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456B1 - 습식 집진기 - Google Patents

습식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456B1
KR100944456B1 KR1020090046636A KR20090046636A KR100944456B1 KR 100944456 B1 KR100944456 B1 KR 100944456B1 KR 1020090046636 A KR1020090046636 A KR 1020090046636A KR 20090046636 A KR20090046636 A KR 20090046636A KR 100944456 B1 KR100944456 B1 KR 10094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gas
venturi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섭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주)세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세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4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부에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깔대기 구조의 포집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집부(111)의 최하단에는 분진을 포함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구(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체(113)에 의해 지지되는 집진 타워(11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에 일정한 수위로 포집용 액체를 공급하는 급수 수단(120)과, 상기 집진 타워(110)의 타 측면의 상기 급수 수단(120)에 의한 급수면(123)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분진을 포함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구(131)와, 상기 기체 유입구(131)에서 유입된 기체를 유도하여 오리피스(orifice) 구조의 통로(135)를 형성하는 상부 유도판(132) 및 하부 유도판(133)과, 상기 오리피스(orifice) 구조의 통로(135)를 통과한 기체가 와류에 의하여 혼합부(136)에서 급수와 혼합된 후 상방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안내판(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 상기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의 상부에 설치된 벤튜리 격벽(141)에 상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나 이상 설치된 벤튜리관(142)과, 상기 벤튜리관(142)의 출구 상부에 설치되는 벤튜리 커버(143)와, 상기 벤튜리 격벽(141)에 설치되는 제 1 배수관(144)를 포함하여 1차 분리부(14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 상기 1차 분리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일 측면에 제 2 배수관(154)이 형성된 지지체(157)에 설치되며, 지그 재그 형상으로 1개소 이상의 절곡부(152)를 가지는 포집 판(151)이 2개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2차 분리부(15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상기 2차 분리부(150)의 상부 일 측면에 삽입되는 배출 덕트(161)를 통하여 연결되어 설치되며, 분진이 제거된 기체를 송풍시키는 송풍 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기(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별도의 분진 포집용 액체 순환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분진을 포함한 기체가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오리피스 구조의 통로를 통과하면서 분진 포집용 액체와 혼합되며 기체에 포함된 분진이 액체에 흡착되어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진이 포집된 액체가 1차 분리부(140)와 2차 분리부(150)를 통과하거나, 3차 분리부(155)를 추가로 더 통과하며 다단계에 걸쳐 효율적으로 회수되는 것이 가능하여, 분진 포집용 액체의 추가 공급량을 최소화하면서 집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분진, 습식, 집진, 벤튜리, 오리피스

Description

습식 집진기{Wet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습식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부에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깔대기 구조의 포집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집부(111)의 최하단에는 분진을 포함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구(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체(113)에 의해 지지되는 집진 타워(11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에 일정한 수위로 포집용 액체를 공급하는 급수 수단(120)과, 상기 집진 타워(110)의 타 측면의 상기 급수 수단(120)에 의한 급수면(123)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분진을 포함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구(131)와, 상기 기체 유입구(131)에서 유입된 기체를 유도하여 오리피스(orifice) 구조의 통로(135)를 형성하는 상부 유도판(132) 및 하부 유도판(133)과, 상기 오리피스(orifice) 구조의 통로(135)를 통과한 기체가 와류에 의하여 혼합부(136)에서 급수와 혼합된 후 상방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안내판(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 상기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의 상부에 설치된 벤튜리 격벽(141)에 상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나 이상 설치된 벤튜리관(142)과, 상기 벤튜리관(142)의 출구 상부에 설치되는 벤튜리 커버(143)와, 상기 벤튜리 격벽(141)에 설치되는 제 1 배 수관(144)를 포함하여 1차 분리부(14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 상기 1차 분리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일 측면에 제 2 배수관(154)이 형성된 지지체(157)에 설치되며, 지그 재그 형상으로 1개소 이상의 절곡부(152)를 가지는 포집판(151)이 2개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2차 분리부(15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상기 2차 분리부(150)의 상부 일 측면에 삽입되는 배출 덕트(161)를 통하여 연결되어 설치되며, 분진이 제거된 기체를 송풍시키는 송풍 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기(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체에 포함된 분진이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습식 집진기는, 분진 포집용 액체에 분진이나 오염 물질이 포함된 기체를 통과시키거나, 분진이나 오염 물질이 포함된 기체에 분진 포집용 액체를 분무시켜서, 분진 포집용 액체에 기체에 포함된 분진이나 오염 물질이 포집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방법 중 분진 포집용 액체에 분진이나 오염 물질이 포함된 기체를 통과시키는 방식은 분진이나 오염물질이 포집되는 단위 시간당 포집율이 그리 크지 않아 포집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포집용 액체에 분진이나 오염 물질이 포함된 기체를 강하게 통과시키며 혼합되도록 하는 경우 집진기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분진 및 오염 물질이 포함된 포집용 액체 방울이 함께 포함되어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집진기 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분진 및 오염 물질이 포함된 포집용 액체 방울이 함께 포함되어 배출되는 경우 많은 양의 포집용 액체를 계속 보충해 주어야 하는 것은 물론, 배출되는 기체에 분진이나 오염 물질이 잔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분진이나 오염 물질이 포함된 기체에 분진 포집용 액체를 분무시켜서, 분진 포집용 액체에 기체에 포함된 분진이나 오염 물질이 포집되도록 하는 방식의 경우, 단위량의 기체에 많은 양의 분진 포집용 액체를 계속 순환시키며 분사시켜야 하기에 용량이 큰 순환용 펌프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경우 역시 집진기에서 배출되는 기체에 분진 및 오염 물질이 포함된 포집용 액체 방울이 함께 포함되어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의 습식 집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별도의 분진 포집용 액체 순환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분진을 포함한 기체가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오리피스 구조의 통로를 통과하면서 분진 포집용 액체와 혼합되며 기체에 포함된 분진이 액체에 흡착되어 효율적으로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분진이 포집된 액체가 효율적으로 회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분진 포집용 액체의 추가 공급량을 최소화하면서 집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습식 집진기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부에는 아래로 내려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깔대기 구조의 포집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집부(111)의 최하단에는 분진을 포함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구(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체(113)에 의해 지지되는 집진 타워(11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에 일정한 수위로 포집용 액체를 공급하는 급수 수단(120)과, 상기 집진 타워(110)의 타 측면의 상기 급수 수단(120)에 의한 급수면(123)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분진을 포 함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구(131)와, 상기 기체 유입구(131)에서 유입된 기체를 유도하여 오리피스(orifice) 구조의 통로(135)를 형성하는 상부 유도판(132) 및 하부 유도판(133)과, 상기 오리피스(orifice) 구조의 통로(135)를 통과한 기체가 와류에 의하여 혼합부(136)에서 급수와 혼합된 후 상방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안내판(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 상기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의 상부에 설치된 벤튜리 격벽(141)에 상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나 이상 설치된 벤튜리관(142)과, 상기 벤튜리관(142)의 출구 상부에 설치되는 벤튜리 커버(143)와, 상기 벤튜리 격벽(141)에 설치되는 제 1 배수관(144)를 포함하여 1차 분리부(14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 상기 1차 분리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지그 재그 형상으로 1개소 이상의 절곡부(152)를 가지는 포집판(151)이 2개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2차 분리부(150)와, 상기 집진 타워(110)의 상기 2차 분리부(150)의 상부 일 측면에 삽입되는 배출 덕트를 통하여 연결되어 설치되며, 분진이 제거된 기체를 송풍시키는 송풍 수단(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벤튜리 커버(143)는 그 단면이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을 가지는 레일 구조를 가지며, 그 양 말단이 내부 방향으로 꺾여 들어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집판(151)의 상기 절곡부(152)의 외부에는 분진이 흡착된 액체가 포집되는 포집 돌기(153)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 수단(120)은 급수원(122)에 연결된 폰툰 밸브(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차 분리부(150)의 상부에는 지그 재그 형상으로 1개소 이상의 절곡부(152)를 가지는 포집판(151)이 2개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152)의 외부에는 분진이 흡착된 액체가 포집되는 포집 돌기(153)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며, 최상부에 데미스터(156)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3차 분리부(15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별도의 분진 포집용 액체 순환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분진을 포함한 기체가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오리피스 구조의 통로를 통과하면서 분진 포집용 액체와 혼합되며 기체에 포함된 분진이 액체에 흡착되어 효율적으로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진이 포집된 액체가 1차 분리부(140)와 2차 분리부(150)를 통과하거나, 3차 분리부(155)를 추가로 더 통과하며 다단계에 걸쳐 효율적으로 회수되는 것이 가능하여, 분진 포집용 액체의 추가 공급량을 최소화하면서 집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 집진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습식 집진기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게 집진 타워(110), 급수 수단(120),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 1차 분리부(140), 2차 분리부(150) 및 송풍 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집진 타워(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집진 타워(11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부에는 아래로 내려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깔대기 구조의 포집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집부(111)의 최하단에는 분진을 포함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구(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체(113)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집진 타워(110)의 일 측면에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에 일정한 수위로 포집용 액체를 공급하는 급수 수단(1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급수 수단(120)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그 중 하나의 실시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급수 수단(120)은 급수원(122)에 연결된 폰툰 밸브(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집진 타워(110)의 타 측면의 상기 급수 수단(120)에 의한 급수면(123)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분진을 포함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구(131)와, 상기 기체 유입구(131)에서 유입된 기체를 유도하여 오리피스(orifice) 구조의 통로(135)를 형성하는 상부 유도판(132) 및 하부 유도판(133)과, 상기 오리피스(orifice) 구조의 통로(135)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빨라진 기체가 와류를 발생시키며 포집용 액체와 와류에 의하여 혼합부(136)에서 급수와 혼합된 후 상방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안내판(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혼합부(136)에서는, 와류에 의해 기체가 급수된 포집용 액체 속에서 기포상태로 분산되어 혼합되면서, 기체에 포함된 분진 및 오염물질이 포집용 액체에 대단히 효율적으로 흡착된다.
다음으로, 1차 분리부(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1차 분리부(140)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벤튜리관(142)이 하나 이상 설치된 벤튜리 격벽(141)과 벤튜리 커버(143) 및 제 1 배수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 상기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의 상부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벤튜리 격벽(141)이 설치된다.
상기 벤튜리 격벽(141)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방이 좁아지는 형상 을 가지며 통과하는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벤튜리관(142)이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벤튜리관(142)의 출구 상부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속도가 증가한 포집용 액체가 포함된 기체가 충격되면서 분진을 포함한 포집용 액체를 수집하는 벤튜리 커버(143)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벤튜리 커버(143)는 속도가 증가한 포집용 액체가 포함된 기체가 효율적으로 충격되면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절곡부에서 분리되어 수집되는 것이 가능하며 2차 및 3차 분리부에 물방울에 의한 부하를 줄여서 2차 및 3차 분리부의 물방울 분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 단면이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을 가지는 레일 구조를 가지며, 그 양 말단이 내부 방향으로 꺾여 들어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벤튜리 격벽(141)에는 수집된 포집용 액체를 상기 집진 타워(110)의 폐수 배출구(112) 쪽으로 배출하는 제 1 배수관(144)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2차 분리부(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2차 분리부(150)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 상기 1차 분리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일 측면에 제 2 배수관(154)이 형성된 지지체(157)에 설치되며, 지그 재그 형상으로 1개소 이상의 절곡부(152)를 가지는 포집판(151)이 2개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 경우, 기체에 남아있던 포집용 액체 입자는 지그 재그 형상으로 1개소 이상의 절곡부(152)를 가지는 포집판(151)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상기 포집 판(151)의 표면에 부착되어 수거된다.
이 경우, 더욱 효율적인 포집용 액체의 수거를 위하여 상기 포집판(151)의 상기 절곡부(152)의 외부에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분진이 흡착된 액체가 포집되는 포집 돌기(153)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포집용 액체를 더욱 완벽하게 수집하여 기체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2차 분리부(150)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2차 분리부(15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구조로 지그 재그 형상으로 1개소 이상의 절곡부(152)를 가지는 포집판(151)이 2개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152)의 외부에는 분진이 흡착된 액체가 포집되는 포집 돌기(153)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최상부에 데미스터(156)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3차 분리부(15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데미스터(demister)(156)는 표면이 윤활(潤滑)한 세선(細線)으로 편망(編網)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파장(波壯:Corrugate)한 후 각 style의 밀도에 맞게끔 도입한 것으로, 완성된 후면 복잡한 관성충돌 구도를 조성하는 까닭에 기액(氣液) 접촉효과가 크며 99.9% 이상의 분리 효율(Separation Efficiency)을 가지며, 종래의 층전율에 비하면 중량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공간율이 우수하여 압력손실(Pressure Drop)도 무시할 정도로 적게 일어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3차 분리부(155)는 상단으로 하나 이상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집진 타워(110)의 상기 2차 분리부(150) 또는 상기 3차 분리부(155)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3차 분리부(155)의 상부 일 측면에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배출 덕트(161)가 삽입되고, 상기 배출 덕트(161)를 통하여 분진이 제거된 기체를 송풍시키는 송풍 수단(160)이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송풍 수단(160)은 여러 종류의 송풍 팬이나 블로우어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상기 송풍 수단(160)을 구성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있어서 널리 알려져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식 집진기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송풍 수단(160)에 의해 걸리는 부압 등에 의하여 기체 유입구(131)를 통하여 공급된 분진 등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기체가 공급된다.
이 경우, 기체가 공급되는 압력에 의하여,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혼합부((136)에서의 수위는 약간 하강하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의 혼합부(136)에서 포집용 액체와 분진 등 오염물질이 포함된 기체가 와류에 의해 혼합되며 포집용 액체에 기체에 포함된 분진 등 오염물질이 흡착되어 기체가 정화된 후, 분진 등 오염물질이 흡착된 포집용 액체는 1차 분리부(140), 2차 분리부(150) 및 3차 분리부(155)를 통하여 거의 완벽하게 수집되어 상기 집진 타워(110)의 포집부(111)로 전달된다.
그 후 포집용 액체에 흡착된 분진 등의 오염 물질은 상기 집진 타워(110)의 포집부(111)의 최하단에는 침전되어 분진을 포함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구(112)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폐수 배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된 양 또는 작동 과정 중 증발에 의하여 손실된 양의 포집용 액체는 상기 급수 수단(120)을 통하여 보충하게 되는 데, 이러한 보충량은 극히 적은 양만 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폐수 배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되는 폐수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펌프 등을 이용하여 폐수 처리 시설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함하는 폐수는 분진 등 오명물질이 높은 농도로 효율적으로 포집되어 그 발생량이 별로 많지 않은 것을 고려할 때, 도 2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폐수 수집 용기에 수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집진기의 전체 구성 모식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집진기의 오리피스 부의 단면 모식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집진기의 기체 유입시 오리피스 부의 단면 모식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집진기의 2차 포집부의 구성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집진기의 최종액 분리부의 단면도.
도 6: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습식 집진기의 전체 구성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0: 습식 집진기
110: 집진 타워 111: 포집부
112: 폐수 배출구 113: 지지체
120: 급수 수단 121: 폰툰 밸브
122: 급수원
130: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 131: 기체 유입구
132: 상부 유도판 133: 하부 유도판
134: 안내판
140: 1차 분리부
141: 벤튜리 격벽 142: 벤튜리관
143: 벤튜리 커버 144: 제 1 배수관
150: 2차 분리부
151: 포집판 152: 절곡부
153: 포집 돌기 154: 제 2 배수관
155: 3차 분리부 156: 데미스터(demister)
157: 지지체
160: 배기 수단 161: 배출 덕트

Claims (3)

  1.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부에는 아래로 내려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깔대기 구조의 포집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집부(111)의 최하단에는 분진을 포함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구(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체(113)에 의해 지지되는 집진 타워(110);
    상기 집진 타워(1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에 일정한 수위로 포집용 액체를 공급하는 급수 수단(120);
    상기 집진 타워(110)의 타 측면의 상기 급수 수단(120)에 의한 급수면(123)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분진을 포함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 유입구(131)와, 상기 기체 유입구(131)에서 유입된 기체를 유도하여 오리피스(orifice) 구조의 통로(135)를 형성하는 상부 유도판(132) 및 하부 유도판(133)과, 상기 오리피스(orifice) 구조의 통로(135)를 통과한 기체가 와류에 의하여 혼합부(136)에서 급수와 혼합된 후 상방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안내판(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 상기 오리피스(orifice) 혼합부(130)의 상부에 설치된 벤튜리 격벽(141)에 상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나 이상 설치된 벤튜리관(142)과, 상기 벤튜리관(142)의 출구 상부에 설치되는 벤튜리 커버(143)와, 상기 벤튜리 격벽(141)에 설치되는 제 1 배수관(1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1차 분리부(140);
    상기 집진 타워(110)의 내부 상기 1차 분리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일 측면에 제 2 배수관(154)이 형성된 지지체(157)에 설치되며, 지그 재그 형상으로 1개소 이상의 절곡부(152)를 가지는 포집판(151)이 2개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2차 분리부(150);
    상기 집진 타워(110)의 상기 2차 분리부(150)의 상부 일 측면에 삽입되는 배출 덕트(161)를 통하여 연결되어 설치되며, 분진이 제거된 기체를 송풍시키는 송풍 수단(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기(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튜리 커버(143)는 그 단면이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을 가지는 레일 구조를 가지며, 그 양 말단이 내부 방향으로 꺾여 들어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집판(151)의 상기 절곡부(152)의 외부에는 분진이 흡착된 액체가 포집되는 포집 돌기(153)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기(100).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급수 수단(120)은 급수원(122)에 연결된 폰툰 밸브(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차 분리부(150)의 상부에는 지그 재그 형상으로 1개소 이상의 절곡부(152)를 가지는 포집판(151)이 2개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152)의 외부에는 분진이 흡착된 액체가 포집되는 포집 돌기(153)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며, 최상부에 데미스터(156)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3차 분리부(15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기(100).
KR1020090046636A 2009-05-27 2009-05-27 습식 집진기 KR100944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636A KR100944456B1 (ko) 2009-05-27 2009-05-27 습식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636A KR100944456B1 (ko) 2009-05-27 2009-05-27 습식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456B1 true KR100944456B1 (ko) 2010-03-03

Family

ID=4218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636A KR100944456B1 (ko) 2009-05-27 2009-05-27 습식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0313A (zh) * 2019-07-10 2019-08-30 衡水圣凯环保设备有限公司 粉尘捕集结构及应用有该结构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10B1 (ko) * 2007-03-15 2007-08-02 홍은표 세정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10B1 (ko) * 2007-03-15 2007-08-02 홍은표 세정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0313A (zh) * 2019-07-10 2019-08-30 衡水圣凯环保设备有限公司 粉尘捕集结构及应用有该结构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6171C (en)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with a stepped tray
HU20605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gas from solid, fluid and/or gaseous contaminations
AU2015397599B2 (en) Multi-level gas scrubber with multiple flooded scrubber heads
CN101362037B (zh) 脉冲型叶片除雾器
RU16782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крой очистки газов
JPH07102300B2 (ja) ガス吸収塔
JP2017140584A (ja) 塗装ミスト捕集装置
EA027737B1 (ru) Контактная разделительная колонна и тарелка
KR100944456B1 (ko) 습식 집진기
JP2001327831A (ja) 湿式排ガス脱硫装置
KR200425748Y1 (ko) 충돌식 스크러버의 수막층 생성구조
JP2006175336A (ja) 湿式ガス浄化装置
KR20100106267A (ko) 침액식 스크러버 제어방법
JP2011110500A (ja) 塗装システム
JPH09867A (ja) 排ガスの処理方法
CN218608642U (zh) 喷淋除尘器
RU2279304C1 (ru) Пылеуловитель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мокрый
JPH08196851A (ja) 排ガスの処理方法
JP2017140583A (ja) 塗装ミスト捕集装置
CN220589426U (zh) 一种文丘里除尘洗涤器
RU19551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крой очистки газов
CN215742658U (zh) 湿式旋风分离净化塔
CN212881847U (zh) 一种高效除尘脱硫一体化系统
CN211098114U (zh) 锅炉烟气水洗箱
CN215232968U (zh) 三氯氢硅生产的湿法除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