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536B1 - 줄누비기 - Google Patents

줄누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536B1
KR100944536B1 KR1020090069673A KR20090069673A KR100944536B1 KR 100944536 B1 KR100944536 B1 KR 100944536B1 KR 1020090069673 A KR1020090069673 A KR 1020090069673A KR 20090069673 A KR20090069673 A KR 20090069673A KR 100944536 B1 KR100944536 B1 KR 100944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upled
rotary
bed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완
Original Assignee
(주)에스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텔라 filed Critical (주)에스텔라
Priority to KR1020090069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6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38Shuttle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줄의 박음질 선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박음질 간격이 일정하며 제품의 품질 또한 우수한 누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줄누비기에 관한 것으로, 베드와, 상기 베드의 상면에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바디의 타측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침봉과, 상기 침봉의 하단에 결합되고, 수평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지그와, 상기 지그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재봉침과, 상기 베드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베드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재봉침의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회전북과,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회전북에 전달하며, 상기 복수의 회전북을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시키는 기어박스와, 상기 바디의 타측 하면에 결합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천 누름판을 포함한다.
줄누비기, 침봉, 지그, 재봉침, 기어박스, 천 누름판

Description

줄누비기{QUILTING MACHINE}
본 발명은 줄누비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여러 줄의 박음질 선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박음질 간격이 일정하며 제품의 품질 또한 우수한 누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줄누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또는 천)은 위사(씨실)와 경사(날실)를 직각으로 교차시켜 짠 소정의 넓이를 갖는 천을 말한다. 이러한 직물은 의류의 원단 또는 이불의 겉감으로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이불이나 침대패드 등에 사용되는 누비직물은 두 겹의 직물 사이에 솜이나 기타 보온재가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품의 강도가 우수하고 보온성이 탁월하여 이불이나 침대패드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또한, 누비직물은 표면에 박음질이 되어 있어, 박음질의 형태에 따라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누비직물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명주솜, 양모솜 및 목화솜과 같은 천연솜 또는 폴리에스터 파이버(fiber)솜과 같은 화학솜을 두 겹의 직물 사이에 삽입한 후 재봉틀 등을 이용하여 박음질한다. 그리고 그 가장자리는 마감재 등으로 봉합하여 완성한다.
이때, 누비직물에 박음질을 하는 박음질 작업은, 작업자가 재봉틀을 이용하여 직접 수작업으로 진행되거나 퀼팅기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수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재봉틀을 이용하므로 박음질을 한 줄 한줄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박음질의 품질은 우수하지만 박음질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고,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투자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반하여, 퀼팅기계를 이용한 작업은 여러 줄을 동시에 형성하므로 생산성이 매우 우수하나, 수작업에 비해 박음질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줄의 박음질 선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박음질 간격이 일정하며 제품의 품질 또한 우수한 누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줄누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줄누비기는, 베드와, 상기 베드의 상면에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바디의 타측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침봉과, 상기 침봉의 하단에 결합되고, 수평 사선방향으로 배 치되는 지그와, 상기 지그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재봉침과, 상기 베드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베드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재봉침의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회전북과,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회전북에 전달하며, 상기 복수의 회전북을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시키는 기어박스와, 상기 바디의 타측 하면에 결합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천 누름판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줄누비기는, 지그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재봉침이 설치되므로 여러 줄의 박음질 선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박음질 간격이 일정하여 누비 제품의 품질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노동력을 많이 투자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우수한 품질의 누비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상 부에 설치되어 박음질(sewing)하는 재봉부(200)와,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재봉부(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상술한 각 구성요소 중 재봉부(200)에 대해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 중 재봉부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재봉부(200)를 살펴보면, 재봉부(200)의 설치 시 프레임(100)의 테이블(110)에 결합되는 베드(212)와, 베드(212)의 상면에 결합되는 바디(216)를 포함한다.
베드(212)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214)이 형성되도록 철판의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제작한 직육면체(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이다. 이 공간(214)은 후술할 제2회전축(260), 회전북(270) 및 기어박스(280)가 설치될 부분이며, 이 중 회전북(270)을 통해 박음질에 사용되는 밑실이 공급된다.
베드(212)의 상면에 결합되는 바디(216)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아암(216a)과, 아암(216a)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베드(212)에 결합되는 레그(216b)를 포함하는 ㄱ자로 형성된다. 이 바디(216)에는 윗실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조절나사(218a), 실채기 스프링(218b) 및 땀수 다이얼(218c)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바디(212), 좀 더 상세하게는 아암(216a)의 일측에는 구동부(30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후술할 침봉(23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회전축(220)이 설치된다. 이 제1회전축(220)은 아암(216a)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아암(216a)의 내부에서 침봉(230)이 결합된 타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아 암(216a)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에는 풀리(222)가 결합되고, 이 풀리(222)에 감긴 벨트(224)를 통해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제1회전축(22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침봉(230)은 후술할 재봉침(25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윗실과 밑실을 엮기 위한 것이다. 이 침봉(230)은 아암(216a)의 타측 하면에 결합되고, 그 하단에는 지그(240)가 결합되고, 지그(240)에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재봉침(250)이 설치된다.
지그(24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침봉(23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단에 결합홈(242)이 형성된다. 또한, 지그(240)는 침봉(2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지그(240)는 수평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며, 수평 사선방향으로 배치된 지그(240)를 따라 3개의 재봉침(250)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지그(240)를 수평 사선방향으로 배치하고, 재봉침(250)을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하면, 3개의 재봉침(250)이 수평방향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3개의 재봉침(250)에 의한 박음질 간격이 일정하게 되고, 누비 제품의 품질 또한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침(250)은 총3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님)로 구성되므로 여러 줄의 박음질 선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누비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량이 증대되어 매우 경제적이다.
베드(212)의 내부 공간(214)에 설치되는 제2회전축(260)은 제1회전축(220)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회전축(220)에 의해 회전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62)에 의해 연결되어 제1회전축(220)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며, 이를 통해 전달된 회전 구동력을 회전북(270)으로 전달한다.
재봉침(250)을 이용한 박음질 작업 시 밑줄을 공급하는 회전북(270, 가마라고도 함)은 재봉침(250)과 동수(同數, 즉 3개)로 구비되고, 각 재봉침(250)의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즉, 3개의 회전북(270)은 수평 사선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3개의 회전북(270)은 제2회전축(26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되는데, 이는 상술한 기어박스(280)를 통해 구현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 중 기어박스의 측면도와 저면도이며,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기어박스(28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3개의 회전북(270) 중 중앙에 위치된 것을 제1회전북(272)이라 하고, 제1회전북(272)의 양측에 위치된 것을 각각 제2 및 제3회전북(274,276)이라 하겠다.
제2회전축(260)의 일단에는 제1회전북(272)이 결합되며, 중단에는 구동기어(282)가 결합된다. 또한, 제2회전축(260)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종동축(284a,284b)이 배치되며, 제1 및 제2종동축(284a,284b)에는 제1 및 제2종동기어(286a,286b)와 제2 및 제3회전북(274,276)이 결합된다. 그리고 구동기어(282)와 제1종동기어(286a) 사이, 구동기어(282)와 제2종동기어(286b) 사이에는 제1 및 제2아이들기어(288a,288b)가 이물림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어박스(280)는 제2회전축(2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282)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면, 구동기어(282)와 이물림된 제1 및 제2아이들기어(288a,288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및 제2아이들기어(288a,288b)에 각각 이물림된 제1 및 제2종동기어(286a,286b)는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3개의 회전북(272,274,276)은 제2회전축(26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기어(282)와 제1 및 제2종동기어(286a,286b)를 서로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고, 제1 및 제2아이들기어(288a,288b)를 서로 동일한 크기로 제작할 경우 회전 속도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16a)의 타측 하면에는 천 누름판(290)이 결합된다. 이 천 누름판(290)은 재봉침(250)의 상하 이동 시 천이 딸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노루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천 누름판(290)은 아암(216a)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아암(216a)에 설치된 레버(218d)의 조작 시 상하로 이동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 중 천 누름판의 사시도로,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천 누름판(29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천 누름판(29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218d)의 조작 시 상하로 이동한다. 이 천 누름판(290)의 하면에는 복수의 누름돌기(292)가 형성되고, 3개의 재봉침(25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294)이 형성 된다.
이때, 복수의 누름돌기(292)는 재봉침(250)의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박음질의 진행방향 전후로 연장된다. 또한, 재봉침(250)의 좌우방향 이격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천 누름판(290)을 이용할 경우 누름돌기(292)가 위치된 부분의 천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박음질되고, 박음질된 사이는 상하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누비제품에 쿠션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불러 일으켜 제품의 구매의욕을 자극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의 프레임(100)은 재봉부(200)가 설치되는 테이블(110)과, 테이블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120)와, 지지부재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받침부재(13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의 테이블(110) 상면 중 재봉부(200)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설치홈(112)이 형성되어, 재봉부(200)의 베드(212)가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테이블(110)의 전방, 후방 및 하부에는 양단을 서로 이은 원통형상의 천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롤러(140), 제1 및 제2아이들롤러(150,160)가 각각 설치된다. 이 중에서 구동롤러(140)는 벨트(180)에 의해 후술할 구동부(300)의 제2감속기(330)와 연결된다.
받침부재(130)에는 발판(170)이 설치되는데, 이 발판(170)은 구동부(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제1회전축(220)으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단속(斷續)한다. 즉, 발판(170)이 중립에 위치되면 구동부(300)는 구동되지만, 그 회전 구동력이 제1회전축(220)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그라나 발판(170)을 밟아 기울어지면 구동부(30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고, 벨트(224)로 연결된 제1회전축(220)의 회전속도 또한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침봉(230)과 재봉침(250)이 빠르게 상하로 이동하며 박음질 속도를 증가시킨다.
한편, 구동부(300)는, 테이블(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0)와, 구동모터(31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제1회전축(220)으로 전달하는 제1감속기(320)와, 구동모터(31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구동롤러(140)로 전달하는 제2감속기(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모터(310)와 제1감속기(320)는 제1벨트(340)에 의해, 구동모터(310)와 제2감속기(330)는 제2벨트(350)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는, 지그(240)가 수평 사선방향으로 배치하고, 3개의 재봉침(250)이 지그(240)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3개의 재봉침(250)이 수평방향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며, 3개의 재봉침(250)에 의한 박음질 간격이 일정하게 되고, 누비 제품의 품질 또한 향상된다.
또한, 재봉침(250)이 3개로 구성되어, 여러 줄의 박음질 선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노동력을 많이 투자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우수한 품질의 누비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누비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량이 증대되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누름판(290)을 이용할 경우, 누름돌기(292)가 위치된 부분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박음질되고, 박음질된 사이는 상하로 볼록하게 돌출되므로, 누비제품에 쿠션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불러 일으켜 제품의 구매의욕을 자극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 중 재봉부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 중 기어박스의 측면도와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 중 천 누름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누비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110: 테이블
120: 지지부재 130: 받침부재
140: 구동롤러 150,160: 제1 및 제2아이들롤러
170: 발판 180: 벨트
200: 재봉부 220: 제1회전축
230: 침봉 240: 지그
250: 재봉침 260: 제2회전축
270: 회전북 280: 기어박스
290: 천 누름판 300: 구동부
310: 구동모터 320,330: 제1 및 제2감속기

Claims (7)

  1. 삭제
  2. 베드;
    상기 베드의 상면에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회전축;
    상기 바디의 타측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침봉;
    상기 침봉의 하단에 결합되고, 수평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지그;
    상기 지그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재봉침;
    상기 베드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제2회전축;
    상기 베드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재봉침의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회전북;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2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위치되는 아이들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축의 선단 및 상기 종동축의 선단에 상기 회전북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회전북에 전달하며, 상기 복수의 회전북을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시키는 기어박스; 및
    상기 바디의 타측 하면에 결합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천 누름판을 포함하는 줄누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 및 종동기어는 상기 제2회전축 및 구동기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누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천 누름판은, 상기 재봉침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면에 복수의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누비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누름돌기는 상기 재봉침의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박음질의 진행방향 전후로 연장되며, 좌우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누비기.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가 상면에 설치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적어도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테이블의 전방, 후방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롤러, 제1 및 제2아이들롤러;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회전축으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단속(斷續)하는 발판을 포함하는 줄누비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제1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제1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구동롤러로 전달하는 제2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누비기.
KR1020090069673A 2009-07-29 2009-07-29 줄누비기 KR10094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673A KR100944536B1 (ko) 2009-07-29 2009-07-29 줄누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673A KR100944536B1 (ko) 2009-07-29 2009-07-29 줄누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536B1 true KR100944536B1 (ko) 2010-03-03

Family

ID=4218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673A KR100944536B1 (ko) 2009-07-29 2009-07-29 줄누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5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0126A (zh) * 2015-04-14 2015-07-22 龚兰英 一种新式电脑双排旋梭绗缝机
KR101844821B1 (ko) * 2017-02-28 2018-04-03 이순란 누비직물용 재봉기의 노루발을 이용한 누비직물의 봉제방법
KR101856902B1 (ko) * 2017-04-11 2018-05-10 주식회사 민경모드 줄누비기
KR20180096260A (ko) 2017-02-21 2018-08-29 이영자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326Y1 (ko) * 1988-07-22 1991-02-28 전면우 재봉틀의 구동제어장치
JP2002346267A (ja) 2001-03-20 2002-12-03 Hiryu Ko 三本針ミシンの補助装置
JP2003111991A (ja) 2001-10-05 2003-04-15 Juki Corp 本縫い2本針ミシンの釜装置
KR20080008314A (ko) * 2007-03-19 2008-01-23 세이코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박음질용 재봉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326Y1 (ko) * 1988-07-22 1991-02-28 전면우 재봉틀의 구동제어장치
JP2002346267A (ja) 2001-03-20 2002-12-03 Hiryu Ko 三本針ミシンの補助装置
JP2003111991A (ja) 2001-10-05 2003-04-15 Juki Corp 本縫い2本針ミシンの釜装置
KR20080008314A (ko) * 2007-03-19 2008-01-23 세이코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박음질용 재봉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0126A (zh) * 2015-04-14 2015-07-22 龚兰英 一种新式电脑双排旋梭绗缝机
KR20180096260A (ko) 2017-02-21 2018-08-29 이영자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
KR101844821B1 (ko) * 2017-02-28 2018-04-03 이순란 누비직물용 재봉기의 노루발을 이용한 누비직물의 봉제방법
KR101856902B1 (ko) * 2017-04-11 2018-05-10 주식회사 민경모드 줄누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536B1 (ko) 줄누비기
AU4309300A (en) Method and device to apply cord thread or ribbons onto fabrics in a quilting machine
US20110239369A1 (en) Coverlet and Method of Producing a Coverlet
WO2019149025A1 (zh) 绳绣面料的编织方法
KR101026814B1 (ko) 누비기용 비 누비부 간격조절장치
JP3495682B2 (ja) ミシン
CN207738959U (zh) 一种绗缝被生产装置
KR200170241Y1 (ko) 자수 및 누비 복합기의 원단 미끄럼방지장치
JP2016168190A (ja) 縫製品及び生地の縫製方法
US2884882A (en) Sewing machine with finger to control bobbin thread
KR101696636B1 (ko) 실 없이 바느질이 가능한 재봉 장치
JPS5959961A (ja) 刺しゆうミシン
KR101856902B1 (ko) 줄누비기
CN210002056U (zh) 一种用于多针绗缝机的横向运动缝纫机构
CN105714489A (zh) 组合盘带绣装置及其控制系统
CN219079820U (zh) 一种纺织品绣花机衬纸平铺设备
CN210048937U (zh) 一种缝纫机的推动装置
JP4686744B2 (ja) 可搬式平刺ミシン
US3384042A (en) Sewing machine
JPS5935185Y2 (ja) 多重キルテイング加工機
JPS58143793A (ja) 模様キルト生地の製造方法、模様キルト生地製造装置及び模様キルト生地
KR200165229Y1 (ko) 누비기
CN211570990U (zh) 一种便于固定滚绳的缝纫装置
KR100657034B1 (ko) 직물 표면용 루프 또는 파일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CN206245016U (zh) 一种缝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