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217B1 - 모니터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217B1
KR100568217B1 KR1020040074397A KR20040074397A KR100568217B1 KR 100568217 B1 KR100568217 B1 KR 100568217B1 KR 1020040074397 A KR1020040074397 A KR 1020040074397A KR 20040074397 A KR20040074397 A KR 20040074397A KR 100568217 B1 KR100568217 B1 KR 10056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tand
monitor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655A (ko
Inventor
최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2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전방에 마련된 전방커버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후방에 마련된 후방커버를 갖는 모니터본체와; 상기 모니터본체를 지지하도록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기립 설치되어 상기 모니터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갖는 스탠드와; 상기 모니터본체에 삽입된 상기 스탠드부와 록킹 및 록킹해제가능하게 상기 모니터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록킹본체를 갖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용이하게 모니터본체로부터 스탠드를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모니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장치{MONITOR}
도 1은 종래 모니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니터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록킹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록킹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의 록킹유닛의 작동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니터장치
10 : 모니터본체 11 : 전방커버
14 : 후방커버 15 : 스탠드관통부
16 : 록킹본체체결부 17 : 탄성부재체결보스
20 : 록킹유닛 21 : 록킹본체
22 : 커버체결부 27 : 록킹돌기
28 : 경사부 31 : 록킹본체지지대
35 : 레버 37 : 체결스크루
41 : 탄성부재 50 : 스탠드
51 : 베이스부 55 : 스탠드부
56 : 경사면 58 : 돌기수용부
본 발명은,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본체와 스탠드의 체결구조를 개선한 모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모니터본체와 모니터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한다.
모니터본체는 TV나 컴퓨터용 모니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써, 일반적으로는 크게 CRT모니터, LCD모니터 등으로 분류되며, 이하에서는 LCD모니터가 장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종래의 모니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모니터본체(110)와 모니터본체(110)를 지지하는 스탠드(150)를 포함한다.
모니터본체(110)는 화상이 형성되는 LCD패널(미도시)과, LCD패널의 전방에 마련된 전방커버(130)와, LCD패널의 후방에 마련된 후방커버(140)를 갖는다. 그리고, 후방커버(140)의 하부에는 후술할 스탠드부(175)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스탠드수용부(145)가 마련된다.
스탠드(150)는 모니터본체(110)를 지지하며 테이블 상부면 및 바닥면과 같은 설치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160)와, 베이스부(160)에 다수의 스크루에 의해 체결 되며 판 형상으로 마련된 한 쌍의 베이스브래킷(171)과, 하측이 베이스브래킷(171)과 다수의 스크루에 의해 체결되며 상측이 모니터본체(1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스탠드부(175)와, 모니터본체(110)와 베이스부(160)사이에 마련되며 스탠드부(175)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부(181)가 마련된 스탠드커버(180)를 포함한다.
스탠드부(175)는 긴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후방커버(140)의 스탠드수용부(145)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모니터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브래킷(171)과 스탠드부(175)를 다수의 스크루에 의해 체결한다. 그리고, 한 쌍의 베이스브래킷(171)을 베이스부(160)의 양측면에 다수의 스크루로 체결한다. 그리고, 스탠드부(175)를 스탠드커버(180)의 관통부(181)에 삽입한 후, 모니터본체(110)의 후방커버(140)에 마련된 한 쌍의 스탠드수용부(145)에 삽입한다. 그리고, 다수의 스크루를 후방커버(140)에 마련된 커버체결공(146)을 관통하여 스탠드부(175)의 스탠드체결공(176)에 체결한다. 이에, 모니터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모니터장치는 모니터본체와 베이스부를 조립하기 위해 베이스브래킷 및 스탠드부를 스크루 결합하며, 다시 베이스브래킷을 베이스부에 스크루 결합한 후 스탠드부를 모니터본체에 스크루 결합해야하며, 분해시도 조립의 역순으로 진행됨으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분해 및 조립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분해이 용이하며, 분해 및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모니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전방에 마련된 전방커버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후방에 마련된 후방커버를 갖는 모니터본체와; 상기 모니터본체를 지지하도록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기립 설치되어 상기 모니터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갖는 스탠드와; 상기 모니터본체에 삽입된 상기 스탠드부와 록킹 및 록킹해제가능하게 상기 모니터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록킹본체를 갖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본체 및 상기 스탠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록킹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돌기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모니터본체에 삽입될 때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록킹본체와 상시 록킹가능하도록 상기 록킹본체를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스탠드부와 록킹해제가능하도록 상기 록킹본체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록킹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스탠드부에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부의 상측에는 상기 록킹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록킹돌 기를 회동시키도록 경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록킹돌기에는 상기 스탠드부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마련된 경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1)는 화상을 형성하는 모니터본체(10)와, 모니터본체(10)를 지지하는 스탠드(50)와, 스탠드(50)와 록킹 및 록킹해제가능하게 모니터본체(10)에 마련된 록킹유닛(20)을 포함한다.
모니터본체(10)는 TV나 컴퓨터용 모니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써, CRT모니터 및 LCD모니터와 같은 박형 화상형성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모니터본체(10)는 LCD패널과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미도시)와, 화상형성부의 전방에 마련된 전방커버(11)와, 화상형성부(미도시)의 후방에 마련된 후방커버(14)를 갖는다.
후방커버(14)는 그 하부의 양측에 후술할 한 쌍의 스탠드부(51)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스탠드관통부(15)가 마련된다. 후방커버(14)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록킹유닛(20)의 록킹본체(2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록킹본체체결부(16)와, 후술할 탄성부재(41)를 체결하여 지지하도록 탄성부재체결보스(17)가 마련된다. 그리고, 후방커버(14)의 내측면에는 스탠드관통부(15)를 통과한 스탠드부(51)가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된 스탠드스토퍼(18)와, 록킹본체(21)가 탄성부재(41)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돌출된 탄성부재스토퍼(19)가 마련된다.
스탠드(50)는 모니터본체(10)를 지지하도록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51)와, 베이스부(51)에 대해 기립 설치되어 모니터본체(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탠드부(5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51)는 테이블과 같은 설치면에 안착되도록 소정의 접촉면 갖는 판면 형상으로 마련된다.
스탠드부(51)는 그 하측이 베이스부(51)의 판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그 상측이 모니터본체(10)와 결합가능하게 베이스부(51)의 판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된다. 스탠드부(5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쌍으로 마련되나, 하나 혹은 셋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스탠드부(51)에는 후술할 록킹유닛(20)의 록킹돌기(27)를 수용하여 결합가능하게 돌기수용부(58)가 마련된다. 그러나, 스탠드부(51)에 록킹돌기(27)가 마련되며, 록킹유닛(20)에 돌기수용부(58)가 마련될 수도 있다. 스탠드부(51)의 상측에는 스탠드부(51)가 모니터본체(10)에 삽입될 때 록킹유닛(20)의 록킹돌기(27)와 접촉하여 록킹돌기(27)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경사면(56)이 마련된다.
돌기수용부(58)는 스탠드부(51)가 모니터본체(10)에 완전히 삽입될 때 록킹유닛(20)의 록킹돌기(27)가 삽입가능하게 스탠드부(51)의 상부영역에 마련된다.
경사면(56)은 록킹돌기(27)와 접촉되는 스탠드부(51)의 상부 일측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록킹유닛(20)은 모니터본체(10)에 삽입된 스탠드부(51)와 록킹 및 록킹해제가능하게 모니터본체(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록킹본체(21)를 포함한다. 록킹유닛(20)은 스탠드부(51)의 돌기수용부(58)와 결합가능하게 마련된 록킹돌기(27)를 포함하며, 스탠드부(51)가 모니터본체(10)에 삽입될 때 스탠드부(51)가 록킹유닛(20)과 상시 록킹가능하도록 록킹본체(21)를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41)를 포함한다. 그리고, 록킹유닛(20)은 후방커버(14)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록킹본체(21)를 회동시켜 스탠드부(51)와 록킹해제가능하게 마련된 레버(35)를 더 포함하다. 록킹유닛(20)은 록킹본체(21)를 후방커버(14)에 결합시키도록 록킹본체(21)와 후방커버(14)의 록킹본체체결부(16)에 결합되는 록킹본체지지대(31)를 포함한다.
록킹본체(21)는 후방커버(14)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체결부(22)와, 커버체결부(22)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록킹돌기(27)를 지지하는 돌기지지부(26)를 포함한다.
록킹돌기(27)는 록킹본체(21)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록킹돌기(27)는 돌기지지부(26)의 하부영역에서 스탠드부(51)가 삽입될 때 접촉가능하게 돌출형성된다. 록킹돌기(27)의 하부면 단부에는 스탠드부(51)의 경사면(56)과 접촉하여 탄성부재(4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후방으로 용이하게 회전가능하도록 경사지게 경사부(28)가 마련된다. 록킹돌기(27)는 그 돌출방향의 연장선이 록킹본체(21)의 회전중심점을 지니지 않게 마련된다. 그 이유는 록킹돌기(27)가 스탠드부(51)의 돌기수용부(58)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탠드부(51)가 모니터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힘에 의해 록킹돌기(27)가 회전하여 스탠드부(5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커버체결부(22)에는 록킹본체지지대(31)가 삽입되어 결합가능하게 지지대수 용부(24)와, 지지대수용부(24)의 내측에 돌출되어 록킹본체지지대(31)에 마련된 걸림수용부(3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걸림부(25)가 마련된다.
돌기지지부(26)는 커버체결부(22) 및 록킹돌기(27)와 일체로 형성된다. 돌기지지부(26)에는 탄성부재(41)의 일측과 접촉되어 탄성부재(41)의 일측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된 탄성부재이탈방지부(43)가 마련된다.
록킹본체지지대(31)는 후방커버(14)의 록킹본체체결부(16) 및 지지대수용부(24)에 삽입가능하게 길게 형성된다. 록킹본체지지대(31)에는 커버체결부(22)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커버체결부(22)의 걸림부(25)와 결합가능하게 걸림수용부(32)가 마련되며, 지지대수용부(24)에 삽입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체결스크루(37)와 결합되는 스크루체결부(33)가 마련된다. 이에, 록킹본체지지대(31)는 후방커버(14)의 록킹본체체결부(16) 및 지지대수용부(24)에 삽입되어 체결스크루(37)에 결합됨으로써 후방커버(14)에 대해 록킹본체(21)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레버(35)는 록킹본체지지대(31)의 단부에 마련된다. 즉, 레버(35)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동가능하도록 후방커버(14)의 외측면에 마련된 록킹본체지지대(31)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에, 사용자가 레버(35)를 회전시키면 록킹본체지지대(31) 및 록킹본체(21)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록킹본체(21)가 회전함으로써 록킹돌기(27)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탄성부재(41)는 록킹돌기(27)가 스탠드부(51)의 돌기수용부(58)에 상시 삽입될 수 있도록 록킹본체(21)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탄성부재(41)는 후방커버(14)의 탄성부재체결보스(17)에 탄성부재지지스크루(42)에 의해 체결되며, 일측이 록킹 본체(21)의 돌기지지부(26)에 지지되고 타측이 후방커버(14)에 지지되어 록킹돌기(27)를 가압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1)의 록킹유닛(20)의 작동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탠드(50)의 스탠드부(51)를 후방커버(14)의 스탠드관통부(15)에 삽입한다. 그러면, 스탠드부(51)의 경사면(56)이 록킹돌기(27)의 경사부(28)와 접촉하여 록킹돌기(27)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며 상승하게 된다. 이때 록킹돌기(27)는 탄성부재(41)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탄성부재(41)의 탄성력을 극복하도록 충분한 힘으로 스탠드부(51)를 삽입시켜야 한다. 그리고, 스탠드부(51)가 완전히 삽입되면, 록킹돌기(27)는 다시 탄성부재(41)의 탄성력에 의해 스탠드부(51)의 돌기수용부(58)로 삽입되어 록킹상태가 된다. 그리고, 스탠드(50)를 모니터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후방커버(14)의 외측면에 노출된 레버(35)를 탄성부재(4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전시켜 록킹돌기(27)가 돌기수용부(58)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스탠드부(51)를 모니터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장치는 모니터본체에 삽입된 스탠드부와 록킹 및 록킹해제가능하게 모니터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록킹본체를 갖는 록킹유닛을 마련하여, 스크루체결과 같은 별도의 부품체결 및 분해 없이 용이하게 모니터본체로부터 스탠드를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이하게 모니터본체로부터 스탠드를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모니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모니터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전방에 마련된 전방커버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후방에 마련된 후방커버를 갖는 모니터본체와;
    상기 모니터본체를 지지하도록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기립 설치되어 상기 모니터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갖는 스탠드와;
    상기 모니터본체에 삽입된 상기 스탠드부와 록킹 및 록킹해제가능하게 상기 모니터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록킹본체를 갖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본체 및 상기 스탠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록킹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돌기수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모니터본체에 삽입될 때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록킹본체와 상시 록킹가능하도록 상기 록킹본체를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스탠드부와 록킹해제가능하도록 상기 록킹본체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록킹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스탠드부에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부의 상측에는 상기 록킹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록킹돌기를 회동시키도록 경사면이 마련되며, 상기 록킹돌기에는 상기 스탠드부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마련된 경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장치.
KR1020040074397A 2004-09-17 2004-09-17 모니터장치 KR10056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397A KR100568217B1 (ko) 2004-09-17 2004-09-17 모니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397A KR100568217B1 (ko) 2004-09-17 2004-09-17 모니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655A KR20060025655A (ko) 2006-03-22
KR100568217B1 true KR100568217B1 (ko) 2006-04-05

Family

ID=3713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397A KR100568217B1 (ko) 2004-09-17 2004-09-17 모니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4586A (zh) * 2021-01-28 2021-05-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4395A (ja) 1997-12-22 1999-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20092707A (ko) * 2001-06-05 200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KR20030045449A (ko) * 2001-12-04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40009338A (ko) * 2002-07-23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40062726A (ko) * 2003-01-03 200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형 평판 모니터의 고정장치
KR20050110965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스탠드겸용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4395A (ja) 1997-12-22 1999-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20092707A (ko) * 2001-06-05 200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KR20030045449A (ko) * 2001-12-04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40009338A (ko) * 2002-07-23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40062726A (ko) * 2003-01-03 200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형 평판 모니터의 고정장치
KR20050110965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스탠드겸용 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655A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2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7283354B2 (en) Monitor apparatus
EP1619438B1 (en) Wall mounting structure for a flat panel display
CA2535287C (en) Quick release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US8083193B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display and supporter, display, stand, and attachment
US8355245B2 (en) Display device
US7265997B2 (en)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expansion cards in computer enclosure
US20210199234A1 (en) Quick release assembly and support
US20060226307A1 (en) Display apparatus
KR100568217B1 (ko) 모니터장치
US20150138705A1 (en) Holding frame and hous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KR20060008537A (ko) Lcd 모니터의 벽걸이 구조
CN103163968A (zh) 电子装置壳体
KR100522957B1 (ko) Lcd 모니터의 스탠드 장치
US8276856B2 (en) Support mechanism having two detachable covers and hinge
JP2013152419A (ja) 薄型表示装置
KR101390715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346081Y1 (ko) 디스플레이장치
JP4434188B2 (ja) 電子機器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7770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KR100686766B1 (ko) 월 마운트 장치
CN102375481A (zh) 电子装置
CN218895185U (zh) 固定架结构
CN218787465U (zh) 机壳及一体机
KR200333197Y1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