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702B1 - 스플라이스 요소를 갖는 현장 접속가능 광섬유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플라이스 요소를 갖는 현장 접속가능 광섬유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702B1
KR100944702B1 KR1020090037063A KR20090037063A KR100944702B1 KR 100944702 B1 KR100944702 B1 KR 100944702B1 KR 1020090037063 A KR1020090037063 A KR 1020090037063A KR 20090037063 A KR20090037063 A KR 20090037063A KR 100944702 B1 KR100944702 B1 KR 10094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backbone
fiber
connector
col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485A (ko
Inventor
찬술 박
도날드 케이. 라슨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4867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4470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9006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0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 G03F7/3021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from a wafer supported on a rotating ch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 resin, an ink or the like

Abstract

광섬유 커넥터는 리셉터클과 정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과, 광섬유 스터브 및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칼라 본체와, 하우징 내에 칼라 본체를 보유시키는 백본과, 부트를 포함한다. 백본은 작동시 접속된 광섬유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재킷부를 클램핑하기 위해 섬유 재킷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부트는 백본에 부착될 때 백본의 섬유 재킷 클램핑부를 작동시킨다. 광섬유 커넥터는 별개의 접속 플랫폼 또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접속될 수 있다.
광섬유 커넥터, 리셉터클, 칼라 본체, 백본, 섬유 부트

Description

스플라이스 요소를 갖는 현장 접속가능 광섬유 커넥터 {FIELD TERMINABLE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SPLICE ELEMENT}
본 발명은 광섬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통신 산업을 위한 기계식 광섬유 커텍터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LC, ST, FC 및 SC 광 커텍터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용으로 입수가능한 광섬유 커넥터가 현장 설치에 아주 적절한 것은 아니다. 통상, 접착제가 이러한 유형의 커넥터를 광섬유에 장착시키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현장에서 수행하기가 곤란하며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조립후(post-assembly) 연마는 기능공이 고도의 기술을 갖는 것을 요구한다.
일본특허 제3445479호와, 일본출원 제2004-210251호(WO 2006/019516) 및 제2004-210357호(WO 2006/019515)에 개시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스플라이스 커넥터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이브리드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표준 커넥터 형식과 불일치하며 상당한 커넥터의 부품별 현장 조립을 필요로 한다. 커넥터의 다수의 소형 부품의 취급 및 배향은 커넥터 조립을 부정확하게 하여,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섬유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보다 최근에, 미국특허 제7,369,738호는 기계식 스플라이스에 의해 현장 섬유로 스플라이스되는 페룰(ferrule) 내에 배치되는 사전 연마된 섬유 스터브(stub)를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NPC라고 불리는 이런 커넥터는 현재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3M사로부터 상용으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가 짧고 커넥터 접속 플랫폼 또는 별개의 크림핑 공구의 사용 없이 간단한 현장 접속이 가능한 광섬유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가 제공된다. 광섬유 커넥터는 리셉터클과 정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광섬유 커넥터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칼라 본체를 포함하고, 칼라 본체는 칼라 본체의 제1 단부 부분 내에 배치되는 섬유 스터브를 포함한다. 섬유 스터브는 페룰 내에 장착되는 제1 광섬유를 포함하고, 제1 광섬유는 페룰의 단부면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다. 칼라 본체는 칼라 본체의 스플라이스 장치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를 더 포함하고,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는 제2 광섬유에 섬유 스터브의 제2 단부를 스플라이스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광섬유 커넥터는, 하우징 내에 칼라 본체를 보유하고 작동시 제2 광섬유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재킷부를 클램핑하기 위해 섬유 재킷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백본(backbone)을 포함한다. 또한, 광섬유 커넥터는, 백본의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 백본에 부착될 때 백본의 섬유 재킷 클램핑부를 작동시키는 부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광 커넥터 내에서 광섬유를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요약은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 또는 본 발명의 모든 기구를 설명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실시예를 더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가 짧고 커넥터 접속 플랫폼 또는 별개의 크림핑 공구의 사용 없이 간단한 현장 접속이 가능한 광섬유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대체 형태가 있을 수 있지만, 도면에는 그 세부 사항이 예로서 도시되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와 반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변형예, 등가예 및 대체예를 포함하려는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일부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알아야한다.
본 발명은 광섬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의 광섬유 커넥터는 길이가 짧고 간단한 현장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간단한 현장 접속은 커넥터 접속 플랫폼 또는 별개의 크림핑 공구의 사용 없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커넥터(들)는 파이버 투 더 홈(Fiber To The Home; FTTH) 및/또는 파이버 투 더 엑스(Fiber To The X; FTTX) 네트워크 설비용으로 쉽게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커넥터(들)는 다수의 커넥터 처리시에 사용 편리성이 요구되는, 특히 노동 비용이 더 많이 드는 설치 환경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광섬유 커넥터(100)가 도 1의 등각도에 도시되어 있다. 광섬유 커넥터의 구성요소는 도 2의 분해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광섬유 커넥터(100)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칼라 본체(120), 백본(116) 및 부트(180)를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의 구성요소의 근접도이다.
광섬유 커넥터(100)는 대응하는 형식의 리셉터클과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광섬유 커넥터(100)는 SC 형식을 갖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본 상세한 설명의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ST, FC 및 LC 커넥터 형식과 같은 다른 표준 형식을 갖는 광 커넥터도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형 광섬유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및 섬유 부트(180)를 갖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지 않을 때 스터브 섬유 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캡(190)이 커넥터의 전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섬유 커넥터(100)는 SC 리셉터클(예컨대, SC 커플링, SC 어댑터 또는 SC 소켓)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외부 쉘을 갖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커넥터(100)는 페룰 및 스플라이스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칼라 본체(120)(배럴이라고도 불릴 수 있음)와, 커넥터 내에 칼라 본체(120)를 보유하는 다목적 백본(116)과, 부트(18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 광섬유 커넥터(100)는 현장 광섬유 케이블(135)을 접속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135)은 외부 재킷(136), (예컨대, 버퍼 코팅 등을 갖는) 코팅부(137), 섬유부(138)[예컨대, 베어 클레드(bare clad)/코어] 및 강도 부재(139)를 포함하는 재킷형 케이블이다. 양호한 태양에서, 강도 부재(139)는 섬유 재킷(136)의 내부면과 코팅부(137)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아라미드, 케블라(Kevlar) 또는 폴리에스테르 얀(yarn) 또는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일 태양에서, 백본(116)은 광섬유 커넥터(100)를 위한 구조적 지지체를 제공한다. 다른 태양에서, 백본(116)은 현장에서 접속되는 광섬유를 위한 클램핑도 또한 제공하는 (약 50mm 내지 약 60mm의 길이를 갖는) 긴 구조체이다. 또한, 백본(116)은 접속되는 광섬유의 강도 부재를 위한 클램핑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축방향 변형 릴리프를 제공할 수 있다.
백본(116)은 칼라 본체(120)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전방 단부에 개구(112)를 포함한다(예컨대, 도 7a 참조). 백본(116)은 커넥터 칼라 본체 내에 배치된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접근로를 제공할 수 있는 접근 개구(117)를 더 포함한다. 양호한 태양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개구(117)는 스플라이스 장치의 작동 중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또는 손가락을 수용하기 위해 측부에 형성된 절결부 또는 얕은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백본(116)은 접속되는 광섬유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전체에 걸쳐 축방향 보어(axial bore throughout)를 갖는다. 도 5에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백본(116)은 섬유 부트(180)에 결합하도록 제공되는 장착 구조체(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태양에서, 장착 구조체는 부트(180)의 대응하는 나사형 표면(184)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백본(116)의 외부 부분 상에 형성된 나사형 표면을 포함한다(도 6 참조). 또한, 장착 구조체(118)는 접속되는 광섬유 케이블의 강도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유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백본은 접속되는 광섬유 케이블을 위한 축방향 정렬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되는 섬유 가이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태양에서, 섬유 가이드부(113)는 광섬유의 버퍼부(buffered portion)를 정렬시키고 칼라 본체(120) 내에 수용된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140)를 향해 섬유를 안내하는 깔때기형 채널 또는 홈이다.
또한, 백본(116)은 백본 내에 칼라 본체(120)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칼라 본체 장착 구조체(115)를 포함한다. 양호한 태양에서, 칼라 본체 장착 구조체(115)는 전체에 걸쳐 축방향 보어를 갖는 백본(116)의 내부 영역 내에 형성된 강성 구조체를 포함한다. 축방향 보어는 칼라 본체(120)의 상승 단부 구조체(128)를 수용하여 결합하는데 적절한 크기일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칼라 본체 장착 구조체(115)는 칼라 본체(120)의 제2 단부 부분(126) 위에 위치설정되는 스프링(155)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플랜지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견부도 형성한다. 스프링(155)은 2개의 커넥터가 함께 결합될 때 충분한 접촉력을 제공하고 유지한다.
백본(116)은 접속되는 광섬유 케이블(135)의 재킷부(136)의 삽입을 위한 경계부를 제공하기 위해 백본의 내부 부분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멈춤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됨). 또한, 백본(116)은 백본의 일 단부 상에 형성되는 클램핑부(119)를 포함한다. 클램핑부(119)는 광섬유 커넥터(100) 내에서 접속되는 광섬유 케이블(135)의 재킷부(136) 상에 클램핑되도록 구성된다. 양호한 태양에서, 클램핑부(119)는 부트가 장착 구조체(118)에 고정될 때 작동되는 콜릿형(collet-type) 분할체 형상부를 포함한다. 클램핑부(119)는 케이블 재킷부(136)의 용이한 클램핑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상승된 내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119)는 접속 프로세스 동안에 섬유 케이블(135)을 삽입할 때 가이드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부트(180)는 섬유 강도 부재(139) 및 섬유 재킷(136)을 클램핑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부트(180)와 백본(116)의 상호작용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 및 백본(116)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거나 성형되지만, 금속 및 다른 적절한 강성 재료도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스냅 끼움에 의해 백본(116)의 외부면[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외부 결합면(111) 참조]에 고정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광섬유 커넥터(100)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백본에 의해 보유되는 칼라 본체(120)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칼 라 본체(120)는 페룰(132), 광섬유 스터브(134) 및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140)를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구성요소이다. 칼라 본체는 백본(116) 내에서 어느 정도 제한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칼라 본체(120)는 칼라 본체와 백본부(115)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55)(도 2 및 도 3 참조)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플랜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칼라 또는 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칼라 본체(120)는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거나 성형될 수 있지만, 금속 및 다른 적절한 재료도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칼라 본체(120)는 사출 성형된 일체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칼라 본체(120)는 내부에 고정된 광섬유 스터브(134)를 갖는 페룰(132)을 수납 및 수용하기 위해 개구를 갖는 제1 단부 부분(121)을 포함한다. 또한, 칼라 본체는 백본(116)의 칼라 본체 장착 구조체(115)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단부 부분(126)을 포함한다. 양호한 태양에서, 제2 단부 부분(1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본체 장착 구조체(115)의 보어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경사진 형상부를 갖는 상승된 구조체 부분(128)을 갖는다. 제2 단부 부분의 상승된 표면(128)은 보어 내에 삽입되어 스프링(155)의 편향으로 인해 백본 장착 구조체(115)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칼라 본체(120)는 광섬유 커넥터(100) 내의 제 위치에 섬유 스터브 및 페룰을 고정시킨다. 또한, 페룰(132)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광섬유 스터브(134)를 지지하기 위해 세라믹,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양호한 태양에서, 페룰(132)은 세라믹 페룰이다.
광섬유 스터브(134)가 페룰(132)을 통해 삽입되어, 제1 섬유 스터브 단부가 페룰(132)의 단부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거나, 페룰(132)의 단부면과 일치하거나 동일 평면상에 존재한다. 양호하게는, 이 제1 섬유 스터브 단부는 공장에서 연마된다(예컨대, 배벨의 유무에 따라 편평하게 또는 각지게 연마된다). 광섬유 스터브(134)의 제2 단부는 광섬유 커넥터(100)의 내부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광섬유 케이블(135)과 같은] 광섬유 케이블의 섬유부(138)에 스플라이스된다. 양호하게는, 광섬유 스터브(134)의 제2 단부는 (배벨의 유무에 따라 편평하게 또는 각지게) 절단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광섬유 스터브(134)의 제2 단부는 섬유 에지의 예리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장에서 연마될 수 있고 스플라이스 요소 내에 설치될 때 이는 부스러기(파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 아크는 종래의 융합 스플라이서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이, 섬유의 팁을 용융시켜 둥근 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예리한 에지를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아크 기술은 코어의 가능한 뒤틀림을 감소시키면서 단부면 예리함을 보다 양호하게 제어하기 위해 연마재에 의한 연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비접촉 방법은 레이저 에너지를 이용하여 섬유의 팁을 융삭(ablate)/용융시킨다.
섬유(134, 138)는 [코닝사(Corning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SMF 28과 같은 표준 단일 모드 또는 다중 모드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섬유 스터브(134)는 유리계 섬유를 추가로 보호하기 위해 섬유의 외부 클레드 상에 배치되는 탄소 코팅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예시적인 태양에서, 섬유 스터브(134)는 칼라 본체(120)의 제1 단부 부분(121) 내에 배치되는 페룰(132) 내에 사전 설치되어 (예컨대, 에폭시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페룰(132)은 에폭시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해 칼라 본체의 제1 단부 부분(121) 내에 고정되는 것이 양호하다. 양호하게는, 섬유 스터브의 사전 설치는 공장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칼라 본체(120)는 스플라이스 요소 수용부(123)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태양에서, 스플라이스 요소 수용부(123)는 기계식 스플라이스 요소(142)가 내부에 삽입되어 칼라 본체(120)의 중심 공동 내에 고정될 수 있는 개구(122)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계식 스플라이스 요소(142)는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3M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3MTM FIBRLOKTM 기계식 광섬유 스플라이스 장치와 같은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본 명세서에서는 스플라이스 장치 또는 스플라이스라고도 불림)의 부품이다.
예컨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동일인 소유의 미국특허 제5,159,653호는 내부에 수용된 종래의 유리 광섬유를 위한 클램핑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섬유 파지 채널[예컨대, V자형 (또는 유사한) 홈]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레그를 결합시키는 포커스 힌지를 갖는 연성 재료의 시트를 포함하는 스플라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3MTM FIBRLOKTM Ⅱ 기계식 광섬유 스플라이스 장치와 유사한) 광섬유 스플라이스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예컨대, 연성 재료는 알루미늄 또는 양극 처리된(anodized) 알루미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인덱스 매칭 유체(index matching fluid)가 스플라이스 요소 내에서의 향상된 광 연결성(optical connectivity)을 위해 스플라이스 요소의 V자 홈 구역 내에 사전 로딩될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인덱스 매칭 유체는 이용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태양에서, 스플라이스 요소(142)는 3MTM FIBRLOKTM Ⅱ 기계식 광섬유 스플라이스 장치 또는 3MTM FIBRLOKTM 4x4 기계식 광섬유 스플라이스 장치의 스플라이스 요소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래의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도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이용될 수 있고,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특허 제4,824,197호, 제5,102,212호, 제5,138,681호 및 제5,155,787호에 개시되어 있다.
기계식 스플라이스 요소(142)로 인해 현장 기술자는 현장 설치 장소에서 광섬유 케이블(135)의 박리된 섬유부(138)에 섬유 스터브(134)의 제2 단부를 스플라이스할 수 있게 된다. 3MTM FIBRLOKTM Ⅱ 기계식 광섬유 스플라이스 장치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플라이스 장치(140)는 스플라이스 요소(142) 및 작동 캡(144)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작동시, 캡(144)이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향으로 또는 도 7d의 화살표(107)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캡(144)의 내부 부분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캠 바아가 스플라이스 요소 레그 위를 활주하여 스플라이스 요소 레그를 서로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2개의 섬유 단부[예컨대, 섬유 스터브(134)의 일 단부 및 광섬유 케이블(135)로부터의 섬유(138)의 일 단부]는 스플라이스 요소 내에 형성된 서로 접해 있는 홈 내의 제 위치에 유지되어, 요소 레그가 서로를 향해 이동될 때 충분한 광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V자 홈 채널과 같은 채널 내에서 함께 스플라이스된다.
스플라이스 요소(142)는 칼라 본체(120)의 스플라이스 요소 수용부(123) 내에 위치된 (도 4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장착 장치 또는 크래들(124)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래들(124)은 예컨대 성형에 의해 칼라 본체(120) 내에 일체로 형성된다. 크래들(124)은 스플라이스 요소(142)의 축방향 및 측방향 위치를 (예컨대, 미끄럼 끼움 또는 스냅 끼움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장착 장치(124)는 스플라이스 장치가 일단 설치되면 회전되거나 전후방으로 쉽게 이동될 수 없도록 스플라이스 요소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식 스플라이스로 인해 현장 기술자는 현장 설치 장소에서 광섬유 케이블(135)의 섬유에 섬유 스터브(134)의 제2 단부를 스플라이스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스플라이스(splice)"라는 용어는 스플라이스 장치(140)가 섬유의 제거를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컨대, 요소는 최초 작동 후 "재개방(re-opened)"될 수 있으며, 스플라이스 요소 수용부는 필요에 따라 스크류 드라이버 또는 유사한 장치에 의해 스플라이스 캡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스플라이스된 섬유의 재위치설정 후 캡이 작동 위치로 복위(replacement)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섬유 부트(180)는 광섬유 커넥터(100)와 함께 다목적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트(180)는 전체에 걸쳐 축방향 보어를 갖는 테이퍼진 본체(182)를 포함한다. 부트(180)는 개구(185)에 본체(182)의 내부면 상에 형성되는 나사형 홈(184)을 포함하고, 홈은 백본(116)의 대응하는 나사형 장착 구조체(118)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부트(180)의 축방향 길이는 전방 개구(185)보다 작은 개구를 갖는 부트의 후방 섹션(183)이 백본의 재킷 클램프부(119)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부트(180)가 백본의 장착 구조체(118) 상에 고정될 때, 백본에 대한 부트의 축방향 이동[도 7c의 화살표(105) 참조]은 섬유 재킷(136)이 견고하게 파지되도록 클램프부(119)의 레그를 가압하여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의 강도 부재(139)는 부트가 설치될 때 강도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부트와 나사형 장착 구조체(1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더 가혹한 취급과 더 큰 견인력에 견딜 수 있는 커넥터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태양에서, 섬유 부트(180)는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예컨대, 하나의 예시적인 재료는 유리 섬유 강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화합물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이 재료는 섬유 부트(18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백본(116)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이용되는 예시적인 섬유 케이블은 (모두가 대한민국 소재인) 삼성 케이블(Samsung Cable), 타이한 케이블(Thai-han Cable) 및 다른 회사로부터 상용으로 입수할 수 있는 3.0㎜ 재킷형 드롭 케이블(drop cable)을 포함한다. 본 상세한 설명의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광 커넥터는 3.5㎜ 재킷형 드롭 케이블 및 다른 케이블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재킷형 드롭 케이블의 섬유를 접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광섬유 커넥터는 길이가 짧고 커넥터 접속 플랫폼 또는 별개의 크림핑 공구의 사용 없이 간단한 현장 접속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접속 프로세스가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된다. 이들 도면에 사용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의 유사한 구성요소와 대응한다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커넥터는 페룰(132)이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백본(116)의 개구(112) 내로 화살표(104) 방향으로 칼라 본체(120)를 삽입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조립된다. 이 단계는 현장 접속 프로세스 이전에 또는 현장 접속 프로세스 동안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칼라 본체의 상승된 구조체(128)는 구조체(115)의 보어에 삽입된다. 스프링(155)은 삽입 후에 축방향 이동에 대한 어느 정도의 편향을 제공할 것이다.
현장 접속을 위해, 광섬유 케이블(135)은 섬유 케이블 재킷(136)의 일부분을 절결하고, 접속되는 섬유 단부 근방의 섬유의 코팅부를 박리하여 나섬유부(bare fiber portion; 138)를 남기고, 사전 설치된 섬유 스터브의 배향에 부합하도록 섬유 단부를 (편평하게 또는 각지게) 절단함으로써 마련된다. 예시적인 태양에서, 약 50㎜의 재킷(136)이 제거되어 약 25㎜의 박리된 섬유를 남길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소재의 일신테크(Ilsintech)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일신테크 MAX CI-01 또는 일신테크 MAX CI-08과 같은 상용 섬유 클리버(cleaver)(미도시)가 편평한 또는 각진 절단부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절단된 섬유는 스플라이스 장치 내에서 섬유 스터브(134)에 광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섬유 단부를 연마할 필요가 없다. 부트(180)는 추후 사용을 위해 섬유 케이블(135) 위로 활주될 수 있 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케이블(135)은 커넥터의 후방 단부를 통해[즉, 커넥터 백본의 클램핑부(119)를 통해] 화살표(105)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련된 섬유 단부는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140)에 의해 섬유 스터브에 스플라이스될 수 있다. 섬유 케이블(135)은 섬유의 코팅부(137)가 도면부호 137'에서 굴곡이 개시될 때까지 계속 삽입된다[섬유(138)의 단부가 충분한 단부 로딩 힘에 의해 섬유 스터브(134)와 접촉할 때 굴곡이 발생함]. 또한, 도 7c는 백본의 내부 부분 상에 형성된 멈춤부(114)가 광섬유 케이블(135)의 재킷형 부분(136)이 더 삽입되는 것을 멈추게 하기 위한 경계부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섬유가 적절한 단부 로딩 힘을 받는 동안 스플라이스 장치가 이어서 작동될 수 있다. 스플라이스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스플라이싱 장치의 캡(144) 상에서 화살표(107) 방향으로 (적당한 엄지손가락 또는 손가락 힘으로) 하향 가압하는 동안 (한 손으로) 화살표(106) 방향으로 힘을 가해 백본의 재킷 클램프부(119)를 동시에 압축할 수 있다는 것을 도 7d로부터 알 수 있다. 그 후, 섬유 재킷이 클램핑부(119)에서 해제되어, 섬유 굴곡부를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섬유 케이블(135) 위에 사전 배치된] 섬유 부트(180)가 백본(116) 상으로 밀어진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트(180)는 백본 장착 섹션(118)을 향해 축방향으로 밀어진 다음, 부트(180)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백본 장착 섹션 상에 나사 결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백본(115) 상으로의 부트(180)의 설치는 섬유 재킷 상에 콜릿형 클램핑부(119)를 죈다. 이러한 설치 중에, 사용자는 화살표(108) 방향으로 적당한 힘(예컨대, 엄지손가락 압력)을 가함으로써 장착 구조체(118) 위의 제 위치에 케블라 스트랜드(139)를 유지시킬 수 있다. 부트 설치를 완료한 후, 초과 케블라가 제거(예컨대, 절결)될 수 있다.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본 상으로 하우징(110)을 활주시킴으로써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속 절차는 임의의 추가적인 섬유 접속 플랫폼 또는 특수 공구의 사용 없이 달성될 수 있다. 광 커넥터는 스플라이스 캡이 제거되고 상기 단계들이 반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광 커넥터는 드롭 케이블 및/또는 점퍼와 같은 많은 종래의 광 커넥터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광 커넥터는 상호 연결을 위한 광섬유의 접속[커넥터화(connectorization)]과, 장비실 또는 벽 장착 패치 패널의 광섬유 분산 유닛(fiber distribution unit) 내부, 페데스탈(pedestal), 교차 연결 캐비닛 또는 클로저 내부, 또는 광섬유 구조 케이블링 용도를 위한 건물 내의 아웃렛 내부의 광섬유 네트워크에서의 교차 연결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광 커넥터는 광학 장비의 광섬유의 접속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광 커넥터들 중 하나 이상의 광 커넥터는 다른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광섬유 커넥터는 길이가 짧고 단축된 조립 시간으로 간단한 현장 접속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시적인 커넥터는 FTTP 및/또는 FTTX 네트워크 장비용으로 쉽게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검토해 보면 본 발명이 속해 있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다양한 변형예와 등가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적용될 수도 있는 수많은 구조를 쉽 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의 등각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의 예시적인 칼라의 등각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의 예시적인 백본의 등각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의 예시적인 부트의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현장 접속 프로세스의 다양한 단계 동안의 광섬유 커넥터의 등각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섬유 커넥터
110 : 하우징
120 : 칼라 본체
132 : 페룰
134 : 광섬유 스터브
140 : 스플라이스 장치
180 : 섬유 부트

Claims (9)

  1.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이며,
    리셉터클과 정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칼라 본체로서, 칼라 본체는 칼라 본체의 제1 단부 부분 내에 배치되는 섬유 스터브를 포함하고, 섬유 스터브는 페룰 내에 장착되는 제1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섬유는 페룰의 단부면에 인접한 제1 단부를 갖고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고, 칼라 본체는 칼라 본체의 일부분 내에 배치되는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를 더 포함하고,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는 제2 광섬유에 제1 광섬유의 제2 단부를 스플라이스하도록 구성되는, 칼라 본체와,
    하우징 내에 칼라 본체를 보유하고, 작동시 제2 광섬유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재킷부를 클램핑하기 위해 섬유 재킷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백본과,
    백본의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 백본에 부착될 때 백본의 섬유 재킷 클램핑부를 작동시키는 부트를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부트는 제2 광섬유의 강도 부재를 보유하고, 보유된 강도 부재는 부트의 내부면과 백본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광섬유 커넥터는 SC 리셉터클과 정합되도록 구성되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는 스플라이스 요소 및 작동 캡을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섬유 재킷 클램핑부는 콜릿형 분할체 형상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부트는 나사 결합식 운동을 통해 백본의 대응하는 나사형 장착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나사형 내부면을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백본은 섬유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백본은 개구를 갖는 접근 영역과, 기계식 스플라이스 장치를 손가락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백본의 측부 상에 형성되는 얕은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백본은 재킷형 섬유가 더 삽입되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백본의 내부면 상에 형성되는 멈춤부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용 광섬유 커넥터.
KR1020090037063A 1998-09-09 2009-04-28 스플라이스 요소를 갖는 현장 접속가능 광섬유 커넥터 KR100944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047098 1998-09-09
US61/059,433 2008-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485A KR20090065485A (ko) 2009-06-22
KR100944702B1 true KR100944702B1 (ko) 2010-02-26

Family

ID=174867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063A KR100529872B1 (ko) 1998-09-09 1999-09-02 현상방법 및 현상장치
KR1020090037063A KR100944702B1 (ko) 1998-09-09 2009-04-28 스플라이스 요소를 갖는 현장 접속가능 광섬유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063A KR100529872B1 (ko) 1998-09-09 1999-09-02 현상방법 및 현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0529872B1 (ko)
TW (1) TW44847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4028B2 (en) 2011-05-25 2014-05-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ool-less clamping mechanism
US8876407B2 (en) 2011-05-25 2014-11-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anchor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41620B (en) * 2001-06-07 2003-07-11 Tokyo Electron Ltd Development processing apparatus
KR100815906B1 (ko) * 2001-12-29 2008-03-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1108372B1 (ko) * 2005-08-03 2012-01-3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현상 처리 장치 및 현상 처리 방법
KR100771510B1 (ko) * 2006-01-20 2007-10-30 (주)에스티글로벌 반도체 웨이퍼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웨이퍼 현상 방법
KR101041872B1 (ko) * 2008-11-26 2011-06-16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41953B1 (ko) * 2009-10-06 2011-06-15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EP2551707A4 (en) * 2010-03-24 2016-10-05 Sunsea Telecomm Co Ltd IN FACTORY 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KR101114289B1 (ko) * 2010-12-06 2012-03-05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818068B1 (ko) * 2012-02-10 2018-01-12 주식회사 케이씨텍 약액 도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도포 장치
KR101388173B1 (ko) * 2012-07-13 2014-04-22 주식회사 엠엠테크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KR20160003163U (ko) * 2015-03-12 2016-09-21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섬유용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광커넥터
KR102602179B1 (ko) * 2021-09-16 2023-11-14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섬유 커넥터 조립체 및 광섬유 커넥터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0790A (ja) * 2003-08-25 2005-03-17 Panduit Corp 可逆的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2006030663A (ja) 2004-07-16 2006-02-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光コネクタ及び光ファイバ接続システム
WO2006052420A1 (en) 2004-11-10 2006-05-1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eld installable optical fiber connector
US7280733B2 (en) * 2005-10-24 2007-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er termination platform for optical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559B1 (ko) * 1994-04-04 2001-04-02 다카시마 히로시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JPH0822952A (ja) * 1994-07-07 1996-01-23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回転式現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0790A (ja) * 2003-08-25 2005-03-17 Panduit Corp 可逆的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2006030663A (ja) 2004-07-16 2006-02-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光コネクタ及び光ファイバ接続システム
WO2006052420A1 (en) 2004-11-10 2006-05-1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eld installable optical fiber connector
US7280733B2 (en) * 2005-10-24 2007-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er termination platform for optical connect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4028B2 (en) 2011-05-25 2014-05-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ool-less clamping mechanism
US8876407B2 (en) 2011-05-25 2014-11-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anch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860A (ko) 2000-04-25
TW448473B (en) 2001-08-01
KR20090065485A (ko) 2009-06-22
KR100529872B1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702B1 (ko) 스플라이스 요소를 갖는 현장 접속가능 광섬유 커넥터
US9103995B2 (en) Field terminable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splice element
US20190041588A1 (en) Field installable optical fiber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s with rigid strength members
EP2724188B1 (en) Field terminable optical connector with splice element for jacketed cable
EP1949156B1 (en)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of use
US20150003790A1 (en) Field mountable duplex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mechanical splice elements
US9983366B2 (en) Field installed optical fiber connector for jacketed fiber cable and termination method
US20140037250A1 (en) Field installed optical fiber connector for jacketed fiber cable and termination method
US9383526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WO2014040545A1 (en) Field terminable st format optical fiber connector
KR20030028452A (ko) 광섬유 케이블용 어댑터 유지 방법 및 뽑힘 보호기
WO2018137172A1 (en) Field terminable optical fibe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81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005

Effective date: 2016090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8254;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