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926B1 -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926B1
KR100946926B1 KR1020080030849A KR20080030849A KR100946926B1 KR 100946926 B1 KR100946926 B1 KR 100946926B1 KR 1020080030849 A KR1020080030849 A KR 1020080030849A KR 20080030849 A KR20080030849 A KR 20080030849A KR 100946926 B1 KR100946926 B1 KR 10094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jig unit
positioning member
slid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413A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92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는 프론트 샤시가 로딩되는 프론트 지그 유닛과, 상기 프론트 지그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리어 샤시가 로딩되는 리어 지그 유닛과과, 상기 리어 지그 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서로 이격된 프론트 지그 유닛 및 리어 지그 유닛 사이에 위치된 센터 샤시로 상기 리어 지그 유닛을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딩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되고 상기 리어 지그 유닛이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리어 샤시를 햄머 등으로 타격할 필요가 없고 슬라이딩 기구 자체가 리어 샤시를 센터 샤시에 밀착시키므로 수작업으로 밀착시키는 경우 보다 불량률이 적고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샤시, 프론트 샤시, 리어 샤시, 센터 샤시, 베이스, 슬라이더, 구동부

Description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Chassis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휠 베이스가 상위한 다양한 차량을 하나의 장치로 조립할 수 있는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론트 샤시와 센터 샤시와 리어 샤시가 결합되어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차량을 조립하는 다차용 샤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 트렌스 미션 및 라디에이터 등의 차량의 기능 부품을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에 조립하고,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샤시가 전후 위치되게 상호 조립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는 프론트 샤시(2)와 센터 샤시(4)와 리어 샤시(6)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센터 샤시(4)의 전방부가 프론트 샤시(2)의 후방부에 끼움됨과 아울러 용접 조립되며, 센터 샤시(4)의 후방부가 리어 샤시(6)의 전방부에 끼움됨과 아울러 용접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A 라인과 B 라인의 평행 도 및 C 라인과 D 라인의 평행도가 완성차의 횡방향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에 차륜이 조립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샤시(2)를 프론트 지그(8)에 로딩하고, 센터 샤시(4)를 호스트(10)에 걸어 프론트 지그(8)에 로딩된 프론트 샤시(2)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리어 샤시(6)을 슬라이딩 베이스(12)에 로딩하고, 리어 샤시(6)를 센터 샤시(4)에 밀착시킨다.
이후, 프론트 샤시(2)와 센터 샤시(4)의 연결부를 용접하고, 센터 샤시(4)와 리어 샤시(6)의 연결부를 용접하며, 용접이 완료된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를 다음 공정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은, 조립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리어 샤시(6)의 후방에서 해머 등으로 리어 샤시(6)를 타격하고, 휠베이스의 길이가 동일 차종의 여러 사양에 대응하기 위해 슬라이딩 베이스(12)와 같은 슬라이딩 장치가 필요함과 아울러 도 3의 a,b 와 같은 슬라이딩 베이스(12) 이동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어 샤시를 햄머 등으로 타격할 필요가 없고 슬라이딩 기구 자체가 리어 샤시를 센터 샤시에 밀착시키므로 수작업으로 밀착시키는 경우 보다 불량률이 적고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는, 프론트 샤시가 로딩되는 프론트 지그 유닛과, 상기 프론트 지그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리어 샤시가 로딩되는 리어 지그 유닛과, 상기 리어 지그 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서로 이격된 프론트 지그 유닛 및 리어 지그 유닛 사이에 위치된 센터 샤시로 상기 리어 지그 유닛을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딩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되고 상기 리어 지그 유닛이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지그 유닛과 리어 지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와, 상기 위치결정부재가 착탈되는 위치결정부재 홀더와, 상기 위치결정부재 홀더가 설치되는 홀더 설치판과, 상기 홀더 설치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홀더 설치판의 승강을 안내하는 지지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프론트 샤시 또는 리어 샤시가 올려지는 상부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 돌출부는 다른 위치결정부재의 상부 돌출부와 높이가 상위하다.
상기 위치결정부재 홀더에는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위치결정부재 홀더에 걸림/해제시켜 위치결정부재가 위치결정부재 홀더에 고정되거나 분리되게 하는 록커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결정부재 홀더는 상기 위치결정부재가 착탈되는 착탈부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승강기구를 사이에 두고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홀더 설치판과 연결되고 상하 길게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이 관통되게 배치된 축 하우징과, 상기 축 하우징에 설치되어 지지축을 지지하는 부시와, 상기 축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구에 체결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를 구속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상기 베이스의 전방부 상측에 구비된 한 쌍의 프론트 스프라켓과,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 상측에 구비된 한 쌍의 리어 스프라켓과,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스프라켓과 한 쌍의 리어 스프라켓에 감기고 상기 프론트 지그 유닛 또는 리어 지그 유닛에 연결된 한 쌍의 체인과; 작업자가 올라서도록 상기 한 쌍의 체인에 결합된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체인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판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는 상기 베이스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된 제 2 리어 지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어 지그 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시 상기 리어 지그 유닛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체인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는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는 프론트 지그 유닛과 리어 지그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하여, 휠베이스가 상위한 다양한 차종의 샤프 프레임 어셈블리를 모두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는 작업자가 올라설수 있는 커버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 능율이 향상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의 개략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에 샤시 프레임 어셈블 리가 로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는, 프론트 샤시(2)가 로딩되는 프론트 지그 유닛(20)과, 프론트 지그 유닛(2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리어 샤시(6)가 로딩되는 리어 지그 유닛(40)과, 리어 지그 유닛(40)에 배치되어, 상기 서로 이격된 프론트 지그 유닛(20) 및 리어 지그 유닛(40) 사이에 위치된 센터 샤시(4)로 리어 지그 유닛(40)을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딩 기구(6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론트 지그 유닛(20) 및 리어 지그 유닛(40)과 슬라이딩 기구(60)는 좌,우 이격되게 복수 셋트 구비된다.
복수개의 프론트 지그 유닛(20)과 복수개의 리어 지그 유닛(40) 사이에는 대차 구름 장치(120)가 배치되고, 대차 구름 장치(120)에는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때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 특히 프론트 샤시(2)가 올려지는 프론트 대차(80)와,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때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 특히 리어 샤시(6)가 올려지는 리어 대차(100)가 올려진다.
도 5에 도시된 90은 프론트 대차(80)의 위치를 고정하는 프론트 대차 스토퍼로서, 바닥에 설치되거나 대차 구름 장치(120)에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110은 리어 대차(100)의 위치를 고정하는 리어 대차 스토퍼로서, 바닥에 설치되거나 대차 구름 장치(120)에 설치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프론트 지그 유닛에 프론트 샤시가 로딩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론트 지그 유닛의 하강 모드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프론트 지그 유닛의 상승 모드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프론트 지그 유닛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리어 지그 유닛의 하강 모드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리어 지그 유닛의 상승 모드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리어 지그 유닛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차종 연결장치는 프론트 지그 유닛(20)이 프론트 샤시(2)를 지지하고, 리어 지그 유닛(40)이 리어 샤시(6)를 지지하며, 프론트 지그 유닛(20)과 리어 지그 유닛(40)의 상세 구성이 동일하므로, 편의를 위해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프론트 지그 유닛(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프론트 지그 유닛(20)은 프론트 샤시(2)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차종 사양별 휠 베이스가 상위한 구조에 대응될 수 있게 형성된다.
프론트 지그 유닛(20)은 휠 베이스가 상위한 복수 차종의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21)(22)(23)(24)(25)와, 위치결정부재(21)(22)(23)(24)(25)가 착탈되는 위치결정부재 홀더(26)(27)(28)와, 위치결정부재 홀더(26)(27)(28)가 설치되는 홀더 설치판(30)과, 홀더 설치판(3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31)와, 홀더 설치판(30)의 승강을 안내하는 지지기구(34)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21)(22)(23)(24)(25)는 상부에 프론트 샤시(2)가 안착되어 올려지는 상부 돌출부(21a)(22a)(23a)(24a)(25a)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21)(22)(23)(24)(25)는 다양한 차종의 프론트 샤시(2)가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21)(22)가 다른 위치결정부재(23)(24)(25)와 상위하게 형성된다. 즉,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21)(22)(23)(24)(25)는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21)(22)(23)(24)(25) 중 적어도 하나(21)(22) 특히, 상부 돌출부(21a)(22a)의 높이가 다른 위치결정부 재(23)(24)(25)의 높이 특히 상부 돌출부(23a)(24a)(25a)의 높이 보다 높거나 낮게 위치되게 형성된다.
위치결정부재 홀더(26)(27)(28)는 하나의 위치결정부재가 하나의 위치결정부재 홀더에 착탈되어 위치결정부재 홀더가 위치결정부재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위치결정부재가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 홀더에 함께 착탈되어 위치결정부재 홀더가 위치결정부재 보다 개수가 적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위치결정부재(23)가 착탈되는 위치결정부재 홀더(27)와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21)(22)(24)(25)가 착탈되는 위치결정부재 홀더(26)(28)가 함께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위치결정부재 홀더(26)(27)(28)는 위치결정부재(23)가 착탈되는 착탈부(26a)(26b)(26c)가 단수개 형성된 위치결정부재 홀더(27)와, 위치결정부재(21)(22)(24)(25)가 착탈되는 착탈부(26a)(26b)(26c)가 복수개 형성된 위치결정부재 홀더(26)(28)을 포함한다.
홀더 설치판(30)은 하나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판체가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기구(31)는 홀더 설치판(30)과 결합되는 승강 축(32)을 갖는 에어 실린더(33)로 이루어진다.
지지기구(34)는 승강기구(31)에 의한 홀더 설치판(30)의 승강시 홀더 설치판(30)이 흔들리거나 쳐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되게 하는 것으로서, 승강기구(31)를 사이에 두고 복수개 설치된다.
지지기구(34)는 홀더 설치판(30)과 연결되고 상하 길게 형성된 지지축(35)과, 지지축(35)과 홀더 설치판(30)을 결합 체결하는 록 너트 등의 체결부재(36)와, 지지축(35)이 관통되게 배치된 축 하우징(37)과, 축 하우징(37)에 설치되어 지지축(35)을 지지하는 부시(38)와, 축 하우징(37)이 설치된 고정 프레임(39)을 포함한다.
부시(38)는 지지축(35)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종의 베어링으로서, 축 하우징(37) 내벽에 설치된다.
고정 프레임(39)은 승강기구(31)와 체결되어 승강기구(31)와 일체화되는 것도 가능하고, 승강기구(31) 주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승강기구(31)에 고정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지지기구(34)는 승강기구(31)에 의한 홀더 설치판(30)의 승강시 지지축(35) 및 체결부재(36)가 홀더 설치판(30)과 함께 승강되고, 축하우징(37)과 부시(38)와 고정 프레임(39)이 승강기구(31)와 함께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축(35)의 승강을 돕는다.
지지기구(34)는 홀더 설치판(30)의 과상승이나 임의 탈거를 막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지지축(35)의 하단에는 스토퍼(35a)가 지지축(35)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14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위치결정부재를 위치결정부재 홀더에 장착하기 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위치결정부재를 위치결정부재 홀더에 장착한 후의 확대 사시도이다.
위치결정부재(21)(22)(23)(24)(25)는 하부에 위치결정부재 홀더(26)(27)(28)에 삽입되어 걸리는 하부 돌출부(21b)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위치결정부재(21)(22)(23)(24)(25)는 후술하는 록커(29)가 삽입/인출되는 개구부(21c)가 형성된다.
위치결정부재 홀더(26)(27)(28)는 상면에 위치결정부재의 하부가 삽입되는 수용부(26a)가 형성되고, 수용부(26a)의 하부에 위치결정부재(21)(22)(23)(24)(25)의 하부 돌출부(21b)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시(26b)가 설치된다.
위치결정부재 홀더(26)(27)(29)는 위치결정부재(21)(22)(23)(24)(25)를 위치결정부재 홀더(26)(27)(28)에 걸림/해제시켜 위치결정부재(21)(22)(23)(24)(25)가 위치결정부재 홀더(26)(27)(28)에 고정되거나 분리되게 하는 록커(29)가 설치된다.
록커(29)는 위치결정 홀더(26)(27)(28)에 형성된 지지축(26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수평하게 배치된 회전축(29a)을 포함한다.
그리고, 록커(29)는 록커(29)가 회전축(29a)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위치결정부재(21)(22)(23)(24)(25)의 개구부(21c)에 삽입/인출되는 봉(29b)와, 록커(29)가 회전축(29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봉(29b)이 위치결정부재(21)(22)(23)(24)(25)의 개구부(21c)에 삽입되었을 때 개구부(21c) 상측에 위치되어 위치결정부재(21)(22)(23)(24)(25)를 구속하는 스토퍼(29c)를 포함한다.
도 1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딩 기구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리어 지그 유닛의 이동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슬라이딩 기구 위에 작업자가 올라선 모습이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슬라이딩 기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슬라이딩 기구(60)는 복수 셋트가 설치되고, 각 셋트의 슬라이딩 기구(60)에는 리어 지그 유닛(40)(40′)이 복수개 구비된다.
슬라이딩 기구(60)는 바닥에 설치되고 랙(61)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이스(62)와, 베이스(62)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된 슬라이더(63)와, 슬라이더(63)에 설치되고 랙(61)과 치합되는 피니언(64)를 갖으며 슬라이더(63)를 슬라이딩 시키는 구동부(65)와, 슬라이더(63)를 구속하여 슬라이더(63)의 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70)를 포함한다.
베이스(62)에는 스토퍼(70)의 일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62a)이 형성된다.
베이스(62)는 슬라이더(63)가 베이스(62)상의 여러 위치 중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홀(62a)이 베이스(6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형성된다.
슬라이더(63)는 구동부(65) 및 스토퍼(70)가 설치되는 일종의 설치판이면서 리어 지그 유닛(40)을 운반하는 일종의 캐리어로서, 구동부(65)의 구동시 슬라이더(63)와 함께 리어 지그 유닛(40)이 이동된다.
구동부(65)는 슬라이더(63)에 설치된 구동모터(66)와, 구동모터(66)와 커플링(67) 연결되고 감속기(68)를 포함하고, 감속기(68)의 출력축에 피니언(64)이 장착된다.
스토퍼(70)는 슬라이더(63)에 설치되고, 베이스(62)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홀(62a) 중 하나에 삽입되어 걸리는 스톱 핀(71)과, 스톱핀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에어 실린더(72)를 포함한다.
스토퍼(70)는 스톱 핀(71)이 하향 돌출되게 슬라이더(63)에 설치되고, 스톱 핀(71)의 하강시 스톱 핀(71)이 베이스(62)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홀(62a) 중 하나에 삽입되어 걸리고, 스톱 핀(71)의 상승시 스톱 핀(71)이 걸림홀(62a) 위로 상승되어 베이스(62)에 구속되지 않는다.
한편, 리어 지그 유닛(40)은 베이스(6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데, 복수개의 리어 지그 유닛(40) 중 일부는 슬라이더(63)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베이스(62)를 따라 슬라이드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리어 지그 유닛(40)은 슬라이더(63) 및 슬라이더(63)에 설치된 리어 지그 유닛(60)의 이동시 다른 리어 지그 유닛(40)이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리어 지그 유닛(40)이 연결된다. 이하, 슬라이더(63)에 설치되지 않고 베이스(62)를 따라 슬라이드되게 배치된 리어 지그 유닛을 제 2 리어 지그 유닛(40′)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딩 기구(60)는 베이스(62)의 전방부 상측에 설치된 프론트 스프라켓(72)과, 베이스(62)의 후방부 상측에 설치된 리어 스프라켓(73)과, 프론트 스프라켓(72) 및 리어 스프라켓(73)에 감기고 일단이 슬라이더(63)에 설치된 리어 지그 유닛(40)과 연결되고 타단이 슬라이더(63)에 설치되지 않은 제 2 리어 지그 유 닛(40′)에 연결되는 체인(74)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리어 지그 유닛(40) 중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지그 유닛(40)이 슬라이더(63)에 설치된 리어 지그 유닛이고, 복수개의 리어 지그 유닛(40) 중 전방에 위치하는 리어 지그 유닛이 슬라이더(63)에 설치되지 않은 제 2 리어 지그 유닛(40′)인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프론트 스프라켓(72)은 베이스(62)의 전방부 상측에 한 쌍 구비되고, 리어 스프라켓(73)은 베이스(62)의 후방부 상측에 한 쌍 구비되며, 체인(74)은 한 쌍이 구비된다.
즉, 프론트 스프라켓(72)와 리어 스프라켓(73)과 체인(74)은 좌측 셋트와 우측 셋트 구비되고, 좌측 셋트와 우측 셋트는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슬라이딩 기구(60)는 작업자가 복수개의 리어 지그 유닛(40) 중 전방에 위치하는 리어 지그 유닛의 앞에서 작업할 수 있고, 복수개의 리어 지그 유닛(40) 중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지그 유닛의 뒤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올라서는 커버(75)을 더 포함한다.
커버(75)는 한 쌍의 체인(74)과 함께 이동되도록 한 쌍의 체인(74)에 연결된다.
커버(75)는 체인(74)의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판체로서, 체인(74)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도 20은 도 5에 도시된 프론트 대차 및 프론트 대차 스토퍼가 도시된 사시도 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프론트 대차 스토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프론트 대차(80)는 좌,우 양측의 상면에 프론트 대차 스토퍼(90)에 걸리는 스토퍼부재(82)가 설치된다.
스토퍼부재(82)는 프론트 대차 스토퍼(90)를 향하는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84)이 성된다.
프론트 대차(80)는 베이스 휠이 상위한 복수 차종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재(82)가 프론트 대차(80) 이송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스토퍼부재(82)가 프론트 대차(80) 이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홈(84)이 프론트 대차 이송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최대한 다수의 차종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걸림홈(84)이 단수개 형성된 스토퍼 부재(82a)와, 걸림홈(84)이 복수개 형성된 스토퍼 부재(82b)가 함께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프론트 대차 스토퍼(90)는 바닥에 세워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대차 구름장치(120)에 설치된 브래킷(92)와, 브래킷(92)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94)와, 에어 실린더(94)에 따라 프론트 대차(8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되는 핀(96)을 포함한다.
도 22는 도 5에 도시된 리어 대차 및 리어 대차 스토퍼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리어 대차 스토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리어 대차(100)는 좌,우 양측의 상면에 리어 대차 스토퍼(110)에 걸리는 스토퍼부재(102)가 설치된다.
스토퍼부재(102)는 리어 대차 스토퍼(110)를 향하는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104)이 성된다.
프론트 대차(80)는 베이스 휠이 상위한 복수 차종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재(102)가 프론트 대차(100) 이송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스토퍼부재(102)가 프론트 대차(100) 이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홈(104)이 프론트 대차 이송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론트 대차 스토퍼(110)는 바닥에 세워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대차 구름장치(120)에 설치된 브래킷(112)와, 브래킷(112)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114)와, 에어 실린더(114)에 따라 리어 대차(10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되는 핀(116)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기구가 프론트 샤시를 슬라이딩 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에 차륜이 조립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샤시 프레임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의 개략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에 샤시 프레임 어셈블 리가 로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프론트 지그 유닛에 프론트 샤시가 로딩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론트 지그 유닛의 하강 모드시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프론트 지그 유닛의 상승 모드시 사시도,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프론트 지그 유닛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리어 지그 유닛의 하강 모드시 사시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리어 지그 유닛의 상승 모드시 사시도,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리어 지그 유닛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위치결정부재를 위치결정부재 홀더에 장착하기 전의 확대 사시도,
도 15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위치결정부재를 위치결정부재 홀더에 장 착한 후의 확대 사시도,
도 1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딩 기구의 확대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리어 지그 유닛의 이동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슬라이딩 기구 위에 작업자가 올라선 모습이 도시된 측면도,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슬라이딩 기구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5에 도시된 프론트 대차 및 프론트 대차 스토퍼가 도시된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프론트 대차 스토퍼의 확대 사시도,
도 22는 도 5에 도시된 리어 대차 및 리어 대차 스토퍼가 도시된 사시도,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리어 대차 스토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 프론트 지그 유닛 21,22,23,24,25: 위치결정부재
26,27,28: 위치결정부재 홀더 30: 홀더 설치판
31: 승강기구 32: 승강축
33: 에어 실린더 34: 지지기구
35: 지지축 36: 체결부재
37: 지지축 하우징 39: 고정 프레임
40: 리어 지그 유닛 60: 슬라이딩 기구
61: 랙 62: 베이스
63: 슬라이더 64: 피니언
65: 구동부 66: 구동모터
68: 감속기 70: 스토퍼
72: 프론트 스프로킷 73: 리어 스프로킷
74: 체인 75: 커버
80: 프론트 대차 90: 프론트 대차 스토퍼
100: 리어 대차 110: 리어 대차 스토퍼

Claims (11)

  1. 프론트 샤시가 로딩되는 프론트 지그 유닛과;
    상기 프론트 지그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리어 샤시가 로딩되는 리어 지그 유닛과;
    상기 리어 지그 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서로 이격된 프론트 지그 유닛 및 리어 지그 유닛 사이에 위치된 센터 샤시로 상기 리어 지그 유닛을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딩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되고 상기 리어 지그 유닛이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지그 유닛과 리어 지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와, 상기 위치결정부재가 착탈되는 위치결정부재 홀더와, 상기 위치결정부재 홀더가 설치되는 홀더 설치판과, 상기 홀더 설치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홀더 설치판의 승강을 안내하는 지지기구를 포함하는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프론트 샤시 또는 리어 샤시가 올려지는 상부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위치결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 돌출부는 다른 위치결정부재의 상부 돌출부와 높이가 상위한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 홀더에는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위치결정부재 홀더에 걸림/해제시켜 위치결정부재가 위치결정부재 홀더에 고정되거나 분리되게 하는 록커가 설치된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 홀더는 상기 위치결정부재가 착탈되는 착탈부가 복수개 형성된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승강기구를 사이에 두고 복수개 설치된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홀더 설치판과 연결되고 상하 길게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이 관통되게 배치된 축 하우징과, 상기 축 하우징에 설치되어 지지축을 지지하는 부시와, 상기 축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구에 체결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구속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상기 베이스의 전방부 상측에 구비된 한 쌍의 프론트 스프라켓과,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 상측에 구비된 한 쌍의 리어 스프라켓과,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스프라켓과 한 쌍의 리어 스프라켓에 감기고 상기 프론트 지그 유닛 또는 리어 지그 유닛에 연결된 한 쌍의 체인과; 작업자가 올라서도록 상기 한 쌍의 체인에 결합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체인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판체로 이루어진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는 상기 베이스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된 제 2 리어 지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어 지그 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시 상기 리어 지그 유닛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체인이 연결된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KR1020080030849A 2008-04-02 2008-04-02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KR10094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849A KR100946926B1 (ko) 2008-04-02 2008-04-02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849A KR100946926B1 (ko) 2008-04-02 2008-04-02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413A KR20090105413A (ko) 2009-10-07
KR100946926B1 true KR100946926B1 (ko) 2010-03-09

Family

ID=4153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849A KR100946926B1 (ko) 2008-04-02 2008-04-02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5587B (zh) * 2018-12-27 2023-09-05 安徽双骏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轻负载的往复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550A (ko) * 1996-05-20 1997-12-10 박병재 차동차의 차체조립장치
KR100716814B1 (ko) * 2006-02-21 2007-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차종 차체 클램핑 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550A (ko) * 1996-05-20 1997-12-10 박병재 차동차의 차체조립장치
KR100716814B1 (ko) * 2006-02-21 2007-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차종 차체 클램핑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413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090B2 (en) Vehicle elevator and lift therein
MX2010014313A (es) Planta para ensamblar partes mecanicas sobre carrocerias de vehiculos de motor.
KR100946926B1 (ko) 다차종 샤시 연결장치
US9656837B2 (en) Motorcycle engine hoist
US20060045710A1 (en) Hoist
CN211198524U (zh) 板件半自动安装设备
CN209910930U (zh) 一种整车振动试验装置
JP3731649B2 (ja) 車両の試験用補助装置
CN113651250A (zh) 一种副卷扬自拆卸起重机
CN210598308U (zh) 一种机械式立体车库
CN217672945U (zh) 减震器安装辅助装置
CN111076945A (zh) 一种具有负重模拟的整车震动设备
CN109110685A (zh) 一种用于固定式货架的倾倒装置
CN215025963U (zh) 一种车厢升降机构
CN218561019U (zh) 叉车
CN218141222U (zh) 一种用于消防车的升降装置
JP2691197B2 (ja) 上部乗入型垂直循環式駐車装置
CN219905605U (zh) 一种立体储存设备
CN220923930U (zh) 一种车载可移动箭体运输支撑座及箭体运输组件
CN215850714U (zh) 运载车
CN211527839U (zh) 一种负重模拟装置
CN212022634U (zh) 一种旋转式驮背车装卸车的站场设备系统
CN212529678U (zh) 一种电动板材运输小车
CN211527838U (zh) 一种具有负重模拟的整车震动设备
CN209954600U (zh) 副车架总成与控制臂的装配工装及螺栓螺母辅助连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