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310Y1 -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310Y1
KR200487310Y1 KR2020180000014U KR20180000014U KR200487310Y1 KR 200487310 Y1 KR200487310 Y1 KR 200487310Y1 KR 2020180000014 U KR2020180000014 U KR 2020180000014U KR 20180000014 U KR20180000014 U KR 20180000014U KR 200487310 Y1 KR200487310 Y1 KR 200487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ody
electric
plug
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원
Original Assignee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20180000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3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콘센트로 부터의 분리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전기 플러그의 이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선 케이블(10)이 일측에 연결되는 플러그 몸체(20)와, 상기 플러그 몸체(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전선 케이블(10)을 통해 안내된 전원선(W)과 플러그 몸체 내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자부(21)로 구성되는 전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전선 케이블(10)은 플러그 몸체(20)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일단부에서 원형 형상의 고리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11)와 플러그 몸체(20)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회동링(30)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ELECTRIC FLUG}
본 고안은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와의 착탈에 따른 사용이 이루어지는 전기 플러그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전기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제품에는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전선 및 플러그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플러그는 현재 가정용 전자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110V용 및 220V용 플러그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플러그의 종래 일 예로,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1998-013964호에서는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함께 플러그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전기플러그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전기 플러그는 콘센트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플러그 몸체를 잡고 당기는 힘을 가하게 되는데, 플러그 몸체가 콘센트로 부터 노출부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당기는 과정에서 손이 미끄러지는 현상 등이 발생하여 전기 플러그를 콘센트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기 플러그를 콘센트로 부터 분리시키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서 전기 플러그의 이용 편의성 및 안전 사고발생을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전선 케이블이 일측에 연결되는 플러그 몸체와, 상기 플러그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어 전선 케이블을 통해 안내된 전원선과 플러그 몸체 내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자부로 구성되는 전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전선 케이블은 플러그 몸체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일단부에서 원형 형상의 고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와 플러그 몸체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회동링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에서는 전선 케이블을 통해 안내된 2개의 전원선이 각각 양측으로 분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전기 플러그는, 플러그 몸체에 연결되어 있는 고리부를 이용하여 콘센트로 부터의 분리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 전기 플러그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고리부가 회동링에 의해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주변 상황에 따라 고리부를 적절한 각도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콘센트 결합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의 전기 플러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의 전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의 전기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동링 부분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동링 부분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회동링 동작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전기 플러그는, 전선 케이블(10)이 일측에 연결되는 플러그 몸체(20)와, 상기 플러그 몸체(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전선 케이블(10)을 통해 안내된 2개의 전원선(W)과 플러그 몸체(20) 내에서 개별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자부(2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 케이블(10)은 플러그 몸체(20)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일단부에서 원형 형상의 고리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11)와 플러그 몸체(20)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회동링(30)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전선케이블(10)과 고리부(11) 그리고 회동링(30)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회동링(30)과 플러그 몸체(20) 상호간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이 이루어진 구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리부(11)에서는 전선 케이블(10)을 통해 안내된 2개의 전원선(W)이 각각 양측으로 분기되어지며, 플러그 몸체(20) 내에는 고리부(11)에서 분기되어진 2개의 전원선(W)을 단자부(21) 측으로 유도함과 함께 접촉 방지를 위한 격막(22)이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전기 플러그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전기 플러그는 플러그 몸체(20)와 전선 케이블(10) 사이에 고리부(11)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센트(40)로 부터 플러그를 분리시키는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콘센트(40)에 연결 되어져 있는 전기 플러그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러그 몸체(20)를 잡지 않고 고리부(11)에 손가락을 넣은 후 당김력을 가하게 되면 콘센트(40)로 부터의 분리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의 전기 플러그는 고리부(11)가 회동링(30)에 의해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주변 상황에 따라 고리부(11)를 적절한 각도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기 플러그는 콘센트(40)에 일정 깊이로 매립됨으로 인해 파지가 어려운 플러그 몸체(20)를 잡을 필요 없이 고리부(11)를 이용하여 콘센트(40)로 부터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회동링(30)의 일단부에는 가이드돌기(35)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35)와 대응되는 플러그 몸체(20) 측에는 회동링(3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25)이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회동링(30)은 고리부(11)와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걸림턱(25)이 플러그 몸체(20)의 내벽면에 구성되어지도록 함으로서 가이드돌기(35)의 회동 각도를 일정 범위로 제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링(30)의 회동각도가 일정 각도범위 내로 제한되어지는 구성을 이루게 되면, 사용 과정에서 고리부(11)를 과하게 회동시킴에 따라 플러그 몸체(20) 내로 안내되어져 있는 2개의 전원선(W)이 꼬이거나 단락되는 현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회동링(30)에는 돌출부(36)가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36) 양측에는 복원스프링(26)이 대칭 형태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복원스프링(26)의 일단부는 플러그 몸체(20)의 내벽면에 일체로 구성된 지지부(27)에 연결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지지부(27) 양측에 연결되어져 있는 복원스프링(26)의 탄성 복원력이 항상 회동링(30)에 작용되어짐으로서 고리부(11)를 회동시킨 후에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원스프링(26)의 작용에 의해 회동링(30)의 회동각도가 일정 범위내에서 제한되어지게 됨으로 전원선(W)이 플러그 몸체(20) 내부에서 꼬이거나 단락되는 현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전기 플러그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 예의 도면에서는 플러그 몸체(20)가 납작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전선 케이블 11 : 고리부
20 : 플러그 몸체 21 : 단자부
22 : 격막 30 : 회동링
40 : 콘센트
W : 전원선

Claims (5)

  1. 전선 케이블(10)이 일측에 연결되는 플러그 몸체(20)와, 상기 플러그 몸체(20)의 타측에 결합되어 전선 케이블(10)을 통해 안내된 전원선(W)과 플러그 몸체 내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자부(21)로 구성되는 전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전선 케이블(10)은 플러그 몸체(20)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일단부에서 전선 케이블(10)을 통해 안내된 2개의 전원선(W)이 각각 양측으로 분기되도록 원형 형상의 고리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11)와 플러그 몸체(20)가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고리부(11)와 플러그 몸체(20) 사이가 회동링(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동링(30)에는 돌출부(36)가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36) 양측에는 복원스프링(26)이 대칭 형태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복원스프링(26)의 일단부는 플러그 몸체(20)의 내벽면에 일체로 구성된 지지부(27)에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0014U 2018-01-02 2018-01-02 전기 플러그 KR200487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14U KR200487310Y1 (ko) 2018-01-02 2018-01-02 전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14U KR200487310Y1 (ko) 2018-01-02 2018-01-02 전기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310Y1 true KR200487310Y1 (ko) 2018-09-04

Family

ID=6358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014U KR200487310Y1 (ko) 2018-01-02 2018-01-02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3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76B1 (ko) * 2019-09-04 2020-11-23 김서현 각도 조절이 가능한 플러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82Y1 (ko) * 2000-09-21 2001-03-15 주식회사마이디지털 회전식 손잡이를 갖는 플러그
JP2004335375A (ja) * 2003-05-09 2004-11-25 Sugimoto Denki Kk 電源プラグ
KR100949459B1 (ko) * 2009-02-04 2010-03-29 성광기업주식회사 전원플러그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82Y1 (ko) * 2000-09-21 2001-03-15 주식회사마이디지털 회전식 손잡이를 갖는 플러그
JP2004335375A (ja) * 2003-05-09 2004-11-25 Sugimoto Denki Kk 電源プラグ
KR100949459B1 (ko) * 2009-02-04 2010-03-29 성광기업주식회사 전원플러그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76B1 (ko) * 2019-09-04 2020-11-23 김서현 각도 조절이 가능한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70590B2 (ja) 電気プラグ
US2673968A (en) Self-piercing electrical connector plug
US3958849A (en) Electrical plug
WO2020133599A1 (zh) 带新型防尘门机构的电插塞连接器及模组
US3163481A (en) Clasp for holding an attachment plug to an electrical outlet
JP2007535793A (ja) 感電を防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A3058247A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locking electrical plugs to power outlets
US2869102A (en) Adjustable cord take-off for attachment plugs
KR200487310Y1 (ko) 전기 플러그
CN100433456C (zh) 用于电连接插座/插头的触点座单元
KR20190127129A (ko)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US8771006B1 (en) Plug removal tool and method
KR101323598B1 (ko) 멀티탭
NO123088B (ko)
US2340703A (en) Metal strain relief
US2920304A (en) Locking electrical cap and connector
WO2017031497A1 (en) Cable strain relief device with grip member
KR200419477Y1 (ko) 플러그 분리수단을 구비한 멀티탭
KR20070092568A (ko) 전원플러그
US1984016A (en) Connecter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20190076501A (ko) 인출형 멀티 콘센트
TWI701870B (zh) 插座改良結構
US2180020A (en) Electrical outlet and plug
US2463542A (en) Skeleton cord g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