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955A - 전원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원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955A
KR20230119955A KR1020220016351A KR20220016351A KR20230119955A KR 20230119955 A KR20230119955 A KR 20230119955A KR 1020220016351 A KR1020220016351 A KR 1020220016351A KR 20220016351 A KR20220016351 A KR 20220016351A KR 20230119955 A KR20230119955 A KR 20230119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utlet
conductive
power plug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호 filed Critical 양경호
Priority to KR102022001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955A/ko
Publication of KR2023011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개념의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콘센트에 배열되는 복수의 삽입구 각각에 서로 다른 극성의 두 전극을 개별 단자봉의 직경 또는 폭과 대체로 일치하는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하고, 플러그에 구비된 2개의 단자봉을 절연성 재질의 절연부와, 절연부의 일측면으로 노출되는 전도성 금속 재질의 단자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각각의 단자봉이 콘센트에 배열된 임의의 두 삽입구를 통해서 삽입되면 각각의 단자봉의 절연부 및 도전부가 콘센트의 서로 다른 극성의 두 전극과 동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플러그{Plug}
본 발명은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배열되는 복수의 삽입구 각각에 서로 다른 극성의 두 전극을 나란하게 배열하고, 플러그에 구비된 2개의 단자봉이 절연성 재질의 절연부와, 절연부의 일측면으로 노출되는 전도성 금속 재질의 도전부로 구성되어, 각각의 단자봉의 절연부와 도전부가 콘센트의 서로 다른 극성의 두 전극에 동시에 접촉하면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콘센트는 플러그와의 결합을 통해 각종 전자제품 등의 전기기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 벽면에 매립되거나 혹은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하며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 형태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콘센트 및 플러그의 전기적인 접속은 콘센트에 형성된 구멍으로 플러그의 단자를 삽입시켜 상기 단자가 콘센트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편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전원이 도통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각종 전기, 전자제품의 전원접속을 위한 플러그는 하우징(플러그 몸체)의 형상과 크기가 통일되지 않은 다양한 상태로 제각기 제작되기 때문에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을 때, 특히 일자형 멀티 콘센트에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된 삽입구에 플러그를 삽입하여 접속시키려 할 때 플러그 간의 간섭이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접속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945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502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에 배열되는 복수의 삽입구 각각에 서로 다른 극성의 두 전극을 개별 단자봉의 직경 또는 폭과 대체로 일치하는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하고, 플러그에 구비된 2개의 단자봉이 절연성 재질의 절연부와, 절연부의 일측면으로 노출되는 전도성 금속 재질의 단자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콘센트에 배열된 임의의 두 삽입구를 통해서 단자봉이 삽입되더라도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개념의 전원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는, 플러그하우징과, 상기 플러그하우징의 일측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콘센트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콘센트 내부에서 상기 삽입구의 양측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서로 다른 극성의 두 전극과 접촉하여 통전되는 2개의 단자봉을 갖는 전원 플러그로서, 상기 2개의 단자봉 각각은 상기 플러그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콘센트의 전극과 접촉하는 절연성 재질의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절연부와 접촉하는 전극과 반대 극성의 전극과 동시에 접촉하게 되는 전도성 금속 재질의 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단자봉의 도전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원형 봉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도전부는 절연부의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10°~ 180°의 각도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도전부는 절연부의 한 쪽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단자봉에 형성된 도전부는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단자봉에 형성된 도전부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플러그에 구비된 2개의 단자봉이 절연성 재질의 절연부와, 절연부의 일측면으로 노출되는 전도성 금속 재질의 단자부로 구성되어, 두 단자봉을 콘센트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임의의 두 삽입구에 삽입하면 각각의 단자봉의 절연부 및 도전부가 콘센트의 서로 다른 극성의 두 전극과 동시에 접촉하여 도전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원 플러그의 단자봉을 콘센트에 배열되어 있는 임의의 두 삽입구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원 플러그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전원 플러그의 변형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의 단자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는 격자형 콘센트의 평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 플러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100)는, 절연성 수지 재질로 된 플러그하우징(110)과, 상기 플러그하우징(110)의 일측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콘센트(200)에 형성된 삽입구(210)를 통해 삽입되어 콘센트 내부의 전극(220 또는 230)과 접촉하여 통전되는 2개의 단자봉(120)과, 상기 플러그하우징(110)의 일단을 통해 상기 단자봉(12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케이블(130)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단자봉(120)은 플러그하우징(110)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콘센트(200)의 전극(220 또는 230)과 접촉하는 절연성 재질의 절연부(121)와, 상기 절연부(121)의 일측면으로 노출되어 콘센트(200)의 전극(220 또는 230)과 접촉하면서 통전하는 전도성 금속 재질의 도전부(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2개의 단자봉(120)의 도전부(1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노출되어, 어느 한 단자봉(120)의 도전부(122)가 전극(220 또는 230)과 접촉할 때, 다른 한 단자봉(120)의 도전부(122)가 반대 극성의 전극(220 또는 230)과 접촉하면서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단자봉(120)의 도전부(122)가 전극(220 또는 230)과 접촉할 때 절연부(121)는 인접하고 있는 반대 극성의 전극(220 또는 230)과 접촉하게 되는데, 절연부(121)는 절연성의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절연부(121)가 전극(220 또는 230)과 접촉하더라도 절연부(121)를 통해서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
반대로 도전부(122)는 구리와 같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되어 전극(220 또는 230)과 접촉하게 되면 전기가 흐르게 된다. 도전부(122)는 플러그하우징(110) 내부에서 전원케이블(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도전부(122)는 절연부(121)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즉, 도전부(122)는 절연부(1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만큼만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절연부(121)가 원형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전부(122)는 절연부(121)의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대략 10°~ 180°의 각도 범위로, 바람직하기로 10°~ 90°의 각도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봉(122)이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전부(122)가 절연부(121)의 한쪽 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봉(122)은 절반은 도전부(122)로, 나머지 절반은 절연부(121)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전부(122)의 상하방향 길이는 절연부(1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전부(122)와 절연부(121)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제조 방식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2개의 단자봉(120)에 형성된 도전부(122)의 길이와 위치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양한 길이와 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콘센트(200)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원 플러그(100)의 단자봉(120)이 삽입되는 원형으로 된 복수의 삽입구(210)가 일렬로 배열되고, 각각의 삽입구(210)의 하측에 전극(220 또는 230)이 단자봉(120)의 직경 또는 폭과 대체로 일치하는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원 플러그(100)의 두 단자봉(120)을 콘센트(200)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임의의 두 삽입구(210)를 통해 삽입하면, 예를 들어 어느 한 단자봉(120)의 도전부(122)는 + 전극(220)과 접촉하고 절연부(121)는 - 전극(230)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한 단자봉(120)의 도전부(122)는 - 전극(230)과 접촉하고 절열부(121)는 + 전극(220)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 플러그(100)의 두 단자봉(120)을 콘센트(200)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임의의 두 삽입구(210)에 삽입하면, 각각의 단자봉(120)에 형성된 도전부(122)가 콘센트(200)의 서로 반대 극성의 전극(220, 230)과 접촉함과 동시에 각각의 절연부(121)는 도전부(122)와는 반대 극성의 전극과 접촉하면서 단락( short-circuit)이 발생하지 않고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전기제품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100) 및 콘센트(200)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콘센트(200)에 삽입구(210)가 2열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각 열의 삽입구(210)의 하측에 서로 반대 극성을 갖게 되는 두 전극(220, 230)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전극(220, 230)이 2열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전원 플러그(100)에 구비된 2개의 단자봉(120)의 절연부(121)에 도전부(122)가 각각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원 플러그(100)의 어느 한 단자봉(120)을 콘센트(200)에 2열로 배열된 삽입구(210) 중 어느 한 열의 삽입구(210)의 삽입하고, 다른 한 단자봉(120)을 다른 한 열의 삽입구(210)에 삽입하면, 각각의 단자봉(120)의 절연부(121)와 도전부(122)가 각 열의 전극(220, 230)에 동시에 접촉하면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 및 도 7a,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플러그(100)의 단자봉(12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2개의 단자봉(120)에 구성되는 도전부(122)의 위치 및/또는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안전 규정에 따르면, 콘센트(200)의 전극(220, 230)은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5㎜ 이상)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 안전 규정에 따라 전극(220, 230)간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 유지하기 위하여 두 전극(220, 230)을 사선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콘센트(200)의 전극(220, 230)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콘센트(200)의 전극(220, 230)의 위치에 따라 플러그(100)의 각 단자봉(120)에 형성되는 도전부(122)를 상하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거나,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2개의 단자봉(120)에 형성되는 도전부(122)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즉 한 쪽은 상대적으로 짧고, 다른 한 쪽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도 7a는 2개의 단자봉(120)의 측면 전방측 및 측면 후방측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도전부(122)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7b는 2개의 단자봉(120)의 측면 좌측 및 측면 우측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도전부(122)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단자봉(120)의 도전부(122)와 콘센트(200)의 전극(220, 230)이 모두 원형봉 형태를 갖는 경우, 도전부(122)와 전극(220, 230)이 점접촉하여 접촉 면적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전기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봉(120)의 도전부(122) 및/또는 콘센트(200)의 전극(220, 230)을 평판 형태로 구성하여 서로 면접촉하거나 선접촉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도 7b 참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플러그(100)를 구성하는 단자봉(120)의 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단자봉(120)을 구성하는 도전부(122)의 상단에는 플러그하우징(110; 도 1 참조)의 내부에서 전원케이블(130)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자형의 연결부(123)가 일체로 형성되고, 도전부(122)와 연결부(123) 사이는 절연부(121) 내부로 매몰되는 브리지부(12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전부(122)는 외면이 편평한 평면으로 된 사각 봉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이와 다르게 도전부(122)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거나, 외면만 편평한 원형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원 플러그(100)의 단자봉(12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원형 봉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자봉(120)이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단자봉(120)의 절연부(121)는 긴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전부(122)는 절연부(121)의 한쪽 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원 플러그(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콘센트(200) 내부에 전극(220, 230)이 1열 또는 복수열로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 콘센트(200)의 임의의 두 삽입구(210)를 통해 단자봉(120)이 삽입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전극(220, 230)이 가로 및 세로로 격자 형태로 배열된 구조의 콘센트(200)의 임의의 두 삽입구(210)를 통해 단자봉(120)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원 플러그 110 : 플러그하우징
120 : 단자봉 121 : 절연부
122 : 도전부 123 : 연결부
124 : 브리지부 130 : 전원케이블
200 : 콘센트 210 : 삽입구
220, 230 : 전극

Claims (6)

  1. 플러그하우징(110)과, 상기 플러그하우징(110)의 일측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콘센트(200)에 형성된 삽입구(210)를 통해 삽입되어 콘센트 내부에서 상기 삽입구(210)의 양측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전극(220, 230)과 접촉하여 통전되는 2개의 단자봉(120)을 갖는 전원 플러그로서,
    상기 2개의 단자봉(120) 각각은 상기 플러그하우징(110)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콘센트(200)의 전극(220 또는 230)과 접촉하는 절연성 재질의 절연부(121)와, 상기 절연부(121)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절연부(121)와 접촉하는 전극과 반대 극성의 전극(220 또는 230)과 동시에 접촉하게 되는 전도성 금속 재질의 도전부(122)를 포함하는 전원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자봉(120)의 도전부(1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121)는 원형 봉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도전부(122)는 절연부(121)의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10°~ 180°의 각도 범위로 형성되는 전원 플러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121)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도전부(122)는 절연부(121)의 한 쪽 측면에 형성되는 전원 플러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자봉(120)에 형성된 도전부(122)는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형성된 전원 플러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자봉(120)에 형성된 도전부(122)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전원 플러그.
KR1020220016351A 2022-02-08 2022-02-08 전원 플러그 KR20230119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351A KR20230119955A (ko) 2022-02-08 2022-02-08 전원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351A KR20230119955A (ko) 2022-02-08 2022-02-08 전원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955A true KR20230119955A (ko) 2023-08-16

Family

ID=8784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351A KR20230119955A (ko) 2022-02-08 2022-02-08 전원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95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023Y1 (ko) 1999-10-05 2000-03-15 정진방 전기플러그 단자와 45각도 사선방향으로 전원코드배선이배치된 일체형 전기플러그 하우징
KR100949459B1 (ko) 2009-02-04 2010-03-29 성광기업주식회사 전원플러그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023Y1 (ko) 1999-10-05 2000-03-15 정진방 전기플러그 단자와 45각도 사선방향으로 전원코드배선이배치된 일체형 전기플러그 하우징
KR100949459B1 (ko) 2009-02-04 2010-03-29 성광기업주식회사 전원플러그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16024B2 (en) Terminal block having a connector
TW202013825A (zh) 卡緣連接器
CN107004822B (zh) 电池配线模块
US4734043A (en) Modular jack
KR102009113B1 (ko) 고전류 전기 단자
JPS6262026B2 (ko)
US10148030B2 (en) Insulating body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unit
AU2007350603B2 (en) Electrical connector
RU2016147393A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клемма
KR20140038343A (ko) Oled 발광체를 갖는 램프용 소켓
US7335069B1 (en) Plugless normally-open connector module
JP4074691B2 (ja) 一対の導電ピンと必要に応じて1つの接地ピンを有する電気器具プラグ用のプラグブリッジ
US8162679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US7329131B1 (en)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JP2016195038A (ja) プラグ
CN109792118B (zh) 连接器
KR20230119955A (ko) 전원 플러그
EP2705574B1 (en) High-voltage resistance cable termination
JPWO2020262138A5 (ko)
KR101028102B1 (ko) 멀티탭
CN219610869U (zh) 一种电力轨道及取电插座
US11088487B1 (en) Outdoor socket structure
JP3746445B2 (ja) コンセント
US2351630A (en) Electricity conductor unit
KR200432944Y1 (ko) 버스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