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221B1 -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 - Google Patents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221B1
KR100946221B1 KR1020070093149A KR20070093149A KR100946221B1 KR 100946221 B1 KR100946221 B1 KR 100946221B1 KR 1020070093149 A KR1020070093149 A KR 1020070093149A KR 20070093149 A KR20070093149 A KR 20070093149A KR 100946221 B1 KR100946221 B1 KR 10094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hot melt
adhesive
mesh tap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935A (ko
Inventor
안홍태
임재록
장효준
Original Assignee
(주)코레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레쉬텍 filed Critical (주)코레쉬텍
Priority to KR102007009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2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J1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사의 특성인 투시성, 통기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일정한 패턴으로 핫멜트 필름을 망사 위에 도포하여 접착망사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텔린 비닐아세테이트(EVA) 계열의 핫멜트 접착제를 필름화 한 후 이를 망사에 고온 고압으로 압착하여 합포하여 제조되어, 스피커 내부로 미세먼지 등이 들어오지 않도록 스피커 그릴 내부면에 접착되어 사용되는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 제조방법에 의해 접착력이 균일하고 자동화 공정에 의해 생산비용이 저렴한 접착망사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접착망사테이프, 핫멜트 접착제, 망사

Description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MANUFACTURING PROSESS OF ADHESIVE MESH TAPE AND ADHESIVE MESH TAPE THEREOF}
본 발명은 망사의 특성인 투시성, 통기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일정한 패턴으로 핫멜트 필름을 망사 위에 도포하여 접착망사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텔린 비닐아세테이트(EVA) 계열의 핫멜트 접착제를 필름화 한 후 이를 망사에 고온 고압으로 압착하고 합포하여 제조되어, 스피커 내부로 미세먼지 등이 들어오지 않도록 스피커 그릴 내부면에 접착되어 사용되는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도 급변하고 있다. 특히 시각적인 디스플레이 분야뿐만 아니라 음향학적인 요소의 중요성도 나날이 강조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과거 브라운관 텔레비젼(CRT TV)의 경우, 금속판이나 ABS, PET, PS 등의 합성수지를 재질로 한 필름에 일정한 패턴으로 타공을 하여 스피커 그릴을 형상화한 다음 이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 들어 개발 출시되고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제품의 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음향적 요구의 수준이 높아지고 스피커 자체 부품의 정밀성이 향상되어감에 따라 ABS, PET, PS 필름 등에 직경 0.5mm이상 의 사이즈로 타공된 구멍으로는 기기 외부에서 발생하여 기기 내부로 침투되는 미세먼지를 여과할 수 없게 되어 기기 파손이나 오작동 등의 원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을 위해, 최근에는 스피커 그릴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일정한 크기의 홀이 타공된 ABS, PET, PS 등의 필름의 내부에 PET, NYLON 등의 합성수지섬유로 제직된 망사(mesh)를 내부로부터 접착하여 미세먼지 등을 여과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사용하여 왔다.
다만 상기와 같은 스프레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필름과 망사를 합포하는 경우에는 접착제가 망사나 필름의 구멍 일부분을 막게 되어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가 부분적으로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음향학적인 특성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뿌려지는 스프레이 접착제의 도포량이 불균일하여 접착력이 불균일해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합포를 할 때 접착제를 망사에 직접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야 하기 때문에 값비싼 접착제의 손실이 많아서 제품생산에 드는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스프레이 방식으로 합성수지 필름에 먼지유입방지용 망사를 접착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접착의 불균일성 및 제조원가비용이 상승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수지 필름에 망사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접착제를 도포할 때 열가소성 점착제를 망사에 직접 일정한 두께의 망사 패턴으로 도포하여 스피커 그릴의 외관을 형성하는 ABS, PET, PS 등의 합성수지 필름에 먼제제거용 망사를 균일하게 합포할 수 있도록 하고 접착제의 소모량도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투시성 및 통기성이 최대한 살아 있는 접착망사테이프를 제공하여 에어필터, 음향기기 등의 부품 등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접착망사테이프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척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ET) 또는 나일론 재질의 망사제직사를 사용하여 50~150 메쉬(mesh)의 밀도로 1:1 평직으로 제직하는 망사제직공정;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20~50 중량%, 로진 또는 로진유도체 16~22 중량%, 왁스 16~22 중량%. 파라핀 또는 방향족 오일 8~12중량%, 탄산칼슘 또는 진흙 7~12 중량% 및 다이머산 3~12 중량%로 조성된 핫멜트를 얇은 두께로 필름화시키는 핫멜트 필름 제조공정; 상기 망사제직공정을 통해 제직된 망사와 상기 핫멜트 필름 제조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핫멜트 필름을 동시에 투입한 후 고온 압착하여 합포하는 핫프레스 공정; 상기 핫프레스 공정을 통해 합포된 망사와 핫멜트 합포필름에 대해 초음파를 이용하여 핫멜트 필름 표면에 미세한 구멍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천공공정; 및 상기 초음파 천공공정을 거친 망사와 핫멜트 합포필름을 80~18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가 10~40℃ 온도로 냉각하는 후처리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망사제직사는 적어도 2가닥 이상의 섬유를 미터당 650 ~ 1200회로 꼬임을 준 후에 80~130℃로 열고정을 한 멀티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나중에 망사와 핫멜트 필름을 압착하여 합포시킬때 접착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 경우 망사제직사의 굵기는 40~9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핫멜트 필름을 만드는데 필요한 성분 중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중량% 중에 공중합되어 있는 모노머 성분 중 에틸렌모노머의 함유량이 9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어느 정도의 견고성이 있도록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이며, 에틸렌모노머의 함량이 놓아지면 그만큼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물론 비닐아세테이트 자체의 비율이 낮아 점착성이 떨어지는 것은 로진(rosin) 또는 로진유도체 등 점착부여수지를 첨가하여 점착력을 보강하게 된다.
아울러, 다이머산을 핫멜트 필름제조공정에서 첨가되는 첨가물 중 하나로 포함시킨 것은 핫멜트 재료에 틱소트로피(thixotropy) 성질을 부가하여 망사에 핫멜트 필름이 골고루 잘 점착되도록 하면서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굳어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핫멜트 필름의 두께는 25~10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정도의 두께이어야만 접착력 및 강도가 일정한 접착망사테이프를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핫프레스 공정은 핫프레스 롤러를 이용하여 1~5kg/cm의 선압 및 100~180℃의 온도에서 압착하여 합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핫프레스 공정은 충분한 시간을 두고 합포를 시켜야 하므로 분당 20미터 즉 20m/min이하의 속도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초음파 천공공정에 이용되는 초음파는 600~1200 와트(watt)의 출력과 15~28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좋은데, 이러한 초음파를 합포된 망사와 핫멜트 필름에 쏴 주면 핫멜트 필름 부분에 미세한 구멍을 천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망사테이프 제조방법은 상기 핫프레스 공정 이후에 상기 핫프레스 공정을 통해 합포된 망사와 핫멜트 필름을 고온의 이형제에 충분히 함침시키는 이형제 함침공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이형제 함침공정을 통해 초음파를 이용해 미세한 구멍을 천공시킬 때 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천공공정에 사용되는 이형제로는 실리콘계열이나 플루오르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접착망사테이프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접착망사테이프는 스피커 그릴 내측에 접착되어 먼지유입을 막아주는 더스트 프로텍터(dust protecter)로 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투시성 및 통기성이 확보된 접착망사테이프로서 음향 가스켓, 에어필터 등 여러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망사테이프 제조방법에 의해,
망사가 가지는 투시성 및 통기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부착물에 대해서는 균일한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망사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 제조공정은 자동화가 가능하므로 수작업 비율을 획기적으로 낮춰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극대화된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아울러 투시성 및 통기성이 최대한 살아 있는 접착망사테이프를 제공하여 에어필터, 음향기기 등의 부품 등 신제품으로서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접착망사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한 핫멜트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계열의 핫멜트(Hot melt)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에틸렌모노머와 비닐아세테이트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생성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중량%에 대해 에틸렌모노머의 함유량이 90중량% 이상이 되도록 조정하여 강도를 부가하였으며, 전체 핫멜트 조성물과 대비하여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약 20~50중량%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EVA 30중량%를 사용하였으며, 첨가물로는 로진 또는 로진유도체 등의 점착부여수지 20중량%, 왁스 20%, 그리고 파라핀, 방향족 오일 등의 가소제 10중량%, 탄산칼슘과 진흙 혼합물 10중량%를 충전제로 사용하였으며, 틱소성(thixotropy)을 부여하기 위해 다이머산 10중량%를 첨가하여 핫멜트를 제조하였다. 이후 이를 가열하여 얇게 가공하여 두께가 25~100㎛인 핫멜트(Hot melt) 필름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망사를 제직할 때 이용되는 망사제직사는 핫멜트와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모노가 아닌 여러 가닥의 실을 꼬아서 만든 멀티 사를 사용하였다. 사의 굵기는 40~90㎛가 되도록 하였으며, 사는 650~1200 T/M(Twist per Meter)의 꼬임을 주어 80~130℃ 로 열고정하였으며, 망사의 밀도는 50~150 메쉬(mesh)가 되도록 1:1 평직으로 제직하였고, 이후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을 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망사와 핫멜트(Hot melt) 필름을 사용하여 핫프레스 롤러에 동시에 투입하고 압착하는데 합포 압력은 1~5kg/cm의 선압으로 작업하였다. 이때 공정속도는 20m/min이하이며, 핫 프레스 온도는 100~180℃로 하였다.
이렇게 합포된 망사와 핫멜트(Hot melt) 필름을 고온의 이형제에 함침시켜 통과시켰으며, 이후 600~1,200W의 출력과 15~28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핫멜트(Hot melt) 필름 표면에 미세한 구멍을 발생시켰다. 이후 80~180℃로 다시 가열하게 되면 핫멜트 필름에 형성된 미세구멍이 커지며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며 망사에 핫멜트 필름이 망사의 투시성 및 통공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부착되는데, 이후 이를 10~40℃의 냉각온도에서 충분히 냉각을 거친 후에 감게 되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접착망사테이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착망사테이프의 공정을 나타낸 전체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접착망사테이프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에서 보면 수직과 수평으로 짜여진 것이 망사(10)이며, 망사 사이에 대 각선 방향으로 반투명한 망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핫멜트(20)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착망사테이프의 공정을 나타낸 전체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접착망사테이프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
10 : 망사 20 : 핫멜트

Claims (8)

  1.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ET) 또는 나일론 재질의 망사제직사를 사용하여 50~150 메쉬(mesh)의 밀도로 1:1 평직으로 제직하는 망사제직공정;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20~50 중량%, 로진 또는 로진유도체 16~22 중량%, 왁스 16~22 중량%, 파라핀 또는 방향족 오일 8~12중량%, 탄산칼슘 또는 진흙 7~12 중량% 및 다이머산 3~12 중량%로 조성된 핫멜트를 얇은 두께로 필름화시키는 핫멜트 필름 제조공정;
    상기 망사제직공정을 통해 제직된 망사와 상기 핫멜트 필름 제조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핫멜트 필름을 동시에 투입한 후 고온 압착하여 합포하는 핫프레스 공정;
    상기 핫프레스 공정을 통해 합포된 망사와 핫멜트 합포필름에 대해 초음파를 이용하여 핫멜트 필름 표면에 미세한 구멍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천공공정; 및
    상기 초음파 천공공정을 거친 망사와 핫멜트 합포필름을 80~18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가 10~40℃ 온도로 냉각하는 후처리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제직사는 적어도 2가닥 이상의 섬유를 미터당 650 ~ 1200회로 꼬임을 준 후에 80~130℃로 열고정을 한 멀티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중량% 중 에틸렌모노머의 함유량이 90중량% 이상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필름의 두께는 2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핫프레스 공정은 핫프레스 롤러를 이용하여 1~5kg/cm의 선압 및 100~180℃의 온도에서 압착하여 합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천공공정에 이용되는 초음파는 600~1200 와트(watt)의 출력과 15~28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핫프레스 공정 이후에 상기 핫프레스 공정을 통해 합포된 망사와 핫멜트 필름을 고온의 이형제에 충분히 함침시키는 이형제 함침공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접착망사테이프.
KR1020070093149A 2007-09-13 2007-09-13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 KR10094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149A KR100946221B1 (ko) 2007-09-13 2007-09-13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149A KR100946221B1 (ko) 2007-09-13 2007-09-13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935A KR20090027935A (ko) 2009-03-18
KR100946221B1 true KR100946221B1 (ko) 2010-03-09

Family

ID=4069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149A KR100946221B1 (ko) 2007-09-13 2007-09-13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876A1 (ko) * 2016-03-04 2017-09-08 (주)엘캠 패턴 형성 방법
KR20190036606A (ko) 2017-09-28 2019-04-05 안홍태 접착메쉬테이프를 이용한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9488B (zh) * 2013-09-06 2016-05-18 繁昌县倍思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一种高速卷烟搭口热熔胶
KR101489671B1 (ko) * 2014-02-11 2015-02-04 조경혜 핫멜트 코팅층을 갖는 레이스 원단
WO2015122648A1 (ko) * 2014-02-11 2015-08-20 조경혜 핫멜트 기능을 갖는 레이스 원단
KR101681754B1 (ko) * 2015-03-20 2016-12-01 (주)코레쉬텍 공기 청정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079699B1 (ko) * 2019-11-08 2020-02-19 주식회사 에스에스하우징 간판 문자 스카시용 eva 폼 컬러판 및 그 제조방법
CN113621316A (zh) * 2021-10-08 2021-11-09 潍坊同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喇叭网粘结用热熔胶粘带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67A (ko) * 2001-07-04 2003-01-14 김진호 폴리에틸렌 플렉스 원단 제조방법
KR20060031666A (ko) * 2006-03-23 2006-04-12 엠.씨.케이 (주) 망사를 이용한 연마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67A (ko) * 2001-07-04 2003-01-14 김진호 폴리에틸렌 플렉스 원단 제조방법
KR20060031666A (ko) * 2006-03-23 2006-04-12 엠.씨.케이 (주) 망사를 이용한 연마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876A1 (ko) * 2016-03-04 2017-09-08 (주)엘캠 패턴 형성 방법
KR20170103510A (ko) * 2016-03-04 2017-09-13 (주)엘캠 패턴 형성 방법
US10843399B2 (en) 2016-03-04 2020-11-24 Elcam Co., Ltd Method for forming pattern
KR20190036606A (ko) 2017-09-28 2019-04-05 안홍태 접착메쉬테이프를 이용한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935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221B1 (ko) 접착망사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접착망사테이프
JP6025578B2 (ja) 編物模様を持つ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て製造されるハウジング
CN106132659B (zh) 热压用缓冲材料及其制造方法
CN106393710A (zh) 微穿孔面板蜂窝夹层结构的胶接方法及其结构、零件
CN104284766B (zh) 热压用缓冲材料
CH712138B1 (de) Verbund-Heissschmelz-Klebenetzfilm und Herstellungsverfahren desselben.
CN104626690A (zh) 一种天然纤维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US20210222360A1 (en) Artificial lea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04123B1 (ko)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JP2006062239A (ja) 繊維ボードの製造方法及び繊維ボード
JP5208861B2 (ja) 吸音性積層材および吸音性積層材成形物
CN109532178B (zh) 3d套印套压装饰膜生产工艺,应用及中间产品
KR20150124790A (ko)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CN103707583B (zh) 一种本体增强聚丙烯复合板材及其生产方法
CN104309234B (zh) 一种汽车顶棚及其制造方法
WO2009151115A1 (ja) 透孔性ネッ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426975B (zh) 一种复合钓鱼竿的制备工艺
CN209409546U (zh) 一种环保型热胶无纺墙布复合设备
KR20190036606A (ko) 접착메쉬테이프를 이용한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CN111021080A (zh) 一种高物性的吸塑鞍座革及其制备方法
KR101728159B1 (ko) 낚시대 제조방법
CN109501429A (zh) 一种环保型热胶无纺墙布复合设备
JPH0732511B2 (ja) スピ−カ−用振動板
CN112848546B (zh) 一种具有纹理的硬质编织布及其生产工艺和应用
TWI517977B (zh) 透孔性網材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