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828B1 -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828B1
KR101396828B1 KR1020140018844A KR20140018844A KR101396828B1 KR 101396828 B1 KR101396828 B1 KR 101396828B1 KR 1020140018844 A KR1020140018844 A KR 1020140018844A KR 20140018844 A KR20140018844 A KR 20140018844A KR 101396828 B1 KR101396828 B1 KR 10139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resin
adhesiv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상
이재정
최경석
Original Assignee
(주)아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셈스 filed Critical (주)아셈스
Priority to KR102014001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828B1/ko
Priority to PCT/KR2015/001639 priority patent/WO20151261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8Decorating textiles by fixation of mechanical effects, e.g. calendering, embossing or Chintz effects, using chem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8Meshes, lattices or n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 또는,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원사로 이루어진 접착성 원단을 베이스 원단에 적층시킨 후, 이를 표면 몰딩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해, 상기 접착성 원단 자체에 돌출부와 압착부가 형성되어 입체문양이 구현됨으로써, 그 작업공정 및 시간을 극히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착성 원단을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가지는 메쉬(mesh)원단 형태로 직조함으로써, 상기 통공에 의해 통기성을 가지도록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 DIMENSIONAL PATTERN USING THE ADHESIVE MATERIAL}
본 발명은 메쉬원단 형태의 접착성 원단을 베이스 원단에 적층시킨 후, 이를 표면 몰딩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해, 상기 접착성 원단 자체에 돌출부와 압착부가 형성되어 입체문양이 구현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통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원단에 문양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스크린 나염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글자, 도형, 그림 또는 실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는 하지만 평면 표현에 국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들어 원단의 표면에 다양한 종류의 디자인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문양을 발포시켜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팝스크린 방식이나, 3D 스캐너나 분사로봇 등을 이용하여 문양을 분사 및 적층시켜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적층 방식이나, 또는 금형에 액상 PU(Polyurethane)를 투입하여 입체적 문양을 표현하는 PU 캐스팅 방식을 적용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팝스크린 방식의 경우,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발포수지를 원단에 도포 후 열풍 건조 또는 상온 자연건조 후 고착된 발포수지에 열을 가하여 발포시켜 입체적인 문양을 가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작업 공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 또한 매우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작업자가 원단에 발포수지를 수작업에 의하여 덧칠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디자인의 표현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완성된 원단의 품질에서도 차이가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완전한 발포상태가 되지 못할 경우, 원하고자 하는 입체질감을 충분하게 표현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적층 방식의 경우, 특허문헌 2에서와 같이 작화 기구를 갖는 장치를 이용하여 문양 형성을 위한 조성물을 노즐로부터 원단 표면에 분사 및 적층시키고 이를 경화시켜 입체 표시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 분사 및 적층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입체적으로 표시된 문양의 경화시간이 매우 오래 걸려, 여전히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U 캐스팅 방식의 경우, 특허문헌 3에서와 같이, 원하는 문양에 대응되는 형태의 금형에 베이스 시트를 투입하고 수지를 투입한 후, 탈형 및 경화시켜 입체적인 문양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3 역시, 입체적으로 표시된 문양의 경화시간이 매우 오래 걸려, 여전히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8061호 "입체 장식무늬를 갖는 직물지 및 이러한 입체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64026호 "입체 모양 형성 방법"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4750호 "다중 재질의 결합에 의한 맞춤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 또는,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원사로 이루어진 접착성 원단을 베이스 원단에 적층시킨 후, 이를 표면 몰딩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해, 상기 접착성 원단 자체에 돌출부와 압착부가 형성되어 입체문양이 구현됨으로써, 그 작업공정 및 시간을 극히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접착성 원단을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을 가지는 메쉬(mesh)원단 형태로 직조함으로써, 상기 통공에 의해 통기성을 가지도록 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입체 문양 형성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원단(10)의 상부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시키는 단계(S100); 및
상기 접착성 원단(20)을 표면몰딩하여 입체 문양을 형성시키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때, 상기 S200 단계는,
음각부(30a)가 형성된 금형(30)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성 원단(20)의 표면을 온도 100 ~ 150℃에서 10 ~ 50kg/cm2의 압력으로 10 ~ 30초간 압착함으로써,
상기 접착성 원단(20) 중, 상기 금형(30)의 음각부(30a)와 대응되는 부분에 돌출부(20a)가 형성되고, 그 외 부분은 압착부(20b)가 형성되어, 입체 문양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가 트리코트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TPU 원사가 트리코트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일 수도 있다.
그릭,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코어(21a)와 시드(21b)로 구성되는 섬유원사(21c)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가 0.05 ~ 0.3g/m 양으로 코팅되되,
상기 섬유원사(21c)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핫멜트 수지(21d)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 또는,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와 TPU 원사로 이루어진 접착성 원단을 베이스 원단에 적층시킨 후, 이를 표면 몰딩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해, 상기 접착성 원단 자체에 돌출부와 압착부가 형성되어 입체문양이 구현됨으로써, 그 작업공정 및 시간을 극히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착성 원단을 트리코트 방식으로 통공을 가지는 메쉬원단 형태로 직조함으로써, 상기 통공에 의해 통기성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가 코팅된 원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코트 직조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원단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금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입체 문양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단면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과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성 원단 적층 단계(S100) 및 표면 몰딩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100 단계는, 베이스 원단(10)의 상부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시키는 단계로써,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21a)와 시드(21b)로 구성되는 섬유원사(21c)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가 0.05 ~ 0.3g/m 양으로 코팅된 원사(2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리코트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쉬형태의 원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트리코트란 편성(編成,knitting) 공정에 의해 만들어지는 편물로써, 편성 중에서도 조직이 경(經)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경편(經編,warp knitting)에 해당하는 직조방식이며, 이미 공지된 방식이다.
즉, 상기 트리코트 방식을 이용한 메쉬원단 형태의 접착성 원단(20)은 그 직조형태, 방법 및 장치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구현하고자 하는 통공(h)의 크기 또는 사용분야 및 디자인 등에 따라 매우 가변적이므로, 그 직조형태, 방법 및 장치 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이미 공지된 모든 직조형태, 방법 및 장치 등을 적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통기성 등을 고려하여, 트리코트 방식 중에서도 도 3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인형 트리코트 방식으로 직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공(h)이 형성된 메쉬형태의 원단으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섬유원사(21c)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가 0.05 ~ 0.3g/m 양으로 코팅되어 이루어지는데, 0.05g/m 미만일 경우, 입체 문양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0.3g/m를 초과할 경우, 핫멜트 수지(21d)의 양이 많아서 메쉬 원단 형태로 직조 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섬유원사(21c)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핫멜트 수지(21d)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원사(21c)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각 핫멜트 수지(21d)를 코팅할 수 있지만, 코팅을 통한 섬유원사(21c)와 핫멜트 수지(21d)의 융합성을 고려하여, 폴리에스터사일 경우,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하고, 나일론사일 경우,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코팅하며, 면사일 경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써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TPU 원사가 트리코트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TPU 원사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를 압출하여 제조된 원사를 의미하며, 이는 이미 공지된 원사의 한 종류이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원단(10)은, 해당 원단의 사용목적에 맞는 다양한 원단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S200 단계는, 상기 접착성 원단(20)을 표면 몰딩하여 입체 문양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각부(30a)가 형성된 금형(30)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성 원단(20)의 표면을 온도 100 ~ 150℃에서 10 ~ 50kg/cm2의 압력으로 10 ~ 30초간 압착함으로써,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성 원단(20) 중, 상기 금형(30)의 음각부(30a)와 대응되는 부분에 돌출부(20a)가 형성되고, 그 외 부분(상기 금형(30) 중 음각부(30a)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은 압착 및 용융되어 압착부(20b)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입체 문양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공(h)은 여전히 개방(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원단(10)이 접착성 원단(20)의 통공(h)을 통해 외부 노출)되어 있으므로 통기성을 구현된다.
한편, 상기 표면 몰딩 조건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입체문양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 또는,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TPU 원사로 이루어진 접착성 원단(20)을 베이스 원단(10)에 적층시킨 후, 이를 표면 몰딩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해, 상기 접착성 원단(20) 자체에 돌출부(20a)와 압착부(20b)가 형성되어 입체문양이 구현됨으로써, 그 작업공정 및 시간을 극히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접착성 원단(20)을 트리코트 방식으로 통공(h)을 가지는 메쉬 원단 형태로 직조함으로써, 상기 통공(h)에 의해 통기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베이스 원단 20 : 접착성 원단
20a : 돌출부 20b : 압착부
21 :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 21a : 코어
21b : 시드 21c : 섬유원사
21d : 핫멜트 수지 h : 통공
30 : 금형 30a : 음각부

Claims (5)

  1. 입체 문양 형성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원단(10)의 상부면에 접착성 원단(20)을 적층시키는 단계(S100); 및
    상기 접착성 원단(20)을 표면몰딩하여 입체 문양을 형성시키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음각부(30a)가 형성된 금형(30)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성 원단(20)의 표면을 온도 100 ~ 150℃에서 10 ~ 50kg/cm2의 압력으로 10 ~ 30초간 압착함으로써,
    상기 접착성 원단(20) 중, 상기 금형(30)의 음각부(30a)와 대응되는 부분에 돌출부(20a)가 형성되고, 그 외 부분은 압착부(20b)가 형성되어, 입체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가 트리코트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원단(2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와, TPU 원사가 트리코트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21)는,
    코어(21a)와 시드(21b)로 구성되는 섬유원사(21c)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21d)가 0.05 ~ 0.3g/m 양으로 코팅되되,
    상기 섬유원사(21c)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핫멜트 수지(21d)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20140018844A 2014-02-19 2014-02-19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39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844A KR101396828B1 (ko) 2014-02-19 2014-02-19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PCT/KR2015/001639 WO2015126165A1 (ko) 2014-02-19 2015-02-17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844A KR101396828B1 (ko) 2014-02-19 2014-02-19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828B1 true KR101396828B1 (ko) 2014-05-20

Family

ID=5089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844A KR101396828B1 (ko) 2014-02-19 2014-02-19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6828B1 (ko)
WO (1) WO2015126165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770B1 (ko) * 2015-01-08 2015-07-31 (주)아셈스 더블 라셀 편물로 이루어진 기능성 원단
KR20150124790A (ko) * 2014-04-29 2015-11-06 (주)아셈스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579862B1 (ko) 2015-06-25 2015-12-23 (주)아셈스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604123B1 (ko) * 2014-09-01 2016-03-16 (주)아셈스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KR101604122B1 (ko) * 2014-08-12 2016-03-16 (주)아셈스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KR101634333B1 (ko) * 2015-11-27 2016-06-28 (주)아셈스 횡편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표면 몰딩 방법
WO2016144081A1 (ko) * 2015-03-12 2016-09-15 (주)아셈스 기능성 부직포 원단
KR101661122B1 (ko) 2015-12-31 2016-09-29 (주)아셈스 착시 효과를 갖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WO2016208982A1 (ko) * 2015-06-25 2016-12-29 (주)아셈스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20170033694A (ko) 2015-09-17 2017-03-27 (주)아셈스 롤링 금형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811818B1 (ko) * 2015-12-15 2017-12-22 (주)아셈스 기능성 기모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848372B1 (ko) 2016-09-09 2018-04-12 (주)아셈스 횡편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몰딩 방법
KR102029085B1 (ko) * 2018-09-12 2019-10-07 (주)유영산업 접착사를 이용한 기능성 홀이 형성된 신발 원단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2831A (zh) 2017-09-26 2020-05-08 东洋纺株式会社 聚丙烯系层叠薄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621B1 (ko) 2010-11-30 2012-11-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다단 엠보 방오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24472A (ko) * 2010-02-02 2012-11-1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시트, 합성 피혁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40490B1 (ko) 2012-10-11 2013-03-11 (주)아셈스 접착성을 가지는 원단
KR101250409B1 (ko) 2012-09-26 2013-04-05 (주)아셈스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4472A (ko) * 2010-02-02 2012-11-1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시트, 합성 피혁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97621B1 (ko) 2010-11-30 2012-11-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다단 엠보 방오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0409B1 (ko) 2012-09-26 2013-04-05 (주)아셈스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KR101240490B1 (ko) 2012-10-11 2013-03-11 (주)아셈스 접착성을 가지는 원단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790A (ko) * 2014-04-29 2015-11-06 (주)아셈스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579859B1 (ko) 2014-04-29 2015-12-23 (주)아셈스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604122B1 (ko) * 2014-08-12 2016-03-16 (주)아셈스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KR101604123B1 (ko) * 2014-09-01 2016-03-16 (주)아셈스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원단 합포 방법 및 이 합포 방법에 의해 합포된 원단
KR101540770B1 (ko) * 2015-01-08 2015-07-31 (주)아셈스 더블 라셀 편물로 이루어진 기능성 원단
WO2016144081A1 (ko) * 2015-03-12 2016-09-15 (주)아셈스 기능성 부직포 원단
WO2016208982A1 (ko) * 2015-06-25 2016-12-29 (주)아셈스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579862B1 (ko) 2015-06-25 2015-12-23 (주)아셈스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20170033694A (ko) 2015-09-17 2017-03-27 (주)아셈스 롤링 금형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634333B1 (ko) * 2015-11-27 2016-06-28 (주)아셈스 횡편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표면 몰딩 방법
US20170152615A1 (en) * 2015-11-27 2017-06-01 Assems Inc. Adhesive fabric manufactured by Flat knitting Jacquard TECHNIQUE and surface molding method thereof
KR101811818B1 (ko) * 2015-12-15 2017-12-22 (주)아셈스 기능성 기모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661122B1 (ko) 2015-12-31 2016-09-29 (주)아셈스 착시 효과를 갖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KR101848372B1 (ko) 2016-09-09 2018-04-12 (주)아셈스 횡편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몰딩 방법
KR102029085B1 (ko) * 2018-09-12 2019-10-07 (주)유영산업 접착사를 이용한 기능성 홀이 형성된 신발 원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6165A1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828B1 (ko)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579859B1 (ko)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CN105324233B (zh) 碳纤维复合材料
US4062917A (en) Method of molding resin-impregnated fabric layer using release sheet and absorbent sheet inside evacuated bag
KR101509157B1 (ko)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US20160185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3d printing on permeable materials
CN105415700A (zh) 一种用于曲面的工艺垫板使用方法
KR101893669B1 (ko) 샌드위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51371B1 (ko) 패턴 형성 방법
KR101540775B1 (ko) 기능성 부직포 원단
US20160312389A1 (en) Adhesive Fabric Woven By Circular Knitting And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Patterns Using The Same
CN101015954A (zh) 制造塑料成圈机件梳栉的方法以及塑料成圈机件梳栉
KR101579862B1 (ko)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785351B1 (ko) 원단에 대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101574715B1 (ko) 자동 분사수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KR20150100111A (ko) 피유 캐스팅을 이용한 신발 갑피의 제조 방법
KR20170033694A (ko) 롤링 금형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US20170120554A1 (en) Product or Sheet, Combined with a Mesh or Meshes
KR101811818B1 (ko) 기능성 기모 원단을 이용한 입체 문양 형성방법
CN109514930A (zh) 立体鞋面的制造方法
KR20170059795A (ko) 나염층이 형성된 입체 문양 형성방법
JP4670021B2 (ja) 立体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法を利用した立体紙
CN106079485A (zh) 新型碳纤维织物定型装置及工艺
KR101671409B1 (ko) 내수성 및 통기성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297086B1 (ko) 원단에 입체감 있는 발포 무늬를 형성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