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314A - 박음질용 재봉틀 - Google Patents

박음질용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314A
KR20080008314A KR1020077006212A KR20077006212A KR20080008314A KR 20080008314 A KR20080008314 A KR 20080008314A KR 1020077006212 A KR1020077006212 A KR 1020077006212A KR 20077006212 A KR20077006212 A KR 20077006212A KR 20080008314 A KR20080008314 A KR 20080008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needle
presser foot
sewing machine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고바야카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6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8314A/ko
Publication of KR2008000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꺼운 봉제 소재, 즉 낙하산(parachute)용 천 부재나 텐트용 천 부재인 텐트천이나 범포 등 또는 피혁제품 등의 두꺼운 봉제 소재에 사용할 수 있는 재봉틀로, 한번에 4개의 재봉땀(stitch)을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두꺼운 봉제 소재 봉제시의 천의 송출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한 재봉땀을 만들 수 있어 봉제를 견고하게 한 재봉틀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4개의 바늘과 4개의 북(shuttle)을 갖는 박음질(lock stitch)용 재봉틀로, 각각 북의 내측 접선보다도 내측 방향에 바늘을 배치하여, 바늘이 내려감에 따라 중측 노루발(presser foot)이 내려가고 이송 톱니가 올라가 봉제물을 압접하면서 봉제물에 재봉땀을 넣을 수 있고, 또 송출 방향으로 협동으로 이동함으로써 봉제물을 이송할 수 있는 재봉틀에 의해서 해결할 수 있다.
봉제, 재봉틀, 재봉땀, 북, 노루발, 박음질

Description

박음질용 재봉틀{Sewing machine for main sewing}
본 발명은, 박음질(lock stitch) 4개침 재봉틀에 관한 발명이며, 특히 두꺼운 봉제 소재를 효율 좋게 봉제하기 위한 재봉틀에 관한 발명으로, 큰 북(shuttle)을 사용하고, 또한 종합 이송 기구를 갖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26273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11991호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7713호
특허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18400호
종래의 재봉틀은 1개침 또는 2개침의 재봉틀이 다용되고 있고, 또한 이것에 사용되는 북은 통상의 북을 사용한 것이 다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재봉틀은 상하 동작하는 침봉(針棒)이 이송 방향으로는 고정되어 있고, 재봉틀의 테이블 내부에 배치한 이송 톱니에 의해 천 이송을 하는 소위 하측 이송 재봉틀이 다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2개침의 재봉틀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226273호(특허문헌 1)에 개시하는 재봉틀이 존재한다.
또한, 북 및 바늘의 배치 상태를 명시한 2개침 재봉틀의 북장치를 개시하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11991호(특허문헌 2)도 존재한다.
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재봉틀에서도 4개침을 사용한 재봉틀은 존재하고 있지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늘과 북의 위치가 콤팩트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밖에, 대단히 두꺼운 봉제 소재에 사용하는 재봉틀로서 2개침을 사용한 재봉틀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7713호(특허문헌 3)에 개시하는 재봉틀이 존재한다.
또한, 텐트천이나 범포(canvas) 등의 두꺼운 봉제 소재에 사용하는 재봉틀로서 2개침과 북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실 얽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분리판을 사용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18400호(특허문헌 4)도 존재한다.
이상과 같이, 복수개의 바늘을 사용하는 재봉틀은 종래부터 사용되었지만, 예를 들면 두꺼운 재봉 소재를 효율 좋게 봉제하는 재봉틀은 존재하지 않았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하는 재봉틀에서는 2개침 재봉틀로 한번에 복수의 봉제를 가능하게 하지만, 상기 발명은 실 조절기로, 좌우의 재봉땀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두꺼운 봉제 소재를 효율적으로 봉제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다음에 특허문헌 2에 개시하는 재봉틀에서는 2개침의 재봉틀의 2개의 바늘과 2개의 북의 위치 관계 및 바늘의 배치 상태를 명시하는 것이며, 2개침에 있어서의 재봉실의 불균일함에 의해 바느질 불량을 방지하는 것으로, 전혀 4개침의 배치 관계를 개시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2개침에 있어서도 천 이송의 효율화나 두꺼운 봉 제 소재의 이송의 효율화 등은 도모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하는 재봉틀에 있어서는 두꺼운 봉제 소재의 봉제에 사용되는 것으로, 하측 이송과 상측 이송 누름쇠(foot)가 협동으로 이송 기구를 구성하지만, 재봉땀을 겹치기 위해서 봉제 소재의 이송 방향에 북, 바늘, 바늘, 북의 순서로 배치하여 바늘 간격과 같은 피치로 1피치씩 보내는 구조로, 1피치씩의 봉제가 되어 버려 효율이 나쁘다.
다음에 특허문헌 4에 개시하는 재봉틀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두꺼운 소재의 봉제에 사용되는 재봉틀로 2개의 바늘이 이송 방향에 배치되고, 2개의 북이 상기 2개의 바늘이 연결하는 선의 좌우에 대조적으로 배치한 구성이고, 상기 바늘간에는, 스프링 탄성을 갖는 분리판을 갖은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2개의 바늘간에서의 실의 얽힘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구성은, 재봉땀이 겹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갖는다.
또 도 7에 도시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4개침을 사용한 4개의 재봉틀의 바늘과 4개의 북의 위치 관계는 콤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유효하며, 또 한번에 4개의 재봉땀을 구성할 수 있어 극히 효율적인 반면, 천을 보낼 때에는 종래대로 베드 내부에 배치한 하부의 이송 톱니의 가동에 의해 천 이송을 하는 소위 하측 이송 재봉틀로, 이송의 효율이 좋지 않은 동시에 두꺼운 봉제 소재에 있어서는 이송 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즉, 상측 노루발(presser foot)은 상하 방향으로 가동하는 것으로, 상부 방향으로부터 천을 누르게 되고, 천의 이송은 베드 내의 이송 톱니의 이송 가동에 의 해서 이 이송 톱니에 접촉한 봉제 소재를 이송 방향으로 보내는 것이다.
또 두꺼운 봉제 소재에 있어서는 재봉실에 있어서도 굵은 실을 사용함으로써 바느질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의 효율을 도모하기 위해서 표준 크기의 북이 아니라, 큰 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재봉틀도 필요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현상으로서, 두꺼운 봉제 소재 즉 낙하산용 천 부재나 텐트용 천 부재인 텐트천이나 범포 등 또는 피혁제품 등의 두꺼운 봉제 소재에 사용할 수 있는 재봉틀이며, 한번에 4개의 재봉땀을 구성할 수 있고, 그리고 두꺼운 소재 또 봉제 소재의 봉제시의 천의 이송을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또한 확실한 재봉땀을 만들 수 있는 봉제가 튼튼한 재봉틀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는 동시에, 예를 들면 큰 북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재봉틀의 제공이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서, 청구항 1에 관계되는 발명인 봉제물의 송입 방향에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의 북을 배치하는 동시에, 봉제물의 송출 방향에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의 북을 배치하고, 상기 각각 평행한 2개의 북의 내측 접선보다도 내측 방향에 각각의 북에 대응하는 바늘이 위치하는 동시에, 4개의 바늘이 하나의 침주(針株)에 배치되어 있는 4개의 바늘과 4개의 북을 갖는 박음질용 재봉틀로, 중측 노루발 봉을 통해서 가동하는 중측 노루발과, 가압봉을 통해서 가동하는 외측 노루발과, 베드 내에 설치한 가동하는 이송 톱니를 갖고, 바늘이 내려감에 따라 중측 노루발이 내려가는 동시에 이송 톱니가 올라가 봉제물을 중측 노루발과 이송 톱니로 압접하면서 봉제물에 재봉땀을 넣는 동시에, 송출 방향으로 협동으로 이동함으로써 봉제물의 이송을 하는 박음질용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발명에 의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2에 관계되는 발명은 봉제물의 송출 방향에 배치한 평행한 2개의 북간의 간격 사이의 거리 내에 봉제물의 송입 방향이 평행한 2개의 북이 위치하는 것인 동시에, 송출 방향의 2개의 북과 송입 방향의 2개의 북의 봉제물의 이송 방향의 간격이 적어도 재봉땀의 1피치 이상의 거리를 갖고 있는 박음질용 재봉틀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발명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는, 청구항 3에 관계되는 발명과 같이, 송출 방향으로의 협동으로의 이동이 재봉땀의 1피치 정도의 거리인 박음질용 재봉틀이어도 좋다.
또, 청구항 4에 관계되는 발명과 같이 대략 2배 이상의 크기의 보빈을 수납 가능한 큰 북을 사용한 박음질용 재봉틀이어도 좋다.
또, 청구항 5에 관계되는 발명과 같이 북 위치가 바늘 폭 조정 가능한 북 토대 조정식이어도 좋고, 또는 청구항 6에 관계되는 발명과 같이 북 토대가 각각 오일탱크 일체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박음질용 재봉틀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베드의 코너판을 떼어 큰 북 및 바늘판을 명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침주(針株)에 배치한 바늘 4개와, 외측 노루발 및 중측 노루발, 봉제 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침주에 배치한 바늘 4개와, 외측 노루발 및 중측 노루발, 봉제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침주에 배치한 바늘 4개와, 외측 노루발 및 중측 노루발, 봉제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침봉(針棒)의 위치와 바늘의 위치 및 큰 북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종래 사용되어 온 4개침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재봉틀 본체
10 : 베드
11 : 암(arm)부
111 : 실 조절기
12 : 코너판
2 : 북 토대
21 : 북
21a : 송입측 북
21b : 송출측 북
31 : 침주(針株)
32 : 바늘
32a : 송입측 바늘
32b : 송출측 바늘
41 : 중측 노루발
51 : 외측 노루발
6 : 바늘판
61 : 이송 톱니
61a : 송입측 이송 톱니
61b : 송출측 이송 톱니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재봉틀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재봉틀 본체(1)의 베드(10) 내부에는 북 토대(2)가 합계 4개 설치되어 있고, 또 큰 북(21)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대략 2배 이상의 크기의 보빈을 수납 가능한 큰 북(21)을 사용함으로써, 한번에 더욱 넓은 범위의 봉제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욱 굵은 밑실을 사용할 수 있고, 두꺼운 봉제도 가능하게 하고, 또 더욱 견고한 재봉땀을 만들 수도 있다.
다음에, 이 북(21)의 구동은 북 토대(2)에 설치된 하축(22) 및 베벨(bevel) 기어(23)에 의해서 행하는 것이다.
또한, 하축(22)의 구동은 일반적인 재봉틀과 같다.
본 도면에 있어서, 북(21)은 2개만 명시되지만, 더욱 명시되어 있는 북(21) 간의 간격을 넓게 한 큰 북이 2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하축(22)과 평행하게 1개의 하축을 더욱 갖고 있고, 이러한 명시하지 않은 하축에 베벨 기어를 통해서 구동하는 것이다.
재봉틀 암(arm)부(11)의 측면에는 4개침을 따라서 실 조절기(111)도 4개 갖고 있고, 각각의 실의 윗실 장력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침봉 토대(3)에는 침주(31)가 배치되어 있고, 침주(31)에는 바늘(32)이 합계 4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바늘(32)은 봉제 소재인 천 등을 송입하는 측에서는 평행하게 2개의 바늘(32a)을 배치하고 있는 것인 동시에 양자 간격은 약간 좁은 것이다.
또한, 봉제 소재인 천 등을 송출하는 측에서 평행하게 2개의 바늘(32b)을 배치하고 있는 것이지만, 바늘간의 간격은 약간 넓은 것으로, 양자간의 간격 내에 상기 이송측의 바늘이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중측 노루발 봉(4)을 개재하여 중측 노루발(41)을 갖는 동시에, 가압봉(5)을 개재한 외측 노루발(51)을 갖는다.
박음질에 있어서, 4개침을 갖기 때문에 한번에 4개의 재봉땀을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두꺼운 봉제 소재 즉 낙하산용 천 부재나 텐트용 천 부재인 텐트천이나 범포 등 또는 피혁제품 등의 두꺼운 봉제 소재를 확실하게 봉제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회의 봉제를 한번에 끝낼 수 있게 된다.
즉, 4열의 재봉땀에 의해서 재봉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큰 북(21)을 사용함으로써 굵은 재봉실을 밑실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느질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베드(10)에는 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늘판과 이송 톱니를 갖는 것이다. 박음질의 작동 상태에 관해서는 우선 외측 노루발(51)에 의해서 봉제해야 하는 천 등을 우선 누르지만, 바늘(32)이 내려가는 경우에 중측 노루발(41)도 동시에 또는 동조하여 내려가고, 이것에 대하여 외측 노루발(51)이 약간 올라간다.
또한, 이송 톱니(61)가 중측 노루발(41) 방향으로 가동하여, 중측 노루발(41)과 이송 톱니(61)에 의해서 봉제물을 압접하고, 또 바늘(32)이 봉제물을 관통하게 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중측 노루발(41)과 이송 톱니(61)와 침주(31)에 배치한 바늘(32)은 봉제물을 송출하는 방향으로 협동하여 이동한다.
또한, 약간 올라간 외측 노루발(51)도 필요에 따라서 협동하여 이동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에 의해서 봉제한 천을 보내게 되지만 이동 개시로부터 완료까지 서서히 바늘(32)이 올라가게 되고, 이 바늘(32)이 올라가는 것과 동시에 또는 동조하여 중측 노루발(41)도 올라간다.
더불어, 이송 톱니(61)도 봉제물 즉 예를 들면 천 등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동한다.
이것에 반하여 외측 노루발(51)은 내려가게 되고 봉제물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천 등이 어긋나지 않게 된다.
또한, 외측 노루발(51)의 노루발 부분은, 바늘판(6)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협동하여 이동함으로써, 바늘(32)이 내려가 봉제하는 시점에서 중측 노루발(41)과 이송 톱니(61)로 견고하게 천을 누른 상태로 하여 봉제를 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봉제 단계에서 천을 이송 방향으로 보낼 수 있어, 특히 대단히 두꺼운 봉제물이어도 확실한 이송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봉제도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노루발(51)에 의해서 보내진 천 등을 그 위치에 견고하게 위치 규제하여 누를 수 있어, 다음의 봉제를 적절하게 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침주(31)에는 4개의 바늘(32)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며, 이 4개의 바늘(32)마다 협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측 노루발(41)은 바닥면이 자유 가압 구조이며, 봉제물을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도 2는, 베드(10)의 코너판(12)을 뗀 상태에서 큰 북(21) 및 바늘판(6) 등을 명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의 이송 방향의 천의 송입측에서는 큰 북(21a)이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에 병렬로 2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내측 접선보다도 내측에 2개의 바늘(32a)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드(10)측의 상기 바늘끝 방향에는 상기 바늘끝을 삽입 가능한 구멍 을 갖는 이송 톱니(61a)가 바늘판(6)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천의 이송 방향의 천의 송출측에서도 큰 북(21b)이 송출 방향과 직각 방향에 병렬로 2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내측 접선보다도 내측에 2개의 바늘(32b)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큰 북(21b)은 송입측의 큰 북(21a)보다도 송출 방향과 직각 방향 외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마찬가지로 2개의 바늘(32b)도 송출 방향과 직각 방향 외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송출측의 바늘(32b)에 대응하는 베드(10)측의 상기 바늘끝 방향에도 바늘끝을 삽입 가능한 구멍을 갖는 이송 톱니(61b)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드(10)에 설치되어 있는 북 토대(2)는, 이렇게 합계 4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 경우 북(21) 1개에 대하여 오일탱크 일체식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북에 대한 급유를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명시는 하지 않았지만, 각각의 북 위치는 바늘 폭 조정 가능한 북 토대 조정식이고, 이것에 의해 게이지 폭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침주(31)에 배치한 바늘 4개와, 외측 노루발(51) 및 중측 노루발(41), 봉제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바늘(32)이 올라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외측 노루발(51)에 의해서 봉제물이 서서히 눌리고 있는 동시에, 4개의 바늘(32)과 중측 노루발(41)은 서서히 상부로 올라가는 것으로, 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외측 노루발(51)은 베드(10)의 바늘판(6)에 의해서 봉제물을 누른 상태가 된다.
또한, 이송 톱니(61)는 바늘판(6)의 외측면보다도 베드(10) 내부로 들어 간 상태이다.
따라서, 바늘이 올라간 상태에서는 이송 톱니(61)는 봉제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이송은 제어되고 있다.
다음에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서서히 중측 노루발(41)과 바늘이 내려가는 동시에 외측 노루발이 올라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이송 톱니(61)와 중측 노루발(41)에 의해서 봉제물을 압접한 다음에, 바늘(32)이 중측 노루발(41)의 구멍을 관통하는 동시에 봉제물을 관통하고, 또 이송 톱니(61)의 구멍도 관통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또는 이 상태가 되고 있는 단계에서, 또는 이 상태에서 다음의 상태로의 이행에 따라, 또한, 이들은 모두 봉제물의 송출 방향으로 협동하여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봉제에 따라 봉제물은 송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송 톱니(61)와 중측 노루발(41)과 바늘(32)은 협동하여 재봉땀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송출 방향으로 협동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재봉땀 작성단계에 있어서는 봉제물이 이송 톱니(61)와 중측 노루발(41)에 의해서 압접하고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봉제물이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의 폭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재봉땀의 1피치 정도의 폭의 이동이 최적이지만, 이 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봉제 방법 또는 봉제물 등에 따라서 적 절하게 결정하면 좋다.
따라서, 봉제와 동시에 봉제물은 송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도면의 다음의 공정은 바늘이 올라간 상태로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 이행하는 것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 이 단계에서 침주에 배치한 바늘 4개와 중측 노루발, 이송 톱니가 각각 협동하여 이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외측 노루발(51)은 협동으로의 이동 후에 봉제물을 누르는 것이며, 다음의 봉제를 그 위치에서 기다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외측 노루발(51)은 이 올라간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도면에 있어서는 보내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송 톱니 등의 위치는 송출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도 5는 도 4에서 재봉땀을 만든 후에 중측 노루발(41)과 바늘(32)이 상승하고, 다음의 재봉땀을 작성하기 위해서 상승하고 있는 동시에 외측 노루발(51)에 의해서 봉제물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재봉해야 하는 개소에 봉제물을 위치시켜 둘 수 있는 동시에, 이 시점에서 중측 노루발(41)과 바늘(32)과 이송 톱니(61)를 송입측으로 이동, 즉 재봉땀 작성의 개시단계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되돌아가는 과정의 단계에서의 도면을 도시한다.
따라서, 이송 톱니는 완전히 되돌아간 상태가 아니라, 되돌아가고 있는 상태 를 도시하고 있다. 이 단계에서, 이송 톱니(61)는 바늘판(6)의 표면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고 내려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봉제물에는 접하지 않고 당초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또한, 되돌아가는 폭은 재봉땀의 1피치가 가장 적당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측 노루발(51)에 관해서는 봉제물을 누르고 있지만 바늘판(61)에 노루발 부재를 갖는 것으로 양자로 봉제물을 확실하게 누르는 것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협동하여 봉제물을 누르면서 재봉땀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두꺼운 것뿐만 아니라 재봉하기 어려운 것이나 예를 들면 신축성이 높은 것 등도 적절하게 재봉할 수 있는 동시에, 봉제물은 중측 노루발(41)과 바늘(32)과 이송 톱니(61) 및 외측 노루발(51)을 중심으로 하여 협동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봉제물의 봉제 단계에서의 이송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침봉(3)의 위치와 바늘(32)의 위치 및 큰 북(21)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봉제물의 이송 방향의 송입 방향에 위치하는 큰 북(21a)은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의 큰 북(21a)을 배치하는 것으로, 바늘(32a)은 그 내측 접선보다도 내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봉제물의 이송 방향의 송출 방향에 위치하는 큰 북(21b)도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의 큰 북(21b)을 배치하는 것으로, 바늘(32b)은 그 내측 접선보다도 내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정위치에 있는 큰 북(21)에 대하여, 협동하여 이동하는 바늘(32)은 봉제물의 송입 방향으로부터 송출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에 있어서 바늘(32)의 이동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적어도, 봉제물의 송입 방향에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의 북(21a)을 배치하고, 봉제물의 송출 방향에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의 북(21b)을 배치하고, 상기 각각 평행한 2개의 북(21)의 내측 접선보다도 내측 방향에 각각의 북에 대응하는 바늘(32)이 위치하는 것이면 좋은 것이다.
또한, 봉제물의 송출 방향에 배치한 평행한 2개의 북(21b)간의 간격 사이의 거리 내에 봉제물의 송입 방향이 평행한 2개의 북(21a)이 위치하는 것이면 이송 방향에 4종류의 재봉땀의 선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늘의 이송을 더욱 안전하고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송출 방향의 2개의 북(21b)과, 송입 방향의 2개의 북(21a)의 봉제물의 이송 방향의 간격이 적어도 재봉땀의 1피치 이상의 거리를 갖고 있는 것이면 예를 들면 바늘의 이동 방향에 북이 존재하고 있다고 해도 이송의 피치 이상의 간격을 갖게 되기 때문에 이송의 장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의 화살표시는 봉제물의 이송 방향을 도시한다.
도 7은 종래 사용되어 온 4개침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침봉의 위치에 대하여 대조적으로 4방향에 바늘과 북을 위치시키는 동시에, 송입측은 간격을 좁게 하고, 송출측은 간격을 넓게 하는 종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의 화살표시는 봉제물의 송출 방향을 도시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침봉을 중심축으로 하여 균형이 좋고 콤팩트하게 정리되지만, 반면 바늘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지 않고, 상하 가동만 하는 것이다.
즉, 바늘의 이송 방향에 있어서 북이 존재하게 되어, 대부분 이송 방향으로의 바늘의 이동은 할 수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재봉틀은 특히 두꺼운 봉제물이나 신축성이 있는 재봉하기 어려운 봉제물에 대하여 확실하게 재봉땀을 만들고, 또 효율 좋게 봉제하기 위해서는 최적인 구조이다.
우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번에 4개의 재봉땀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측 노루발과 이송 톱니에 의해서 봉제물을 누르면서 바늘을 재봉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봉제물을 송출 방향으로 협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바늘을 찌르는 단계에서 견고하게 봉제물을 누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실하게 이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현상으로서, 두꺼운 봉제 소재 즉 낙하산용 천 부재나 텐트용 천 부재인 텐트천이나 범포 등 또는 피혁제품 등의 두꺼운 봉제 소재에 사용한 경우에도, 견고한 재봉땀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실한 이송을 가능하게 하여 봉제를 더욱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신축성을 갖는 봉제물에 대해서도 견고한 가압을 하여 바늘을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봉제물 부분을 신축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재봉하기 어려운 다른 종류의 봉제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청구항 2에 관계되는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효과 외에, 각각의 바늘의 이송 방향으로의 재봉땀 즉 4종류의 재봉땀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또, 이송 방향의 북간의 거리가 재봉땀의 1피치 이상의 거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바늘의 이동 방향에 북이 존재하고 있다고 해도 이송의 장해가 되지 않고, 확실한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관계되는 발명에 의하면, 이송에 의해 피치 땀을 맞춘 바느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관계되는 발명에 의하면, 실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봉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굵은 밑실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사용하기 좋은 봉제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견고한 재봉땀을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관계되는 발명에 의하면, 게이지(gauge) 폭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하기 좋은 재봉틀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관계되는 발명에 의하면, 북에 대한 급유를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봉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봉제물의 송입 방향에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의 북(21a)을 배치하는 동시에, 봉제물의 송출 방향에 이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의 북(21b)을 배치하고,
    상기 각각 평행한 2개의 북(21)의 내측 접선보다도 내측 방향에 각각의 북에 대응하는 바늘(32)이 위치하는 동시에, 4개의 바늘(32)이 하나의 침주에 배치되어 있는 4개의 바늘(32)과 4개의 북(21)을 갖는 박음질용 재봉틀로서,
    중측 노루발 봉을 통해서 가동하는 중측 노루발(41)과, 가압봉을 통해서 가동하는 외측 노루발(51)과, 베드(10) 내에 설치한 가동 이송 톱니(61)를 가지며, 바늘(32)이 내려감에 따라 중측 노루발(41)이 내려가는 동시에 이송 톱니(61)가 올라가 봉제물을 중측 노루발(41)과 이송 톱니(61)로 압접하면서 봉제물에 재봉땀을 넣는 동시에, 송출 방향으로 협동으로 이동함으로써 봉제물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용 재봉틀.
  2. 제 1 항에 있어서, 봉제물의 송출 방향에 배치한 평행한 2개의 북(21b)간의 간격 사이의 거리 내에 봉제물의 송입 방향이 평행한 2개의 북(21a)이 위치함과 동시에,
    송출 방향의 2개의 북(21b)과 이송 방향의 2개의 북(21a)의 봉제물의 이송 방향 간격이 적어도 재봉땀의 1피치 이상의 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 질용 재봉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송출 방향으로의 협동하에서의 이동이 재봉땀의 1피치 정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용 재봉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략 2배 이상의 크기를 갖는 보빈을 수납할 수 있는 큰 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용 재봉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북 위치가 바늘 폭 조정 가능한 북 토대 조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용 재봉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북 토대가 각각 오일탱크 일체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용 재봉틀.
KR1020077006212A 2007-03-19 2005-05-17 박음질용 재봉틀 KR20080008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6212A KR20080008314A (ko) 2007-03-19 2005-05-17 박음질용 재봉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6212A KR20080008314A (ko) 2007-03-19 2005-05-17 박음질용 재봉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314A true KR20080008314A (ko) 2008-01-23

Family

ID=3922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212A KR20080008314A (ko) 2007-03-19 2005-05-17 박음질용 재봉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8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36B1 (ko) * 2009-07-29 2010-03-03 (주)에스텔라 줄누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36B1 (ko) * 2009-07-29 2010-03-03 (주)에스텔라 줄누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9522B (zh) 缝纫机
TWI611062B (zh) 縫紉機
US4848252A (en) Automatic machine for sewing different kinds of articles, especially articles made of leather
JP2007301299A (ja) 多頭刺繍ミシン
ITUD990097A1 (it) Dispositvo per l'applicazione di cordoncini o nastri su tessuti,macchina di cucitura multiaghi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e
JP2008245731A (ja) ミシン
US6145456A (en) Quilting machine with adjustable presser plat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quilting machine
KR20080008314A (ko) 박음질용 재봉틀
JP3495682B2 (ja) ミシン
JPH07194875A (ja) カバー・ステッチ無しの飾りステッチを作るための多針のミシンで連続鎖を形成する装置
CN102877219A (zh) 带环缝制缝纫机
US6688246B2 (en) Loop holding device of chain stitch sewing machine
TW552332B (en) Dual-chain stitch sewing machine
US999718A (en) Sewing-machine.
KR20220112918A (ko) 복수의 바늘을 구비하는 재봉기
US2310320A (en) Sewing machine
US597663A (en) Stitch-slacking device for sewing-machines
US1452633A (en) Sewing machine
CN101525818B (zh) 缝纫机拖布装置
KR200167992Y1 (ko) 미싱용 피드도그
US3384042A (en) Sewing machine
EP0530158B1 (en) Improved automatic machine for stitching of various articles, in particular leather articles
US1221857A (en) Quilting-machine.
US6405666B1 (en) Chain stitch sewing machine
JPWO2006123401A1 (ja) 本縫いの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