-SA) 상에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증발기 기능을 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상기 제습 운전 모드에서, 배기 유로(IA-EA) 상에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응축기 기능을 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상기 제습 운전 모드에서, 외기(OA)는 증발기를 거쳐 상기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기고, 제습된 급기(SA)가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습 운전 모드에서, 내기(IA)는 응축기를 거쳐 상기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공급받고, 가습된 배기(EA)가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 1유로 모드 및 제 2열교환기(42)가 증발기 기능을 하는 제 1열교환 모드를 동시에 설정하거나, 상기 제 2유로 모드 및 제 1열교환기(41)가 증발기 기능을 하는 제 2열교환 모드를 동시에 설정할 때, 상기 제습 운전 모드가 설정된다. 상기 제습 운전 모드 중, 상기 제 1유로 모드 및 상기 제 1열교환 모드 설정 상태에서 상기 제 2유로 모드 및 상기 제 2열교환 모드 설정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그 반대의 전환도 가능하다.
가습 운전 모드에서, 급기 유로(OA-SA) 상에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응축기 기능을 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상기 가습 운전 모드에서, 배기 유로(IA-EA) 상에 제 1 및 2 열교환기(41, 42) 중 증발기 기능을 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상기 가습 운전 모드에서, 외기(OA)는 응축기를 거쳐 상기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공급받고, 가습된 급기(SA)가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상기 가습 운전 모드에서, 내기(IA)는 증발기를 거쳐 상기 흡착제에 수분을 빼앗기고, 제습된 배기(EA)가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 1유로 모드 및 제 2열교환기(42)가 응축기 기능을 하는 제 2열교환 모드를 동시에 설정하거나, 상기 제 2유로 모드 및 제 1열교환기(41)가 응축기 기능을 하는 제 1열교환 모드를 동시에 설정할 때, 상기 가습 운전 모드가 설정된다. 상기 가습 운전 모드 중, 상기 제 1유로 모드 및 상기 제 2열교환 모드 설정 상태에서 상기 제 2유로 모드 및 상기 제 1열교환 모드 설정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그 반대의 전환도 가능하다.
환기 운전 모드에서, 냉매 열교환 모듈(4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외기(OA)를 실내측(I)으로 유입시키고 내기(IA)를 실외측(O)으로 유출시킨다. 상기 환기 운전 모드에서, 압축기(45)의 작동이 오프(Off)되는 미교환 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배기팬(20) 및 급기팬(30)을 작동시킨다. 상기 환기 운전 모드에서, 상기 제 1유로 모드 또는 상기 제 2유로 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배기팬(20) 및 급기팬(3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은, 냉매 없이 급기 유로(OA-SA) 내의 공기와 배기 유로(IA-EA) 내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도록 구비된다. 본 설명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한 제 1 및 2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70)과,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한 제 3 내지 6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80)을 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은 급기 유로(OA-SA) 내의 공기가 유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급기 열교환 유로(71, 81)를 포함한다. 급기 열교환 유로(71, 81)는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한다.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은 배기 유로(IA-EA) 내의 공기가 유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기 열교환 유로(72, 82)를 포함한다. 배기 열교환 유로(72, 82)는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한다.
급기 열교환 유로(71, 81) 및 배기 열교환 유로(72, 82)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하나를 통과하게 배치되어, 급기 열교환 유로(71, 81) 내의 공기와 배기 열교환 유로(72, 82) 내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기 열교환 유로(71, 81) 및 배기 열교환 유로(72, 8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통과하는 이중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기 열교환 유로(71, 81) 및 배기 열교환 유로(72, 8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내에서 지그재그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열교환 면적을 넓혀주는 핀(fin)이 구비될 수도 있다.
공기 열교환 모듈(70)은 복수의 챔버(52, 54, 56, 58)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공기 열교환 모듈(70a)은 배기 챔버(58) 및 급기 챔버(54)에 배치된다. 도 6을 참고하여, 공기 열교환 모듈(70b)은 급기 챔버(54) 및 내기 챔버(52)에 배치된다.
공기 열교환 모듈(80)은 ⅰ복수의 챔버(52, 54, 56, 58) 중 일부와 ⅱ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공기 열교환 모듈(80a, 80b)은 ⅰ'배기 챔버(58) 및 외기 챔버(56)'와 ⅱ'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 사이에 배치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공기 열교환 모듈(80c, 80d)은 ⅰ'급기 챔버(54) 및 내기 챔버(52)'와 ⅱ'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 사이에 배치된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고한 제 1, 3 및 4 실시예에서, 급기 열교환 유로(71, 81)는 급기 유로(OA-SA) 상에서 냉매 열교환 모듈(40)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상류측에 배치되고, 배기 열교환 유로(72, 82)는 배기 유로(IA-EA) 상에서 냉매 열교환 모듈(40)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제 1, 3 및 4 실시예에서,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은 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를 기준으로 실외측(O)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겨울철과 같이 외기(OA)가 저온일 때, 배기(EA)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외기(OA)를 제 1열교환기(41) 또는 제 2열교환기(42)로 이동시킴으로써, 내부 결로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 6, 도 9 및 도 10을 참고한 제 2, 5 및 6 실시예에서, 급기 열교환 유로(71, 81)는 급기 유로(OA-SA) 상에서 냉매 열교환 모듈(40)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하류측에 배치되고, 배기 열교환 유로(72, 82)는 배기 유로(IA-EA) 상에서 냉매 열교환 모듈(40)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 2, 5 및 6 실시예에서,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은 제 1 및 2 공유 유로(11, 12)를 기준으로 실내측(I)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간절기 때 제습 운전을 하여 온도가 내려간 급기(SA)를 내기(IA)와 열교환시켜, 실내의 온도가 지나치게 내려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간절기 때 가습 운전을 하여 온도가 올라간 급기(SA)를 내기(IA)와 열교환시켜, 실내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급기 열교환 유로(71, 81) 및 배기 열교환 유로(72, 82) 중 적어도 하나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급기 열교환 유로(71, 81) 및 배기 열교환 유로(72, 82) 중 개폐 가능한 유로를 '개폐 열교환 유로'라 지칭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한 제 1 및 2 실시예에서, 급기 열교환 유로(71) 및 배기 열교환 유로(72) 모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개폐 열교환 유로는 급기 열교환 유로(71) 및 배기 열교환 유로(72)이다.
도 7 및 도 9를 참고한 제 3 및 5 실시예에서, 급기 열교환 유로(81) 및 배기 열교환 유로(82) 중 급기 열교환 유로(81)만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개폐 열교환 유로는 급기 열교환 유로(81)이다.
도 8 및 도 10을 참고한 제 4 및 6 실시예에서, 급기 열교환 유로(81) 및 배기 열교환 유로(82) 중 배기 열교환 유로(82)만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개폐 열교환 유로는 배기 열교환 유로(82)이다.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를 개폐하는 열교환 댐퍼(75a, 75b, 76a, 76b, 85a, 85b)를 포함한다. 공기 열교환 모듈(70, 80)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의 상류측을 개폐하는 열교환 상류 댐퍼(75a, 76a, 85a)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의 하류측을 개폐하는 열교환 하류 댐퍼(75b, 76b, 8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제 1 및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70)은 급기 유로(OA-SA) 일부를 구성하는 급기 열교환 유로(71)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기 열교환 유로(72)를 포함한다.
공기 열교환 모듈(70)은 급기 열교환 유로(71) 및 배기 열교환 유로(72)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열교환 유로 댐퍼군(75a, 75b, 76a, 76b)를 포함한다.
열교환 유로 댐퍼군(75a, 75b, 76a, 76b)은 급기 열교환 유로(71)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급기 열교환 댐퍼(75a, 75b)를 포함한다.
열교환 유로 댐퍼군(75a, 75b, 76a, 76b)은 배기 열교환 유로(72)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배기 열교환 댐퍼(76a, 76b)를 포함한다.
급기 열교환 댐퍼(75a, 75b)가 열림된 상태에서, 외기(OA) 중 일부가 급기 열교환 유로(71) 내로 유입된다. 급기 열교환 댐퍼(75a, 75b)가 닫힘된 상태에서, 외기(OA)는 급기 열교환 유로(71) 내로 유입없이 이동한다.
배기 열교환 댐퍼(76a, 76b)가 열림된 상태에서, 내기(IA) 중 일부가 배기 열교환 유로(72) 내로 유입된다. 배기 열교환 댐퍼(76a, 76b)가 닫힘된 상태에서, 내기(IA)는 배기 열교환 유로(72) 내로 유입없이 이동한다.
급기 열교환 댐퍼(75a, 75b) 및 배기 열교환 댐퍼(76a, 76b)가 모두 열림된 상태에서, 급기 열교환 유로(71) 내의 공기와 배기 열교환 유로(72) 내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는 열회수 모드가 수행된다. 급기 열교환 댐퍼(75a, 75b) 및 배기 열교환 댐퍼(76a, 76b) 중 적어도 하나가 닫힘된 상태에서, 미회수 모드가 수행된다.
급기 열교환 상류 댐퍼(75a)는 급기 열교환 유로(71)의 상류 부분을 개폐하고, 급기 열교환 하류 댐퍼(75b)는 급기 열교환 유로(71)의 하류 부분을 개폐한다.
배기 열교환 상류 댐퍼(76a)는 배기 열교환 유로(72)의 상류 부분을 개폐하고, 배기 열교환 하류 댐퍼(76b)는 배기 열교환 유로(72)의 하류 부분을 개폐한다.
도 5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70a)은, 외기 챔버(56)에 연결된 급기 열교환 유로(71)와, 배기 챔버(58)에 연결된 배기 열교환 유로(72)를 포함한다. 급기 열교환 댐퍼(75a, 75b) 열림 상태에서, 외기 챔버(56) 내의 공기 중 일부가 급기 열교환 유로(71)를 거쳐 외기 챔버(56)로 재유입된다. 배기 열교환 댐퍼(76a, 76b) 열림 상태에서, 배기 챔버(58) 내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 열교환 유로(72)를 거쳐 배기 챔버(58)로 재유입된다. 급기 열교환 댐퍼(75a, 75b) 닫힘 상태에서, 외기 챔버(56) 내의 공기는 급기 열교환 유로(71)로 유입없이, 모두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로 이동한다. 배기 열교환 댐퍼(76a, 76b) 닫힘 상태에서, 배기 챔버(58) 내의 공기는 배기 열교환 유로(72)로 유입없이, 모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도 6을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70b)은, 급기 챔버(54)에 연결된 급기 열교환 유로(71)와, 내기 챔버(52)에 연결된 배기 열교환 유로(72)를 포함한다. 급기 열교환 댐퍼(75a, 75b) 열림 상태에서, 급기 챔버(54) 내의 공기 중 일부가 급기 열교환 유로(71)를 거쳐 급기 챔버(54)로 재유입된다. 배기 열교환 댐퍼(76a, 76b) 열림 상태에서, 내기 챔버(52) 내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 열교환 유로(72)를 거쳐 내기 챔버(52)로 재유입된다. 급기 열교환 댐퍼(75a, 75b) 닫힘 상태에서, 급기 챔버(54) 내의 공기는 급기 열교환 유로(71)로 유입없이, 모두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배기 열교환 댐퍼(76a, 76b) 닫힘 상태에서, 내기 챔버(52) 내의 공기는 배기 열교환 유로(72)로 유입없이, 모두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로 이동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제 3 내지 6 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80)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하는 급기 열교환 유로(81)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기 열교환 유로(82)를 포함한다. 급기 열교환 유로(81) 및 배기 열교환 유로(8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이다.
공기 열교환 모듈(80)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81 또는 82)를 우회하는 분리 유로(83)를 포함한다. 분리 유로(83)는, 급기 유로(OA-SA) 및 배기 유로(IA-EA) 중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81 또는 82)가 속하는 유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7 및 도 9를 참고하여, 급기 열교환 유로(81)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이고, 분리 유로(83)는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한다.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하는 분리 유로(83)를 '급기 분리 유로(83)'라 지칭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여, 배기 열교환 유로(82)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이고, 분리 유로(83)는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한다.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는 분리 유로(83)를 '배기 분리 유로(83)'라 지칭할 수 있다.
분리 유로(83)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급기 유로(OA-SA) 또는 상기 배기 유로(IA-EA) 상에서, 공기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 및 분리 유로(83) 중 어느 하나를 거쳐 이동하게 구비된다.
열회수 모드에서, 공기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를 거쳐 이동하게 제어된다. 상기 열회수 모드에서,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를 열림 상태로 하고, 분리 유로(83)를 닫힘 상태로 할 수 있다.
미회수 모드에서, 공기가 분리 유로(83)를 거쳐 이동하게 제어된다. 상기 미회수 모드에서,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를 닫힘 상태로 하고, 분리 유로(83)를 열림 상태로 할 수 있다.
공기 열교환 모듈(80)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81 또는 82) 및 분리 유로(83)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전환 댐퍼군(85a, 85b, 86a, 86b)을 포함한다.
전환 댐퍼군(85a, 85b, 86a, 86b)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81 또는 82)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열교환 댐퍼(85a, 85b)를 포함한다.
전환 댐퍼군(85a, 85b, 86a, 86b)은 분리 유로(83)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분리 댐퍼(86a, 86b)를 포함한다.
열교환 댐퍼(85a, 85b)가 열림된 상태에서, 공기가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81 또는 82)를 통과한다. 분리 댐퍼(86a, 86b)가 열림된 상태에서, 공기가 분리 유로(83)를 통과한다.
열교환 댐퍼(85a, 85b)가 열림되고 분리 댐퍼(86a, 86b)가 닫힘된 상태에서, 급기 열교환 유로(81) 내의 공기와 배기 열교환 유로(82) 내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는 열회수 모드가 수행된다. 열교환 댐퍼(85a, 85b)가 닫힘되고 분리 댐퍼(86a, 86b)가 열림된 상태에서, 미회수 모드가 수행된다.
열교환 상류 댐퍼(85a)는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의 상류 부분을 개폐하고, 열교환 하류 댐퍼(85b)는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의 하류 부분을 개폐한다.
분리 상류 댐퍼(86a)는 분리 유로(83)의 상류 부분을 개폐하고, 분리 하류 댐퍼(86b)는 분리 유로(83)의 하류 부분을 개폐한다.
도 7을 참고하여,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80a)은, 외기 챔버(56)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급기 열교환 유로(81)와 분리 유로(83)를 포함한다. 급기 열교환 유로(81)와 분리 유로(83)는 서로 분리된 유로를 형성한다. 공기 열교환 모듈(80a)은 배기 챔버(58)의 상류측에 연결되는 배기 열교환 유로(82)를 포함한다. 상기 열회수 모드에서, 외기(OA)는 외기 챔버(56) 및 급기 열교환 유로(81)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로 유입된다. 상기 미회수 모드에서, 외기(OA)는 외기 챔버(56) 및 분리 유로(83)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로 유입된다. 상기 열회수 모드 및 상기 미회수 모드에서,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를 거친 내기(IA)는, 배기 열교환 유로(82) 및 배기 챔버(58)를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도 8을 참고하여, 제 4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80b)은, 배기 챔버(58)의 상류측에 연결되는 배기 열교환 유로(82)와 분리 유로(83)를 포함한다. 배기 열교환 유로(82)와 분리 유로(83)는 서로 분리된 유로를 형성한다. 공기 열교환 모듈(80b)은 외기 챔버(56)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급기 열교환 유로(81)를 포함한다. 상기 열회수 모드에서,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를 거친 내기(IA)는, 배기 열교환 유로(82) 및 배기 챔버(58)를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상기 미회수 모드에서,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를 거친 내기(IA)는, 분리 유로(83) 및 배기 챔버(58)를 거쳐 실외측(O)으로 배출된다. 상기 열회수 모드 및 상기 미회수 모드에서, 외기(OA)는 외기 챔버(56) 및 급기 열교환 유로(81)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로 유입된다.
도 9를 참고하여, 제 5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80c)은, 급기 챔버(54)의 상류측에 연결되는 급기 열교환 유로(81)와 분리 유로(83)를 포함한다. 급기 열교환 유로(81)와 분리 유로(83)는 서로 분리된 유로를 형성한다. 공기 열교환 모듈(80c)은 내기 챔버(52)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배기 열교환 유로(82)를 포함한다. 상기 열회수 모드에서,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를 거친 외기(OA)는, 급기 열교환 유로(81) 및 급기 챔버(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상기 미회수 모드에서,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를 거친 외기(OA)는 분리 유로(83) 및 급기 챔버(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상기 열회수 모드 및 상기 미회수 모드에서, 내기(IA)는 내기 챔버(52) 및 배기 열교환 유로(82)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로 유입된다.
도 10을 참고하여, 제 6실시예에 따른 공기 열교환 모듈(80d)은, 내기 챔버(52)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배기 열교환 유로(82)와 분리 유로(83)를 포함한다. 배기 열교환 유로(82)와 분리 유로(83)는 서로 분리된 유로를 형성한다. 공기 열교환 모듈(80d)은 급기 챔버(54)의 상류측에 연결되는 급기 열교환 유로(81)를 포함한다. 상기 열회수 모드에서, 내기(IA)는 내기 챔버(52) 및 배기 열교환 유로(82)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로 유입된다. 상기 미회수 모드에서, 내기(IA)는 내기 챔버(52) 및 분리 유로(83)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로 유입된다. 상기 열회수 모드 및 상기 미회수 모드에서, 제 1공유 유로(11) 또는 제 2공유 유로(12)를 거친 외기(OA)는, 급기 열교환 유로(81) 및 급기 챔버(54)를 순차적으로 거쳐 실내측(I)으로 공급된다.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제어부(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입력받는 입력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4, 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I)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 센서(4)가 구비될 수 있다. 실외측(O)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 온도 센서(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5, 7)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I)의 공기 습도를 감지하는 실내 습도 센서(5)가 구비될 수 있다. 실외측(O)의 공기 습도를 감지하는 실외 습도 센서(7)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는 입력부(3)의 입력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온도 센서(4, 6)의 감지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습도 센서(5, 7)의 감지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입력 신호 및/또는 상기 감지 신호를 근거로 하여 복수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냉매절환밸브(44)의 절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공유 유로 댐퍼군(62a, 62b, 64a, 64b, 66a, 66b, 68a, 68b)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복수의 공기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열교환 유로 댐퍼군(75a, 75b, 76a, 76b) 또는 전환 댐퍼군(85a, 85b, 86a, 86b)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복수의 유로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복수의 공기 열교환 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2)는,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복수의 공기 열교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 및 복수의 공기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각각 선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은,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은,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과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의 조합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 모드는, 제 1공유 유로(11)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2공유 유로(12)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유로 모드, 및 제 1공유 유로(11)가 급기 유로(OA-SA)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2공유 유로(12)가 배기 유로(IA-E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유로 모드를 포함한다.
도 4a를 참고한 제 1유로 모드에서,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와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는 열리고,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와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는 닫힌다.
도 4b를 참고한 제 2유로 모드에서, 제 1내기 댐퍼(62a)와 제 1배기 댐퍼(68a)와 제 2외기 댐퍼(66b)와 제 2급기 댐퍼(64b)가 닫히고, 제 2내기 댐퍼(62b)와 제 2배기 댐퍼(68b)와 제 1외기 댐퍼(66a)와 제 1급기 댐퍼(64a)가 열린다.
상기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는, 제 1열교환기(41)가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1열교환 모드, 및 제 2열교환기(42)가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2열교환 모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는, 압축기(45)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미교환 모드들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열교환 모드에서, 제 2열교환기(42)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상기 제 2열교환 모드에서, 제 1열교환기(41)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제어부(2)는, 가습 운전 모드 또는 제습 운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유로 모드 및 상기 제 2유로 모드 사이의 전환이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제 1열교환 모드 및 상기 제 2열교환 모드 사이의 전환이 동시에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가습 운전 모드 또는 제습 운전 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1유로 모드 및 상기 제 2유로 모드 사이의 전환 및 상기 제 1열교환 모드 및 상기 제 2열교환 모드 사이의 전환이,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기 열교환 모드는,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를 여는 열회수 모드, 및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를 닫는 미회수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내지 6실시예에서는, 상기 열회수 모드에서 분리 유로(83)가 닫히고, 상기 미회수 모드에서 분리 유로(83)가 열린다.
10: 케이스 11: 제 1공유 유로
12: 제 2공유 유로 13: 공유 유로 분리판
20: 배기팬 30: 급기팬
40: 냉매 열교환 모듈 41: 제 1열교환기
42: 제 2열교환기 43: 팽창밸브
44: 냉매절환밸브 45: 압축기
52: 내기 챔버 54: 급기 챔버
56: 외기 챔버 58: 배기 챔버
62a: 제 1내기 댐퍼 62b: 제 2내기 댐퍼
64a: 제 1급기 댐퍼 64b: 제 2급기 댐퍼
68a: 제 1외기 댐퍼 68b: 제 2외기 댐퍼
68a: 제 1배기 댐퍼 68b: 제 2배기 댐퍼
70, 80; 공기 열교환 모듈 71, 81: 급기 열교환 유로
72, 82: 배기 열교환 유로 83 : 분리 유로
75a, 75b, 76a, 76b, 85a, 85b : 열교환 댐퍼
86a, 86b : 분리 댐퍼
90: 가이드

Claims (10)

  1. 외기가 실내측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와, 내기가 실외측으로 이동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압축기와 제 1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제 2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제 1열교환기 및 제 2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증발기로 기능하게 구비되는 냉매 열교환 모듈; 및
    상기 급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급기 열교환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기 열교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 내의 공기와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 내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게 구비되는 공기 열교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급기 유로 및 배기 유로 중, 어느 하나 상에는 상기 제 1열교환기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 상에는 상기 제 2열교환기가 배치되고,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 및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기 열교환 모듈은,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 및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 중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 열교환 유로를 우회하는 분리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유로는,
    상기 급기 유로 및 상기 배기 유로 중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가 속하는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며,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를 열고 상기 분리 유로를 닫는 열회수 모드, 및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를 닫고 상기 분리 유로를 여는 미회수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공기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의 외부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공기중으로 수분을 탈착시키게 구비되는 흡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급기 유로 상에서 상기 냉매 열교환 모듈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배기 유로 상에서 상기 냉매 열교환 모듈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의 외부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공기중으로 수분을 방출시키게 구비되는 흡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급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급기 유로 상에서 상기 냉매 열교환 모듈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열교환 유로는, 상기 배기 유로 상에서 상기 냉매 열교환 모듈과 열교환 하는 부분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의 상류 부분을 개폐하는 열교환 상류 댐퍼;
    상기 개폐 열교환 유로의 하류 부분을 개폐하는 열교환 하류 댐퍼; 및
    상기 분리 유로를 개폐하는 분리 댐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열교환 모듈은,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수행하는 증발기의 기능 및 응축기의 기능을 서로 전환시켜주는 냉매절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열교환기가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1열교환 모드, 및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2열교환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냉매 열교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 1공유 유로; 및
    상기 제 2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 2공유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열교환기 및 상기 제 2열교환기의 외부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공기중으로 수분을 탈착시키게 구비되는 흡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공유 유로가 상기 배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2공유 유로가 상기 급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유로 모드, 및 상기 제 1공유 유로가 상기 급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2공유 유로가 상기 배기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유로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제어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유로의 상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외기 챔버;
    상기 급기 유로의 하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급기 챔버;
    상기 배기 유로의 상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내기 챔버;
    상기 배기 유로의 하류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배기 챔버;
    상기 외기 챔버 및 상기 급기 챔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급기팬;
    상기 내기 챔버 및 상기 배기 챔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배기팬;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의 상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내기 댐퍼;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의 하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배기 댐퍼;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급기 유로의 상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외기 댐퍼;
    상기 제 1공유 유로와 상기 급기 유로의 하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1급기 댐퍼;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의 상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내기 댐퍼;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의 하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배기 댐퍼;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급기 유로의 상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외기 댐퍼; 및
    상기 제 2공유 유로와 상기 급기 유로의 하류 부분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 2급기 댐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70099759A 2017-08-07 2017-08-07 공기조화장치 KR10200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59A KR102003821B1 (ko) 2017-08-07 2017-08-07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59A KR102003821B1 (ko) 2017-08-07 2017-08-07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936A KR20190015936A (ko) 2019-02-15
KR102003821B1 true KR102003821B1 (ko) 2019-10-17

Family

ID=6536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759A KR102003821B1 (ko) 2017-08-07 2017-08-07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9835B2 (ja) * 2019-03-26 2024-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調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CN110207357B (zh) * 2019-06-04 2021-04-27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全热交换器及其控制方法与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3247A (ja) 2001-04-25 2002-11-08 Kimura Kohki Co Ltd 天井内熱回収機
KR100602438B1 (ko) * 2005-03-15 2006-07-19 에어컨뉴스닷컴 주식회사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환기장치
JP2008309364A (ja) 2007-06-12 2008-12-25 Toyo Eng Works Ltd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693A (ko) * 2015-01-12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3247A (ja) 2001-04-25 2002-11-08 Kimura Kohki Co Ltd 天井内熱回収機
KR100602438B1 (ko) * 2005-03-15 2006-07-19 에어컨뉴스닷컴 주식회사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환기장치
JP2008309364A (ja) 2007-06-12 2008-12-25 Toyo Eng Works Ltd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936A (ko)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2813B (zh) 调湿装置
US793089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AU200428042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00432554C (zh) 空气调节装置
KR101191615B1 (ko) 조습장치
KR101980549B1 (ko) 공기조화 장치
KR101973646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842641A (zh) 调湿装置
KR102003821B1 (ko) 공기조화장치
JP3695417B2 (ja) 調湿装置
JP6252703B1 (ja) 調湿装置
KR20190024396A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EP3256790B1 (en) Air conditioner
US7568355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WO2009130885A1 (ja) 調湿システム
KR101973648B1 (ko)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4599670B2 (ja) 調湿装置
JP3692977B2 (ja) 空気調和装置
JP4496821B2 (ja) 調湿装置
KR20190024394A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3649196B2 (ja) 調湿装置
JP6960282B2 (ja) デシカント空調装置
KR101984924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21244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5624185B1 (ja) 除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