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537B1 -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537B1
KR100945537B1 KR1020080040080A KR20080040080A KR100945537B1 KR 100945537 B1 KR100945537 B1 KR 100945537B1 KR 1020080040080 A KR1020080040080 A KR 1020080040080A KR 20080040080 A KR20080040080 A KR 20080040080A KR 100945537 B1 KR100945537 B1 KR 10094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monitor
medical bed
frame
r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240A (ko
Inventor
한종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옥시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옥시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옥시백
Priority to KR102008004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53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2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 A47B23/025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mounted on the bedst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 또는 컴퓨터 등과 같은 모니터를 거치하는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거를 꽂을 수 있는 의료용 침대로부터 모니터 거치장치를 설치하거나 제거 가능한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monitor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dical bed }
본 발명은 TV 또는 컴퓨터 등과 같은 모니터를 거치하는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거를 꽂을 수 있는 의료용 침대로부터 모니터 거치장치를 설치하거나 제거 가능한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니터가 설치된 침대로서, 예컨대 한국특허공개 제2007-67288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의 기능성 침대(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본체(12)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도시되지 않음)가 수납되며, 헤드보드(14)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침대본체(12)의 끝부분에는 컴퓨터의 모니터를 겸하면서 텔레비젼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평면형 모니터(22)가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평면형 모니터(22)는 평소에는 침대본체(12)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시에는 수직상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평면형 모니터(22)의 프레임 소정 위치에는 컴퓨터 및 별도의 오디오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TV수신시 또는 오디오시스템의 작동시 음향을 방출하는 다수의 스피커(32)가 설치된다. 또, 상기 평면형 모니터(22)의 전면에는 모니터(22)를 보호함과 동시에 반사기능을 갖는 보호거울(42)이 좌우 양쪽으로 미끄럼이동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모니터(22)는 수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그 수납 인출 구조가 복잡하고, 단일 각도 즉 정면에서만 볼 수 있고, 특히 의료용 침대에 설치하기가 불가능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니터의 거치가 매우 쉬운 구조이면서 특히 의료용 침대에 적용하기가 대단히 편리한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4에 기재된 의료용 침대는,
링거 꽂이가 형성된 침대본체; 상기 링거 꽂이대에 설치되는 모니터 거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 거치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모니터 거치대를 상기 프레임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링거 꽂이대에 꽂아지는 두 개의 다리부와, 상기 지지부재가 설치된 채 상기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하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평행한 연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모니터 거치대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체결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에 설치되는 록킹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내면에 설치되는 마찰감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의료용 침대본체에 있는 링거 꽂이에 다리부를 꽂아 세우면 되기 때문에 모니터 거치장치를 세워둘 별도의 부품을 침대본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조립 분해가 쉽고 부드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5에 기재된 의료용 침대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 각각은 프로파일(profile)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양단에는 덮개가 설치되되, 상기 덮개에는 상기 프로파일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리부를 세우거나 링거 꽂이에 꽂아 세우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의료용 침대인 경우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연결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기 때문에 모니터의 좌우 위치 변경이 쉽고 상하로 지지되어 앞으로 회전하여 모니터가 프레임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마찰감소부재의 사용으로 부드러운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분할 지지부재로서 조립 분해가 쉽다.
또한, 강재의 절단, 용접, 연마, 도장 등의 번거로운 작업 공정을 줄여주는 규격화된 프로파일로서 간단하고 명쾌한 조립 방법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를 침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모니터 거치장치를 확대 도시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지지부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분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료용 침대(100)는 크게 침대본체(200)와 모니터 거치장치(300)로 구성하여 있다.
의료용 침대본체(200)는 매트리스(M)가 놓이는 베이스(210)와, 이 베이스(210)의 전후에 설치되는 받침대(220)(230), 베이스(210)의 좌우에 설치되는 좌우프레임(240)(250), 베이스(210)를 지지하는 다리(260), 다리(260)에 설치되는 캐스터(270)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베이스(210)의 모서리에는 통상 링거 등의 꽂이대가 꽂아지는 삽입홈(211)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삽입관(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거나 한다.
모니터 거치장치(300)는 모니터 거치대(310)와, 프레임(360)과, 모니터 거치대(310)를 프레임(360)에 지지하는 지지부재(370)로 구성하여 있다.
모니터 거치대(310)는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지지부(320)와, 이 모니터지지부(320)를 받치는 수직브라켓(330)으로 구성하여 있다.
모니터지지부(320)에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x축(340)이 설치되고, 이 x축(340)은 x축고정브라켓(345)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x축고정브라켓(345)에는 x축을 잡는 C형 수평클램프(346)와, 이 C형 수평클램프(346)를 조이거나 푸는 볼트(347)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x축고정브라켓(345)에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y축(348)이 설치되어 있다.
y축(348)은 C형 수직클램프(336)와, 이 C형 수직클램프(336)를 조이거나 푸는 볼트(337)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수직클램프(336)에는 위로 빠지거나 흔들림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 볼트(338)가 체결되어 있다. 이 볼트(338)의 끝단은 y축(348)의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또는 y축(348)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위로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C형 수직클램프(336)는 수직브라켓(330)에 설치되어 있다.
수직브라켓(330)에는 프레임(36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370)가 체결볼트(33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360)은 두 개의 다리부(361)(363)와, 이 다리부(361)(363)를 연결하는 연결부(364)로 구성하여 있다.
연결부(36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370)의 안정적 지지(모니터 거치대의 임의적 회전 방지)를 위해 상하 평행한 상하연결부(365)(367)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레임(360)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진 것을 사용하여도 좋지만, 링거 꽂이에 꽂을 때를 생각해서 파이프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리부(361)(363)와 상측 연결부(365)는 하나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하고, 하측 연결부(367)는 다리부(361)(363) 사이에 용접 고정하여 프레임(36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레임(360)의 다리부(361)(363)는 삽입홈(211)에 꽂기만 하면 간단히 설치되기 때문에 의료용 침대에 매우 손쉽게 설치 해제가 이루어진다.
지지부재(370)는 상하연결부(365)(367)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부재(37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제1지지 부(371a)와, 제1지지부(371a)에 체결되는 제2지지부(371b)로 이루어진 분할 지지부재(370)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 지지부재(370)는 강재의 절단, 용접, 연마, 도장 등의 번거로운 작업 공정을 줄여주는 규격화된 알루미늄 프로파일(370)로서 간단하고 명쾌한 조립 방법을 실현시킨 시스템 구조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파일은 티홈 규격이 통일되어 있어 용접이 전혀 필요 없이 조인트의 사용만으로 시스템 구조물 설계를 표준화할 수 있으므로 설계 단계에서부터 확실한 원가절감이 가능합니다. 즉, 프로파일의 장점은 설계, 디자인, 조립시간을 최소화, 절단과 조립으로 제작 공정을 마무리할 수 있고, 다양한 프레임 사양과 풍부한 조립부품으로 무궁무진한 조합이 가능하며, 지속적 개발로 확실한 제작 솔루션이 보장되며, 기본 프레임으로도 설계변경이 용이하고, 조립품을 해체라더라도 프레임과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고, 미려한 외관으로 쾌적한 제작환경을 누릴 수 있고, 하중대비 고강도의 시스템 조립이 가능하다.
분할 프로파일(370)의 양단에는 덮개(373a)(373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373a)(373b)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370)에 형성된 삽입부(삽입공 또는 삽입홈)(375a)(375b)에 삽입 지지되는 (점선으로 표시한) 삽입돌기(374a)(374b)와, 삽입부(십입공 또는 삽입홈)(377a)(377b)에 삽입 지지되는 (점선으로 표시한) 삽입돌기(376a)(376b)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돌기(374a)(374b) 및 삽입돌기(377a)(377b)는 자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돌기로 형성하여 삽입시 꽉 끼는 억지 끼움 형태로 하여 임의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삽입부(375a)(375b)는 스플라인(가운데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으로 키이형태의 홈이나 홀이 형성된 구조임) 형태로 구성하여 삽입돌기(374a)(374b)의 삽입시 스플라인 키이 부분으로 파고들어가 어느 정도의 삽입 용이성과 고정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370)는 상하연결부(364)를 따라 좌우(x축)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지지부재의 기능을 하도록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370)가 슬라이딩할 때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내면에 마찰감소부재(390a)(390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감소부재(390a)(390b)는 테프론 테이프 또는 테프론이 코팅된 테이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테이프는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더욱 부드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분할 지지부재(370)에는 서로 접하여 체결위치를 체결위치결정부재(378a)(378b)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371a)에는 위치결정돌기(378a)가 형성되고, 제2지지부(371b)에는 위치결정단턱(378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브라켓(330)에 체결 고정된 제1지지부(371a)에 제2지지부(371b)를 마주하게 접하면, 위치결정단턱(378b)이 위치결정돌기(378a)의 위쪽과 일측면을 감싸면서 조립되기 때문에, 상하로 흔들리지 않아 체결홈(379a)에 체결공(379b)이 정확히 위치하도록 한다.
지지부재(370)가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원하는 위치에 확실히 고정하고 싶다면, 록킹부(380)가 제2지지부(371b)에 설치되어도 좋다. 물론 록킹부(38) 대신에 표준 부품인 볼트(플라스틱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록킹부(380)는 제2지지부(371b)에 형성된 록킹너트(385)에 체결되는 록킹볼트(383)와 이 록킹볼트(383)에 회전력을 주는 노브(381)로 구성하여 있다.
노브(38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만 하면 손쉽게 록킹/해제를 할 수 있어 편리하다.
노브(381) 대신에 볼트 머리부 또는 소켓부로 구현하여도 좋지만 이런 경우 공구를 사용해서 록킹/해제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위쪽의 지지부재(370)에는 록킹부(380)가 없거나 머리없는 볼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모니터가 거치될 때 모니터의 사이즈가 록킹부(380)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모니터의 하단은 적어도 아래쪽 지지부재(370)의 록킹부(380)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컨대 의료용 침대에는 링거 꽂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일 실시예로 설명한 것뿐이다. 그 밖의 침대에도 링거 꽂이는 아니더라도 다리부를 세워 지지할 수 있는 파이프나 삽입홈이 설치된 경우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모니터 거치장치는 의료용 침대 이외에도 세워 고정할 수 있는 삽입홈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거치장치를 침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모니터 거치장치를 확대 도시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4는 지지부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분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종래 기능성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의료용 침대 200 : 의료용 침대본체
210 : 베이스 211 : 삽입홈
220,230 : 받침대 240,250 : 좌우프레임
260 : 다리 270 : 캐스터
300 : 모니터 거치장치 310 : 모니터 거치대
320 : 모니터지지부 330 : 수직브라켓
336 : C형 수직지지부재 337 : 볼트
339 : 체결볼트 340 : x축
345 : x축고정브라켓 346 : C형 수평지지부재
347 : 볼트 348 : y축
360 : 프레임 361,363 : 다리부
364 : 연결부 365,367 : 상하연결부
370: 지지부재 371a : 제1지지부
371b : 제2지지부 373a,373b : 덮개
374a,374b;376a,376b: 삽입돌기 375a,375b;377a,377b : 삽입부
378a,378b : 위치결정부재 378a : 위치결정돌기
378b : 위치결정단턱 379a : 체결홈
379b : 체결공 380 : 록킹부
381 : 노브 383 : 록킹볼트
385 : 록킹너트 390a,390b : 마찰감소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링거 꽂이가 형성된 침대본체;
    상기 링거 꽂이대에 설치되는 모니터 거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 거치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모니터 거치대를 상기 프레임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링거 꽂이대에 꽂아지는 두 개의 다리부와, 상기 지지부재가 설치된 채 상기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하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평행한 연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모니터 거치대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체결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설치되는 록킹부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내면에 설치되는 마찰감소부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 각각은 프로파일(profile)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양단에는 덮개가 설치되되,
    상기 덮개에는 상기 프로파일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의료용 침대.
KR1020080040080A 2008-04-29 2008-04-29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 KR10094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080A KR100945537B1 (ko) 2008-04-29 2008-04-29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080A KR100945537B1 (ko) 2008-04-29 2008-04-29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240A KR20090114240A (ko) 2009-11-03
KR100945537B1 true KR100945537B1 (ko) 2010-03-09

Family

ID=4155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080A KR100945537B1 (ko) 2008-04-29 2008-04-29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5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820B1 (ko) 2020-05-11 2020-11-0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테이블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03083B1 (ko) 2020-09-22 2021-01-14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풋보드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03082B1 (ko) 2020-08-06 2021-01-1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풋보드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28026B1 (ko) 2020-10-26 2021-03-1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침대용 어라운드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2234351B1 (ko) 2020-10-26 2021-03-31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시설 천장용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2234348B1 (ko) 2020-10-26 2021-03-31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시설 천장형 디스플레이시스템의 틸팅장치
KR20220064261A (ko)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카멜인터내셔널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354A (ja) * 1994-08-29 1996-03-12 Shimadzu Corp モニター装置
KR20000020137U (ko) * 1999-04-28 2000-11-25 장건 침대용 피라이드형 텔레비전 시청 편의 장치
KR200335198Y1 (ko) * 2003-09-19 2003-12-03 리즈코리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피디피 텔레비전용 받침대
KR200366763Y1 (ko) 2004-08-19 2004-11-08 차재헌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354A (ja) * 1994-08-29 1996-03-12 Shimadzu Corp モニター装置
KR20000020137U (ko) * 1999-04-28 2000-11-25 장건 침대용 피라이드형 텔레비전 시청 편의 장치
KR200335198Y1 (ko) * 2003-09-19 2003-12-03 리즈코리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피디피 텔레비전용 받침대
KR200366763Y1 (ko) 2004-08-19 2004-11-08 차재헌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820B1 (ko) 2020-05-11 2020-11-0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테이블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03082B1 (ko) 2020-08-06 2021-01-1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풋보드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03083B1 (ko) 2020-09-22 2021-01-14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 침대용 풋보드 팝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28026B1 (ko) 2020-10-26 2021-03-15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침대용 어라운드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2234351B1 (ko) 2020-10-26 2021-03-31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시설 천장용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2234348B1 (ko) 2020-10-26 2021-03-31 주식회사 굿티브이 의료시설 천장형 디스플레이시스템의 틸팅장치
KR20220064261A (ko)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카멜인터내셔널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240A (ko)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537B1 (ko)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
US7744045B2 (en) Display device
US20040202346A1 (en) Wall mounting speaker assembly
KR20050122191A (ko) 수납선반용 결속구
JP3260656B2 (ja) 机等における脚柱長さ調整装置
KR101721911B1 (ko) 침대용 간이 책상
JP4065753B2 (ja) 機器の梱包方法
US5471936A (en) Furniture assembly components
JP3398781B2 (ja) 被支持体の取付構造
JP3565410B2 (ja) 平面型ディスプレイ装置に用いるスタンド
JP2006081922A (ja) 机における収納装置
JP2002065382A (ja) 機器の搭載台の棚板吊り下げ装置
JP2552129Y2 (ja) 机における幕板取付装置
JP3112946U (ja) 転倒防止器具
JPH1024071A (ja) 連結柵
KR100686766B1 (ko) 월 마운트 장치
JP2008272392A (ja) 多用途スタンド
KR200359098Y1 (ko) 모니터 거치대
JP4459785B2 (ja) 幕板の取付構造
KR200249323Y1 (ko) 낚시받침대
JP5020599B2 (ja)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オプション部材の支持構造
JP5981904B2 (ja) キャスタの取付構造
JPH06136965A (ja) 仮囲い板の支持枠取付金具
KR200284278Y1 (ko) 텔레비젼 지지대의 지지부구조
JPH0915511A (ja) 望遠鏡の鏡筒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