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459B1 - 전원플러그의 구조 - Google Patents

전원플러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459B1
KR100949459B1 KR1020090009014A KR20090009014A KR100949459B1 KR 100949459 B1 KR100949459 B1 KR 100949459B1 KR 1020090009014 A KR1020090009014 A KR 1020090009014A KR 20090009014 A KR20090009014 A KR 20090009014A KR 100949459 B1 KR100949459 B1 KR 10094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ower
frame
power terminal
w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규
Original Assignee
성광기업주식회사
최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00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459B1/ko
Application filed by 성광기업주식회사, 최민규 filed Critical 성광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PCT/EP2010/051387 priority patent/WO2010089356A1/en
Priority to SG2011054095A priority patent/SG173147A1/en
Priority to EP10706174A priority patent/EP2394335A1/en
Priority to KR1020117020472A priority patent/KR101721080B1/ko
Priority to GB201019072A priority patent/GB2472347B/en
Priority to MYPI2011003481A priority patent/MY160211A/en
Priority to GB201019073A priority patent/GB2472348B/en
Priority to CN201080010322.4A priority patent/CN102439800B/zh
Priority to AP2011005860A priority patent/AP3969A/en
Priority to GB201001828A priority patent/GB2467644B/en
Priority to AU2010210118A priority patent/AU2010210118A1/en
Priority to US13/203,194 priority patent/US8936478B2/en
Priority to NZ59468710A priority patent/NZ5946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459B1/ko
Priority to US14/569,463 priority patent/US20150099402A1/en
Priority to AU2016203232A priority patent/AU201620323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나사와 같은 회전지지수단에 무리를 주지않고 전원단자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미사용시 대기전력의 소진을 방지하고, 미사용시 전원단자의 돌출로부터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원단자를 격리 및 수용시킴과 동시에 휴대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전원플러그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구조에 의하면 연결프레임의 양단에서 두개의 전원단자가 간격을 이루며 연결프레임과 결합되어 돌출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단 중심을 지점으로 회동하는 전원단자부와; 상기 전원단자부의 연결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 양단에서 전원단자의 돌출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개구부를 형성시키면서 연결된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지지프레임 양단을 지점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혀지고, 전원단자 방향으로 회동하여 펼쳐지는 좌, 우 윙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플러그, 전원단자, 콘센트, 윙바디, 어스단자

Description

전원플러그의 구조{.}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의 편리성을 구비하고, 보관 및 이동의 편리성을 고려한 전원플러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번호 제20-0218807호 "절전형 플러그"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하게 되는 모든 제품들은 국가마다 허용하는 규격에 적합하도록 다른 구조 및 형상을 가지고 있다.
특히, 영국 같은 국가는 어스단자를 포함하여 돌출된 2핀 전원단자로 이루어지고, 그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일본 또는 대한민국은 2핀 전원단자가 나란히 병설되어 이루어져 있고, 미국의 경우는 2핀 전원단자와 삼각형을 이루는 꼭지점 위치에 어스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거의 모든 국가들에 적용되는 전원플러그는 공통적으로 2핀 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선택적으로 어스단자 또는 어스홈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원플러그는 전원단자들과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케이블은 헤드에 의해서 외부와 절연되어 있다.
이러한 전원플러그는 대기전력 등의 소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후 콘센트에서 전원플러그를 분리한 다음 별도로 보관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원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매우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지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번호 제20-0218807호 "절전형 플러그"가 개시되어 콘센트와 전원플러그를 삽입된 상태에서도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공지의 예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회전하우징과 고정하우징을 고정나사로 회전가능하게 고정한 후 회전하우징을 회전시키면 전원플러그의 전원단자와 케이블이 회전하우징의 내부에서 전기적 접촉 또는 전기적 단락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은 고정나사의 고정은 회전하우징과 고정하우징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회전하우징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회전하우징과 고정하우징은 항시 일정한 힘으로 결합되어 있고, 이를 해제하여 회전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회전하더라도 반복적인 회전에 따라 고정나사가 느슨하게 되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이는 전기적 접촉 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나사와 같은 회전지지수단에 무리를 주지않고 전원단자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미사용시 대기전력의 소진을 방지하고, 미사용시 전원단자의 돌출로부터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원단자를 격리 및 수용시킴과 동시에 휴대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전원플러그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구조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도록,
연결프레임의 양단에서 두개의 전원단자가 간격을 이루며 연결프레임과 결합되어 돌출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단 중심을 지점으로 회동하는 전원단자부와;
상기 전원단자부의 연결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 양단에서 전원단자의 돌출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개구부를 형성시키면서 연결된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지지프레임 양단을 지점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혀지고, 전원단자 방향으로 회동하여 펼쳐지는 좌, 우 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으로는 어스단자를 더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스단자는 전원단자부가 회동하여 펼쳐지면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두께방향 중심으로는 상, 하로 연결프레임작동홈을 형성시키는 브릿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바의 폭방향으로는 스토퍼벽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 하 연결프레임작동홈은 스토퍼벽의 말단에 의해서 길이방향의 간격이 제한되고, 상기 전원단자부의 연결프레임 중심으로는 상기 브릿지바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두께방향 중심은 브릿지바가 삽입되는 회동도피공간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적용된 좌, 우 윙바디의 일측 양단으로는 회동홀이 형성된 피봇와셔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피봇와셔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에서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고, 겹쳐진 회동홀에 회동축이 삽입되어 좌, 우 윙바디가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좌, 우 윙바디의 일측면으로는 전원단자부의 연결프레임이 회전하여 지지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면 연결프레임을 도피시키는 연결프레임도피홈 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구조에 의하면, 각 나라마다 다른 전원플러그의 형상 및 규정에 적합하도록 변형가능하고, 수납 또는 이동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원단자부 및 윙바디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확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원단자가 회전하 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윙바디가 펼쳐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일단 및 타단은 대상물의 끝단을 의미하며, 양단은 상기 일단, 타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길이방향은 대상물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긴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100)는 회전되어 수납 또는 사용상태로 위치시키는 전원단자부(10), 전원단자부(10)를 사용하는 경우 전원단자부(10)를 고정시키는 윙바디(30), 전원단자부(10)와 윙바디(30)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전원단자부(10)는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좌, 우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으며, 이는 통상적인 전원플러그의 전원단자와 동일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원단자부(10)가 정, 역회전하면 사용 또는 수납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전원단자부(10)는 연결프레임(12)의 양단에서 위치하며, 이러한 양단의 중심을 지점으로 정, 역회전하게 된다.
전원단자부(10)의 연결프레임(12) 중심으로는 길이방향과 두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회동도피공간(14)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100)는 상기 회동도피공간(14)이 형성된 연결프레임(12)의 중심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전원단자부(10)가 돌출된 방향에서 후 방으로 연장된 손잡이부(2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20)는 상기 연결프레임(12)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지지프레임(22)의 두께방향 중심에서 상, 하로 연결프레임작동홈(24)이 형성된 브릿지바(26)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브릿지바(26)는 상기 연결프레임(12)의 회동도피공간(14)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연결프레임작동홈(24)은 연결프레임(12)이 회동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2)의 도피공간을 제공하여 연결프레임(12)이 브릿지바(26)의 상, 하면에 의해서 안내된다.
다시, 브릿지바(26)의 폭방향으로는 스토퍼벽(28)이 일체로 형성된다. 스토퍼벽(28)은 브릿지바(26)의 상, 하 연결프레임작동홈(24)의 폭과 길이를 제한하고, 전원단자부(10)가 수납되는 위치로 회동하는 경우 연결프레임(12)을 수용하여 지지프레임(22)과 동일한 길이방향에서 겹쳐지게 한다.
특히, 스토퍼벽(28)의 말단은 회동하는 연결프레임(12)이 걸려 그 회동을 구체적으로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원단자부(10)의 연결프레임(12)과 브릿지바(26)는 회동축(40)에 의해서 연결되며, 이러한 회동축(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부(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22)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개구부(29a)가 형성된 고정프레임(29)이 일정한 굵기를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프레임(29)의 개구부(29a)는 전원플러그(1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고리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러한 고정프레임(29)의 양측면으로는 후술하는 윙바디(30)가 접혀져 수납되는 경우 윙바디(30)의 두께를 도피시켜 고정프레임(29)의 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도록 하는 윙바디도피홈(29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1이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프레임(29)의 저면으로는 고정프레임(29) 내부로 퓨즈수납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퓨즈수납부(27)로는 퓨즈(50)가 설치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0)의 지지프레임(22) 양단으로는 지지프레임(22)을 지점으로 하여 손잡이부(20)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혀지거나 전원단자부 (10)방향으로 회동하여 펼쳐지도록 지지프레임(22)의 좌, 우로 윙바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윙바디(30)는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2)의 양단과 결합되는 윙바디(30)의 일측 양단으로 피봇와셔(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봇와셔(32)는 지지프레임(22)의 양단에서 회동가능하게 작동하도록 원형의 평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평면은 지지프레임(22)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특히 좌, 우에 설치되는 윙바디(30)의 피봇와셔(32)는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양단에서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어 서로 면접촉하게 되며, 평면 중심으로 회동축(38)이 형성되어 있다.
겹쳐진 피봇와셔(32)의 회동홀(34)으로도 회동축(38)이 삽입되어 좌, 우의 윙바디(30)를 지지프레임(22)의 길이방향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있다.
위와 같은 좌, 우의 윙바디(30) 일측면으로는 전원단자부(10)의 연결프레임(12)을 회전시키고, 윙바디(30)를 펼치게 되면 연결프레임(12)의 후면을 도피시키고, 고정시키는 연결프레임도피홈(3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전원플러그의 작동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전원플러그(100)는 도 3a와 같은 상태로 준비된다.
즉, 윙바디(30)는 손잡이부(20)의 개구부(29a)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전원단자부(10)는 지지프레임(22)과 길이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원단자부(10)의 연결프레임(12)은 지지프레임(22)의 스토퍼벽(28) 내측에서 위치하게 된다.
계속하여 전원단자부(10)를 콘센트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부(10)를 회동시켜 지지프레임(2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이때, 전원단자부(10)의 연결프레임(12)는 지지프레임(22) 상의 스토퍼벽(28)의 말단에 의해서 회동되는 각도가 한정, 제한된다.
이렇게 전원단자부(10)가 사용을 위한 회동된 상태에서 윙바디(30)를 펼치게 되면, 연결프레임(12)의 후면은 윙바디(30)의 연결프레임도피홈(36)으로 삽입되며, 이 연결프레임도피홈(36)에 의해서 연결프레임(12)의 작동은 회동이 제한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전원단자부(10)와 윙바디(30)의 회동은 회동축(38)에 의해서 회동축(38)을 지점으로 회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바디(30)는 콘센트에 삽입된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2)의 상단으로는 어스단자(60)를 더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어스단자(60)는 전원단자부(10)가 회동하여 펼쳐지면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세계 각국의 전원단자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도 7은 영국에서 적용될 수 있는 전원플러그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발명은 회동하는 전원단자부(10)와 사용시 감전 등을 방지하고, 콘센트의 형상에 적합한 윙바디(3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a, 3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원단자가 회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윙바디가 펼쳐지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원플러그의 윙바디가 콘센트에 삽입된 형상에 따라 변형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원플러그에 어스단자, 전원단자부가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영국형 전원플러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원단자부 12 : 연결프레임
14 : 회동도피공간 20 : 손잡이부
22 : 지지프레임 24: 연결프레임 작동홈
26 : 브릿지바 27 : 퓨즈 수납부
28 : 스토퍼벽 29 : 고정프레임
29a : 개구부 29b : 윙바디 도피홈
30 : 윙바디 32 : 피봇와셔
34 : 회동홀 36 : 연결프레임도피홈
38 : 회동축 40 : 회동축
50 : 퓨즈 60 : 어스단자 100 : 전원플러그 W : 전선

Claims (8)

  1. 삭제
  2. 연결프레임의 양단에서 두개의 전원단자가 간격을 이루며 연결프레임과 결합되어 돌출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단 중심을 지점으로 회동하는 전원단자부와;
    상기 전원단자부의 연결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 양단에서 전원단자의 돌출된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개구부를 형성시키면서 연결된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지지프레임 양단을 지점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혀지고, 전원단자 방향으로 회동하여 펼쳐지는 좌, 우 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으로는 어스단자를 더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스단자는 전원단자부가 회동하여 펼쳐지면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의 구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두께방향 중심으로는 상, 하로 연결프레임작동홈을 형성시키는 브릿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바의 폭방향으로는 스토퍼벽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 하 연결프레임작동홈은 스토퍼벽의 말단에 의해서 길이방향의 간격이 제한되고, 상기 전원단자부의 연결프레임 중심으로는 상기 브릿지바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두께방향 중심은 브릿지바가 삽입되는 회동도피공간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의 구조.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 윙바디의 일측 양단으로는 회동홀이 형성된 피봇와셔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피봇와셔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에서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고, 겹쳐진 회동홀에 회동축이 삽입되어 좌, 우 윙바디가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의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 윙바디의 일측면으로는 전원단자부의 연결프레임이 회전하여 지지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면 연결프레임을 도피시키는 연결프레임도피홈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의 구조.
  8. 삭제
KR1020090009014A 2009-02-04 2009-02-04 전원플러그의 구조 KR10094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014A KR100949459B1 (ko) 2009-02-04 2009-02-04 전원플러그의 구조
GB201001828A GB2467644B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EP10706174A EP2394335A1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KR1020117020472A KR101721080B1 (ko) 2009-02-04 2010-02-04 전기 플러그
GB201019072A GB2472347B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assembly
MYPI2011003481A MY160211A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PCT/EP2010/051387 WO2010089356A1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CN201080010322.4A CN102439800B (zh) 2009-02-04 2010-02-04 电插头
AP2011005860A AP3969A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SG2011054095A SG173147A1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AU2010210118A AU2010210118A1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US13/203,194 US8936478B2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NZ59468710A NZ594687A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GB201019073A GB2472348B (en) 2009-02-04 2010-02-04 Electrical plug
US14/569,463 US20150099402A1 (en) 2009-02-04 2014-12-12 Electrical plug
AU2016203232A AU2016203232A1 (en) 2009-02-04 2016-05-18 Electrical Pl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014A KR100949459B1 (ko) 2009-02-04 2009-02-04 전원플러그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459B1 true KR100949459B1 (ko) 2010-03-29

Family

ID=4218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014A KR100949459B1 (ko) 2009-02-04 2009-02-04 전원플러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4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10Y1 (ko) * 2018-01-02 2018-09-04 이대원 전기 플러그
CN108512000A (zh) * 2018-06-01 2018-09-07 常熟利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英规电源线插头
KR20230119955A (ko) 2022-02-08 2023-08-16 양경호 전원 플러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887Y1 (ko) * 2003-03-20 2003-06-19 서림전자(주) 어댑터용 플러그 절첩구조
JP2005322571A (ja) 2004-05-11 2005-11-17 Techno Core International Kk プラグを備えた器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887Y1 (ko) * 2003-03-20 2003-06-19 서림전자(주) 어댑터용 플러그 절첩구조
JP2005322571A (ja) 2004-05-11 2005-11-17 Techno Core International Kk プラグを備えた器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10Y1 (ko) * 2018-01-02 2018-09-04 이대원 전기 플러그
CN108512000A (zh) * 2018-06-01 2018-09-07 常熟利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英规电源线插头
KR20230119955A (ko) 2022-02-08 2023-08-16 양경호 전원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3086B2 (ja) コンセント装置
JP4484885B2 (ja) プラグアダプタ
CN102439800A (zh) 电插头
KR100949459B1 (ko) 전원플러그의 구조
KR950026066A (ko) 건전기 충전기를 위한 접철식 플러그
US10181671B2 (en) Opening/closing plug device
JP6027174B2 (ja) 電源プラグ
TW200915682A (en) Connector
ES2389165T3 (es) Terminal de placa de circuito impreso
CN208970867U (zh) 可转动的插排
KR100936697B1 (ko) 수납케이스 일체형 전원플러그
KR100619885B1 (ko)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JP5887528B2 (ja) 電気車両用充電装置
US8212186B2 (en) Plug-in heater for hot curlers
KR101288472B1 (ko) 멀티탭
EP0088670A1 (fr) Meuble à porte pivotante, notamment un réfrigérateur, ayant un circuit électrique d'utilisation placé dans la contre-porte
KR101569717B1 (ko) 절전형 회전 콘센트
JP3121285U (ja) 回転スイッチを有するコンセント
KR20120050705A (ko) 멀티 탭
CN212848942U (zh) 一种电源插头
KR101207032B1 (ko) 멀티탭
CN210016032U (zh) 一种具有旋转出线的插座及具有旋转出线、卡线的插座
CN215834804U (zh) 折叠式的电源插头
KR200215682Y1 (ko) 회전식 손잡이를 갖는 플러그
CN210866585U (zh) 电源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