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024B1 -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024B1
KR100947024B1 KR1020090062101A KR20090062101A KR100947024B1 KR 100947024 B1 KR100947024 B1 KR 100947024B1 KR 1020090062101 A KR1020090062101 A KR 1020090062101A KR 20090062101 A KR20090062101 A KR 20090062101A KR 100947024 B1 KR100947024 B1 KR 10094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local deformation
cast steel
plate
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742A (ko
Inventor
김회준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씨산업
주식회사 젬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씨산업, 주식회사 젬콘 filed Critical (주)에스앤씨산업
Priority to KR1020090062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0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강관과 연결강관을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주강관과 연결케이블을 상호 연결한 연결부를 설치하면서 교량 또는 건축구조물등의 강관구조물을 설치하고, 상기 강관구조물에 하중이 작용될때, 상기 강관구조물의 연결부에서 발생되는 국부적인 주강관의 단면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주강관의 단면변형에 의하여 강관에서 발생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의하여 용접부에 발생되는 전단력을 분산, 해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의 주강관 내에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삽입하여 강관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Local transformation prevention structure steel pi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관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일반교량, 아치교 및 트러스교를 포함한 모든 교량과, 경기장 및 건축물과 같은 모든 건축구조물을 통칭하는 강관구조물의 설치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강관구조물의 설치를 위하여 강관을 상호연결할 때, 상기 강관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강관의 길이방향 및 강관의 폭방향의 단면변형을 방지하고, 강관에 힘이 작용됨에 따라 강관의 원호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의하여 용접부에 발생되는 전단력을 분산, 해소하여 국부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의 주강관 내에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삽입하여 강관구조물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연결강관(12)이 연결되는 주강관(11)의 외부에 연결관(14)을 삽입설치하여, 연결부(10)의 주강관(11) 외측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단면 보강을 하고, 상기 연결관(14)에 연결판(13)을 용접부착하고, 상기 연결판(13)에 연결강관(12)을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연결하는 간접연결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상기와 같은 간접연결방법은 연결부(10)의 외관이 조잡하여져, 아치 또는 트러스구조 교량의 미려한 외관에 흠집을 주게되고, 연결관, 연결판 및 연결판에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강관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의 연결부분이 많게 되어 구조물의 취약부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되어 구조물의 안전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주강관(11)과 연결강관(12)이 연결관(14)과 연결판(1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때 발생되는 국부변형을 완전히 제어하지 못하고, 이를 무시하게되므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해치는 요소로 제기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간접연결방법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편으로 [도 2]에서보는바와 같이 주강관(11)과 연결강관(12)을 용접에 의하여 직접연결하는 직접연결방법을 채택하여 적용하여 왔다.
이러한 직접연결방법을 아치 또는 트러스 구조의 교량에 적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외관을 좋게 하고 있으며, 주강관(11)과 연결강관(12)이 용접에 의하여 직접연결되어 연결부(20)의 연결되는 부분이 적어지게되어 상기 구조물의 안전성은 상기 간접연결방법에 의할 때보다 높아진 것을 사실이다.
그러나, 주강관(11)과 연결강관(12)이 용접에 의하여 직접연결되는 용접부(15)에서 주강관(11) 및 연결강관(12)에 화살표방향과 같이 외력이 작용될때, 주 강관(11)의 단면이 점선부분과 같이 찌그러지게되는 국부적인 단면변형(22)이 연결부(20)에서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국부적으로 단면의 찌그러짐 현상에 의한 단면변형(22)에 의하여 강관에 압축 또는 인장력이 발생되므로서, 이로인하여 용접부(15)에는 전단력이 발생되어 구조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잔여응력이 용접부(15)에 남게되어 이로 인한 피로파괴등의 현상이 발생되게되는 문제점이 상존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직접연결방법에 의하여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온 국부변형과 이로 인한 국부적인 응력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주강관의 내부에 일정한 범위에 걸쳐 삽입, 고정설치하고, 주강관에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강관을 용접으로 직접연결하여, 연결부의 강관의 국부적인 단면변형인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강관의 찌그러짐에 의한 단면변형에 의하여 강관의 원호주위로 발생되는 압축 또는 인장력에 의하여 용접부에 발생되는 전단력을 해소시키도록 한다.
또한 용접부에 발생되는 이상응력인 열응력, 변형응력등을 제어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 강관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상기 국부변형방지구조체는 중앙에 원형의 관통부가 형성된 원형의 강판인 격벽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격벽과의 사이에서 상기 각각의 격벽의 원형판을 측면에서 판형체의 강판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연결한, 일정한 길이의 틀을 제작한 다음, 상기 틀을 소켓강관 내부에 삽입하면서 소켓강관의 내부에 상기 틀을 용접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제작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연결하고자 하는 주 강관의 내부에 일정범위에 걸쳐 삽입고정시킨 다음,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을 상호 용접으로 직접연결하여 강관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주강관내부에 설치하고 강관을 연결하면, 주강관의 연결강관이 용접에 의하여 직접연결된다.
상기 용접에 의하여 직접연결된 용접부에 하중재하시 주강관이 찌그러지게되는 단면변형에 의하여 강관의 원호방향으로 압축 또는 인장력이 발생된다.
상기 발생된 압축 또는 인장력에 의하여 용접부에 발생된 전단력을 분산시켜 해소하므로서 결과적으로 연결부의 국부적인 단면변형을 방지하게된다.
또한, 상기 용접부에 발생된 전단력을 해소시켜 용접부에 유해응력이 남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강관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구조물의 내구성 증강 및 이로 인한 구조물의 내구연한의 연장을 가져오게되는 효과를 발생하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b)(c)는 상기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하여 시공한 강관구조물 중에서 교량에 적용하여 다양하게 교량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도 4(a)(b)(c)의 교량에서 본 발명의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삽입한 연결부를 상세하게 “상세A”, “상세B” 및 “상세C”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a)(b)(c)는 본 발명의 국부변형방지구조체의 격벽사이에 연결판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설치되어 형성된 공간부의 다양한 형상으로 위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의 각각의 (a)(b)(c)는 본 발명의 격벽과 연결판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는 [도 3]에서보는바와 같이, 두께를 갖는 것으로서, 중앙에 원형의 관통부(42)가 형성된 원형판(46)의 강판인 격벽(41)과, 상기 격벽(41)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다수개 세워서 설치된 원형판(46)과의 사이에 부착된 판형체의 연결부재(43)와, 상기 연결부재(43)는 원형판(46)을 따라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설치하여 제작한 일정한 길이의 중앙이 빈 관형상이면서 격벽과 연결판에 둘러싸여 수 많은 공간부가 주변에 형성된 틀(40)과, 상기 틀(40)을 소켓강관(45) 내부에 삽입하면서 소켓강관(45)의 내부에 상기 틀(40)의 단부의 외주면을 용접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길이는 [도 5]내지 [도 7]에서보는바와 같이 주강관(11)내에 삽입될때 연결부(60)의 연결되는 연결강관(12) 또는 연결케이블(17)이 설치된 연결부재(13)와 주강관(11)과의 용접길이(61)와 주강관직경(D)과 연결강관직경(d)을 고려하여 연결부(60)의 주강관(11)내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길이를 결정하게된다.
또한, 상기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격벽(41)과 격벽사이에서 연결부재(43)를 부착하여 격벽(41)과 연결부재(43)로 둘러 싸인 작은 공간부(44)가 상기 틀의 주위에 많이 형성되게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공간부(44)의 형상이 [도 8]의 (a)와 같이 4각형으로 된 것과, (b)와 같이 마름모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과, (c)와 같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것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는 것은 격벽(41)과 연결부재(43)를 어떻한 위치로 설치하여 연결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예를들면, 4각형의 경우 도 3과 같이 격벽(41)과 연결부재(43)를 배치하여 연결하면 이루어지는 형상이다.
마름모꼴형상인 경우는 격벽(41)과 연결부재(43)를 비스듬하게 배치하여 연결하면 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공간부(44)를 두게되는 것은 틀(40)의 무게를 경량으로 유지하면서, 격벽과 연결판이 서로 부착되어 상호 지지된 상태로 있게하여 틀(40) 자체가 강한 구속력을 가져 강성이 있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격벽(41)과 연결부재(43)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위에서 언급한 형상이외의 모든 것에 대하여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임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격벽(41)의 다양한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의 (a)와 같이 두께가 있는 원형판인 평평한 강판을 이용하여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수직으로 다수개 설치되게되는 것이다.
(b)의 경우는 두께가 있는 중앙이 관통된 원형판(46)으로서, 중앙의 관통부의 단부에 원형판의 양측외부로 돌출부(47)가 형성된 것으로서, 그 단면도는 원형판(46)의 중앙의 관통부가 있는 단부의 좌우로 돌출부(47)가 형성된 것이다.
(c)의 경우는 두께가 있는 중앙이 관통된 원형판(46)으로서, 원형판의 외측단부와 중앙의 관통부의 단부의 모두에 양측으로 돌출부(47)가 형성된 것으로서, 그 단면도는 원형판(46)의 외측과 중앙의 좌우로 돌출부(47)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연결부재(43)의 다양한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의 (a)와 같이 두께가 있는 직육면체의 평평한 판체로서,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격벽이 설치된 사이에 격벽과 용접연결되게 설치된 것이다.
(b)의 경우는 두께가 있는 직육면체의 평평한 판체의 하부의 양측에 돌출부(47)가 형성된 T자형으로서, 그 정면도는 판체의 하부 양측으로 돌출부(47)가 형성된 것이다.
(c)의 경우는 두께가 있는 직육면체의 평평한 판체의 상하로 돌출부(47)가 형성된 I형으로서, 그 정면도는 판체의 상하 좌우로 돌출부(47)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를 사용하여 [도 4]에서보는바와 같이 아치 및 트러스 형태의 강관교량에 적용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에서 예를든 교량이외에도 강관을 사용하여 설치한 모든 종류의 교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강관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구축하는 경기장, 공연장등 강관을 사용하여 구축하는 모든 건축구조물에도 사용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강관을 사용한 교량중에서 아치 및 트러스형태의 교량에 적용한 것을 보여준 것이다.
상기 교량의 연결부(60)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 5]내지 [도 7]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또한, 상기 연결부(60)의 실시예가 각각의 도에 적용된 것에 국한 하지 않고 다양하게 바꿔가면서 적용실시할 수 있다.
먼저, 원호형상의 주강관(11)에 연결강관(12)을 용접으로 연결한 연결부(60)를 갖는 구조물인 교량을 [도 5]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5]는 [도 4](a)의 아치형 교량으로 아치형의 주강관(11)과 연결강관(12)이 상호 연결된 연결부(60)를 “상세A”에 의하여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다.
[도 5]에의하여 설명하면, 원호형상의 주강관(11)에 연결강관(12)이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연결강관(12)이 삽입될 크기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주강관(11)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통하여 주강관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를 일정길이에 걸쳐 삽입설치하되, 주강관(11)의 내벽과 삽입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소켓강관(45)의 단부의 외주면을 용접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주강관(11)과 연결강관(12)이 연결되는 위치에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중앙이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배치가 완료되면, 주강관(11)과 연결강관(12)이 연결 설치된 부분을 용접한 용접부(15)를 형성한다.
상기 주강관(11)의 내부에 삽입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설치길이(L)은 연결강관(12)이 용접된 부분의 연결강관직경(d)에 그 좌우로 각각 주강관 직경(D)를 더한 길이로 한다.
즉,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강관의 직경(d)에 연결강관(12)의 개수를 곱하여 산출한 길이에, 주강관 직경(D)에 2배를 하여 산출된 길이를 더한 총길이가 곧,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제작길이면서, 동시에 주강관(11)의 연결부(60)에 삽입 설치되는 길이(L)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을 예로들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6은 도 4(b)의 트러스형 교량으로 트러스형의 주강관(11)과 연결강관(12)이 상호 연결된 연결부(60)를 “상세B”에 의하여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에의하여 설명하면, 주강관(11)에 복수개의 연결강관(12)이 연결되는 연결부(60)에 상기 연결강관(12)이 삽입될 크기의 홈을 주강관(11)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주강관(11)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통하여 주강관(11)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를 일정길이(L)에 걸쳐 삽입설치하되, 주강관(11)의 내벽과 삽입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소켓강관(45)의 단부 외주면을 용접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주강관(11)과 연결강관(12)이 연결되는 위치에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중앙이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배치가 완료되면, 주강관(11)과 복수개의 연결강관(12)이 연결 설치된 부분을 용접한 용접부(1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주강관(11)의 내부에 삽입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설치길이(L)은 연결하고자 하는 수량 만큼의 연결강관(12)의 개수를 용접된 부분의 연결강관직경(d)에 곱하여 산출된 길이와, 주강관 직경(D)에 2를 곱하여 산출된 길이를 더한 길이로 한다.
즉,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강관 직경(d)에 연결강관의 개수를 곱하여 산출한 길이에, 주강관 직경(D)에 2배를 하여 산출된 길이를 더한 총길이가 곧,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제작길이면서, 동시에 주강관(11)의 연결부(60)에 삽입, 설치되는 길이(L)가 되는 것이다.
또 다른 경우를 예로 들기 위하여, 도 7을 예로들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7은 도 4(c)의 아치형 교량으로 아치형의 주강관(11)과 연결케이블(17)이 상호 연결된 연결부(60)를 “상세C”에 의하여 상세히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에의하여 설명하면, 원호형상의 주강관(11)에 연결케이블(17)을 연결하기 위하여 주강관(11)에 연결부재(43)을 용접부착하고, 상기 연결부재(43)에 연결케이블(17)을 볼트와 너트(16)로 연결시키고, 상기 주강관(11)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통하여 주강관(11)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를 일정길이(L)에 걸쳐 삽입설치하되, 주강관(11)의 내벽과 삽입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소켓강관(45)의 단부의 외주면을 용접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주강관(11)과 연결부재(43)이 연결되는 위치에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중앙이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주강관(11)의 내부에 삽입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설치길이(L)은 주강관외연에 연결부재가 용접된 길이(61)의 좌우로 각각 주강관 직경(D)를 더한 길이로 한다.
즉, 주강관외연에 연결부재가 용접부착된 길이(61)에, 주강관직경(D)에 2배를 하여 산출된 길이를 더한 총길이가 곧,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제작길이면서, 동시에 주강관(11)의 연결부(60)에 삽입, 설치되는 길이(L)가 되는 것이다.
상기 주강관(11)이 아치형과 같이 일정한 원호를 갖는 경우 그 내에 삽입되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도 또한 주강관(11)이 갖는 원호에 맞게 휘게 제작하여 삽입하도록 한다.
상기 주강관(11)의 단부를 통하여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은 주강관(11)이 여러개의 부재로 구분되어 제작되고, 이를 조립설치하는 것이므로 각각의 단위부재의 강관중에서 연결부(60)에 설치되는 주강관(11)의 단부를 통하여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를 삽입한 후에 조립설치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60)의 주강관 내에 삽입설치하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는 격벽(41)을 수직으로 다수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격벽(41)을 연결판(43)으로 상호 연결한 틀(40)을 소켓강관(45)내에 삽입한 것이다.
상기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가 삽입된 강관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외력에 따른 강관단면의 변형인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된다.
이렇게 단면변형이 발생되면, 강관의 원호 방향으로 압축 또는 인장력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힘에 의하여 용접부에는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단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관내에 삽입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를 이루는 틀은 소켓강관내에 용접고정 삽입설치되는데, 상기 주강관에서 발생되는 국부변형력은 소켓강관(45)을 통해 틀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격벽으로 전달되어 주강관의 부재에 작용되는 힘을 분산시켜 저항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다수개의 격벽(41)이 연결판(43)에 의하여 상호 견고히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이 소켓강관(45)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주강관(11)에 작용된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면서 틀(4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길이를 길게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주강관(11)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발생되는 국부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틀(40)을 구성하고 있는 격벽(41)과 이를 상호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43)에 의하여 격벽(41)에 의하여 주강관(11)에 발생되는 국부변형력을 분산시키도록 하면서, 격벽(41)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43)에 의하여 격벽(41)을 강하게 연결하고 있어 틀(40)이 형태를 유지하면서 격벽(41)에 의하여 국부변형력이 효과적으로 분산, 해소되어 저항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격벽(41)과 연결부재(43)의 다양한 실시 형상을 갖도록 한 것도 국부변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면서 틀(40)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보다 강한 구조적인 기능을 갖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적인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된 간접연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b)는 종래에 사용된 다른 실시예로서 직접연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a)(b)(c)는 본 발명의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하여 시공한 강관구조물 중 실시예로서, 상기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교량에 적용하여 다양한 교량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a)의 교량에서 “상세A”에 삽입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4(b)의 교량에서 “상세B”에 삽입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4(c)의 교량에서 “상세C”에 삽입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b)(c)는 본 발명의 국부변형방지구조체의 격벽사이에 연결판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설치되어 형성된 공간부의 다양한 형상으로 위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9(a)(b)(c)는 본 발명의 격벽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a)(b)(c)는 본 발명의 연결판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주강관직경 d ; 연결강관직경
L ; 국부변형방지구조체설치길이
P ; 하중
10 ; 간접연결부 11 ; 주강관
12 ; 연결강관 13 ; 연결판
14 ; 연결관 15 ; 용접부
16 ; 볼트너트
20 ; 직접연결부 21 ; 원단면
22 ; 단면변형
30 ; 국부변형방지구조체
40 ; 틀 41 ; 격벽
42 ; 관통부 43 ; 연결부재
44 ; 공간부 45 ; 소켓강관
46 ; 원형판 47 ; 돌출부
50 ; 교량
60 ; 연결부
61 ; 주강관 외연에 연결부재가 용접된 길이

Claims (10)

  1. 강관을 이용하여 강관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강관과 강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60)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주강관(11)에 연결강관(12)이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연결강관(12)이 삽입설치될 크기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주강관(11)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통하여 주강관(11)의 형상에 맞게, 두께를 갖는 중앙에 원형의 관통부(42)가 형성된 원형판(46)의 강판인 격벽(41)과, 상기 격벽(41)과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다수개 세워서 설치된 원형판(46)과의 사이에 부착된 판형체의 연결부재(43)와, 상기 연결부재(43)는 원형판(46)과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제작한 중앙이 빈 관형상이면서 격벽과 연결판에 둘러싸여 수많은 공간부가 주변에 형성된 틀(40)과, 상기 틀(40)을 소켓강관(45)내부에 삽입하면서 소켓강관(45)의 내부에 상기 틀(40)의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시켜 제작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를 삽입설치하되, 주강관(11)의 내벽과 삽입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소켓강관(45)의 단부의 외주면을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에, 주강관(11)과 연결강관이(12)이 상기 홈내에 삽입연결설치된 부분을 용접한 용접부(15)를 형성하여 연결부(60)를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관(11)과 연결강관(12)이 연결되는 위치에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중앙이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 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관(11)의 내부에 삽입설치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의 설치길이(L)는 연결강관(12)이 용접된 부분의 연결강관직경(d)에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강관(12)의 개수를 곱하여 산출된 길이에 주강관 직경(D)에 2배를 하여 산출된 길이를 더한 총길이인 것에 특징이 있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4. 강관과 연결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60)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주강관(11)에 연결부재(43)를 용접부착하고, 상기 연결부재(43)에 연결케이블(17)을 볼트와 너트(16)로 연결시키고, 상기 주강관(11)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통하여 주강관(11))의 형상에 맞게, 두께를 갖는 중앙에 원형의 관통부(42)가 형성된 원형판(46)의 강판인 격벽(41)과, 상기 격벽(41)과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다수개 세워서 설치된 원형판(46)과의 사이에 부착된 판형체의 연결부재(43)와, 상기 연결부재(43)는 원형판(46)과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제작한 중앙이 빈 관형상이면서 격벽과 연결판에 둘러싸여 수많은 공간부가 주변에 형성된 틀(40)과, 상기 틀(40)을 소켓강관(45)내부에 삽입하면서 소켓강관(45)의 내부에 상기 틀(40)의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시켜 제작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를 삽입설치하되, 주강관(11)의 내벽과 삽입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의 소켓강관(45)의 단부의 외주면을 용접으로 고정시켜 설치된 연결부(60)인 것에 특징이 있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관(11)과 연결부재(43)가 연결되는 위치에 국부변형방지구조체 (30)의 중앙이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관(11)의 내부에 삽입설치된 국부변형방지구조체의 설치길이(L)는 상기 주강관(11) 외연에 연결부재(43)가 용접부착된 길이(61)에, 주강관 직경(D)에 2배를 하여 산출된 길이를 더한 총길이인 것에 특징이 있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7.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관(11)이 일정한 원호를 갖게 휘어진 경우, 국부변형방지구조체(30)도 주강관(11)이 갖는 원호에 맞게 휘게 제작하여 상기 주강관(11) 내부에 삽입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41)은 두께가 있는 중앙이 관통부(42)가 형성된 것으로서, 평평한 판체이거나, 두께가 있는 중앙이 관통된 원형판(46)의 중앙 단부에 양측외부로 돌출부(47)가 형성된 것이거나, 두께가 있는 원형판(46)의 외측단부와 중앙이 관통된 원형판(46)의 중앙 단부의 모두에 양측으로 돌출부(47)가 형성된 것중에서 어느 한가지 인 것에 특징이 있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43)은 두께가 있는 직육면체로서 평평한 판체이거나, 두께가 있는 직육면체로서 평평한 판체의 하부의 양측에 돌출부(47)가 형성된 것이거나, 두께가 있는 직육면체로서 평평한 판체의 상하로 돌출부(47)가 형성된 것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인 것에 특징이 있는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KR1020090062101A 2009-07-08 2009-07-08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KR10094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101A KR100947024B1 (ko) 2009-07-08 2009-07-08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101A KR100947024B1 (ko) 2009-07-08 2009-07-08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881A Division KR100944000B1 (ko) 2007-08-14 2007-08-14 국부변형방지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742A KR20090092742A (ko) 2009-09-01
KR100947024B1 true KR100947024B1 (ko) 2010-03-10

Family

ID=4130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101A KR100947024B1 (ko) 2009-07-08 2009-07-08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989B1 (ko) * 2016-07-22 2017-03-08 김재민 복합강관다발이 적용된 스마트 교량용 강관거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558A (ja) 2000-04-20 2001-10-31 Sumitomo Metal Ind Ltd 凹凸付き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67158A (ko) * 2003-01-21 2004-07-30 백규호 개단(開端) 강관말뚝의 유효마찰면적 확대를 위한 십자형선단슈장치
KR20050089717A (ko) * 2004-03-05 2005-09-08 대한강관 주식회사 주름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0786A (ko) * 2005-05-23 2006-11-28 연철흠 말뚝 외주 면에 인장재가 보강된 프리스트레스 말뚝 및 그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558A (ja) 2000-04-20 2001-10-31 Sumitomo Metal Ind Ltd 凹凸付き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67158A (ko) * 2003-01-21 2004-07-30 백규호 개단(開端) 강관말뚝의 유효마찰면적 확대를 위한 십자형선단슈장치
KR20050089717A (ko) * 2004-03-05 2005-09-08 대한강관 주식회사 주름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0786A (ko) * 2005-05-23 2006-11-28 연철흠 말뚝 외주 면에 인장재가 보강된 프리스트레스 말뚝 및 그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742A (ko)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3333B2 (ja) 露出型柱脚構造及び建物
JP6543383B2 (ja) 杭頭接合構造
KR101622522B1 (ko) H형강과 절곡 철판을 이용한 cft 합성기둥
KR102012486B1 (ko) 필로티 구조 건물에 가변적인 설치가 가능한 내진 보강 구조체와 그 내진 보강 구조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JP5442421B2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構築方法
KR101456411B1 (ko) 병렬 전단벽의 연결보 보강을 위한 강재 어셈블리
JP4419088B2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JP4279739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と耐震壁
US20060253057A1 (en) Buckling restrained structural brace assembly
JP4740029B2 (ja) 床版または覆工板の製造方法
KR101697004B1 (ko) 대각 앵글을 이용한 병렬 전단벽 연결보 보강 구조
KR20180090230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KR100944000B1 (ko) 국부변형방지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JP6535704B2 (ja) 柱梁架構
KR100947024B1 (ko) 국부변형방지구조체를 이용한 강관구조물시공방법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20180090231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KR101482977B1 (ko)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JP5904052B2 (ja) 薄板軽量形鋼造の上下階の連結構造
KR20160116616A (ko)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
JP4897854B2 (ja) 耐震構造物
KR101154060B1 (ko) 연결보용 감쇠기 및 이를 이용한 연결보 조립체
JP2010037828A (ja) グラウト充填式鉄筋継手
JP2006265897A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JP6651461B2 (ja) 建物の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