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219B1 -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219B1
KR100947219B1 KR1020070135602A KR20070135602A KR100947219B1 KR 100947219 B1 KR100947219 B1 KR 100947219B1 KR 1020070135602 A KR1020070135602 A KR 1020070135602A KR 20070135602 A KR20070135602 A KR 20070135602A KR 100947219 B1 KR100947219 B1 KR 100947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as
solenoid valve
conduit
pip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815A (ko
Inventor
손승호
Original Assignee
손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호 filed Critical 손승호
Priority to KR102007013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2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에서 추락시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건물 바닥주변에 설치된 완충매트가 공기와 가스에 의하여 펼쳐져 추락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추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의 신호를 인식하여 가스 및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메인제어부의 신호로 가스 및 공기가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가압공급장치와; 상기 가압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및 공기에 의하여 신속히 펼쳐지도록 설치되는 완충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층건물의 지상 주변에 추락 감지시 3단 완충매트를 가스와 공기로 신속히 펼쳐 추락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파트, 고층, 추락, 완충매트, 센서, 낙하

Description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PREVENTION APPARATUS OF DEATH FROM FALLING FROM HIGH BUILDING}
본 발명은 아파트를 포함한 고층건물에 사용되는 추락사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에서 수직으로 낙하하는 인체 또는 물체가 감지되면 지상의 완충매트가 펼쳐지도록 하여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과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사람들은 좀더 쾌적한 생활을 기대하게 되었고, 그러한 기대에 부응하고 좁은 토지의 활용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물을 고층으로 건축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아파트를 포함한 각종 건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토지의 활용도와 생활의 질적 향상을 이룰 수는 있었으나, 고층 건물에서 실수나 고의로 사람이 추락하여 크게 다치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되고 있다.
근래에는 고층 아파트에 살거나 고층건물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아 고층건물에서 사람이 실수에 의해 추락하는 경우는 많이 감소 되었지만, 각종 원인으로 인하여 고층건물에서 투신자살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 러나, 이를 예방하거나 추락하는 사람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제시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한국 특허공개 제1995-3582호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시스템" 은, 베란다에 위치한 사람을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후 인체 감지시그널의 레벨 및 레벨 변환에 따라 경보장치를 구동시키고 베란다의 이중난간을 구동시킴으로서 어린이가 베란다에서 이탈시 이중난간에 의하여 보호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특허공개 제2006-14496호 " 추락사 방지 에어백 시스템"은, 아파트나 고층건물 벽면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건물 하단에 설치된 에어백 작동장치로 에어백을 팽창시켜 추락에 의한 사고를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추락사 방지 에어백 시스템은, 자동차의 에어백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한 순간에 질소가스에 의하여 펼쳐지는 대형 에어백의 팽창 지속 문제와, 건물 주변에 다수의 에어백 작동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건물 특히, 고층 아파트 등의 고층에서 추락시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건물 바닥주변에 설치된 완충매트를 펼쳐 추락사를 방지하는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매트를 3단구조로 하여 추락사고로부터 안정하게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매트에 공기와 가스를 동시에 공급하여 신속하고 정확히 펼쳐지도록 하는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는,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 외벽에 인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추락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인식하여 가스 및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메인제어부의 신호로 가스 및 공기가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가압공급장치와; 상기 가압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및 공기에 의하여 신속히 펼쳐지도록 설치되는 완충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추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경비실에 화상으로 알리도록 설치된 감시 모니터와, 가압공급장치의 관로를 개폐하여 공기량 및 가스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와, 공기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고속터빈 등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는, 아파트 및 고층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추락 감지시 건물의 하단의 완충매트를 팽창시켜 추락사하는 것 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파트 등 고층건물에서 부주의, 실수, 투신에 의해 추락하는 사람이나 물체가 완충매트 위로 떨어지도록 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완충매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와; 감지센서(2)의 신호를 인식하여 가스 및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4)와; 메인제어부(4)의 신호로 가스 및 공기가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가압공급장치(6)와; 상기 가압공급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및 공기에 의하여 신속히 펼쳐지도록 설치되는 완충매트(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감지센서(2)는,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10) 외벽에 추락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일정 형태로 다수 배열 설치된다. 특히, 발코니 측과 창문이 설치된 외벽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2)는, 추락 감지가 용이하도록 일렬 및 2열 등 다양한 배치 방법을 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감지센서(2)는, 인체와 경량 물체의 추락을 구분하기 위하여 낙하속 도 감지나 감지 거리 등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 착오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지센서(2)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감지하거나 그 감지된 값의 변화에 따라 인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메인제어부(4)는, 추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와, 경비실에 화상으로 알리도록 설치된 감시 모니터(18)와, 가압공급장치(6)의 관로(P)를 개폐하여 공기량 및 가스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V)와, 공기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고속터빈(1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가압공급장치(6)는, 에어가 충전된 에어탱크(20)와, 가스가 충전된 가스탱크(22)와; 완충매트(8)에 상기 에어탱크(20) 및 가스탱크(22)의 에어와 가스가 공급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관로(P)와; 메인제어부(4)의 신호에 의하여 에어와 가스의 공급 방향이 전환되도록 관로(P)의 다수 위치에 설치된 전자밸브(V)와; 상기 전자밸브(V)에 의하여 열린 관로(P)를 통해 신속히 공기가 공급되도록 일측 관로(P)에 설치된 고속터빈(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에어탱크(20)는, 상시 일정 압력의 에어가 충전되어 있으며, 완충매트(8)에 에어를 공급한다. 그리고, 에어탱크(20)에 대한 에어 충전은 대용량 콤푸레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완충매트(8))는, 다공 소재로 바닥을 형성하는 다공부재(24)와, 상기 다공부재(24)의 상부에 통기공(26)을 형성한 공기쳄버(28)와, 상기 공기쳄버(28)의 상부에 공기와 가스가 동시에 충전되도록 형성되는 가스쳄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다공부재(24)는, 스폰지 등으로 제작되며, 비사용시는 진공 압축으로 수납되며, 공기 공급에 의하여 저층 추락시 충격이 흡수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공기쳄버(28)는, 고속터빈(16)으로 공급되는 에어가 충전되며, 측면이 통기공(26)이 설치되어 있어 일정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가스쳄버(30)는, 인화성이 없는 가스 및 공기가 충전되어 완충매트(8)의 상부가 원활히 펴지도록 한다.
상기 관로(P)는, 에어탱크(20)에 연결 설치된 제1관로(P1)와, 제1관로(P1)에서 분기 형성되어 가스쳄버(30)에 연결되는 제4관로(P4)와, 상기 제1관로(P1)에 공기가 다공부재(24)에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5관로(P5)와, 상기 제1관로(P1)에서 다른 가압공급장치로 에어가 전자밸브(V)에 의하여 가변적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10관로(P10)와, 상기 제10관로(P10)를 통해 다공부재(24)에 에어가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6관로(P6)와, 상기 제10관로(P10)를 통해 에어쳄버(28)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7,8관로(P7)(P8)와, 상기 제10관로(P10)에 공기의 가압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고속터빈(16)에 연결되는 제2관로(P2)와, 상기 가스탱크(22)에 연결되어 제3관로(P3)에 가스가 가스쳄버(30)에 공급되도록 연장 연결되는 제9관로(P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관로(P)는, 건물의 구조와 완충매트(8)의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밸브(V)들이 설치된 배출측 상기 관로(P)에는 유량과 압력을 나타내는 유량/압력계(32)들이 설치된다. 상기한 유량/압력계(32)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량 및 가스량을 메인제어부(4)가 인식하여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전자밸브(V)는, 제1관로(P1)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공기 공급을 단속하는 제1전자밸브(V1)와, 제2관로(P2)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고속터빈(16)의 가압을 단속하는 제2전자밸브(V2)와, 상기 제1관로(P1)에서 분기된 제4관로(P4)에 설치되어 가스쳄버(30)에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하는 제4전자밸브(V4)와, 상기 제1관로(P1)에서 연장 설치되어 다공부재(24)에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하는 제5전자밸브(V5)와, 상기 제1관로(P1)에서 분기되는 제10관로(P10)에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하는 제10전자밸브(V10)와, 상기 제10관로(P10)에서 분기되는 제6관로(P6)에 다공부재(24)로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하는 제6전자밸브(V6)와, 상기 제10관로(P10)에서 분기되는 제7,8관로(P7)(P8)에 설치되어 공기쳄버(28)에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하는 제7,8전자밸브(V7)(V8)와, 상기 가스탱크(22)에 연결되는 제3관로(P3)에 설치되어 가스 공급을 단속하는 제3전자밸브(V3)와, 상기 제3관로(P3)에서 연장되어 가스쳄버(30)에 연결되는 제9관로(P9)에 가스 공급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제9전자밸브(V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자밸브(V)는, 관로(P)의 설계와 건물의 구조에 따라 설치위치 및 수량의 가감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아파트 및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서 추락사고가 발생되면 고층건물(10)의 외벽에 2개 이상 설치된 감지센서(2)가 추락하는 인체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2)에 의한 감지신호를 인식한 메인제어부(4)는, 제1,3전자밸브(V1)(V3)를 개구시킨다. 상기 제3전자밸브(V33)의 개구로 가스탱크(22)의 가스는, 확산 특성상 제3관로(P3)를 신속히 이송한다. 그리고 가스는 제9전자밸브(V9)가 개구된 제9관로(P9)를 통해 완충매트(8)의 가스쳄버(30)를 팽창시킨다.
상기한 완충매트(8)는, 건물 하단에 수납되어 있다가 가스의 공급으로 건물 주변 지상에 펼쳐진다. 이때 완충매트(8)에 급속히 충전되는 가스는, 완충매트(8)를 지상에서 펼쳐지도록 하고, 이어서 공급되는 공기와 가스에 의하여 완충매트(8) 는 완전히 충전된다.
또한, 상기 제1전자밸브(V1)의 개구와 동시에 제4~10전자밸브들을 개구시킨다. 그리고 제2전자밸브(V2)를 개구하면서 고속터빈(16)을 동 시간대에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에어탱크(20)의 공기는, 제1관로(P1)를 이송하여 제4,5관로(P4)(P5)를 거쳐 완충매트(8)의 가스쳄버(30)와 다공부재(24)에 급속히 충전된다.
또한, 고속터빈(16)의 작동으로 제2관로(P2)에 형성된 압력은, 제10관로(P10)에서 분기된 제6관로(P6)를 통해 공기가 신속히 다공부재(24)에 충전ㄷHL도록 한다.
그리고 나머지 일부 공기는, 제10관로(P10)에서 분기된 제7,8관로(P7)(P8)를 통해 공기쳄버(30)에 충전된다. 상기 공기쳄버(30)내 공기 충전으로 완충매트(8)는 건물 하단에 수납되어 있다가 건물 하단 주변으로 신속하게 펼쳐진다.
또한, 상기한 완충매트(30)는 완전 팽창하여 설치되는 시간이 수초 내에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완충매트(30)가 추락 위치의 건물 하단 지상에 설치됨에 따라 추락하는 인체가 지면에 직접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제어부(4)는 각 감지센서(2)에서 전달된 신호와 인체의 낙하속도를 인식하고 비교 판단하여 신속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아파트나 빌딩 등의 고층건물 하단에 인체 추락 감지시 지상에 신속하게 펼쳐지도록 하여 추락사를 방지하도록 한 추락사 방지장치로 안전장치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의 구성을 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주요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추락사 방지장치에서 가압공급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추락사 방지장치에서 완충매트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감지센서 4:메인제어부
6:가압공급장치 8:완충매트
16:고속터빈 18:감시 모니터
20:에어탱크(Air Tank) 22:가스탱크(Gas Tank)
24:다공부재 26:통기공
28:공기쳄버 30:가스쳄버(Gas Chamber)
P:관로 V:전자밸브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10) 외벽에 인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추락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감지센서(2)와; 상기 감지센서(2)의 신호를 인식하여 가스 및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4)와; 메인제어부(4)의 신호로 가스 및 공기가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가압공급장치(6)와; 상기 가압공급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및 공기에 의하여 신속히 펼쳐지도록 설치되는 완충매트(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4)는, 추락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와, 경비실에 화상으로 알리도록 설치된 감시 모니터(18)와, 가압공급장치(6)의 관로(P)를 개폐하여 공기량 및 가스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V)와, 공기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고속터빈(16) 등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공급장치(6)는, 에어가 충전된 에어탱크(20)와, 가스가 충전된 가스탱크(22)와; 완충매트(8)에 상기 에어탱크(20) 및 가스탱크(22)의 에어와 가스가 공급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관로(P)와; 메인제어부(4)의 신호에 의하여 에어와 가스의 공급 방향이 전환되도록 관로(P)의 다수 위치에 설치된 전자밸브(V)와; 상기 전자밸브(V)에 의하여 열린 관로(P)를 통해 신속히 공기가 공급되도록 일측 관로(P)에 설치된 고속터빈(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매트(8)는, 다공 소재로 바닥을 형성하는 다공부재(24)와, 상기 다공부재(24)의 상부에 통기공(26)을 형성한 공기쳄버(28)와, 상기 공기쳄버(28)의 상부에 공기와 가스가 동시에 충전되도록 형성되는 가스쳄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P)는, 에어탱크(20)에 연결 설치된 제1관로(P1)와, 제1관로(P1)에 서 분기 형성되어 가스쳄버(30)에 연결되는 제4관로(P4)와, 상기 제1관로(P1)에 공기가 다공부재(24)에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5관로(P5)와, 상기 제1관로(P1)에서 다른 가압공급장치로 에어가 전자밸브(V)에 의하여 가변적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10관로(P10)와, 상기 제10관로(P10)를 통해 다공부재(24)에 에어가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6관로(P6)와, 상기 제10관로(P10)를 통해 에어쳄버(28)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제7,8관로(P7)(P8)와, 상기 제10관로(P10)에 공기의 가압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고속터빈(16)에 연결되는 제2관로(P2)와, 상기 가스탱크(22)에 연결되어 제3관로(P3)에 가스가 가스쳄버(30)에 공급되도록 연장 연결되는 제9관로(P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V)는, 제1관로(P1)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공기 공급을 단속하는 제1전자밸브(V1)와, 제2관로(P2)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고속터빈(16)의 가압을 단속하는 제2전자밸브(V2)와, 상기 제1관로(P1)에서 분기된 제4관로(P4)에 설치되어 가스쳄버(30)에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하는 제4전자밸브(V4)와, 상기 제1관로(P1)에서 연장 설치되어 다공부재(24)에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하는 제5전자밸브(V5)와, 상기 제1관로(P1)에서 분기되는 제10관로(P10)에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하는 제10전자밸브(V10)와, 상기 제10관로(P10)에서 분기되는 제6관로(P6)에 다공부재(24)로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하는 제6전자밸브(V6)와, 상기 제10관로(P10)에서 분기되는 제7,8관로(P7)(P8)에 설치되어 공기쳄버(28)에 공급되는 공기를 단속하는 제7,8전자밸브(V7)(V8)와, 가스탱크(22)에 연결되는 제3관로(P3)에 설치되어 가스 공급을 단속하는 제3전자밸브(V3)와, 상기 제3관로(P3)에서 연장되어 가스쳄버(30)에 연결되는 제9관로(P9)에 가스 공급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제9전자밸브(V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KR1020070135602A 2007-12-21 2007-12-21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KR100947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602A KR100947219B1 (ko) 2007-12-21 2007-12-21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602A KR100947219B1 (ko) 2007-12-21 2007-12-21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815A KR20090067815A (ko) 2009-06-25
KR100947219B1 true KR100947219B1 (ko) 2010-03-11

Family

ID=4099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602A KR100947219B1 (ko) 2007-12-21 2007-12-21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759B1 (ko) * 2014-10-08 2016-10-10 주식회사 에스원 추락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561800B1 (ko) * 2015-02-12 2015-10-19 오성식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KR101686731B1 (ko) * 2015-03-16 2016-12-28 한국광기술원 센서를 이용한 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9441129B (zh) * 2018-12-03 2020-10-09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在建施工建筑用防高层坠物装置
KR102093278B1 (ko) * 2018-12-31 2020-03-25 이향룡 하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496A (ko) * 2004-08-11 2006-02-16 김범식 추락사 방지 에어백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496A (ko) * 2004-08-11 2006-02-16 김범식 추락사 방지 에어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815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219B1 (ko) 고층건물 추락사 방지장치
KR101944316B1 (ko) 고층빌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US8353308B2 (en) Inflatable fluid conduit plug
TWI542380B (zh) Vacuum wet sprinkler equipment
US10976214B2 (en) Fail-safe tank with integrated sensor and methods for detecting a leak in a wall of the tank
KR100616064B1 (ko) 추락사 방지 에어백 시스템
CN107106881A (zh) 用于防止和/或熄灭火灾的方法和系统
CN102859084B (zh) 对压力区中的水压进行闭环或开环控制的方法和系统及其执行装置和操作装置
CN210299567U (zh) 高空施工安全防护背心
KR101271178B1 (ko) 비상 탈출 시스템
KR101044021B1 (ko) 제연구역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CN107555282A (zh) 一种防刮伤升降机
KR200414051Y1 (ko) 철도차량용 물 분무식 화재 소화장치
KR20230039958A (ko) 화학물질 저장탱크의 방재 시스템
JP2004142877A (ja) エレベータ昇降路内加圧装置
JP3333588B2 (ja) 泡消火設備
CN206457129U (zh) 一种用于电梯的人员安全保护装置
JP6080464B2 (ja) 避難場所への中継施設
KR200459434Y1 (ko)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KR102360934B1 (ko) 건축물 소방용 화재감지장치
KR20180082714A (ko) 통합형 하이브리드 소방안전 시스템
JP3661930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460585B1 (ko) 조선소 및 건물 시공 현장 추락사고 예방 시스템 및 방법
JP5306247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500462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