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123B1 -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 Google Patents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123B1
KR101604123B1 KR1020140115557A KR20140115557A KR101604123B1 KR 101604123 B1 KR101604123 B1 KR 101604123B1 KR 1020140115557 A KR1020140115557 A KR 1020140115557A KR 20140115557 A KR20140115557 A KR 20140115557A KR 101604123 B1 KR101604123 B1 KR 10160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hot
yarn
adhesiv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515A (ko
Inventor
장지상
이재정
최경석
Original Assignee
(주)아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셈스 filed Critical (주)아셈스
Priority to KR102014011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1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9Polyamides; Polyimides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 사이에 핫멜트 필름이나 핫멜트 접착제를 적층 또는 도포하여 합포하는 종래 방식과 달리, 자체에 접착성 및 통공이 부여된 접착성 원단을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 사이에 적층한 후 이를 상호 합포함으로써,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을 견고히 합포시키면서도 베이스 원단이나 적층 원단이 가지는 기능성(예를 들면 신축성 등)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통공을 통해 원단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접착성 원단을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다양한 색상의 접착성 원단을 매개로, 합포된 원단에 다양한 컬러 효과를 구현하여 그 패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 핫멜트 필름의 적층,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또는 재봉방식에 비해 합포 공정을 극히 단순화시켜 그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BONDING METHOD FOR MATERIAL USING THE ADHESIVE MATERIAL AND BONDED MATERI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 사이에 핫멜트 필름이나 핫멜트 접착제를 적층 또는 도포하여 합포하는 종래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0490호, 제10-1250409호 및 제10-1396828호에 따른 접착성 원단을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 사이에 적층한 후 이를 상호 합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신발, 가방, 지갑 또는 각종 파우치와 같은 제품들의 패션성이나 기능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종 소재의 원단 또는 색상이 상이한 동일 소재의 원단 등을 합포하여 상기 제품들을 제조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각종 원단의 합포는 통상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 사이에 핫멜트 필름이나 핫멜트 접착제를 적층 또는 도포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선행기술로써 특허문헌 1에서는 베이스 원단과 보호원단(적층 원단) 사이에 폴리우레탄 재질의 핫멜트 필름을 위치시킨 후, 이를 상호 압착하여 합포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합포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 사이에 핫멜트 필름 또는 핫멜트 접착제가 구성됨에 따라, 상기 핫멜트 필름 또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원단의 통공이 폐쇄되어 통기성이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신축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대해 신축성 원단(예를 들면, 스판 등)을 베이스 원단 또는 적층 원단으로 적용할 경우, 상기 핫멜트 필름 또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그 신축성이 현저히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적층 원단으로 메쉬원단을 적용할 경우, 상기 핫멜트 접착제가 메쉬원단의 통공을 통해 외부면으로 용출됨에 따라 해당 제품의 패션성을 저하시키고 그 기능성을 전혀 발현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량으로 간주되어 폐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핫멜트 필름이나 핫멜트 접착제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컬러를 다양하게 구현하지 못함에 따라, 합포되는 원단에 대한 다양한 컬러 효과의 표현에 많은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의 부착면을 접착하지 않고 가장자리만 재봉하여 원단을 합포하는 방식도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적층 원단의 불규칙한 유동성으로 인해 그 촉감이나 외관 등 패션성이 매우 미비할 뿐만 아니라 각종 이물질 등이 삽입되는 등 원단으로써의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필수적으로 재봉공정이 포함되어야 함에 따라 그 생산효율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1588호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 사이에 핫멜트 필름이나 핫멜트 접착제를 적층 또는 도포하여 합포하는 종래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0490호, 제10-1250409호 및 제10-1396828호에 따른 접착성 원단을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 사이에 적층한 후 이를 상호 합포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한편, 상기 접착성 원단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 또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사 또는 섬유원사가 상호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트리코트(tricot) 방식 또는 편직을 통해 통공을 가지도록 직조된 원단으로써, 원단 자체에 접착성이 부여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을 견고히 합포시키면서도 베이스 원단이나 적층 원단이 가지는 기능성(예를 들면 신축성 등)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통공을 통해 원단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접착성 원단을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다양한 색상의 접착성 원단을 매개로, 합포된 원단에 다양한 컬러 효과를 구현하여 그 패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종래 핫멜트 필름의 적층,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또는 재봉방식에 비해 합포 공정을 극히 단순화시켜 그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의 합포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합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포 방법은,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이를 온도 100 ~ 150℃에서 2 ~ 10kg/cm2의 압력으로 10 ~ 40초간 압착하여 합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가 편직 또는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이루도록 직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원사(22)가 편직 또는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이루도록 직조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섬유 원사(23)가 편직 또는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이루도록 직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코어(21a)와 시드(21b)로 구성되는 섬유원사(21c)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가 0.03 ~ 0.5g/m 양으로 코팅되되, 상기 섬유원사(21c)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핫멜트 수지(21d)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접착성 원단을 이용하여 베이스 원단과 적층 원단을 견고히 합포시키면서도 베이스 원단이나 적층 원단이 가지는 기능성(예를 들면 신축성 등)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통공을 통해 원단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접착성 원단을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다양한 색상의 접착성 원단을 매개로, 합포된 원단에 다양한 컬러 효과를 구현하여 그 패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 핫멜트 필름의 적층,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또는 재봉방식에 비해 합포 공정을 극히 단순,화시켜 그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포된 원단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실물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코트 직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가 코팅된 원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에 관한 것으로,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과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의 합포 방법에 있어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합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이를 온도 100 ~ 150℃에서 2 ~ 10kg/cm2의 압력으로 10 ~ 40초간 압착하여 합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b)의 경우 상기 (a)와 같은 구조로 합포되되, 베이스 원단(10)으로 스판 원단, 적층 원단(30)으로 메쉬 원단을 적용한 실물사진(평면 및 단면)이며, (c)의 경우 상기 (a)와 같은 구조로 합포되되, 베이스 원단(10)으로 메쉬 원단, 적층 원단(30)으로 메쉬 원단을 적용한 실물사진(평면 및 단면)이고, (d)의 경우 (a)와 같은 구조로 합포되되, 베이스 원단(10)으로 스판 원단, 적층 원단(30)으로 스판 원단을 적용한 실물사진(평면 및 단면)이다.
이때, 상기 합포 조건(온도, 압력 및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이 제대로 합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은 해당 제품의 사용분야나 환경 및 디자인 등에 의해 매우 가변적이므로, 특정 소재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일반적인 메쉬 원단 또는 스판 원단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원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0490호, 제10-1250409호 및 제10-1396828호에 따른 접착성 원단을 적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가 통공을 가지도록 편직(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0490호) 또는 도 3의 (a),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가지도록 직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6828호)되거나, 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TPU 원사(22)가 통공을 가지도록 편직(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409호) 또는 도 3의 (b),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TPU 원사(22)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가지도록 직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6828호)되거나, 또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섬유 원사(23)가 통공을 가지도록 편직(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409호) 또는 도 3의 (c),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섬유 원사(23)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가지도록 직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6828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가 통상의 위사 또는 경사 방향으로 상호 직조되는 통상의 직조방식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트리코트(tricot) 방식은 편성(編成,knitting) 공정에 의해 만들어지는 편물로써, 편성 중에서도 조직이 경(經)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경편(經編,warp knitting)에 해당하는 직조방식이며, 이미 공지된 방식으로써 다양한 트리코트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통공을 형성하는 체인형 트리코트 직조방식을 적용한다.
즉, 도 3의 (a),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가 코팅된 원사(21)가 체인형 트리코트 직조방식으로 직조되거나 또는 도 3의 (b),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PU 원사(22)로 이루어진 체인형 조직에 핫멜트가 코팅된 원사(21)가 첨사되어 있는 트리코트 직조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 3의 (c),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 원사(23)로 이루어진 체인형 조직에 핫멜트가 코팅된 원사(21)가 첨사되어 있는 트리코트 직조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와 같은 체인형 조직 이외에도 다양한 트리코트 직조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편직 또는 트리코트 방식을 이용하여 통공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기술은 그 직조형태, 방법 및 장치 등이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직조방식은 구현하고자 하는 통공의 크기 또는 사용분야 및 디자인 등에 따라 매우 가변적이므로 그 직조형태, 방법 및 장치 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이미 공지된 모든 직조형태, 방법 및 장치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접착성 원단(20)에 접착성을 부여하고 이로 인해 합포 시, 상기 핫멜트 수지가 용융되어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을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21a)와 시드(21b)로 구성되는 섬유원사(21c)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가 0.03 ~ 0.5g/m 양으로 코팅되어 이루어지는데, 0.03g/m 미만일 경우, 접착성이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0.5g/m를 초과할 경우, 핫멜트 수지(21d)의 양이 많아서 편직 또는 트리코트 방식으로 직조 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핫멜트 수지가 원단의 오염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에 포함되는 섬유원사(21c)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핫멜트 수지(21d)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원사(21c)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각 핫멜트 수지(21d)를 코팅할 수 있지만, 코팅을 통한 섬유원사(21c)와 핫멜트 수지(21d)의 융합성을 고려하여, 폴리에스터사일 경우,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하고, 나일론사일 경우,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코팅하며, 면사일 경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TPU 원사(22)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를 압출하여 제조된 원사를 의미하며, 이는 이미 공지된 원사의 한 종류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함께 편직 또는 트리코트 방식으로 직조되는 섬유 원사(23)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핫멜트 필름이나 핫멜트 접착제를 적층 또는 도포하여 합포하는 종래 방식과 달리, 상기와 같이 자체에 접착성 및 통공이 부여된 접착성 원단(20)을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적층한 후 이를 상호 합포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을 견고히 합포시키면서도 베이스 원단(10)이나 적층 원단(30)이 가지는 기능성(예를 들면 신축성 등)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통공을 통해 원단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접착성 원단(20)을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다양한 색상의 접착성 원단(20)을 매개로, 합포된 원단에 다양한 컬러 효과를 구현하여 그 패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 핫멜트 필름의 적층,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또는 재봉방식에 비해 합포 공정을 극히 단순화시켜 그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원단 합포
(실시예 1)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열 프레스(heat press)를 이용하여 온도 100℃에서 10kg/cm2의 압력으로 10초간 압착하여 합포하였다.
이때, 베이스 원단(10)은 스판원단을 사용하였으며, 적층 원단(30)은 메쉬 원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를 편직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섬유원사(21c)인 폴리에스터사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0.03g/m 양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열 프레스(heat press)를 이용하여 온도 125℃에서 5kg/cm2의 압력으로 25초간 압착하여 합포하였다.
이때, 베이스 원단(10)은 메쉬원단을 사용하였으며, 적층 원단(30)은 메쉬원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를 트리코트 방식으로 직조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섬유원사(21c)인 나일론사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인 아크릴 수지를 0.05g/m 양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열 프레스(heat press)를 이용하여 온도 150℃에서 2kg/cm2의 압력으로 40초간 압착하여 합포하였다.
이때, 베이스 원단(10)은 스판 원단을 사용하였으며, 적층 원단(30)은 스판 원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TPU 원사(22)를 편직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섬유원사(21c)인 면사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0.5g/m 양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열 프레스(heat press)를 이용하여 온도 100℃에서 10kg/cm2의 압력으로 10초간 압착하여 합포하였다.
이때, 베이스 원단(10)은 스판원단을 사용하였으며, 적층 원단(30)은 메쉬 원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TPU 원사(22)를 트리코트 방식으로 직조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섬유원사(21c)인 폴리에스터사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0.03g/m 양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열 프레스(heat press)를 이용하여 온도 125℃에서 5kg/cm2의 압력으로 25초간 압착하여 합포하였다.
이때, 베이스 원단(10)은 메쉬원단을 사용하였으며, 적층 원단(30)은 메쉬원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섬유 원사(23)인 폴리에스터사를 편직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섬유원사(21c)인 나일론사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인 아크릴 수지를 0.3g/m 양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열 프레스(heat press)를 이용하여 온도 150℃에서 2kg/cm2의 압력으로 40초간 압착하여 합포하였다.
이때, 베이스 원단(10)은 스판 원단을 사용하였으며, 적층 원단(30)은 스판 원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섬유 원사(23)인 폴리에스터사를 트리코트 방식으로 직조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섬유원사(21c)인 면사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0.5g/m 양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100㎛ 두께의 핫멜트 필름을 적층시킨 후, 열 프레스(heat press)를 이용하여 온도 100℃에서 10kg/cm2의 압력으로 10초간 압착하여 합포하였다.
이때, 베이스 원단(10)은 스판 원단을 사용하였으며, 적층 원단(30)은 메쉬 원단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핫멜트 접착제를 200㎛ 두께로 도포한 후, 열 프레스(heat press)를 이용하여 온도 125℃에서 5kg/cm2의 압력으로 25초간 압착하여 합포하였다.
이때, 베이스 원단(10)은 메쉬 원단을 사용하였으며, 적층 원단(30)은 메쉬 원단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300㎛ 두께의 핫멜트 필름을 적층시킨 후, 열 프레스(heat press)를 이용하여 온도 150℃에서 2kg/cm2의 압력으로 40초간 압착하여 합포하였다.
이때, 베이스 원단(10)은 스판 원단을 사용하였으며, 적층 원단(30)은 스판 원단을 사용하였다.
2. 합포된 원단의 통기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합포된 원단을 KS K 0570(천의 공기 투과도 측정)에 준하여 통기성을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통기성주1 )
(㎤/min/㎠)
34 38 32 35 39 32 11 17 8
주 1) 원단의 단위면적 1㎠ 당 1분(min) 동안 투과되는 공기의 양(㎤)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접착성 원단을 이용하여 합포된 원단은,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핫멜트 필름 또는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포된 원단에 비해 통기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베이스 원단 20 : 접착성 원단
30 : 적층 원단 21 :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
21a : 코어 21b : 시드
23, 21c : 섬유 원사 21d : 핫멜트 수지
22 : TPU 원사

Claims (7)

  1.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의 합포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원단(10)과 적층 원단(30) 사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한 후,
    이를 온도 100 ~ 150℃에서 2 ~ 10kg/cm2의 압력으로 10 ~ 40초간 압착하여 합포하되,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가 편직 또는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이루도록 직조되거나 또는,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원사(22)가 편직 또는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이루도록 직조되거나 또는,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섬유 원사(23)가 편직 또는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이루도록 직조되며,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코어(21a)와 시드(21b)로 구성되는 섬유원사(21c)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가 0.03 ~ 0.5g/m 양으로 코팅되되, 상기 섬유원사(21c)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핫멜트 수지(21d)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따른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KR1020140115557A 2014-09-01 2014-09-01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KR101604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557A KR101604123B1 (ko) 2014-09-01 2014-09-01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557A KR101604123B1 (ko) 2014-09-01 2014-09-01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515A KR20160026515A (ko) 2016-03-09
KR101604123B1 true KR101604123B1 (ko) 2016-03-16

Family

ID=5553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557A KR101604123B1 (ko) 2014-09-01 2014-09-01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1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779A1 (ko) * 2019-03-14 2020-09-17 (주)라쉬반코리아 통기성 프린트 의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45738A (ko) 2020-10-06 2022-04-13 (주)아셈스 에이징 처리된 접착성 원사를 이용한 접착성 원단
KR20220060646A (ko) 2020-11-05 2022-05-12 (주)아셈스 VOCs-Free 신발 소재용 친환경 접착코팅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422B1 (ko) * 2018-10-31 2022-07-08 강청 패턴이 형성된 기능성 원단
KR102340952B1 (ko) * 2019-12-18 2021-12-16 김진규 실크 기능성 원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828B1 (ko) * 2014-02-19 2014-05-20 (주)아셈스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588B1 (ko) 2013-05-10 2013-11-20 엄찬형 이중구조를 가지는 원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828B1 (ko) * 2014-02-19 2014-05-20 (주)아셈스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779A1 (ko) * 2019-03-14 2020-09-17 (주)라쉬반코리아 통기성 프린트 의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45738A (ko) 2020-10-06 2022-04-13 (주)아셈스 에이징 처리된 접착성 원사를 이용한 접착성 원단
KR20220060646A (ko) 2020-11-05 2022-05-12 (주)아셈스 VOCs-Free 신발 소재용 친환경 접착코팅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515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123B1 (ko)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KR101300855B1 (ko)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KR101240490B1 (ko) 접착성을 가지는 원단
CN105102212B (zh) 柔性复合材料体系和方法
CN109130405B (zh) 一种隔热覆盖物及其制备方法
WO2011044324A3 (en) Open mesh material and bags made therefrom
CN106062272B (zh) 化学保护服用原材料
KR101250409B1 (ko)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US7749207B2 (en) Elastomeric laminates and garments formed thereby
CN204773829U (zh) 透气弹性的三明治复合布
JP2015501392A5 (ko)
EP2501544B1 (en) Elastic fabric with adhesive
KR101540775B1 (ko) 기능성 부직포 원단
KR101604122B1 (ko)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US20010021443A1 (en) Laminate against ballistic actions
KR101029327B1 (ko) 원단의 양면에 파일을 갖는 양면 기모원단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양면 파일을 갖는 양면 기모원단
JP7062594B2 (ja) ストレッチデニムや他の布地製品の縫目または裾の形成方法
KR20150124790A (ko)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WO2016060699A1 (en) 3d spacer fabric and unbroken loop pile fabric laminated composite material
JP6637247B2 (ja) 積層シート
KR20220060646A (ko) VOCs-Free 신발 소재용 친환경 접착코팅원단
KR20220045738A (ko) 에이징 처리된 접착성 원사를 이용한 접착성 원단
JP2018024956A (ja) 層状編地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層状編地複合材を用いた身体装着具
CN207549615U (zh) 一种装饰用纺织面料
TWM584805U (zh) 網格布結構及其應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