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703B1 - 회전형 전기 부품 - Google Patents

회전형 전기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703B1
KR100945703B1 KR1020070100312A KR20070100312A KR100945703B1 KR 100945703 B1 KR100945703 B1 KR 100945703B1 KR 1020070100312 A KR1020070100312 A KR 1020070100312A KR 20070100312 A KR20070100312 A KR 20070100312A KR 100945703 B1 KR100945703 B1 KR 100945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essing member
push switch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825A (ko
Inventor
히데야스 하야시
가즈야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01H19/003Thumb wheel switches having a pushbutton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60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no contacts
    • H01H19/635Contacts actuated by rectilinearly-movable member linked to operating part, e.g. by pin and slot
    • H01H19/6355Contacts actuated by rectilinearly-movable member linked to operating part, e.g. by pin and slot using axial cam devices for transforming the angular movement into linear movement along the axis of ro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22Actuating striker
    • H01H2235/024Actuating striker formed by knee or dimple of leaf spring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과제
동일한 조작축에서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형 전기 부품의 중앙부에 다른 부품을 배치하는 것.
해결 수단
중공 형상의 베어링부 (2) 를 갖는 하우징 (케이스 (1, 6)) 과, 베어링부 (2) 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중공 형상의 조작축 (5) 과, 하우징에 수납되어 조작축 (5) 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하우징에 수납되어 조작축 (5) 의 축선 방향에 대한 가압 조작에 수반하여 구동되는 푸쉬 스위치를 구비하고, 조작축 (5) 을 베어링부 (2) 의 외주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하우징의 베어링부 (2) 외주측에 수납부 (1b, 6b) 를 고리형으로 형성하고, 고리형의 수납부 (1b, 6b) 내에 회전 검출 수단 및 푸쉬 스위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형 전기 부품{ROTARY ELECTRICAL COMPONENT}
본 발명은 회전형 전기 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압 조작용 푸쉬 스위치를 구비한 푸쉬 스위치 장착 회전형 전기 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센터 푸쉬 스위치 장착 회전형 전기 부품으로는, 조작축의 축선 방향의 이동 동작에 의해 스위치를 온, 오프시키는 푸쉬 스위치를 구비하고, 조작축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 조작형 인코더를 조작하도록 한 구조인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조를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낸다. 도 11 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의 조작축을 누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 에 있어서, 51 은 금속 다이캐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으로, 그 중심 구멍 (51A) 에는, 봉 형상의 조작축 (52) 이 회전 및 축선 방향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끼워 맞춤 유지되어 있다. 이 조작축 (52) 의 원형 끼워맞춤부 (52A) 의 전방부는, 조작용 손잡이 (53) 를 장착하기 위한 조작부 (52B) 가 되고, 후방부에는 세경 홈부 (52C) 가 형성되고, 베어링 (51) 의 중심 구멍 (51A) 보다 큰 외경의 C 형 고정 링 (54) 이 장착되어 조작축 (52) 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또, 그 후방의 비원형부 (52D) 에는, 인코더부 (55) 의 회전체 (56) 가, 회전 운동은 전달되지만 축선 방향의 움직임은 전해지지 않도록 걸어 맞춰지고, 추가로 후단부 (52E) 는, 푸쉬 조작형 스위치부 (57) 의 스프링성을 갖는 가동 접점체 (58) 에 맞닿아 조작축 (52) 전체가 전방으로 밀린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C 형의 고정 링 (54) 이 베어링 (51) 의 후단면 (51B) 에 맞닿아 있다.
이 푸쉬 스위치 장착 회전 조작형 인코더의 동작은, 손잡이 (53) 를 회전 조작하여 조작축 (52) 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체 (56) 가 회전 운동을 하여 인코더부 (55) 의 단자 (55A) 부에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고, 또, 손잡이 (53) 를 눌러 조작축 (52) 을 밀어넣음으로써,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부 (57) 의 스프링성을 갖는 가동 접점체 (58) 의 중앙부가 움푹 패어, 그 하부의 가동 접점 (58A) 과 스위치 기판 (59) 상의 고정 접점 (59A) 이 접촉되어 스위치부 (57) 의 한 쌍의 단자 (57A) 사이가 ON 이 된다.
그리고, 손잡이 (53) 을 누르는 힘을 빼면, 가동 접점체 (58) 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조작축 (52) 이 되밀려, 스위치부 (57) 의 한 쌍의 단자 (57A) 사이가 OFF 가 되어, 도 11 에 나타내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64375호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조작축이나 푸쉬 스위치가 중앙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형 전기 부품의 중앙부에는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없고, 예를 들어, 조광용 등의 LED 나 다른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외측에 배치할 수 밖에 없어, 손잡이부의 조광 성능이나, 전자 부품 등의 실장 자유도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한 조작축에서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형 전기 부품의 중앙부에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회전형 전기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 부품은, 중공 형상의 베어링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중공 형상의 조작축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조작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조작축의 축선 방향에 대한 가압 조작에 수반하여 구동되는 푸쉬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을 상기 베어링부의 외주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기 베어링부의 외주측에 수납부를 고리형으로 형성하고, 고리형의 상기 수납부 내에 상기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푸쉬 스위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베어링부 외주측에 형성된 고리형의 수납부 내 에 회전 검출 수단 및 푸쉬 스위치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의 중공 형상의 베어링부 내주측을 프리 스페이스로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조광용의 발광 다이오드나 다른 전자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전자 부품의 실장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조작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조작축의 축선 방향에 대한 가압 조작에 수반하여 구동되는 푸쉬 스위치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조작축에서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양호한 조작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어링부의 축선 방향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 1 케이스와, 후방측에 형성된 제 2 케이스를 갖고, 상기 제 1 케이스 내에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을 배치함과 함께, 상기 제 2 케이스 내에 상기 푸쉬 스위치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케이스 내에는, 상기 푸쉬 스위치를 가압 조작하는 가압 부재와 그 가압 부재를 상기 제 1 케이스측에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축의 축선 방향에 대한 상기 가압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압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푸쉬 스위치가 조작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상기 가압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받이 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압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력이 받이 부재에 의해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가압 부재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이 탄성 지지력이 조작축에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조작축에 있어서의 양호한 조작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회전 검출 수단과 푸쉬 스위치를 각각 제 1 과 제 2 케이스로 분리하여 배치하였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상기 받이 부재를 상기 제 1 케이스의 벽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받이 부재를 제 1 케이스의 벽부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함과 함께, 간단한 구조로 가압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푸쉬 스위치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 접점과, 이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상기 가동 접점판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탄성 지지 부재를 푸쉬 스위치의 가동 접점판에서 겸할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함과 함께, 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푸쉬 스위치는 상기 조작축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가압 부재는 중공부를 갖는 고리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공부를 상기 베어링부에 삽입 통과시켜, 상기 가압 부재를 상기 베어링부의 외주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푸쉬 스위치를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작축이 경사진 상태에서 가압된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푸쉬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본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푸쉬 스위치를, 조작축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3 개 이상 형성함으로써, 가압 부재의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확실하게 푸쉬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 해진다.
또, 상기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에는, 상기 가동 접점판과 각각 대향되는 가압 돌기와, 위치 규제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에 의해,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제 2 케이스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돌기가 복수의 상기 푸쉬 스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위치 규제된 가압 부재에 가압 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가압 돌기에 의해 가동 접점판의 중앙부가 가압 가능해지고, 가동 접점판의 단부가 가압되는 것에 수반하는 가동 접점판의 원하지 않는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푸쉬 스위치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가동 접점판이, 반전하여 클릭 감촉이 발생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클릭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상기 베어링부보다 권취 직경이 큰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이 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저면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가압 부재를 상기 제 1 케이스측에 탄성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축 및 푸쉬 스위치의 복귀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푸쉬 스위치가 온이 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간단히, 여러가지 회전형 전기 부품의 사양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변형시킬 수 있는 스커트부를 갖는 탄성 성형체로 형성하고, 이 탄성 성형체를 상기 가압 부재 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저면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탄성 성형체에 의해 상기 가압 부재를 상기 제 1 케이스측에 탄성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축 및 푸쉬 스위치의 복귀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푸쉬 스위치가 온이 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간단히, 여러가지 회전형 전기 부품의 사양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탄성 성형체 스커트부의 반전 동작에 의해 가압 조작시에 있어서의 양호한 클릭 감촉을 간단히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은, 상기 제 1 케이스에 형성된 도전 패턴과, 이 도전 패턴 상을 슬라이딩 접촉하는 접동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동자는 상기 조작축과 함께 회전함과 함께, 상기 조작축의 축선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기 제 1 케이스 내에 수용된 고리형 회전체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도전 패턴과, 이 도전 패턴 상을 슬라이딩 접촉하는 접동자에 의해 회전 검출 수단이 구성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조작축의 회전검출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푸쉬 스위치는 제 2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축에 대한 가압 조작이 회전 검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상기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상기 접동자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이 요철부에 계탈하는 롤러가 판 스프링에 유지되어 상기 회전체의 상기 요철부측에 탄성 부세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롤러를 회전체의 요철부에 대하여 계탈시킬 수 있으므로, 양호한 클릭 감촉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조작축에서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형 전기 부품의 중앙부에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회전형 전기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적절하게, 도 1 에 나타내는 우방측을 「회전 전기 부품의 후방측」 또는 간단히 「후방측」이라고 하며, 좌방측을 「회전 전기 부품의 전방측」또는 간단히 「전방측」이라고 한다.
도 1 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2 케이스로서 기능하는 케이스 (1) 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구성된다. 케이스 (1) 의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 형상의 관통 구멍 (1a)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 (1a) 의 외면측에서 전방측이 대략 원통 형샹의 베어링부 (2) 를 구성하는 한편, 후방측의 외면측에는 유저(有底) 형상이고 전방측이 개구된 고리형의 수납부 (1b) 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 (1b) 의 저면에는, 후방측으로 오목 형상으로 된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의 스위치 유지부 (1c) 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유지부 (1c) 는 원 형상을 갖고 있고, 수납부 (1b) 의 저면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 유지부 (1c) 의 내저면에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고정 접점 (1d) 및 외부 고정 접점 (1e)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1) 의 후방측에는, 이 중앙 고정 접점 (1d) 또는 외부 고정 접점 (1e) 으로부터 도출된 외부 단자 (1g) 가 연장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 생략, 도 8 참조). 또, 수납부 (1b) 의 저면에는, 인접하는 스위치 유지부 (1c) 사이에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의 축 (1f) 이 수직 형성되어 있다. 이 축 (1f) 은 후술하는 가압 부재 (4) 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수납부 (1b) 의 스위치 유지부 (1c) 에는, 도전성을 갖는 박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판 (3) 이 배치 형성된다. 가동 접점판 (3) 은 스위치 유지부 (1c)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원 형상을 가짐과 함께, 그 중앙이 약간 전방측으로 부푼 돔 형상을 갖고 있고, 후술하는 가압 부재 (4) 를 전방측에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구성한다. 가동 접점판 (3) 은 가장자리부를 외부 고정 접점 (1e) 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 형성됨과 함께, 그 중앙부를 중앙 고정 접점 (1d) 에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조작축 (5) 에 대한 가압 조작에 따라 탄성을 갖는 가동 접점판 (3) 이 반전하여, 중앙 고정 접점 (1d) 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가압 조작으로부터 해방되면, 탄성 복귀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이러한 가동 접점판 (3) 과, 중앙 고정 접점 (1d) 및 외부 고정 접점 (1e) 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푸쉬 스위치 (S1) 가 구성된다 (도 8 참조). 또, 가동 접점판 (3) 은 후술하는 가압 부재 (4) 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탄 성 지지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함과 함께, 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압 부재 (4)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고, 대체로 원환 형상을 갖고 있다. 가압 부재 (4) 에는, 중앙에 중공 형상의 삽입 통과 구멍 (4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통과 구멍 (4a) 이 베어링부 (2) 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가압 부재 (4) 가 수납부 (1b) 내에 유지된다. 또, 가압 부재 (4) 의 외주측에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의 가압편 (4b) 과,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의 위치 규제편 (4c) 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편 (4b) 및 위치 규제편 (4c) 은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가압편 (4b) (위치 규제편 (4c)) 의 중앙에 위치 규제편 (4c) (가압편 (4b)) 이 배치되어 있다.
가압편 (4b) 은 가동 접점판 (3) 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고, 후방측에 돌출 형성된 가압 돌기 (4e) 를 갖고 있다 (도 1 에 도시 생략, 도 8 참조). 그리고, 후술하는 조작축 (5) 에 대한 가압 조작에 따라, 가압 돌기 (4e) 와 대향되어 배치된 가동 접점판 (3) 을 후방측으로 반전시킨다. 위치 규제편 (4c) 은 축 (1f) 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축 (1f) 을 수용하는 구멍 (4d) 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로서의 구멍 (4d) 에 축 (1f) 을 수용함으로써 가압 부재 (4) 의 이동, 상세하게는 조작축 (5) 의 축선 방향 이외의 이동이 규제된다.이와 같이 위치 규제편 (4c) 에 의해 위치 규제된 가압 부재 (4) 에 가압 돌기 (4e) 를 갖는 가압편 (4b)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돌기 (4e) 에 의해 가동 접점판 (3) 의 중앙부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가동 접점판 (3) 의 단 부가 가압되어, 가동 접점판 (3) 을 원하지 않는 소성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푸쉬 스위치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가동 접점판 (3) 의 중앙부를 가압함으로써 확실하게 반전시킬 수 있어, 양호한 클릭 감촉을 얻을 수 있다.
조작축 (5)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중공 형상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약간 넓은 직경의 기대부 (5a) 와 이 기대부 (5a) 의 선단측에 약간 좁은 직경의 축부 (5b) 를 갖고 있다. 또, 기대부 (5a) 와 축부 (5b) 의 중앙에는 전후로 관통된 중공 형상의 삽입 통과 구멍 (5c)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통과 구멍 (5c) 이 베어링부 (2) 의 외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축부 (5b) 의 외주면에는, 기대부 (5a) 로부터 전방측으로 축부 (5b) 의 중앙 근방까지 연장되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가이드편 (5d)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편 (5d) 은 후술하는 회전체 (7) 의 걸어맞춤 홈 (7b) 과 걸어 맞춰, 장착시에 있어서의 회전체 (7) 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또, 축부 (5b) 의 외주면에는, 기대부 (5a) 로부터 약간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걸어맞춤편 (5e)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편 (5e) 은 후술하는 회전체 (7) 의 오목부 (7c) 와 걸어 맞춰, 조작축 (5) 의 회전을 회전체 (7) 에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걸어맞춤편 (5e) 의 전방측에는, 일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걸림부 (5f)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부 (5f) 는 조작축 (5) 에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손잡이 등의 개구부와 걸어 맞춰, 조작 손잡이 등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1 케이스로서 기능하는 케이스 (6)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1) 와 대략 동일한 외형을 갖으며, 케이스 (1) 의 전방측에 중첩된 상태로 배치 형성된다. 이 케이스 (6) 는 중공 형상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약간 큰 직경의 삽입 통과 구멍 (6a) 을 갖고, 이 삽입 통과 구멍 (6a) 의 외측에 유저 형상으로 전방측이 개구된 고리형의 수납부 (6b) 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 (6b) 의 내저면에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도전 패턴 (6c)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 (6) 의 후방측에는, 이 도전 패턴 (6c) 으로부터 도출된 외부 단자 (6d) 가 연장되어 있다.
회전체 (7)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고, 대체로 원환 형상을 갖고 있다. 회전체 (7) 에는, 중앙에 큰 직경의 개구부 (7a)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 (7) 는 후방측 면을 수납부 (6b) 의 표면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수납부 (6b) 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체 (7) 의 개구부 (7a) 의 내주면에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걸어맞춤 홈 (7b) 과,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오목부 (7c)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 (7b) 은 조작축 (5) 의 가이드편 (5d) 과 걸어 맞추는 것으로, 오목부 (7c) 는 조작축 (5) 의 걸어맞춤편 (5e) 과 걸어 맞추는 것이다. 이들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체 (7) 는 조작축 (5) 과 스플라인 걸어맞춤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체 (7) 는 조작축 (5) 과 일체적으로 회전함과 함께, 조작축 (5) 의 축선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회전체 (7) 의 전방측 면에는, 원환 형상으로 복수의 요 철 형상을 갖는 캠 홈 (7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홈 (7d) 에는, 후술하는 판 스프링 (9) 에 유지된 롤러 (10) 가 탄성 접촉함으로써, 회전체 (7) 가 회전할 때의 클릭 감촉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요철부로 이루어지는 클릭 캠 (7e)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체 (7) 의 후방측 면에는, 도전성의 박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접편 (8a) 을 갖는 접동자편 (8) 이 고착되어 있다. 이 접동자편 (8) 의 접편 (8a) 은 회전형 전기 부품의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 (7) 가 케이스 (6) 의 수납부 (6b) 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도전 패턴 (6c) 과 접촉한다. 또한,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회전체 (7), 접동자편 (8) 및 도전 패턴 (6c) 으로 회전 검출 수단 (S2) 이 구성되어 있다 (도 8 참조).
판 스프링 (9) 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나 인청동 등) 으로 이루어지고, 대체로 원환 형상을 갖고 있다. 판 스프링 (9) 은, 그 후방측 면이 회전체 (7) 의 캠 홈 (7d) 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판 스프링 (9) 에는, 중앙에 중공 형상의 삽입 통과 구멍 (9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판 스프링 (9) 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는, 한 쌍의 롤러 유지부 (9b) 가 형성되어 있다. 롤러 유지부 (9b) 는 롤러 (10) 가 갖는 샤프트 (10a) 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롤러 (10) 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킨다. 또, 판 스프링 (9) 의 한 쌍의 롤러 유지부 (9b) 의 중간 위치에는, 외주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장착부 (9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 (9c) 는 케이스 (6) 와 후술하는 장착 부재 (11) 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장착 부재 (11) 는 금속판을 펀칭,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원환 형상의 상판부 (11a) 와, 이 상판부 (11a) 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6 개) 의 걸어맞춤 다리편 (11b) 을 갖고 있다. 장착 부재 (11) 에는, 중앙에 중공 형상의 삽입 통과 구멍 (11c) 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 구멍 (11c) 은 조작축 (5) 의 축부 (5b) 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부품을 갖는 회전형 전기 부품을 조립하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 의 전방측에 케이스 (6) 이 중첩되고, 이들 케이스 (1) 및 케이스 (6) 로 구성되는 하우징에 조작축 (5) 을 수용한 상태에서 케이스 (6) 의 전방측으로부터 장착 부재 (11) 가 장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케이스 (1) 의 수납부 (1b) 에는, 가압 부재 (4) 가 수용되는 한편, 케이스 (6) 의 수납부 (6b) 에는, 회전체 (7) 및 판 스프링 (9) 이 수용되어 있다. 조작축 (5) 의 축부 (5b) 는, 장착 부재 (11) 의 삽입 통과 구멍 (11c) 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조작축 (5) 및 회전체 (7) 는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에 대하여 도 3 ∼ 도 7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회전형 전기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반드시 이 공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을 조립할 때에는, 먼저, 케이스 (1) 의 스위치 유지부 (1c) 에 가동 접점판 (3) 을 배치한다. 도 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케이스 (1) 에 가동 접점판 (3) 을 배치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판 (3) 은 수납부 (1b) 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등간격 (등각도 간격) 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가동 접점판 (3) 에 반해, 축 (1f) 은 인접하는 가동 접점판 (3) 의 중앙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수납부 (1b) 의 저면에 등간격으로 가동 접점판 (3) (푸쉬 스위치 (S1)) 을 배치함으로써, 조작축 (5) 이 경사진 상태에서 가압된 경우에 있어서도, 어느 하나의 푸쉬 스위치 (S1) 를 구동시키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히, 본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판 (3) (푸쉬 스위치 (S1)) 을 3 개 이상 배치함으로써, 푸쉬 스위치 (S1) 의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가압 부재 (4) 의 삽입 통과 구멍 (4a) 에 베어링부 (2) 를 삽입 통과시켜 케이스 (1) 의 수납부 (1b) 에 배치한다. 이 때, 수납부 (1b) 에 있어서, 위치 규제편 (4c) 의 구멍 (4d) 이 저면의 축 (1f) 을 수용함과 함께, 가압편 (4b) 이 가동 접점판 (3)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압 부재 (4) 를 수납부 (1b) 에 배치한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케이스 (1) 에 가압 부재 (4) 를 배치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 는 베어링부 (2) 의 외주 근방에, 가압편 (4b) 에 형성된 가압 돌기 (4e) 를 가동 접점판 (3) 의 중앙부에 각각 대응시킨 상태에서 배치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위치 규제편 (4c) 의 구멍 (4d) 에서 저면의 축 (1f) 을 수용하는 것만으로, 가압편 (4b) 의 가압 돌기 (4e) 를 가동 접점판 (3)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규제편 (4c) 의 구멍 (4d) 에서 저면의 축 (1f) 을 수용한 경우에는, 조작축 (5) 이 회전한 경우에서도, 가압 부재 (4) 가 이것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확실하게 조작축 (5) 에 대한 가압 조작에 따라 푸쉬 스위치 (S1) 를 확실하게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조작축 (5) 의 원통 형상부의 내측에 베어링부 (2) 를 수용하도록 케이스 (1) 에 조작축 (5) 을 장착한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케이스 (1) 에 조작축 (5) 을 장착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 (5) 은 내부에 베어링부 (2) 를 수용한 상태에서, 가압 부재 (4) 의 전방측에 맞닿아 장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조작축 (5) 은 베어링부 (2) 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 (5) 이 회전하면, 조작축 (5) 의 후방측 단부가 가압 부재 (4) 의 전방측 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삽입 통과 구멍 (6a) 에 조작축 (5) 을 삽입 통과시켜 케이스 (1) 의 전방측에 중첩하도록 케이스 (6) 를 장착한다.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케이스를 중첩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6) 는 삽입 통과 구멍 (6a) 을 개재하여 전방측으로 조작 축 (5) 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1) 에 장착되고, 케이스 (1) 와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케이스 (6) 의 수납부 (6b) 는, 조작축 (5) 의 기대부 (5a)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조작축 (5) 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편 (5d) 및 걸어맞춤편 (5e) 은, 수납부 (6b) 내에 있어서, 케이스 (6) 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도전 패턴 (6c) 으로부터 도출되는 외부 단자 (6d) 는, 케이스 (1) 보다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전방측으로 개구된 케이스 (6) 의 수납부 (6b) 에 대하여, 후방측 면에 접동자편 (8) 을 고착시킨 상태의 회전체 (7) 를 수납함과 함께, 이 회전체 (7) 의 캠 홈 (7d) 에 대향되도록 판 스프링 (9) 을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측 면에 접동자편 (8) 을 고착시킨 상태의 회전체 (7) 의 걸어맞춤 홈 (7b) 에 가이드편 (5d) 을 대응시킴과 함께, 오목부 (7c) 에 걸어맞춤편 (5e) 을 대응시켜 회전체 (7) 를 후방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당해 회전체 (7) 를 수납부 (6b) 에 수납한다. 이 때, 회전체 (7) 의 후방측 면에 고착된 접동자편 (8) 은, 케이스 (6) 에 형성된 도전 패턴 (6c) 과 접촉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수납부 (6b) 에 있어서, 롤러 (10) 를 롤러 유지부 (9b) 에 유지시킨 상태의 판 스프링 (9) 을 회전체 (7) 의 캠 홈 (7d) 에 대향되도록 판 스프링 (9) 을 배치한다. 또한, 판 스프링 (9) 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공정에 의해 케이스 (6) 외벽부의 전방측 단면에 고정된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케이스 (6) 의 수납부 (6b) 에 회전체 (7) 및 판 스프링 (9) 을 수납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 (7) 는 걸어맞춤 홈 (7b) 에서 가이드편 (5d) 을 수용함과 함께, 오목부 (7c) 에서 걸어맞춤편 (5e) 을 수용한 상태에서 수납부 (6b) 에 수납된다. 또, 판 스프링 (9) 은 롤러 유지부 (9b) 에 의해 유지된 롤러 (10) 가 클릭 캠 (7e) 에 대하여 계탈하도록, 회전체 (7) 와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회전체 (7) 및 판 스프링 (9) 이 수납부 (6b) 에 수납된 상태의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 부재 (11) 가 전방측으로부터 장착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장착 부재 (11) 의 장착시, 판 스프링 (9) 의 장착부 (9c) 는 케이스 (6) 외벽부의 전방측 단면과 장착 부재 (11) 의 상판부 (11a) 후방측 면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다. 이로써, 판 스프링 (9) 이 하우징 (케이스 (6)) 에 대하여 고정된 것이 된다. 이상과 같은 공정에 의해, 회전형 전기 부품이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 조작축 (5) 을 개재하여 사용자로부터의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 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 (9) 에 유지된 한 쌍의 롤러 (10) 를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 에 있어서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하방측이 회전형 전기 부품의 후방측에 대응하고, 동 도면에 나타내는 상방측이 회전형 전기 부품의 전방측에 대응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케이스 (6) 는 케이스 (1) 수납부 (1b) 의 개구부를 닫도록 케이스 (1) 에 중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납부 (1b) 에 가압 부재 (4)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 (4) 의 후방측 (동 도면에 나타내는 하방측) 에는, 가동 접점판 (3) 이 배치되어 있고, 이 가동 접점판 (3)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가압 부재 (4) 가 전방측 (도 8 에 나타내는 상방측) 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압 부재 (4) 의 전방측 면은, 케이스 (6) 의 후방측 벽부와 맞닿아 있고, 이 케이스 (6) 의 후방측 벽부가 가압 부재 (4) 의 받이 부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가동 접점판 (3) 에 의해 전방측으로 탄성 지지된 가압 부재 (4) 의 움직임 (조작축 (5) 의 축선 방향의 움직임) 이, 케이스 (6) 의 후방측의 벽부로 이루어지는 받이 부재에 의해 규제 (제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가압 부재 (4) 를 탄성 지지하는 가동 접점판 (3) 에 의한 탄성 지지력이 받이 부재에 의해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가압 부재 (4) 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이 탄성 지지력이 가압 부재 (4) 와 맞닿은 상태에 있는 조작축 (5) 에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조작축 (5) 에 있어서의 양호한 조작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받이 부재를 케이스 (6) 의 후방측 벽부에서 구성하고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함과 함께, 간단한 구조로 가압 부재 (4) 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장착 부재 (11) 는 케이스 (6) 수납부 (6b) 의 개구부를 닫도록 전방측으로부터 케이스 (6) 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수납부 (6b) 에 회전체 (7)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 (7) 는 후방측으로부터 조작축 (5) 의 기대부 (5a) 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고, 이 기대부 (5a) 에 접촉한 상태 또는 맞닿음 가능하게 근접한 상태에서 유지된다. 그리고, 걸어맞춤 홈 (7b) 또는 오목부 (7c)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체 (7) 의 내주부와 기대부 (5a) 의 전방측 면이 맞닿음으로써, 조작축 (5) 의 전방측에 대한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이 때, 회전체 (7) 의 후방측 면은, 도전 패턴 (6c) 과 대향 배치되어 있고, 그고에 고착된 접동자편 (8) 의 절편 (8a) 이 이 도전 패턴 (6c) 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치 형성된 회전체 (7) 의 전방측에, 롤러 (10) 를 유지시킨 판 스프링 (9) 이 장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롤러 (10) 는 그 외주면을 회전체 (7) 의 클릭 캠 (7e) 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판 스프링 (9) 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 (9) 은 한 쌍의 장착부 (9c) 가 장착 부재 (11) 의 대향되는 2개의 걸어맞춤 다리편 (11b) 에 위치 결정됨과 함께, 롤러 유지부 (9b) 를 변위 가능한 상태에서, 케이스 (6) 와 장착 부재 (11)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자에 의해 조작축 (5) 에 대하여 회전 조작이 실시되면, 조작축 (5) 에 장착된 회전체 (7) 가 조작축 (5) 과 함께 회전한다. 이 때, 회전체 (7) 에 고착된 접동자편 (8) 의 절편 (8a) 이, 케이스 (6) 의 도전 패턴 (6c) 을 슬라이딩함으로써, 회전 각도에 따른 원하는 검출 신호가 외부 단자 (6d) 로부터 출력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회전체 (7) 가 회전하면, 클릭 캠 (7e) 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롤러 (10) 가 클릭 캠 (7e) 에 대하여 계탈함으로써, 클릭 감촉을 조작 자에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한편, 조작자에 의해 조작축 (5) 에 대하여 가압 조작을 실시하면, 조작축 (5) 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압 부재 (4) 도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가압 부재 (4) 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가압편 (4b) 의 가압 돌기 (4e) 에 의해 가동 접점판 (3) 이 가압된다. 그리고, 일정 위치 이상으로 가동 접점판 (3) 이 가압되면, 이것이 반전하여, 가동 접점판 (3) 의 후방측 중앙부가 중앙 고정 접점 (1d) 과 접촉한다. 이로써, 가동 접점판 (3) 과 중앙 고정 접점 (1d) 및 외부 고정 접점 (1e) 이 도통 상태가 되어, 외부 단자 (1g) 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조작축 (5) 에 대한 가압 조작이 해제되면, 가동 접점판 (3) 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가압 부재 (4) 가 전방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가동 접점판 (3) 을 개재한 중앙 고정 접점 (1d) 과 외부 고정 접점 (1e) 의 도통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써, 외부 단자 (1g) 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동 접점판 (3) 이 반전 (또는 복귀) 하면, 클릭감이 발생되어, 클릭 감촉을 조작자에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 있어서는, 하우징의 베어링부 (2) 외주측에 형성된 고리형의 수납부 (6b), 수납부 (1b) 내에, 각각 회전 검출 수단 (S2) 및 푸쉬 스위치 (S1) 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의 중공 형상 베어링부 (2) 의 내주측을 프리 스페이스로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조광용의 발광 다이오드나 다른 전자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전자 부품의 실장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조작축 (5) 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 (S2) 과, 조작축 (5) 의 축선 방향에 대한 가압 조작에 수반하여 구동되는 푸쉬 스위치 (S1) 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조작축 (5) 에서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양호한 조작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푸쉬 스위치 (S1) 및 회전 검출 수단 (S2) 을, 각각 케이스 (1) 의 수납부 (1b), 케이스 (6) 의 수납부 (6b) 로 나누어 배치하였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푸쉬 스위치 (S1) 의 전방측에 회전 검출 수단 (S2) 을 배치 형성하여, 푸쉬 스위치 (S1) 와 회전 검출 수단 (S2) 을, 조작축 (5) 의 축선 방향을 따라 적층하도록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하우징의 형상, 즉, 수납부 (1b, 6b) 의 폭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베어링부 (2) 의 내주측에 원하는 크기의 프리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회전체 (7), 도전 패턴 (6c) 및 접동자편 (8) 에 의해 회전 검출 수단 (S2) 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조작축 (5) 의 회전 검출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푸쉬 스위치 (S1) 는 케이스 (1)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축 (5) 에 대한 가압 조작이 회전 검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회전체 (7) 의 전방측 면에, 복수의 클릭 캠 (7e) 을 형성하고, 이 클릭 캠 (7e) 에 계탈하는 롤러 (10) 가 판 스프링 (9) 에 유지되어 당해 클릭 캠 (7e) 측으로 탄성 부세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축 (5) 의 회전에 수반하여 롤러 (10) 를 회전체 (7) 의 클릭 캠 (7e) 대하여 계탈시킬 수 있으므로, 양호한 클릭 감촉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은, 회전 검출 수단의 일부 구성 및 푸쉬 스위치 (S1) 의 구성이 상이함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과 상이하다. 이하, 실시형태 2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성에 대하여,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 는, 실시형태 2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9 에 있어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은, 회전 및 가압 조작 가능한 중공 형상의 조작축 (5) 과, 이 조작축 (5) 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중공 형상의 베어링부 (2) 를 갖음과 함께, 조작축 (5) 의 가압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푸쉬 스위치 (S1) 가 배치 형성된 케이스 (1) 와, 이 케이스 (1) 의 전방측 (도 9 에 나타내는 상방측) 에 배치되고, 조작축 (5) 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검출 수단 (S2) 이 배치 형성된 케이스 (6) 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1) 와 케이스 (6) 로 하우징이 구성되는 것은, 실시형태 1 과 동일하다.
조작축 (5) 에 있어서, 기대부 (5a) 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걸어맞춤부 (5g) 가 형성되어 있고, 또, 기대부 (5a) 의 후방 측 (도 9 에 나타내는 하방측) 에는, 고리형 또는 복수 개의 하방으로 돌출된 맞닿음 돌기 (5h) 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1) 에 있어서, 수납부 (1b) 의 저면측에는, 격벽 (1h) 을 사이에 두고 베어링부 (2) 측에 스프링 유지부 (1i), 반대측에 스위치 유지부 (1j) 가 각각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 유지부 (1j) 의 내저면에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푸쉬 스위치 (S1) 를 구성하는 한 쌍의 고정 접점 (중앙 고정 접점, 외부 고정 접점) (1k) 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1) 의 후방측에는 고정 접점 (1k) 으로부터 도출된 외부 단자 (11) 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접점 (1k) (푸쉬 스위치 (S1)) 은 조작축 (5) 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푸쉬 스위치 (S1) 를 조작축 (5) 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 형성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축 (5) 이 경사져 가압된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푸쉬 스위치 (S1) 가 구동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수납부 (1b) 의 외주를 형성하는 외벽부 (1m) 에는, 케이스 (6) 의 수납부 (6b) 로부터 도출된 외부 단자 (6d) 를 걸어 고정시키는 걸기 돌기부 (1n) 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 (1b) 의 스위치 유지부 (1j) 에는, 고정 접점 (1k) 에 대향되어 도전성의 박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판 (12) 이 탑재되어 있고, 이 가동 접점판 (12) 의 접편 (12a) 의 상면측에는, 가소성을 갖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구동 스프링 (13)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구동 스프링 (13) 의 전방측에는, 가압 부재 (14) 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이 가압 부재 (14) 가 조 작축 (5) 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구동 스프링 (13) 이 가압되고, 가동 접점판 (12) 의 접편 (12a) 과 고정 접점 (1k) 이 접촉하여 푸쉬 스위치 (S1) 가 온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스프링 유지부 (1i) 에는, 탄성 지지 부재인 코일 스프링 (15)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 (15) 은 베어링부 (2) 보다 권취 직경이 큰 코일 형상으로 감겨 형성되고, 권회부가 베어링부 (2) 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가압 부재 (14) 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가압 부재 (14)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고, 중앙에 중공 형상의 삽입 통과 구멍 (14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통과 구멍 (14a) 이 베어링부 (2) 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가압 부재 (14) 가 수납부 (1b) 내에 유지되어 있다. 또, 가압 부재 (14) 에는, 삽입 통과 구멍 (14a) 측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스프링 받이부 (14b) 와, 외주측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구동부 (14c) 와, 양자의 중간에 형성된 스토퍼부 (14d) 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 (14) 는 스프링 유지부 (1i) 에 일단이 유지된 코일 스프링 (15) 의 타단이 스프링 받이부 (14b) 에 맞닿고, 구동부 (14c) 의 선단이 구동 스프링 (13) 과 대향된 상태에서 수납부 (1b) 내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가압 부재 (14) 는 코일 스프링 (15)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케이스 (6) 측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가압 부재 (14) 의 전방측이 케이스 (6) 의 후방측 벽부와 맞닿아 있어, 이 케이스 (6) 의 후방측 벽부가 가압 부재 (14) 의 받이 부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코일 스프링 (15) 에 의해 전방측에 탄성 지지된 가압 부 재 (14) 의 움직임 (조작축 (5) 의 축선 방향의 움직임) 이, 케이스 (6) 의 후방측 벽부로 이루어지는 받이 부재에 의해 규제 (제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압 부재 (14) 를 개재하여 푸쉬 스위치 (S1) 가 조작되고, 이 가압 부재 (14) 를 케이스 (6) 측에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15) 이 형성되며, 하우징에는 코일 스프링 (15) 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가압 부재 (14) 가 맞닿아 가압 부재 (14) 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받이 부재로서 케이스 (6) 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가압 부재 (14) 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력이 이 받이 부재로서의 케이스 (6) 에 의해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이 탄성 지지력이 조작축 (5) 에 미치지 않으므로, 조작축 (5) 의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 받이 부재를 케이스 (6) 의 후방측 벽부에서 구성하였기 때문에, 구조가 간이해져, 부품 점수의 삭감이 도모되는 것이 된다.
또, 가압 부재 (14) 를 중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중공부에 베어링부 (2) 를 삽입 통과시켜 가압 부재 (14) 를 베어링부 (2) 의 외주부에 배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고, 또한, 안정적인 가압 조작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 (15) 을 가압 부재 (14) 와 케이스 (1) 사이에 배치하고, 이 코일 스프링 (15) 에 의해 가압 부재 (14) 를 케이스 (6) 측에 탄성 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축 (5) 및 가압 부재 (14) 의 복귀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푸쉬 스위치 (S1) 가 온이 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버라이어티 대응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 (6) 에 있어서는, 삽입 통과 구멍 (6a) 의 외측에 고리형 벽부 (6e) 를 개재하여 유저 형상으로 전방 (상면) 측이 개구된 원환 형상의 수납부 (6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리형 벽부 (6e) 의 높이는, 수납부 (6b) 의 외주를 형성하는 외벽부 (6f) 의 높이에 대하여 낮은, 대략 반 미만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고리형 벽부 (6e) 의 상면측에서 삽입 통과 구멍 (6a) 과 수납부 (6b) 가 연통되어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수납부 (6b) 의 내저면에 배치 형성된 도전 패턴 (6c) 으로부터 도출된 외부 단자 (6d) 는, 케이스 (6) 와 케이스 (1) 의 외벽부 (6f) 로 1m 를 따라 하우징의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케이스 (1) 의 걸기 돌기부 (1n) 에 걸려 고정 유지되어 있다.
또, 케이스 (6) 의 삽입 통과 구멍 (6a) 에는, 베어링부 (2) 에 삽입 통과된 조작축 (5) 의 기대부 (5a) 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기대부 (5a) 의 후방측 맞닿음 돌기부 (5h) 가 케이스 (1) 의 수납부 (1b) 에 배치 형성된 가압 부재 (14) 의 전방측 면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조작축 (5) 의 가압 (눌러 내림) 조작에 수반하여, 맞닿음 돌기부 (5h) 에 의해 가압 부재 (14) 가 탄성 지지 부재인 코일 스프링 (15)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눌러 내려지고, 구동부 (14c) 의 선단이 구동 스프링 (13) 을 가압함으로써 하방에 배치 형성된 가동 접점판 (12) 의 접편 (12a) 이 가압되고, 고정 접점 (1k) 과 접촉함으로써 푸쉬 스위치 (S1) 가 온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가압 부재 (14) 의 중앙에 형성된 스토퍼부 (14d) 와, 수납부 (1b) 의 저면측에 형성된 격벽 (1h) 이 맞닿음으로써 가압 부재 (14) 의 하강은 정지되고, 가동 접점판 (12) 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6) 의 수납부 (6b) 에는, 중앙에 큰 직경의 개구부 (16a) 를 갖는 원반 형상의 회전체 (16)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체 (16)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후방측 면을 수납부 (6b) 의 고리형 벽부 (6e) 의 전방측 면에 탑재한 상태로 수납부 (6b) 와 삽입 통과 구멍 (6a) 의 연통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회전체 (16) 의 개구부 (16a) 내주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걸어맞춤부 (16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걸어맞춤부 (16b) 가, 대향되어 배치된 조작축 (5) 의 기대부 (5a)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제 1 걸어맞춤부 (5g) 와 걸어 맞춰져 있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체 (16) 는 조작축 (5) 과 스플라인 걸어맞춤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 회전체 (16) 의 후방측 면에는, 도전성의 박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접편 (8a) 을 갖는 접동자편 (8) 이 고착되어 있고, 이 접동자편 (8) 의 접편 (8a) 이 수납부 (6b) 의 내저면에 배치 형성된 도전 패턴 (6c) 과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 (5) 에 대한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회전체 (16) 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접동자편 (8) 의 접편 (8a) 과 도전 패턴 (6c) 이 슬라이딩 접촉하여, 원하는 검출 신호가 외부 단자 (6d) 로부터 출력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2 에 있어서는, 이들 회전체 (16), 접동자편 (8) 및 도전 패턴 (6c) 에 의해 회전 검출 수단 (S2) 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9 에는, 도시하고 있자 않지만, 회전체 (16) 의 전방측 면에는,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판 스프링 (9) 이 대향 배치되는 부분의 캠 홈이 형성되고, 이 캠 홈을 판 스프링에 유지된 롤러 (10) 가 계탈함으로써 회전체 (16) 가 회전할 때의 클릭 감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조작축 (5) 을 베어링부 (2) 의 외주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베어링부 (2) 의 외주측에 수납부 (1b, 6b) 를 고리형으로 형성하고, 고리형의 수납부 (1b, 6b) 내에 회전 검출 수단 (S2) 및 푸쉬 스위치 (S1) 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의 중공 형상의 베어링부 (2) 의 내주측을 프리 스페이스로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조광용의 발광 다이오드나 다른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손잡이부의 조광 성능이나 전자 부품의 실장 자유도가 향상되는 것이 된다. 또, 동일한 조작축 (5) 에서 회전 조작과 가압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실시형태 2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탄성 지지 부재를 베어링부 (2) 보다 권취 직경이 큰 코일 스프링 (15) 으로 형성하고, 이 코일 스프링 (15) 을 가압 부재 (14) 와 케이스 (1) 의 저면 사이에 배치하여, 코일 스프링 (15) 에 의해 가압 부재 (14) 를 케이스 (6) 에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로써, 조작축 (5) 및 푸쉬 스위치 (S1) 의 복귀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푸쉬 스위치 (S1) 가 온이 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간단히, 여러 가지 회전형 전기 부품의 사양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은, 푸쉬 스위치 (S1), 가압 부재 (14) 및 탄성 지지 부재의 구성이 일부 상이한 점에서 실시형태 2 에 관련되는 회 전형 전기 부품과 상이하다. 이하, 실시형태 3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성에 대하여, 실시형태 2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 은, 실시형태 3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 에 있어서, 도 9 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수납부 (1b) 에는, 가동 접점판 (12) 의 접편 (12a) 의 전방측에, 가소성을 갖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고, 베어링부 (2) 가 삽입 통과되는 중공부를 구비한 고리형의 탄성 성형체 (17)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 성형체 (17) 의 전방측에는, 가압 부재 (18)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 부재 (18) 가 조작축 (5) 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탄성 성형체 (17) 가 가압되고, 가동 접점판 (12) 의 접편 (12a) 과 고정 접점 (1k) 이 접촉되어 푸쉬 스위치 (S1) 가 온이 되도록 되어 있다.
탄성 성형체 (17) 는 가압 부재 (18) 의 후방측 면과 맞닿는 가압부 (17a) 와, 가압부 (17a) 로부터 수납부 (1b) 의 내저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스커트부 (17b) 와, 가압부 (17a) 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구동부 (17c) 를 갖고 있고, 이 구동부 (17c) 의 선단이 가동 접점판 (12) 의 접편 (12a) 과 대향된 상태에서 수납부 (1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탄성 성형체 (17) 는 탄성 지지 부재 (복귀 부재) 를 구성하고 있고, 가압 부재 (18) 가 조작축 (5) 에 의해 가압됨에 수반하여 스커트부 (17b) 가 탄성 변형되고, 이 스커트부 (17b) 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 부재 (18) 를 전방측에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탄성 성형체 (17) 가 가압 부재 (18) 에 의해 가압되어, 스커트부 (17b) 가 탄성 변형될 때에, 이 스커트부 (17b) 가 반전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반전 동작에 의해 조작축 (5) 의 가압 조작시의 클릭감이 발생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가압 부재 (18)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고, 중앙에 중공 형상의 삽입 통과 구멍 (18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통과 구멍 (18a) 이 베어링부 (2) 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가압 부재 (18) 가 수납부 (1b) 내에 유지되어 있다. 또, 가압 부재 (18) 에는, 외주측에 볼록 형상의 스토퍼부 (18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토퍼부 (18b) 와 수납부 (1b) 의 내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단부 (1o) 가 맞닿음으로써, 가압 부재 (18) 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정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탄성 지지 부재 (복귀 부재) 인 탄성 성형체 (17)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가압 부재 (18) 의 전방측 면이 케이스 (6) 의 후방측 면과 맞닿음으로써, 가압 부재 (18)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있고, 이 케이스 (6) 의 하면측 벽부가 가압 부재 (18) 의 받이 부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3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는, 탄성 지지 부재를 가소성을 갖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탄성 성형체 (17) 로 형성하고, 이 탄성 성형체 (17) 를 가압 부재 (18) 와 케이스 (1) 의 저면 사이에 배치하여, 탄성 성형체 (17) 에 의해 가압 부재 (18) 를 케이스 (6) 측에 탄성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의 스커트부 (17b) 의 반전 동작에 의해, 조작축 (5) 에 대한 가압 조작시의 클릭감이 간단하게 얻어지는 것으 로 되어 있다. 또, 탄성 성형체 (17) 를 중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중공부에 베어링부 (2) 를 삽입 통과시켜 탄성 성형체 (17) 를 베어링부 (2) 의 외주부에 배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고, 또한, 안정적인 반전 동작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크기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케이스에 가동 접점판을 배치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케이스에 가압 부재를 배치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케이스에 조작축을 장착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케이스를 중첩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케이스의 수납부에 회전체 및 판 스프링을 수납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관련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의 조작축을 누른 상태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제 2 케이스)
1a 관통 구멍
1b 수납부
1c 스위치 유지부
1d 중앙 고정 접점
1e 외부 고정 접점
1f 축
1g 외부 단자
1h 격벽
1i 스프링 유지부
1j 스위치 유지부
1k 고정 접점
1l 외부 단자
1m 외벽부
1n 걸기 돌기부
1o 단부
2 베어링부
3 가동 접점판 (탄성 지지 부재)
4 가압 부재
4a 삽입 통과 구멍
4b 가압편
4c 위치 규제편
4d 구멍 (규제부)
4e 가압 돌기
5 조작축
5a 기대부
5b 축부
5c 삽입 통과 구멍
5d 가이드편
5e 걸어맞춤편
5f 걸림부
5g 제 1 걸어맞춤부
5h 맞닿음 돌기
6 케이스 (제 1 케이스)
6a 삽입 통과 구멍
6b 수납부
6c 도전 패턴
6d 외부 단자
6e 고리형 벽부
6f 외벽부
7 회전체
7a 개구부
7b 걸어맞춤 홈
7c 오목부
7d 캠 홈
7e 클릭 캠
8 접동자편
8a 접편
9 판 스프링
9a 삽입 통과 구멍
9b 롤러 유지부
9c 장착부
10 롤러
10a 샤프트
11 장착 부재
11a 상판부
11b 걸어맞춤 다리편
11c 삽입 통과 구멍
12 가동 접점판
12a 접편
13 구동 스프링
14 가압 부재
14a 삽입 통과 구멍
14b 스프링 받이부
14c 구동부
14d 스토퍼부
15 코일 스프링 (탄성 지지 부재)
16 회전체
16a 개구부
16b 제 2 걸어맞춤부
17 탄성 성형체 (탄성 지지 부재)
17a 가압부
17b 스커트부
17c 구동부
18 가압 부재
18a 삽입 통과 구멍
18b 스토퍼부

Claims (10)

  1. 중공 형상의 베어링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중공 형상의 조작축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조작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조작축의 축선 방향에 대한 가압 조작에 수반하여 구동되는 푸쉬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을 상기 베어링부의 외주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기 베어링부의 외주측에 수납부를 고리형으로 형성하고, 고리형의 상기 수납부 내에 상기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푸쉬 스위치를 배치한 회전형 전기 부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어링부의 축선 방향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 1 케이스와, 후방측에 형성된 제 2 케이스를 갖고, 상기 제 1 케이스 내에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을 배치함과 함께, 상기 제 2 케이스 내에 상기 푸쉬 스위치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케이스 내에는, 상기 푸쉬 스위치를 가압 조작하는 가압 부재와 그 가압 부재를 상기 제 1 케이스측에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축의 축선 방향에 대한 상기 가압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압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푸쉬 스위치가 조작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상기 가압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받이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은, 상기 제 1 케이스에 형성된 도전 패턴과, 이 도전 패턴 상을 슬라이딩 접촉하는 접동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동자는, 상기 조작축과 함께 회전함과 함께, 상기 조작축의 축선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기 제 1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고리형의 회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를 상기 제 1 케이스의 벽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스위치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 접점과, 이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상기 가동 접점판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스위치는, 상기 조작축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가압 부재는 중공부를 갖는 고리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공부를 상기 베어링부에 삽입 통과시켜, 상기 가압 부재를 상기 베어링부의 외주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에는, 상기 가동 접점판과 각각 대향되는 가압 돌기와, 위치 규제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에 의해,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제 2 케이스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돌기가 복수의 상기 푸쉬 스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상기 베어링부보다 권취 직경이 큰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이 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저면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가압 부재를 상기 제 1 케이스측에 탄성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변형 가능한 스커트부를 갖는 탄성 성형체로 형성하고, 이 탄성 성형체를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저면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탄성 성형체에 의해 상기 가압 부재를 상기 제 1 케이스측에 탄성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스위치는, 상기 조작축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 부재는, 중공부를 갖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위치 규제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가 상기 베어링부에 삽입 통과되고, 상기 규제부에 의해,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제 2 케이스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부재를 상기 베어링부의 외주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상기 접동자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이 요철부에 계탈하는 롤러가 판 스프링에 유지되어 상기 회전체의 상기 요철부측에 탄성 부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KR1020070100312A 2006-10-06 2007-10-05 회전형 전기 부품 KR100945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75357 2006-10-06
JP2006275357 2006-10-06
JP2007229548A JP4934550B2 (ja) 2006-10-06 2007-09-04 回転型電気部品
JPJP-P-2007-00229548 2007-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825A KR20080031825A (ko) 2008-04-11
KR100945703B1 true KR100945703B1 (ko) 2010-03-05

Family

ID=3944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312A KR100945703B1 (ko) 2006-10-06 2007-10-05 회전형 전기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34550B2 (ko)
KR (1) KR100945703B1 (ko)
CN (1) CN1011591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6123B2 (ja) * 2009-06-02 2013-08-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JP5201094B2 (ja) * 2009-06-30 2013-06-05 住友電装株式会社 回転摘み
CN103324243A (zh) * 2012-03-23 2013-09-25 苏州工业园区新宏博通讯科技有限公司 三相用电保护器
JP5994709B2 (ja) * 2013-03-27 2016-09-21 オムロン株式会社 演出操作ユニット
JP6344852B2 (ja) * 2014-08-28 2018-06-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7357205B2 (ja) 2018-10-09 2023-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押圧式入力装置、及び押圧兼回転式入力装置
JP7307473B2 (ja) * 2019-10-24 2023-07-12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押圧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5825A (ja) * 2003-03-04 2004-09-24 Alps Electric Co Ltd 照光付回転型電気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5500B2 (ja) * 1995-07-24 1999-03-31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型電子部品
JPH09243399A (ja) * 1996-03-04 1997-09-19 Alps Electric Co Ltd 磁気式角度検出装置
JP2001184966A (ja) * 1999-12-27 2001-07-06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ダイヤルスイッチ機構
JP3698610B2 (ja) * 2000-03-09 2005-09-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JP4184821B2 (ja) * 2003-02-07 2008-11-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ロータリー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2004265687A (ja) * 2003-02-28 2004-09-24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JP2005158637A (ja) * 2003-11-28 2005-06-16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JP4031775B2 (ja) * 2004-04-28 2008-0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のダイヤル式スイッチ機構
JP2006019337A (ja) * 2004-06-30 2006-01-19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JP4671126B2 (ja) * 2006-03-27 2011-04-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5825A (ja) * 2003-03-04 2004-09-24 Alps Electric Co Ltd 照光付回転型電気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34550B2 (ja) 2012-05-16
KR20080031825A (ko) 2008-04-11
CN101159195B (zh) 2010-09-15
CN101159195A (zh) 2008-04-09
JP2008112975A (ja)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703B1 (ko) 회전형 전기 부품
KR100320339B1 (ko) 푸시스위치부착회전형전기부품
JP4659672B2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KR101662825B1 (ko)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JP2006260826A (ja) 回転型電気部品
US6180905B1 (en) Two position pushbutton switch with illuminated button
KR20080066601A (ko) 복합 조작형 입력 장치
JP2008027843A (ja) スイッチ装置
KR100803959B1 (ko) 회전형 전기 부품
JP4832317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102051153B1 (ko) 푸시 스위치
JP5256123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4435227B2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KR100864388B1 (ko) 복합 조작 입력 장치
JP4937083B2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WO2013065447A1 (ja) 電気部品のクリック機構
JP2013037828A (ja) 回転型電気部品
JP4863275B2 (ja) 小形電気機器のスイッチ構造
KR101797111B1 (ko) 로터리형 푸시 록 스위치
CN109891523B (zh) 可变电阻器用开关装置
JP2005100785A (ja) 押釦スイッチ
JP2007179882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7066637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
JP2007220438A (ja) 電気部品
JP2004193046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