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812B1 -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812B1
KR100944812B1 KR1020080010939A KR20080010939A KR100944812B1 KR 100944812 B1 KR100944812 B1 KR 100944812B1 KR 1020080010939 A KR1020080010939 A KR 1020080010939A KR 20080010939 A KR20080010939 A KR 20080010939A KR 100944812 B1 KR100944812 B1 KR 10094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ooth model
articulator
coupled
low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180A (ko
Inventor
이무형
Original Assignee
이무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형 filed Critical 이무형
Priority to KR102008001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81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7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usin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보철물을 제작할 때 환자의 상악치와 하악치의 형상을 본으로 떠서 성형하는 치아 모양으로 된 치 모형을 서로 교합하여 상악치와 하악치의 교합상태를 확인하고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치 모형을 결합하여 교합시키는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치 모형마다 별개의 교합기를 사용할 필요 없이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분리와 결합이 용이한 치 모형 결합모듈을 교합기에 구비하여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치 모형을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교합기, 치 모형, 결합모듈

Description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COMBINATORIAL STRUCTURE OF TOOTH MODEL WITH COUPLING MODULE}
본 발명은 치과보철물을 제작할 때 환자의 상악치와 하악치의 형상을 본으로 떠서 성형하는 치아 모양으로 된 치 모형 즉 작업모형을 서로 교합하여 상악치와 하악치의 교합상태를 확인하고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치 모형을 결합하여 교합시키는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치 모형마다 별개의 교합기를 사용할 필요 없이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분리와 결합이 용이한 치 모형 결합모듈을 교합기에 구비하여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치 모형을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인간의 삶에 있어서, 보다 편안하게 살기 위하여 음식을 먹는 치아가 중요하다 하여 치아가 튼튼한 것을 오복 중의 하나로 꼽아왔으며, 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손상된 치아를 복원하기 위하여 인공치아를 개발하여 그 기능을 대신 하도록 하는 의료기술이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인공치아를 만드는데 있어서는 치아가 손상된 환자의 상, 하 잇몸과 치아의 모양을 모형으로 뜨고 이들 치아 중 손상된 부분을 치과보철물로 대처하도록 하기 위하여 인공치아를 제작하게 되는데 이때 제작된 인공치아가 환자의 본래 치아와 일치하게 가공하기 위하여 가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인체의 상악과 하악의 구조와 가장 근접하는 조건으로 상, 하 두 개의 치 모형이 서로 교합되도록 교합기를 형성하고 상기 교합기에 상악치와 하악치의 모형을 결합하여 이들을 서로 교합시키면서 최적의 조건을 갖는 보철물로 복원하기 위하여 치기공사들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교합기를 상악과 하악이 서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다음, 상악 및 하악의 단부에 치 모형을 일체로 석고를 이용하여 성형한 후 결합하고, 모든 작업이 끝날 때까지 교합기와 치 모형을 분리하지 못하여 교합기의 상악과 하악을 서로 분리하여 치 모형과 교합기의 상악 및 하악이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치 모형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석고를 이용하여 치 모형을 교합기에 일체적으로 결합시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분리가 불가능하므로 하나의 치 모형이 형성되면 그 치 모형의 가공작업이 완성될 때까지 교합기를 분리할 수가 없어 다수 개의 치 모형을 작업할 때에는 그 수만큼의 교합기를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교합기와 치 모형이 작업이 완성될 때까지 일체로 붙어서 있는 상태를 이루므로 직접 치 모형을 세공하거나 조작을 함에 있어서 교합기가 손에 걸려 방해가 되는 등 상당히 불편함을 주었고 작업능률을 떨어뜨리게 하는 원인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74406호 에서는 상악과 하악의 단부의 측면에 홀 형태의 치 모형 결합부를 형성시킨 후 교합기의 상악과 하악에 각각 삽입하여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 모형을 교합기에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교합기의 치 모형결합구조를 제안하였으나, 교합기의 상악과 하악의 단부를 별도로 가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단순히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였을 뿐 필요한 경우 그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좌우로 회전을 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여 그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 치기공사들이 작업시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치 모형을 교합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교합기를 이용해 다수 개의 치 모형을 호환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치기공사의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하고 보다 완벽한 치과보철물을 만들 수 있는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 모형의 착탈 분리는 물론 교합기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치 모형을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상악 또는 하악의 전후로 이동도 가능하도록 하여 치기공사들이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교육실습시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는, 치 모형이 결합되며, U자 형태로 형성된 상악과 하악이 서로 상하로 벌어졌다 오므라지도록 형성된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상악의 하부 또는 하악의 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며, 치 모형과 결합되는 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칭되는 면에는 나사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입체 구조의 블록결합구; 상기 상악 또는 하악에 외부로부터 덮으며 결합되고, 윗면에는 상기 나사결합홀과 대응되는 클램프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악 또는 하악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양측에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홈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단에 각각 스프링경첩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악 또는 하악에 맞물려 고정시키는 고정날개부와 상기 고정날개부의 외측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이동클램프; 상기 상악 또는 하악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나사결합홀과 클램프결합홀을 통해 일체적으로 나선결합되어 상기 블록결합구와 이동클램프를 결합시키는 결합조절나사부; 및 상기 블록결합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결합되는 면에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입체 구조의 치 모형결합구가 상기 상악 또는 하악과 결합되는 부분에 삽입되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치 모형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블록결합구와 치 모형에 삽입되어 있는 치 모형결합구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는 상기 블록결합구 및 치 모형결합구의 내부에 자석이 삽입되어 내장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자석의 인력으로 인해 수십 회의 착탈로 인하여 치 모형결합구의 결합홈이 넓혀져 결합돌기와의 끼움 결합에 의한 결합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자석의 결합력을 이용하여 결합력을 보강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교합기는 치 모형을 교합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교합기를 이용해 다수 개의 치 모형을 호환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치기공사의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하고 보 다 완벽한 치과보철물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교합기는 치 모형의 결합 분리가 편리하고 쉽게 되도록 함은 물론 교합기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치 모형을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상악 또는 하악의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치기공사들이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교육실습시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치 모형을 결합하지 않은 상태의 기존의 교합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1b는 치 모형을 석고 등을 이용해 완전히 고정시킨 상태의 옆에서 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기존의 교합기(10)는 상악(11)과 하악(12)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악(11)과 하악(12)은 각 U자 형태를 가지는 일정한 두께의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통상적으로 석고를 이용하여 치 모형(20)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사람의 치아 구조가 양 끝이 벌어지는 형태의 U자의 형태로 구성되므로 상악(11)과 하악(12)의 프레임도 결합부(13)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의 U자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석고를 이용하여 치 모형(20)을 교합기(10)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상악과 하악의 외측으로부터 다량의 석고를 부어서 치 모형을 교합기에 결합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합기의 측면에서 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합기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의 단면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
본 발명에 의한 치 모형 결합모듈은 상악(11)과 하악(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상악(11)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나 상악이나 하악 양측에 모두 사용한다 하더라도 무방하다. 도시한 것은 상악과 하악에 모두 본 발명에 의한 치 모형 결합모듈을 구성한 것을 나타내었다.
우선 상악부분에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교합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살펴보면, 치 모형(20a)이 교합기(10)의 상악(11)에 결합되는 부분의 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210)이 형성되어 있는 육면체 형태의 입체구조를 가지고 있는 치 모형결합구(200)가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치 모형결합구(2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210)이 다수 회의 탈부착으로 인하여 넓혀지거나 느슨해졌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결합력 저하를 방지하고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치 모형결합구(200)의 내부에는 자석(500b)을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 모형결합구(200)에 내장되어 있는 자석(500b)은 상악(11)에 고정되어 있는 블록결합구(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자석(500a)와 대응되어 결합력을 부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악(11)에 이동클램프(400)와 함께 결합조절나사(300)에 의하여 고정되는 블록결합구(100)는 역시 상기 치 모형결합구(200)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다수 개의 결합돌기(110)가 상기 치 모형에 결합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블록결합구(100)의 윗면에는 상기 결합조절나사(300)가 나선결합이 되도록 나사결합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조절나사(300)를 약간 느슨하게 풀면 치 모형(20a)과 결합된 상태에서 블록결합구(100)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교합기를 이용하여 교육을 시행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블록결합구(100) 내부에는 역시 자석(500a)을 내장시켜 상기 치 모형결합구(200)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자석(500b)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악은 중간이 공간이 있도록 형성된 U자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U자형 프레임 구조로 형성된 상악의 위로부터는 치 모형(20a)이 결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상악(11)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클램프(4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이동클램프(400)의 윗면에는 상기 결합조절나사(300)가 관통되어 상기 블록결합구(10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홀(150)과 함께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클램프결합홀(410)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동클램프(400)는 상기 상악(11)을 이루고 있는 좌측과 우측 프레임을 각각 가이드라인으로 이용하여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본체(401)부분은 양 측면을 각각 안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가이드부(450)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본체(401)의 양 측단에는 각각 내부에 다수 개의 스프링(441)이 내장되어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프링경첩(440)을 통해 고정날개부(4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날개부(430)에 의해 이동클램프(400)은 상기 상악(11)에 꽉 물리도록 되어 있으며 앞뒤로 이동시에는 상기 고정날개부(430)의 외측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420)를 사용하여 본체 중심방향으로 제끼면 상기 고정날개부(430)가 위로 들리면서 이동이 쉽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악(12)에도 상기 구조와 같이 동일하게 본 발명에 의한 치 모형 결합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다만 하악(12)의 경우에는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고려해야 하므로 상기 이동클램프의 고정날개부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부(420)는 외측 중에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합기 중 상악에 결합모듈을 설치하였을 때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구성도이다.
본 도면은 상악(11)에 결합모듈을 설치했을 때 위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U자형 프레임으로 구성된 상악(11)에는 결합조절나사(300)을 통해 결합되는 이동클램프(400)가 상기 상악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 위에 가로질러져 설치되며, 상기 이동클램프(400)의 본체(401)이 U자형 프레임을 덮게 된다. 이때 이동클램프의 본체(401)의 양측에는 각각 본 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경첩을 통해 서로의 끝이 맞물리도록 탄성력이 부가되어 있는 고정날개부(4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날개부(430)의 외면에는 일체적으로 손잡이부(420)가 형성되어 있어 이동클램프를 상기 상악(11)의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킬 때 본체(401)의 중심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 상악(11)의 프레임을 덮으며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던 고정날개부(430)가 위로 들려지면서 부착력이 없어지면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a는 치 모형을 결합하지 않은 상태의 기존의 교합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1b는 치 모형을 석고 등을 이용해 완전히 고정시킨 상태의 옆에서 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합기의 측면에서 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합기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의 단면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합기 중 상악에 결합모듈을 설치하였을 때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합기 11 : 상악
12 : 하악 20 : 치 모형
100 : 블록결합구 200 : 치 모형결합구
300 : 결합조절나사 400 : 이동클램프
500 : 자석

Claims (2)

  1. 치 모형이 결합되며, U자 형태로 형성된 상악과 하악이 서로 상하로 벌어졌다 오므라지도록 형성된 교합기에 있어서,
    상기 상악의 하부 또는 하악의 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며,
    상기 치 모형과 결합되는 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칭되는 면에는 나사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입체 구조의 블록결합구;
    상기 상악 또는 하악에 외부로부터 덮으며 결합되고, 윗면에는 상기 나사결합홀과 대응되는 클램프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악 또는 하악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양측에 각각 안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단에 각각 스프링경첩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악 또는 하악에 맞물려 고정시키는 고정날개부와 상기 고정날개부의 외측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이동클램프;
    상기 상악 또는 하악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나사결합홀과 클램프결합홀을 통해 일체적으로 나선결합되어 상기 블록결합구와 이동클램프를 결합시키는 결합조절나사; 및
    상기 블록결합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결합되는 면에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입체 구조의 치 모형결합구가 상기 상악 또는 하악과 결합되는 부분에 삽입되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치 모형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결합구 및 치 모형결합구의 내부에는 자석이 삽입되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KR1020080010939A 2008-02-04 2008-02-04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KR10094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939A KR100944812B1 (ko) 2008-02-04 2008-02-04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939A KR100944812B1 (ko) 2008-02-04 2008-02-04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180A KR20090085180A (ko) 2009-08-07
KR100944812B1 true KR100944812B1 (ko) 2010-02-26

Family

ID=4120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939A KR100944812B1 (ko) 2008-02-04 2008-02-04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95B1 (ko) 2011-10-17 2012-04-05 김세훈 교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044B1 (ko) * 2010-03-05 2010-08-18 이채붕 교합기
KR101865550B1 (ko) 2017-05-29 2018-06-08 이헌호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KR200486370Y1 (ko) 2017-05-29 2018-05-08 이헌호 교합 수직 고경 핀의 젖힘이 가능한 교합기
CN109589177A (zh) * 2018-12-29 2019-04-09 天天诺齿科技术(天津)有限公司 一种可分离模型底座插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413U (ja) * 1991-08-08 1993-02-23 雄策 幸田 咬合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413U (ja) * 1991-08-08 1993-02-23 雄策 幸田 咬合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95B1 (ko) 2011-10-17 2012-04-05 김세훈 교합기
WO2013058470A1 (ko) * 2011-10-17 2013-04-25 Kim Se Hun 교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180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277B2 (en) Dental appliance binding structure
US9844424B2 (en)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KR100944812B1 (ko) 치 모형 결합모듈이 구비된 교합기
JP2017532112A (ja) 再位置決め顎エレメントを有する歯科器具
EP1621157B1 (en) Method of arranging artificial teeth
US20120251970A1 (en) Removable bite plane appliance
EP3939539B1 (en) Partially connected full denture having an adjustable dental arch and occlusion curvature
KR101783605B1 (ko) 치과용 교합기
WO2019003409A1 (ja) 連結人工歯列
US9452034B1 (en) Hybrid passively fitting prosthodontic frameworks
US3466750A (en) Occluder
JP2009531145A (ja) 歯科咬合器
KR100890476B1 (ko)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JP5006890B2 (ja) 歯牙固定具
US3097431A (en) Harris
US5013239A (en) Positioner with rotational control elements
AU2016292910B2 (en) Direct dental bridge
JP2004321645A (ja) 可撤性義歯用の係止方法及び装置
KR100927245B1 (ko) 교합기
KR20120054962A (ko) 치모형 제작 장치
KR101548732B1 (ko) 교합기
KR100955320B1 (ko) 교합기
KR200300715Y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JP3626752B1 (ja) 人工歯複合体の製造方法
US20060068357A1 (en) Metal dental impression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