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638B1 -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 Google Patents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638B1
KR100389638B1 KR10-2001-0031496A KR20010031496A KR100389638B1 KR 100389638 B1 KR100389638 B1 KR 100389638B1 KR 20010031496 A KR20010031496 A KR 20010031496A KR 100389638 B1 KR100389638 B1 KR 100389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nderlay
flat panel
panel display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707A (ko
Inventor
이재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6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바닥에 놓이는 밑받침 베이스와;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체결되며, 상기 밑받침 베이스의 상부에 세워져 체결되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밑받침 베이스에 체결되는 밑받침 커버와; 상기 기둥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밑받침 커버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기둥을 견고히 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확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기둥을 가이드 및 나사홀을 이용하여 밑받침 베이스에 체결시킨 후, 상기 기둥에 밑받침 커버와 장식부를 끼우는 방식으로 체결시키므로서, 상기 가이드 및 밑받침 커버가 지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기둥에 체결되어진 장식부에 의해 상기 기둥의 견고성을 향상시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확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적 효과와 함께, 상기 장식부에 의한 상기 스탠드의 전체적인 미적 효과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 가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쓰러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 기둥과 장식부의 높이 및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 높이를 달리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Stand for flat display}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탠드의 구성요소 중 밑받침 베이스 상단에 체결된 한 쌍의 기둥에 장식부를 삽입 고정시키므로서, 상기 장식부에 의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체결되는 기둥의 견고성을 향상시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확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장식부를 통해 상기 스탠드의 전체적인 미적 효과 역시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외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밑받침 베이스 11.......가이드 홈
20, 200..기둥 21.......가이드 돌기
30, 300..밑받침 커버 31.......커버 홀
40, 400..장식부 41.......장식부 홀
100......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500......안전 가이드
510......제 1 안전 홀더 520......제 2 안전 홀더
521......고리홀 522......나사홀
530......안전 고리 531......고정 너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바닥에 놓이는 밑받침 베이스와;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체결되며, 상기 밑받침 베이스의 상부에 세워져 체결되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밑받침 베이스에 체결되는 밑받침 커버와; 상기 기둥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밑받침 커버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기둥을 견고히 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확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상기 밑받침 베이스와 기둥이 견고한 체결을 위하여 각각 대응되는 돌기, 홈(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기둥을 가이드 및 나사홀을 이용하여 밑받침 베이스에 체결시킨 뒤 상기 기둥에 끼우는 방식으로 상기 밑받침 커버와 장식부를 체결시킴으로써, 가이드 및 밑받침 커버와 장식부의 지지 역할로, 보다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가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쓰러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바닥에 놓이며 가이드 홈(11)이 형성되어 있는 밑받침 베이스(10)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체결되며, 상기 밑받침 베이스(10)의 가이드 홈(11)에 맞물리는 가이드 돌기(21)와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밑받침 베이스(10)의 상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기둥(20)과; 상기 기둥(20)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밑받침 베이스(10)에 체결되는 밑받침 커버(30)와; 상기 기둥(20)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밑받침 커버(30)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기둥(20)을 견고히 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확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장식부(4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밑받침 베이스(10)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스탠드가 설치될 바닥에 직접 맞닿는 부재로서, 무게 중심 등을 고려하여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크기와 무게는 지지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밑받침 베이스(10)에는 상기 기둥(20)과의 연결을 위한 나사홀 및 가이드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밑받침 베이스(10)의 밑면에는 미끄러짐 방지와 충격 흡수를 위하여 충격 흡수부를 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충격 흡수부는 고무 러버일 수 있다.
상기 기둥(20)은 상기 밑받침 베이스(10)에 체결되는 부재로서, 상부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홀이 구비되어 있으며, 밑면에는 상기 밑받침 베이스(10)와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 돌기(21)와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받침 커버(30)는 상기 기둥(20)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밑받침 베이스(10)에 체결되는 부재로서, 상기 기둥(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커버 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받침 커버(30)는 심미적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상기 기둥(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식부(40)는 상기 기둥(20)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밑받침 커버(30)의 상부에 체결되는 부재로서, 상기 기둥(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기둥(20)과 대응되는 소정위치에 장식부 홀(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받침 커버(30)와 마찬가지로 심미적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밑받침 커버(30)와, 장식부(40)의 재질은 합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기둥(20)을 가이드(11)(21)에 따라 상기 밑받침 베이스(10)에 맞춘 후 나사 등을 이용하여 체결시킨다. 다음 상기 밑받침 커버(30)를 상기 기둥(20)에 끼워서 상기 밑받침 베이스(10)에 체결시키고, 상기 장식부(40)를 상기 기둥(20)에 끼워서 상기 밑받침 커버(30)에 체결시킨다. 물론 상기 체결에는 나사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외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조립된 후 상부에서 보면 상기 밑받침 베이스(10)가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어 미려한 환경을 제공하며, 상기 기둥(20)에 끼워지는 형태로 체결이 되어 있는 상기 밑받침 커버(30)와 장식부(40)로 인하여 상기 기둥(20)이 추가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외력에 의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기둥(200)에 형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벽에 형합되는 안전 가이드(5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안전 가이드(500)는 상기 기둥(200)에 설치되는 제 1 안전 홀더(510)와, 벽에 형합되는 제 2 안전 홀더(520)를 1개조로 하는 안전 홀더(510)(520)와; 상기 안전 홀더(510)(520)에 양단이 각각 걸리는 안전 고리(5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홀더(510)(520)는 상부와 하부에 고리홀(521) 및 나사홀(522)이 형성되어 있는 'ㄱ' 자형의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전 고리(530)는 일단은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일단은 'ㄱ' 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 고리(530)는 상기 'ㄱ' 자형으로 되어 있는 일단을 상기 안전 홀더(510)(520)에 형합시키기 위하여 고정 너트(531)를 별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안전 가이드(500)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안전 홀더(510)(520)의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홀(522)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안전 홀더(510)를 상기 기둥(200)에, 상기 제 2 안전 홀더(520)를 벽에 체결시킨 뒤 상기 안전 고리(530)를 상기 안전 홀더(510(520)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홀(521)을 통하여 끼우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안전 고리(530)는 일단은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일단은 'ㄱ' 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먼저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는 일단을 상기 제 1 안전 홀더(510) 또는 제 2 안전 홀더(520)의 고리홀(521)에 끼우고, 그 다음 'ㄱ' 자형으로 되어 있는 일단을 각각 상기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된 일단이 끼워진 안전 홀더와 대응되는 안전 홀더의 고리홀(521)에 끼우면 된다. 그 후에 상기 'ㄱ' 자형의 일단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 너트(531)를 사용하여 상기 안전 홀더(510)(520)와 안전 고리(530)를 형합시키면 된다. 이처럼 상기 안전 고리(530)의 일단을 'ㄱ' 자형으로 한 것은 상기 'ㄱ' 자형으로 된 일단의 설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가 벽에 밀착된 후에 이루어지므로, 협소한 공간에서의 조립을 편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 너트(531)는 상기 안전 홀더(510)(520)와 안전 고리(530)를 완전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안전 고리(530)의 'ㄱ' 자형으로 된 일단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 역할만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안전 홀더(510)(520)에 끼워진 상기 안전 고리(530)의 반원 고리형의 일단과 'ㄱ' 자형의 일단이 모두 유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설치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외력에 의한 쓰러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위치 이동이 일정 정도 자유로우므로 설치가 쉽고, 화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안전 홀더(510)의 설치를 상기 기둥(200) 대신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는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기둥을 가이드 및 나사홀을 이용하여 밑받침 베이스에 체결시킨 후, 상기 기둥에 밑받침 커버와 장식부를 끼우는 방식으로 체결시키므로서, 상기 가이드 및 밑받침 커버가 지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기둥에 체결되어진 장식부에 의해 상기 기둥의 견고성을 향상시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확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적 효과와 함께, 상기 장식부에 의한 상기 스탠드의 전체적인 미적 효과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 가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쓰러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장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 기둥과 장식부의 높이 및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 높이를 달리할 수도 있다.

Claims (4)

  1.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바닥에 놓이는 밑받침 베이스와;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체결되며, 상기 밑받침 베이스의 상부에 세워져 체결되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밑받침 베이스에 체결되는 밑받침 커버와;
    상기 기둥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밑받침 커버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기둥을 견고히 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확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받침 베이스와 기둥은 견고한 체결을 위하여 각각 대응되는 돌기, 홈(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에는 상기 한 쌍의 기둥과 대응되는 소정위치에 장식부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4. 삭제
KR10-2001-0031496A 2001-06-05 2001-06-05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KR100389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496A KR100389638B1 (ko) 2001-06-05 2001-06-05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496A KR100389638B1 (ko) 2001-06-05 2001-06-05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707A KR20020092707A (ko) 2002-12-12
KR100389638B1 true KR100389638B1 (ko) 2003-06-27

Family

ID=2770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496A KR100389638B1 (ko) 2001-06-05 2001-06-05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217B1 (ko) * 2004-09-17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683738B1 (ko) * 2004-12-15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9070310B2 (en) * 2013-04-05 2015-06-30 Tgi Systems Corporation Safety frame system for an LED sign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4A (ja) * 1997-06-11 1999-01-06 Fujitsu General Ltd 平面ディスプレイのスタン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4A (ja) * 1997-06-11 1999-01-06 Fujitsu General Ltd 平面ディスプレイのスタン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707A (ko)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638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CA2452365A1 (en) Baby bath seat with hanger
US6530097B1 (en) Stone-top sink board arrangement
JP2753325B2 (ja) フロアパネルの支持装置
KR20100004474U (ko) 거치대
KR100405658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US6290387B1 (en) Clock supported and movable on floor
KR20090055376A (ko) 거치대
KR100632740B1 (ko) 장식장
KR200220934Y1 (ko)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
KR200420785Y1 (ko) 차량용 네비게이션 및 휴대용 pmp 거치대 조립체
JP2586917Y2 (ja) 仮設通路の安全索用支柱
CN212574517U (zh) 一种家具用可调节地脚
JP3937031B2 (ja) 棚受用支持装置
JP2765455B2 (ja) 洗面器の嵌込式施工構造及び方法
CN211313481U (zh) 可调节高度的支架
JP2003082883A (ja) 支柱スタンド
KR200184965Y1 (ko) 욕조설치용 거치대
JPS59114142A (ja) ライセンスプレ−ト支持具
JPH0212648Y2 (ko)
KR950005718Y1 (ko) Tv의 높이 조절 레그 장치
KR900002787Y1 (ko) 스키 보관대
JP3103828U (ja) 支柱用カバー式テーブル
JP3231274B2 (ja) 天井化粧カバー
JP2666885B2 (ja) 支柱の脚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