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255B1 - 복수 개의 입력 신호들을 갖는 차량용 전자 높이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입력 신호들을 갖는 차량용 전자 높이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255B1
KR100944255B1 KR1020080014020A KR20080014020A KR100944255B1 KR 100944255 B1 KR100944255 B1 KR 100944255B1 KR 1020080014020 A KR1020080014020 A KR 1020080014020A KR 20080014020 A KR20080014020 A KR 20080014020A KR 100944255 B1 KR100944255 B1 KR 10094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ehicle
height
controller
rid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835A (ko
Inventor
빅터 에이. 플래쓰
Original Assignee
할덱스 브레이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5802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442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할덱스 브레이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할덱스 브레이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9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03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being rigidly connected to a trailing gui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30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31Rigid axle suspensions with two trailing arms rigidly connected to th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1Mounting of sensors thereon
    • B60G2204/116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전자 높이 제어 시스템은, 높이 센서와 밸브에 연결되는 밸브 액추에이터를 특징으로 한다. 밸브 액추에이터는 입력 신호와, 높이 센서 출력 신호를 입력 받고, 에어백이 가압된 공기 공급원이나 대기의 어디에도 유체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중립 위치와, 에어백으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에어백이 가압 공기 공급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위치와, 에어백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에어백이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배출 위치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밸브를 구동한다. 에어백을 가압된 공기의 공급원이나 대기의 어느 하나로 유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밸브 액추에이터는 높이 제어 시스템이 기준 탑승 높이에 대하여 차량 탑승 높이를 조절하게 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입력 신호들을 갖는 차량용 전자 높이 제어 시스템{Electronic height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with multiple input signals}
본 발명은 차량 현가 시스템(vehicle suspens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탑승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높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높이 제어 밸브들을 갖는 차량 현가 시스템들이 잘 알려져 있다. 도 1은 높이 제어 밸브(12)들이 결합된 이러한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trailing arm suspension; 10)를 도시한다.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10)는 차량의 반대되는 측면들에 설치되는 대향하는 트레일링 아암 조립체들(11)을 구비한다. 트레일링 아암 조립체들의 각각은 피봇 연결(pivotal connection; 20)에 의해 걸이 브라켓(hanger bracket; 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 단부를 구비한다. 걸이 브라켓은 차량 프레임 레일(frame rail; 16)에 매달려 있다. 트레일링 아암(14)의 타측 단부는 프레임 레일(16)에 부착된 에어 스프링(air spring; 22)에 장착된다. 에어 스프링(22)은 걸이 브라켓(18)을 중심으로 한 프레임 레일(16)에 대한 트레일링 아암(14)의 피봇 회전을 완충한다.
차축 조립체(28)는 전형적으로 트레일링 아암들(14)에 가로 놓이며 장착되거나, 또는 트레일링 아암들에 의해 지지된다. 차축 조립체(28)는 지면에 접하는 차륜들(wheels; 미도시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차륜들의 지면과의 접촉에 대응하는 차륜들의 어떠한 움직임은 트레일링 아암들(14)의 회전을 야기시키며, 회전은 에어 스프링들(22)에 의해 저항된다.
에어 스프링들(22)은 전형적으로 에어백(air bag; 24)과, 피스톤(piston; 26)을 구비한다. 피스톤(26)은 트레일링 아암(14)에 장착되고, 에어백(24)은 피스톤을 프레임에 연결한다. 에어 스프링의 완충 성능을 조정하기 위해 가압된 유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트레일링 아암들에 대한 프레임 레일들의 높이를 변경하기 위해 에어 스프링 내의 공기의 체적이 조정될 수 있다. 때로는, 차량이 운송하는 부하나 작동 환경에 따라 바람직한 차량 탑승 높이(ride height)나 기준 차량 탑승 높이가 존재하는데, 실제 탑승 높이나 현재의 탑승 높이는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특정 부하나 환경 조건을 위한 기준 높이로 탑승 높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트레일링 아암들에 대한 트레일러 프레임 레일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압축된 공기가 에어백들로 유입되거나 배출된다.
탑승 높이의 조정은 입구 포트(inlet port), 작동 포트(operation port), 배출 포트(exhaust port)를 갖는 높이 제어 밸브(height control valve; 13)에 의해 달성된다. 입구 포트는 차량용 압축 공기 공급원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작동 포트는 에어 스프링들의 에어백들(24)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배출 포트는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높이 제어 밸브는 에어 스프링에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 시켜 그로써 차량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작동 포트의 입구 포트 및 배출 포트와의 유체 연결을 제어한다.
높이 제어 밸브는 전형적으로 차량 프레임(16)에 연결되고, 조정 가능한 로드(rod; 34)를 통해 트레일링 아암(1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가능한 레버 아암(32)을 갖는다. 레버 아암에 의해 트레일링 아암(14)의 어떠한 움직임은 밸브를 이동시켜 작동 포트를 입구 포트나 배출 포트의 어느 하나로 연결시키기 위한 레버 아암의 대응하는 움직임을 발생시킨다.
전통적인 높이 제어 밸브는 세 개의 위치들: 팽창 위치, 중립 위치, 배출 위치를 갖는다. 팽창 위치에서 레버 아암(32)은 상측으로 회전하고, 작동 포트는 입구 포트에 연결된다. 중립 위치에서(20), 레버 아암(32)은 일반적으로 수평하고 작동 포트는 입구 포트나 배출 포트의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는다. 배출 위치에서, 레버 아암은 하측으로 회전하고, 작동 포트는 배출 포트에 연결된다.
현재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높이 제어 밸브들은 시간 지연을 가지며 작동할 수 있거나, 또는 높이 변화에 즉시 반응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들을 위한 밸브 구조체는 전형적으로 복수 개의 스프링 바이어스된 피스톤들(spring biased pistons)이나 트레일링 아암의 상대적인 운동에 반응하여 여러 가지 포트들을 막는 유사한 요소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유형의 높이 제어 밸브의 예가, 1992년 11월 10일 반포된 미국 특허 공보 제5,161,579호와, 1996년 10월 1일 반포된 미국 특허 공보 제5,560,591호와, 1994년 12월 27일 반포된 미국 특허 공보 제5,375,819호에 개시된다.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높이 제어 밸브들은, 밸브 구조에도 불구하고 트레이일 아암과 높이 제어 밸브의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부로 인한 손상을 받기 쉽다. 기계적인 연결부(mechanical coupling)는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의 대단히 열악할 수 있는 환경에 직접 노출된다. 부가하여,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밸브들의 대부분은 정기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 "결빙(freezing)"되기가 쉽다.
기계적으로 작동되며 제어되는 높이 제어 밸브들의 단점에 대응하여, 전자적으로 제어되며 작동되는 높이 제어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자 제어 시스템들은 차량의 높이 위치를 감시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고, 에어 스프링들로의 공기 유입이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들과 같은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밸브들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하나가 미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2/0096840(Sulzyc 씨 등)에 개시되는데, 이는 높이 제어를 구비하는 공기 현가식 차량(air-suspended vehicle)의 차체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Sulzyc 씨 등은 전자적인 높이 제어 및 기계적인 높이 제어가 사용될 수 있는 여분의 공급 라인들을 구비하는 시스템을 공개하였다. 그러나 Sulzyc 씨 등이 개시한 시스템은 수많은 입력 신호들을 입력받고, 처리하며, 그에 따라 작동하여 안전하고 정확한 차량 탑승 높이 조정을 구현하는 전자 제어기를 제공할 필요성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Sulzyc 씨 등은 원격으로 입력되는 탑승 높이 설정 지점(ride-height setpoint)이나, 유체 배출 신호(fluid dump signal)나,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Automatic brake system; ABS) 입력 또는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Electronic braking system; EBS) 입력과 같은 브레이크 시스템 신호(braking system signal)를 위한 입력들을 준비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차량 현가 시스템의 향상된 제어를 제공하는 전자 높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면에 접하는 차륜들을 차량에 대해 지지하는 차축을 지지하는 현가장치(suspension)를 위한 높이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전자 높이 제어 시스템은 차량 탑승 높이를 지면에 대한 기준 높이로 유지한다. 현가장치는, 현재의 차량 탑승 높이를 감지하여 현재 탑승 높이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높이 센서를 구비한다. 팽창 가능한 에어백(air bag)은 차축과 차량의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에어백으로의 공기 유입과 배출은 각각 차량 탑승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차축과 차량의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압축된 공기의 공급원은 에어백을 팽창시킬 용도를 위해 마련된다. 밸브는 에어백을 선택적으로 압축된 공기의 공급원이나 대기로 유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각각 에어백에 공기를 도입시키거나 에어백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한다.
탑승 높이 제어 시스템은, 높이 센서와 밸브에 연결되는 밸브 액추에이터를 특징으로 한다. 밸브 액추에이터는 입력 신호와, 높이 센서 출력 신호를 입력 받고, 에어백이 가압된 공기 공급원이나 대기의 어디에도 유체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중립 위치와, 에어백으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에어백이 가압 공기 공급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위치와, 에어백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에어백이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배출 위치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밸브를 구동한다. 에어백을 가압된 공기의 공급원이나 대기의 어느 하나로 유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밸브 액추에이터는 높이 제어 시스템이 기준 탑승 높이에 대하여 차량 탑승 높이를 조절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액추에이터는 제어 로직(control logic)으로 프로그램된 제어기를 구비한다. 제어기는 탑승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밸브를 구동하는 제어 로직과 조합하여 높이 센서 출력 신호를 이용한다. 모터에는 밸브 액추에이터가 마련될 수 있으며, 모터가 제어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밸브에 연결됨으로써, 제어기는 모터가 밸브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모터를 구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모터는, 모터의 구동이 출력 기어를 회전시켜 전달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브를 충전 위치 및 배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밸브 어널먼트(annulment)에 장착된 전달 기어(transfer gear)와 맞물린 출력 기어(output gear)를 구비한다.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가역적이며, 제어기는 밸브를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를 제1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밸브를 배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를 제2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출력 기어는 웜 기어(worm gear)일 수 있다.
센서 출력은 바람직하게는 음의 부호나 양의 부호를 갖는 전압 신호이고, 제어기는 모터의 작동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전압 신호의 부호를 이용한다. 제어 로직은 제어기가 차량 탑승 높이를 기준 탑승 높이로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제어기는 차량이 기준 탑승 높이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압 신호의 부호를 이용한다.
제어기는 예를 들어, 어떤 유형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나, 프로그래머블 또는 설정 가능한 로직 장치(logic devices), 예를 들어 센서 출력을 처리하여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설정 가능한 게이트 배열들(gate arrays)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제어기는 차량 현가 시스템의 향상된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원격으로 입력되는 탑승 높이 설정 지점을 위한 입력, 또는 유체 배출 신호를 위한 입력, 또는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automatic braking system; ABS) 입력이나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electronic braking system; EBS) 입력과 같은 브레이크 시스템 신호를 위한 입력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신호원들로부터의 복수 개의 입력들을 수신하도록 준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는 가압된 공기의 공급원에 연결되기 위한 입구 포트(inlet port)와, 에어백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에어백 포트(air bag port)와,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배출 포트(exhaust port)와, 에어백 포트를 선택적으로 입구 포트나 밸브 요소가 회전하면 배출 포트로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제어 통로(control passage)를 구비하는 회전 가능한 밸브 요소(valve element)를 구비한다. 밸브는 또한 입구 포트와, 에어백 포트와, 배출 포트가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챔버(interior chamber)를 한정하는 밸브 하우징(valve housing)을 구비한다.
밸브 요소는 입구 포트와 배출 포트를 유체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입구 포트로부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가압된 공기는 밸브 요 소를 밸브 하우징에 대한 밀봉 접촉부(sealing abutment)를 향해 바이어스 시킬 것이다. 밸브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가능한 디스크이며, 하우징에 장착된 고정 디스크 상에 존재한다. 회전 가능한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는 일 실시예로서, 세라믹이나 기타 유사한 소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나 레이저 및 광학 인코더(optical encoder)와 같은 광학 센서(optical sensor) 배치나, 가변 커패시턴스 센서(variable capacitance sensor)나, 가변 저항 센서(variable resistance sensor)나 자기 저항 센서(magnetostrictive sensor)와 같은 홀 효과 센서(hall effect sensor)나,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변환기(transducer)이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높이 조정 가능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가장치는 차량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지면에 접촉하는 휠들을 지지하는 차축(axle)을 구비한다. 현재의 차량 탑승 높이를 감지하여 현재의 탑승 높이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높이 센서가 마련된다. 팽창 가능한 에어백은 차량의 차축의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에 의해 에어백으로의 공기 유입과 배출이 각각 차량 탑승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각각 차축과 차량의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증가시키고 감소시킨다.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가압된 공기의 공급원이 사용된다. 에어백에 각각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해 에어백을 선택적으로 가압된 공기의 공급원이나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밸브가 마련된다.
높이 조정 가능한 현가장치는 높이 센서와 밸브에 연결되는 밸브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밸브 액추에이터는 높이 센서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입력 받고, 에어백이 가압된 공기의 공급원이나 대기의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는 중립 위치와, 에어백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에어백이 가압된 공기의 공급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위치와, 에어백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에어백이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됨으로서 높이 센서에 의해 감지된 현재 탑승 높이에 기초하여 탑승 높이를 조절하는 배출 위치의 사이에서 밸브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연결된", "~로 연결되는", "~와 연결되는"의 용어들의 각각은, (a)직접적이거나, 하나 이상의 장치들(devices), 기구들(apparatus), 파일들(files), 프로그램들, 매체들(media), 요소들(components), 네트워크(networks), 시스템(systems), 하위 시스템(subsystems), 또는 수단들(means)을 통한 연결(connection)이나, (b) 직접적이거나, 또는 장치들(devices), 기구들(apparatus), 파일들(files), 프로그램들, 매체들(media), 요소들(components), 네트워크(networks), 시스템(systems), 하위 시스템(subsystems), 또는 수단들(means)을 통한 통신 관계(communication relationship)나, 및/또는 (c) 두 개 이상의 장치들(devices), 기구들(apparatus), 파일들(files), 프로그램들, 매체들(media), 요소들(components), 네트워크(networks), 시스템(systems), 하위 시스템(subsystems), 또는 수단들(means)의 작동(operation)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요소들에 의존하는 기능적인 관계(functional relationship)의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두 개 이상의 장치들(devices), 기구 들(apparatus), 파일들(files), 프로그램들, 매체들(media), 요소들(components), 네트워크(networks), 시스템(systems), 하위 시스템(subsystems), 및/또는 수단들(means)의 사이나 이들 가운데의 관계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data)라는 용어는, 영구적이거나 또는 임시적이거나, 시각적이거나, 청각적이거나, 음향적이거나, 전기적이거나, 자기적이거나, 전자기적이거나 또는 다르게 표현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어떠한 표시(indicia), 신호들(signals), 기호(marks), 부호(symbol), 도메인(domains), 부호 집합(symbol sets), 및 기타 물리적 방식이나 방식들을 의미한다. 미리 정해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어떤 물리적 방식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라는 용어는 다른 물리적 방식이나 방식들로 동일한 미리 정해진 정보의 모든 표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network)라는 용어는 인터넷(internet)을 포함하여 네트워크들(networks)과 모든 종류의 인터 네트워크들(internetworks)을 포함하며, 어떤 특정 네트워크나 인터-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정한 구성 및 장점들은, 이하의 도면들과 첨부된 상세한 설명들을 고려함으로써 더 명백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 높이 제어 시스템은 차량 현가 시스템의 향상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할 때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전체 도면들에 걸쳐 대응되는 구성을 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110)를 도시한다.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는 차량 프레임(114)에 장착되며, 본 발명에 따른 동력화된 높이 제어 밸브(116)가 결합된, 한 쌍(하나만 도시됨)의 트레일링 아암 조립체들(112)을 구비한다. 트레일링 아암 조립체(112)는, 차량 프레임(114)에 매달린 프레임 브라켓(122)에 부시 연결(bushed connection)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단을 갖는 트레일링 아암(118)을 구비한다. 트레일링 아암(118)의 일부분에 장착되는 피스톤(126)과, 플레이트(130)를 통해 프레임(114)에 장착되는 에어백(128)을 구비하는 에어 스프링(124)은, 트레일링 아암(118)을 차량 프레임(114)에 연결한다. 차축 브라켓(132)은 프레임 브라켓(122)과 에어 스프링(124)의 사이에서 한 쌍의 부시 커넥터들(bushed connectors; 134)에 의해 트레일링 아암(118)에 장착된다. 차축 브라켓은 차량의 지면에 접하는 휠들(미도시)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차축(136)에 결합된다. 충격 흡수장치(shock absorber; 138)는 차축 브라켓(132)과 프레임 브라켓(122)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의 기본적인 작동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하기의 내용을 이해함에 있어서 간단한 요약이 유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차량의 휠들(미도시됨)이 노면의 변화에 마주칠 때, 휠들은 트레일링 아암(118)에 반발력(reactive force)을 작용하여, 트레일링 아암(118)을 프레임 브라켓(122)과 차량 프레임(114)에 대하여 피봇 회전시킨다. 트레일링 아암(118)의 피봇 회전하는 움직 임은 에어 스프링(124)에 의해 완충된다.
에어 스프링(124)은 또한 트레일링 아암(118)의 회전 운동을 완충시키는 데 부가하여, 지면에 대한 프레임(114)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지 상태(static conditions)를 가정하면, 트레일링 아암(118)은 지면에 접하는 휠들의 접촉으로 인해 지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공기가 에어백(128)으로 유입될 때 차량 프레임(114)은 트레일링 아암(118)에 대하여 들어 올려진다. 유사하게, 가압된 공기가 에어백(128)로부터 배출되면, 차량 프레임(114)은 지면에 대하여 높이가 낮아질 것이다.
크리프 방지 장치(anti-creep device; 140)가 차량 프레임(114)에 마련되어, 차량 프레임의 높이를 낮추는 적재(loading)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트레일링 아암(118)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현상은 본 기술 분야에서 트레일러 크리프(trailer creep)로 알려져 있는데, 적재가 이루어지는 동안 에어 스프링들에 대한 공기 공급이 전형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더 많은 무게가 트레일러(trailer)에 더해짐에 따라, 에어 스프링은 증가된 무게를 대항하기 위해 팽창할 수 없으므로 프레임의 낮아짐이 발생한다. 프레임이 낮아짐에 따라 트레일링 아암은 부시 연결을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피봇 회전하고, 이로 인해 휠들의 회전이 발생하여, 트레일러가 도크(dock)로부터 이동하게 된다.
크리프 방지 장치(140)는 차량 프레임(1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지 아암(142)을 구비한다. 정지 아암은 후퇴 위치(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음)로부터 연장된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연장된 위치에서 정지 아암(142)의 단부는 트레 일링 아암(118)의 위에 위치하여, 차량 프레임에 대한 트레일링 아암(118)의 상측 회전을 제한한다.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의 사이에서의 정지 아암(142)의 운동은 가압된 공기가 액추에이터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것에 반응하는 공압식 액추에이터(pneumatic actuator; 미도시됨)에 의해 전형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유형의 크리프 방지 장치(140)는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서는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높이 제어 센서(144)는 프레임 브라켓(122)에 장착되고, 센서(144)가 트레일링 아암의 방향을 감시하여 그 방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트레일링 아암(11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높이 제어 센서(144)는, 높이 제어 밸브(116)에 트레일링 아암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동력화된 높이 제어 밸브(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센서(144)는 프레임 브라켓(122)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링크(link; 146)를 통해 부시 커넥터(12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프레임 브라켓(122)은 단부벽(end wall; 150)에 의해 연결되는 대향하는 측벽들(sidewalls; 148)을 갖는다. 부시 커넥터(120)는 트레일링 아암(118) 내에 억지끼움(press-fit)되는 외부 슬리브(outer sleeve; 152)와 외부 슬리브(152) 내에 동심원적으로 수용되는 내부 슬리브(inner sleeve; 154)를 구비한다. 탄성 소재 고리(elastomeric material annulus; 155)는 외부 슬리브(152)와 내부 슬리브(154)의 사이에서 압축적으로 유지된다. 내부 슬리브(154)의 단부들은 각각 측벽(148)의 내부 표면들에 맞닿는다. 장착 볼트(mounting bolt; 156)는 내부 슬리브를 프레임 브라켓(122)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해 측벽(148)을 내부 슬리브(154)의 단부들에 대하 여 압축적으로 장착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트레일링 아암의 피봇 운동은 내부 슬리브(154)에 대한 외부 슬리브(152)의 회전을 가져온다. 회전은 외부 슬리브(152)가 내부 슬리브(154)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는 탄성 고리(155)에 의해 달성된다.
센서(144)는 외부 슬리브(152)에 연결된 링크(146)에 연결되는 외부축(160)을 포함한다. 링크(146)는 외부 슬리브의 회전 운동이 외부축(160)의 회전 운동으로 대응하여 전달될 수 있다면 어떠한 적절한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는 다른 아암의 단부 내의 슬롯(slot) 내에 수용되는 핀을 구비하는 아암들의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는 아암들(162, 164)을 구비함으로써, 고리(anus)의 사이의 어떠한 상대적인 수직 운동도 허용하면서 외부 슬리브의 회전 운동이 센서(144)의 외부축(160)으로 대응하여 전달된다.
도 4 및 도 5는 센서(144)의 바람직한 형태를 도시한다. 센서(144)는 외부축(160)에 장착되는 발광기(light emitter; 170)를 구비한다. 발광기(170)는 바람직하게는 광원 챔버(174)와 광원 챔버(174)를 발광기(170)의 외부로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광 통로(176)를 구비하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강체 블록(172)으로 형성된다. 광을 발하는 다이오드(diode)나 레이저(laser)와 같은 광원(178)은 광 챔버(174) 내에 배치되어, 광 통로(176)를 통해 경로 A를 따라 블록(172)을 빠져나오는 광을 발한다.
높이 센서(144)는 확산 소자(diffuser element; 194)가 내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개방 단부를 갖는 차광 하우징(192)을 구비하는 광센서 조립체(190)를 더 구비한다. 광학적 브릿지(optical bridge; 196) 형태의 광 검출기는 차광 하우 징(192) 내에서 확산 소자(194)의 뒤에 배치된다. 광학적 브릿지(196)는 광전도셀(photoconductive cells)이나 포토다이오드 검출기(photodiode detectors)일 수 있는 두 개의 이격된 센서들(198, 200)을 구비한다. 각각의 광센서(light sensor)는 광센서가 수광한 광의 강도를 나타내는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 신호들과 신호들의 차이는 차량 높이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광학적 브릿지(196)는 바람직하게는 반절 브릿지(half bridge; 2개의 셀들)의 배치나 완전 브릿지(full bridge; 4개의 셀들)의 배치로 광전도셀들을 이용하는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Wheatstone bridge circuit)이다.
광센서(144)의 작동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가장 잘 설명된다. 도 4는 차량이 기준 탑승 높이에 있을 때의 발광기(170)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4가 차량이 기준 탑승 높이에 있을 때의 광센서 조립체(19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발광기(170)를 도시하지만, 발광기(170)는 기준 탑승 높이를 확정하기 위하여 발광센서 조립체(90)에 대하여 각을 이루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기준 위치에서, 발광기(170)는 경로 A를 따라 광의 빔을 방출한다. 광의 빔이 광센서 조립체(190)의 확산 소자(194)를 접함에 따라, 확산 광의 광선은 이격된 광센서들(198)에 접한다. 광의 광선은 확산 소자(diffuser element; 194)로부터 거리 D1과 D2를 지나 각각 광센서들(198, 200)로 이동한다. 광이 이동하는 거리는 광센서들에 의해 나타나는 것과 같이 광의 강도에 강한 영향을 미쳐, 센서들로부터 대응하는 전압 출력을 가져온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으로부터 물건을 적재하거나 내릴 때와 같이 차량의 높이가 변화되면, 트레일링 아암(118)은 프레임 브라켓(122)에 대하여 회전하여 외부 슬리브(152)의 대응하는 회전을 일으키고, 이는 높이 센서(144)의 외부축(160)의 대응하는 회전을 일으킨다. 높이 센서 외부축(160)이 회전하면, 발광기(170)는 새로운 위치로 회전하고, 광의 빔(A)은 다른 장소에서 확산 소자(194)에 부딪힌다. 확산 소자(194)로부터 발산하여 광센서들(198)로 입사하는 광의 광선은 이제 거리 D3 및 D4를 통과하여 이동하여야 한다. 거리 D1, D2와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센서(198)로 들어가는 광선의 거리 D3은 상기 거리 D1보다 작다. 반대로, 거리 D4는 광센서(200)로 들어가는 광의 거리 D2보다 크다. 도 4 및 도 5로부터의 발광기(170)의 위치의 변화의 결과는, 센서(198)가 높은 강도의 광을 받고, 센서(100)가 낮은 강도의 광을 받게 한다. 강도의 변화는 광센서들(198, 200)의 전압 출력 신호의 변화에 대응한다. 센서들(198, 200)의 출력 신호들의 변화는 차량 프레임(114)에 대한 트레일링 아암(118)의 회전 변화에 직접 관련되며, 미리 정해진 위치로부터의 차량의 높이의 변화에 대한 기준을 제공한다. 광센서들(198, 200)로부터의 출력은 발광기(170)가 기준 위치로 다시 회전될 때까지 차량 프레임을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 가압된 공기를 에어 스프링들로 도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화된 높이 제어 밸브(116)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다. 구동화된 높이 제어 밸브(116)는 베이스(202)와, 베이스(202)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도시된 커버(204)를 갖는 두 부분의 하우징을 구비한다. 베이스(202)는 기능적으로 두 개의 부분들, 즉 전기 연결부(206)와 유체 제어부(208)로 분리된다. 전기 연결부(206)는 높이 제어 센서(144)를 다른 센서들에 연결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전기적인 연결부들을 갖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10)를 구비한다. 유체 제어부(208)는 밸브 조립체(212)와, 입구 포트(216) 및 작동 포트(218)를 갖는 유체 매니폴드(214)를 구비한다. 배출 포트(220)는 입구 포트(216)와 작동 포트(218)에 대하여 베이스(202)의 반대측에 마련된다. 밸브 조립체(212)는 입구 포트(216)나 배출 포트(220)로부터 작동 포트(218)로의 유체의 흐름이나 작동 포트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고, 이로써 에어 스프링(124)을 향하고 에어스프링으로부터 나오는 가압된 공기의 도입과 배출을 제어한다.
밸브 액추에이터(222)는 밸브 조립체(212)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밸브 액추에이터(222)는 구동 기어(228)가 장착되는 출력 축(226)을 갖는 전기 모터(224)를 구비한다. 전달 기어(230)는 구동 기어(228)에 연결되고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는 제어축(232)을 가지므로, 이에 의해 모터(224)의 구동이 구동 기어(228)를 회전시키며, 이를 통해 전달 기어가 작동 포트(218)와 입구 포트(216)나 배출 포트(220)의 어느 하나의 사이에 유체 연결을 이룬다.
또한 구동화된 높이 제어 밸브(116) 내에 제어기(240)가 마련된다. 제어기(240)는 모터(224)와 전달 기어(230)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2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44)가 회로 기판(242)에 마련되어, 입출력 인터페이스(210)와 모터(2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회로 기판(242)에 밸브 위치 센서(246)가 마련되어, 프로세서(2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밸브 위치 센서(246)는 밸브 조립체(212)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248)를 구비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밸브 조립체(212)가 제거된 베이스(202)가 도시된다. 베이스(202)는 밸브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내부 챔버(260)를 구비한다. 내부 챔버(260)는 내부 하우징 측벽(262)과, 측벽(262)으로부터 연장되 나가는 내부 주변벽(264)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공기 공급 통로(266)와 에어 스프링 통로(268)는 챔버(260)로부터, 입구 포트(216)와 작동 포트(218)로 각각 연장된다. 공기 공급 통로는 주변벽(264) 내에 슬롯(slot)과 같은 개구부(266A)를 형성한다. 에어 스프링 통로는 벽(262) 내에 개구부(268A)를 형성한다. 배출 통로(270)는 베이스(202)의 외부로부터 배출 포트(220)까지 연장된다.
공기 공급 통로(266)는 가압된 공기의 공급원을 내부 챔버(260)로 유체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에어 스프링 통로(268)는 내부 챔버(260)를 에어백(128)으로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배출 통로(270)는 챔버(260)를 대기로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밸브 조립체(212)는 정지 전단 디스크(static shear disk; 272)와, 운동 디스크(dynamic disk; 273)를 구비하는 전단 밸브(shear valve)를 구비한다. 정지 디스크(272)는 개구부(274)의 형태의 축방향 통로(axial passage)와 오리피스(276)의 형태의 유체 통로(fluid passage)를 갖는다. 축방향 통로와 유체 통로는 모두 디스크(272)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정지 전단 디스크(272)는, 정지 전단 디스크(272)를 베이스(202)에 대하여 정렬함으로써 오리피스(276)가 에어 스프링 통로(268)의 개구부와 일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202)로부터 내부 챔버(260)로 연장하는 위치 결정 스터드들(282, 284)을 수용하는 블라 인드 정렬 개구부들(278)을 구비한다. 축방향 개구부(274)는 배출 통로(270)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오리피스(276)와 축방향 개구부(274)는 정지 디스크(272)의 상부 표면과 작동 포트(218) 및 배출 포트(220)의 사이에서 유체 연결을 이룬다.
도 10을 참조하면, 운동 전단 디스크(273)를 하부면으로부터 관찰한 것이다. 운동 전단 디스크(273)는 베이스(202)의 내부 챔버(260) 내에 배치됨으로써 운동 디스크의 하부 표면은 정지 전단 디스크(270)의 상부 표면과 맞닿는 관계에 있다. 운동 전단 디스크(273)는 원형의 로브(lobe; 284)가 연장되는 부채꼴 부분(282)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T-형상 요홈(286)의 형태의 통로가 운동 전단 디스크(273)에 형성되어, 예각부(288)와 채널(channel; 290)을 구비한다. 예각부(288)는 부채꼴 부분(282)에 넓게 배치되며, 대향하는 출구 윤곽 슬롯들(outlet profile slots; 294)을 구비한다. 입구 윤곽 슬롯(inlet profile slot; 296)은 부채꼴 부분(282)의 외측 상에 마련되어, 출구 윤곽 슬롯들(294)의 어느 하나에 대응한다. 운동 전단 디스크(273)의 상부 표면에는 블라인드 슬롯(298)이 형성되며, 제어축(232)의 단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조립되면, 출구 윤곽 슬롯들(294)과 입구 윤곽 슬롯(296)의 쌍들의 어느 하나의 사이에 오리피스(276)와 전단 디스크(272)가 존재한다. 블라인드 슬롯(298)은 제어축(232)의 하부 단부를 수용한다. 채널(290)은 배출 통로(270)를 통해 예각부(288)와 출구 윤곽 슬롯들을 배출 포트(220)로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전단 밸브의 세 가지 주요한 작동 위치들, 즉 충전 위치, 중립 위치, 및 배출 위치를 도시한다.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높이 제어 밸브는 중립 이치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1에 도시된 중립 위치에서는, 전단 디스크 오리피스(276)가 내부 슬롯(294)과 외부 슬롯(296)의 사이에 위치하여 운동 전단 디스크(273)와 맞닿는 관계에 있어서 에어 스프링 통로(268)의 개구부(268A)를 효과적으로 밀봉하고 에어 공급 포트(266) 또는 배출 통로(270)에서 에어 스프링 통로(268)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도록, 운동 전단 디스크(273)가 전단 디스크(272)를 향한다.
트레일러의 하중의 증가와 같이 어떤 이유로든 차량 프레임(114)을 향한 트레일링 아암(118)의 상대적 운동이 존재한다면, 트레일링 아암(118)에 대하여 차량 프레임(114)을 들어올리기 위해 에어백(128)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밸브(116)는 도 12에 도시된 충전 위치로 이동한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에어 스프링 통로(268)를 내부 챔버(260)로 개방하기 위해 오리피스(276)가 외부 슬롯(296)과 유체 연결되게 이동하도록 모터(224)가 운동 전단 디스크(273)를 회전시킨다. 내부 챔버(260)는 에어 공급 포트(266)에 계속 노출되므로, 가압된 공기는 에어 스프링 통로(268)로 향하게 되어 가압된 공기가 에어 스프링들(124)로 도입된다.
트레일러에서 물건을 하차하는 것과 같이, 트레일링 아암(118)과 차량 프레임(114)이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게 이동하면, 공기가 에어백(128)으로부터 빠져나와 차량 프레임(114)을 기준 높이로 다시 이동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운동 전단 디스크(273)를 전단 디스크(272)에 대해 이동시키는 모터(224)에 의해 밸브가 배출 위치로 이동하여, 내부 슬롯(294)이 오리피 스(276)와 유체 연결에 이른다. 배출 위치에서는, 에어 스프링 통로(268)가 채널(290)을 통해 배출 통로(270)와 유체 연결된다.
도 14는 현가장치(110)의 높이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시이며, 차량 주제어기(master vehicle controller; 300)와, 현가장치 제어기(suspension controller; 240)와, 높이 센서(144)와, 밸브 조립체(212)의 사이의 상호 연결을 나타낸다. 개략도는 또한 크리프 방지 장치의 아암들(14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302)를 구비한다. 공기 저장소(304)가 마련되어, 현가장치 에어 시스템과 브레이크 에어 시스템에 가압된 공기를 공급한다.
차량 주제어기(300)는 다양한 차량 동작 특징들을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기는, 예를 들어 어떤 유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장치나, 프로그래머블 또는 설정 가능한 로직 장치(logic devices), 예를 들어 센서 출력을 처리하여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설정 가능한 게이트 배열들(gate arrays)을 구비하는 로직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차량 주제어기(3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구비한다.
차량 주제어기(300)는 전형적으로 복수 개의 개별적인 제어기들에 연결된다. 개별적인 제어기들의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프로그래머블 또는 설정 가능한 로직 장치(logic devices)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별적인 제어기들은, 예를 들어 현가장치 제어기(240)와 같은 특정한 기능적 특징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차량 주제어기(300)는 현가장치 제어기(240)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통로(310)를 구비한다. 데이터 연결들(312, 314)은 각각 현가장치 제어 기(240)로 데이터를 공급(출력)하고, 현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입력). 바람직하게는, 출력 연결(312)은 사용자가 선택한 주제어기(300)로부터의 기능/모드 데이터 신호를 현가장치 제어기(240)로 전송한다.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기능/모드 데이터 신호를 이용한다. 입력 연결(314)은 바람직하게는 현가장치 제어기(240)로부터의 높이 데이터(height data), 모드 데이터(mode data), 및/또는 에어 데이터(air data)를 주제어기(300)에 제공한다.
나아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원격으로 입력된 탑승 높이 설정 지점(303)으로부터의 데이터 연결(307)을 통한 입력을 포함하여, 다양한 공급원들로부터의 복수 개의 입력들을 받도록 주제어기(300)가 마련된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데이터 연결(314)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유체 배출 신호가 주제어기(300)에 제공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또한 나아가, 주제어기(300)에는 데이터 연결(305)을 통해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기(301)로부터의 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기(301)는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Automatic brake system; ABS) 신호 및/또는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Electronic braking system; EBS)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제어기(300)는 차량 현가장치 시스템의 제어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모든 입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높이 센서(144)는 현가장치 제어기(240)로부터 높이 센서(144)로 전기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연결(316)을 구비한다. 데이터 연결(318)은 차량의 현재 높이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현가장치 제어기(240)에 공급한다.
밸브 조립체(212)는 현가장치 제어기(240)로부터 밸브 조립체(212)로 전기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연결(320)을 구비한다. 데이터 연결(322)은 고정 디스크에 대한 운동 디스크의 위치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현가장치 제어기(240)에 공급한다. 구동 연결(323)은 전기 모터(22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현가장치 제어기(240)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밸브 조립체(212)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 제어 밸브(116)의 입구 포트(216)는 차량용 가압 공기 저장소(304)로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작동 포트(218)는 에어 스프링(124)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배출 포트(220)는 대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동력 연결(324)은 현가장치 제어기(240)로부터의 동력을 센서(302)에 공급한다. 다른 센서들과 같이, 데이터 연결(326)은 아암(142)의 위치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현가장치 제어기(240)에 공급한다. 많은 적절한 센서들이 이용 가능하며, 아암(14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아암(142)이 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주차 브레이크들로부터의 가압된 공기의 배출에 의해 작동된다면, 공통 센서는 공기가 주차 브레이크들로부터 배출될 때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스위치이다.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메모리, 바람직하게는 차량 현가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특별히 차량 높이 제어를 위한 필수 로직(logic)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기(240)는, 보통은 순간적인 높이 변화들을 나타내는 빈번한 변화들을 제거하여 불필요하게 차량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높이, 센서(14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링 알고리 즘(filtering algorithm)을 구비한다. 노면에 있는 확장 연결부들(expansion joints)과 기타 반복적이거나 반복적이지 않은 변형들이 차량의 탑승 높이를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차량 높이의 잦은 변화의 예이다.
불필요한 차량 높이 조정을 회피해야 할 필요성은 차량의 작동에 있어서 중요하다. 정부의 법규들은 브레이크 에어 라인(air line)들이 현가장치 에어 라인을 포함하여 다른 모든 에어 라인들로부터 분리될 것을 요구한다. 대부분의 차량들에는 두 개의 에어 라인들이나 에어 시스템들, 즉 브레이크 에어 라인과, 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어떤 부속품들에도 공기를 공급하는 현가장치 에어 라인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에어 시스템들(air systems)은 두 개의 시스템들을 위하여 일단 공기 저장소 내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양 이하로 내려가면 브레이크 에어 라인에만 공기를 공급하는 밸브(압력 보호 밸브)를 이용하여 동일한 공기 저장소(304)로부터 가압된 공기를 빼낸다. 순간적인 높이 변화에 대해 반응하는 것과 같이 차량 높이가 불필요하게 조절되면 장착 컴프레서(on-board compressor)가 공기 저장소를 다시 충전시키는 것보다 빠른 속도로 공기 저장소(304)로부터 가압된 공기를 빼내는 것이 가능해져, 공기압이 문턱값 이상으로 상승될 때까지 높이 제어 시스템의 조숙하고도 불필요한 정지를 가져온다.
작동 중에 차량 사용자는 처음에 현가장치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며, 그 이후 작동 모드는 현가장치 제어기(240)로 전송된다. 모드 선택은 미리 정해진 차량 탑승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바람직한 탑승 높이와 사용자의 입력은 현재의 탑승 높이와 같게 설정될 수 있다. 초기 작동 모드와 차량 탑승 높이가 설 정되면, 그 이후 현가장치(110)의 제어가 현가장치 제어기(240)로 전달된다. 그러나 시스템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원하는 설정 지점을 설정할 수 있는 원격 설정 지점(303)이 마련됨을 주목하여야 한다.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제어 시스템의 목적으로 많은 현가장치와 관련된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지만, 현가장치 제어기(240)에 의해 제어되는 가장 적절한 작동은, 높이 센서(144)에 의해 제공되는 탑승 높이 데이터와 에어 스프링들(124)의 에어백들(128)의 영역의 체적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탑승 높이의 대응하는 조정에 대한 응답으로 인한 차량 탑승 높이의 제어이다.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연결(318)을 통해 높이 센서(144)로부터 탑승 높이 데이터의 흐름을 입력 받는다. 탑승 높이 데이터의 흐름은 탑승 높이의 고주파수 및 저주파수 변화들을 감시하기 위해 현가장치 제어기(240)에 의해 분석된다. 바람직하게는,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차량 탑승 높이에서 통상적으로 현재의 탑승 높이의 변화를 보증하지 못하는 현상에 의해 도입되는 높은 주파수 변화들과 관련된 데이터 지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탑승 높이 데이터에 필터(filter)를 적용한다.
선별된 탑승 높이 데이터는 그 이후에 감시되고, 기준 차량 탑승 높이에 대하여 비교된다. 현재 탑승 높이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양(델타; delta)만큼 기준 탑승 높이를 초과하면,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그에 따라 에어 스프링(124)으로 가압된 공기를 도입하거나 배출함으로써 현재의 차량 탑승 높이를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탑승 높이는 기준 탑승 높이에 대한 현재의 탑승 높이의 변화가 일 시적이라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의 주기(샘플 시간; sample time)에 걸쳐 감시된다. 현재의 탑승 높이가 샘플 시간에 대해 델타를 초과하면, 보통 차량 탑승 높이에 영구적인 변화가 존재하는 것과 현재의 탑승 높이가 기준 탑승 높이로 조정되어야 함을 가리키는 것이다. 현재의 탑승 높이가 기준 탑승 높이 이상에 있거나 이하에 있거나, 델타의 절대값이 보통은 동일하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그러나 현재의 탑승 높이가 기준 탑승 높이의 이상에 있거나 이하에 있는지에 따라 델타가 상이한 값을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델타 값이 전형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며, 차량, 현가장치, 작동 환경, 또는 다른 요인들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하여야 한다.
현재의 탑승 높이가 샘플 시간에 대해 델타보다 큰 수치로 기준 탑승 높이의 위에 있다면, 현재의 탑승 높이는 너무 높으므로 기준 탑승 높이로 낮추어져야 한다. 현가장치를 기준 탑승 높이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모터(224)에 전류를 보내기 위해 연결(323)을 따라 제어 신호를 밸브 조립체(212)로 전송하고, 이에 의해 에어백들(128)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작동 포트(216)가 배출 포트(220)와 유체 연결되는 배출 위치로 밸브를 이동시키기 위해 운동 디스크(273)를 회전시키며, 현재의 탑승 높이를 기준 높이로 낮춘다. 공기가 밸브 조립체(212)를 통해 에어백(128)으로부터 배출되는 동안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높이 센서(144)로부터 높이 데이터를 계속 수신한다. 현가장치 제어기(240)가 높이 데이터로부터 현재의 탑승 높이가 기준 탑승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운동 전단 디스크(273)를 중립 위치 로 다시 이동시켜 에어백(128)으로부터 공기의 배출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를 모터(224)로 보낸다.
현재의 탑승 높이가 기준 탑승 높이보다 샘플 시간에 대하여 델타보다 큰 양으로 낮다면, 현재의 탑승 높이는 너무 낮은 것이므로 기준 탑승 높이로 높아져야 한다. 현가장치를 기준 탑승 높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모터(224)에 전류를 보내기 위하여 연결(323)을 따라 밸브 조립체(212)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에어백들(128)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작동 포트(218)가 입구 포트(216)와 유체 연결되는 충전 위치로 밸브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운동 디스크(273)를 회전시키며, 현재의 탑승 높이를 기준 탑승 높이로 높인다. 공기가 밸브 조립체(212)를 통해 에어백(128)으로 도입되는 동안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높이 센서(144)로부터 높이 데이터를 계속 수신한다. 현가장치 제어기(240)가 높이 데이터로부터 현재의 차량 높이가 기준 탑승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다고 결정할 때에,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운동 전단 디스크(273)를 중립 위치로 다시 이동시켜 에어백(128)으로의 공기 유입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모터(224)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프로그램 로직(program logic)을 통해 탑승 높이가 기준 탑승 높이에 접근할 때 기준 탑승 높이를 지나치는 것(오버슈팅; overshooting)을 방지하기 위해 탑승 높이의 변화율을 감시한다. 오버슈팅이 너무 크면, 차량 탑승 높이를 반대 방향으로 더 조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최악의 시나리오로서, 이는 탑승 높이가 기준 높이의 위와 아래로 계속해서 움직이는 요요 현상(yo-yo effect)을 가져와, 공기 저장소(304)의 문턱값 이하로의 공기 압의 강하를 가져올 가능성이 아주 크다.
운동 디스크(273)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가압된 공기의 에어백(128)으로의 도입과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전기 모터(224)를 구동을 실행하고자 현가장치 제어기(240)가 밸브 조립체(212)로 제어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수많은 방법들이 존재하지만, 현가장치 제어기(240)와 제어 신호가 양의 전압이나 음의 전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 신호의 부호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224)의 정회전 구동과 역회전 구동을 대응하여 제어한다. 양의 전압 신호 및 음의 전압 신호의 조합과 함께, 현가장치 제어기(240)는 연결(322)을 따라 운동 전단 디스크(273)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 흐름을 수신한다. 위치 정보는 운동 전단 디스크(273)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현가장치 제어기(240)에 밸브를 충전 위치, 중립 위치, 또는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운동 전단 디스크(273)를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압 신호의 적절한 부호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높이 센서(44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높이 센서(440)는 여러 가지 면에서 제1 실시예의 높이 센서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들을 식별하기 위해 동일한 부호들이 사용될 것이며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사이에 주요한 차이점들만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높이 센서(440)는 외부축(160)에 장착되어 광센서(490)에 회전된 광의 패턴을 방출하는 발광기(470)를 구비한다. 발광기(470)는 광 챔버(474)와 광 챔버(474)를 블록(472)의 외부로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회절 슬릿(diffraction slit; 476)을 갖는 블록(472)을 구비한다. LED나 다이오드 레이저(diode laser)와 같은 발광기가 광 챔버(474) 내에 배치된 다. 광원(478)과 회절 슬릿(476)의 사이에는 조준 렌즈(collimating lens)가 배치된다.
광센서 조립체(490)는 이격된 광센서들(498, 500)을 갖는 광학적 브릿지(optical bridge; 496)를 구비한다. 광학적 브릿지(496)는 제1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 내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또한 광학적 브릿지(496)와 발광기(470)의 사이에 확산 소자(diffuser element)가 존재하지 않는다.
발광기(470)는 점선(B)에 의해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절 패턴을 방출한다. 점선(B)은 광센서들(498, 500)에 대한 광의 강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기준 위치에 있어서, 회절 패턴의 최대 강도는 실질적으로 광센서들(498, 500)의 사이에 중심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광센서들(498, 500)은 최대 강도의 약 50%인 회절 패턴의 부분들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차량 높이의 변화에 대응하여 외부축(46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절 패턴은 회절 패턴 C에 의해 도시된 것과 같이 광학적 브릿지(496)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회절 패턴의 이동은 센서들(498, 500)이 바라보는 광의 강도를 변경한다. 광학적 브릿지(496)는 광학 센서들(498, 500)이 현재 바라보는 강도에 대응하는 전압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출력 신호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제2 실시예에 관하여, 발광기는 고출력의 협대역(narrow band) 적외선 LED(약 940 nm)나, 적외선 다이오드 레이저(infrared diode laser)이다. 바람직하게는 발광기로부터의 광은, 예를 들어 광전도셀(photoconductive cells)이나 적외 선 포토 다이오드(infrared photo diode)나, 또는 적외선 광전압셀(infrared photo-voltaic cells)을 구비할 수 있는 광센서들(498, 500)의 민감도에 맞추어지거나 최적화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기(470)에 의해 방출되는 광이 조준된 후, 회전 패턴을 발생시키기 위해 슬릿을 통해 방출되는 것도 또한 중요하다. 그러므로 회절 패턴을 얻기 위하여 슬릿의 형상은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발광기가 940 nm 의 파장을 방출하면, 슬릿은 0.00005 m 내지 0.0001 m 의 수준에 있어야 한다. 슬릿(476)에서 나오는 광은 광학적 브릿지에 접촉하기 전에 슬릿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거리를 이동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에서, 5 cm 의 거리가 충분하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 및 차량의 환경에서의 제3 실시예의 높이 센서(540)를 도시한다. 차량 프레임의 높이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높이 센서(540)가 트레일링 아암(118)의 회전의 변화를 감시하는 대신 트레일링 아암의 높이 변화를 감시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의 센서(540)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 비교하여 제3 실시예의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식별부호들로 식별된다. 예를 들어, 높이 센서(540)는 제1 실시예에 개시된 동일한 발광기(570)과 광센서 조립체(190)를 이용할 수 있다.
높이 센서(540)와 높이 센서(440)의 사이의 주된 차이점은 발광기(570)가 고정되며, 가로질러 이동하는 프레즈넬 렌즈(Fresnel lens; 542)가 발광기(570)와 광센서 조립체(19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점이다. 프레즈넬 렌즈(542)는 링크(544)에 의해 트레일링 아암(118)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트레일링 아암이 프레임 브라켓(122)에 대하여 피봇 회전할 때에, 링크(544)가 높이 센서(540)에 대하여 왕복 운동하여 발광기(170)와 광센서 조립체(190)의 고정 위치에 대하여 프레즈넬 렌즈(542)를 이동시킨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프레즈넬 렌즈(542)는 일련의 동심원 링들(548)을 구비한다. 동심원 링들의 각각의 링은, 프레즈넬 렌즈의 평면의 표면(546)에 부딪히는 광이 렌즈를 통과하여 미리 정해진 초점 위치(focal point)로 동심원 링들에 의해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다른 각도로 향하는 표면이나 반사면을 갖는다.
높이 센서(540)에 있어서, 프레즈넬 렌즈(542)의 평면의 표면(546)은 발광기(170)를 향하고, 동심원 링들(548)은 광센서 조립체(190)의 확산 소자(diffuser element; 394)를 향한다. 그러므로 발광기(170)로부터 방출되어 프레즈넬 렌즈의 평면의 표면(546)에 부딪히는 광은 동심원 링들에 의해 확산 소자(194) 위의 한 지점으로 초점이 맞추어진다. 동심원 홈들(concentric grooves)에 의해 발생되는 굴절면들(refracting surfaces)의 각도 방향은, 발광기로부터 방출된 광이 확산 소자(194)의 위치로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선택된다.
트레일링 아암(118)이 차량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확산 소자에 대한 초점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광센서들(398, 400)이 바라보는 광의 강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프레즈넬 렌즈(542)는 확산 소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측면을 향해 이동한다. 프레즈넬 렌즈(542)를 통과한 후 확산 소자(194)에 접촉하는 광의 지점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높이 센서(640)를 도시한다. 제4 실시예의 높이 센서(640)는 차량 프레임(114)에 대한 트레일링 아암(118)의 회전 운동에 반응한다는 점에서 제1 및 제3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높이 센서(640)는 트레일링 아암(118)에 대한 차량 프레임의 높이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높이 센서(640)는 커패시터 브릿지 회로(642)를 형성하는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들(646)의 집합이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된 고정 플레이트들(644)의 집합을 구비하는 가변 커패시터(capacitor)를 갖는다. 고정 플레이트들(644)은, 각각의 반원부가 지지 튜브(support tube; 65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반원 플레이트들(648)에 의해 형성된다. 반원 플레이트들(648)은 고정 플레이트들(644)을 제1 및 제2 집단(652, 654)으로 각각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서로 약간 이격되는 방식으로 지지 튜브(650)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 집단들(652, 654)은 전기적으로 구분된다.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들(646)은 부채꼴이나 파이-쐐기 모양이며, 지지 튜브(650) 내에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제어축(656)에 설치되어, 외부축의 회전이 고정 플레이트들(644)에 대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들(646)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외부축(16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기준이 되는 위치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들(646)은 제1 및 제2 집단(652, 654)의 사이의 간격이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에 대해 대략 중심이 맞추어지도록 고정 플레이트들(644)의 제1 및 제2 집단에 상대적으로 배치된 다. 고정 플레이트들과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들의 사이의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유전체 소재(dielectric material)로 채워진다.
작동 중에, 트레일링 아암(118)이 차량의 높이의 변화에 응답하여 차량 프레임(114)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외부축(160)은 이에 대응하여 제어축(656)을 회전시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들(646)을 반원 플레이트들의 제1 및 제2 집단(652, 654)에 대해 이동시킨다. 이동하는 플레이트들이 반원 플레이트들의 한 집단의 영역을 더 덮음에 따라, 그 반원 플레이트들의 집단에서의 커패시턴스가 증가하여, 플레이트들의 제1 및 제2 집단의 사이에 커패시턴스 차이를 일으킨다. 커패시턴스에서의 차이는 높이 변화의 크기와 연관되며, 차량 높이의 조절에 사용되기 위해 높이 센서에 의해 출력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높이 센서(740)를 도시한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는 달리, 높이 센서(740)는 트레일링 아암(118)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그 대신 높이 센서(740)는 에어 스프링(124)의 내부에 배치된다. 높이 센서(740)는 에어 스프링(124)의 상부 플레이트(top plate; 125)에 연결되는 일단과, 에어 스프링(124)의 피스톤(123)에 연결되는 타측 부분을 갖는 스프링 플레이트(742)를 구비한다.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flexible variable resister; 744)는 스프링 플레이트(742)에 고정된다.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는 잘 알려져 있으며, 참조로 병합된 미국 특허 제5,086,785호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가변 레지스터(744)는 휘어짐에 따라 저항을 바꾼다.
굽혀짐에 따라 저항을 바꾸는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744)의 특성은 기준 위치에 대한 차량의 높이 변화의 양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높이가 차량의 상차(loading)나 하차(unloading)에 반응하여 변화함에 따라, 에어백(128)은 이에 대응하여 압축되거나 팽창하여, 스프링 플레이트(742)와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744)를 구부러지게 한다. 그리고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744)의 저항의 변화는 높이 변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일관성을 위하여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744)가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굽혀지는 것이 중요하다. 스프링 플레이트(742)는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744)를 위한 베이스(base)를 제공하여,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744)의 반복되는 일관된 굽힘을 돕는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높이 센서(840)를 도시한다. 높이 센서(840)는, 나선형 코일(coil)이나 코일 스프링(coil spring; 842)의 둘레에 둘러싸인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744)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높이 센서(740)에 유사하다. 코일 스프링(842)은 충격 흡수장치(shock absorber; 138)의 내부에 배치된다.
충격 흡수장치는, 피스톤축(piston shaft; 848)이 연장되며 또한 커버(844)를 통해 연장되는 실린더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실린더(846)의 위에 놓이는 외부 커버(exterior cover; 844)를 구비한다. 코일 스프링(842)은 피스톤축(848)의 둘레에 싸이며, 커버(844)에 부착되는 일단과, 실린더(846)의 상부에 부착되는 타단을 갖는다.
높이 센서(840)는, 트레일링 아암(118)이 차량 프레임(114)에 대하여 회전할 때에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744)를 구부리는 코일 스프링(842)을 압축시키거나 팽창시키기 위하여 충격 흡수장치 커버(844)가 하우징(846)에 대하여 왕복 운동한다는 점에서, 높이 센서(7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높이 센서(740)에서처럼,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744)의 굽혀짐과 높이 센서(840)는 높이 센서(840)가 차량 프레임(114)과 트레일링 아암(118)의 상대적인 운동에 대응하여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도 22 및 도 23은 역시 충격 흡수장치(138)의 내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높이 센서(940)를 도시한다. 제7 실시예의 높이 센서(940)와 제6 실시예의 높이 센서(840)의 사이의 차이는 코일 스프링(842)을 대신하여 스프링 플레이트(942)가 사용된다는 점이다. 스프링 플레이트(942)는 충격 흡수장치의 커버(844)의 내에 형성되는 독립 챔버(645)에 유지된다.
높이 센서(740)에서와 같이 높이 센서의 스프링 플레이트(942)는 여러 가지의 초기 굽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플레이트(942)가 사인파(sine wave)의 반주기의 윤곽 또는 다시 말해 작은 벌레와 같은 윤곽(ich-work-like profile)을 갖는 반면, 높이 센서(740)에 개시된 스프링 플레이트는 주로 C-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윤곽은 수직으로, 수평으로, 또는 복수 개의 정현파로 향하는 S-형상이 쉽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품들의 특별한 배치와, 특징 및 기타 등등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것들은 모든 가능한 배치들이나 특징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많은 변경예나 변형예들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공지의 기계적으로 제어되고 작동되는 높이 제어 밸브가 결합된 종래 기술의 트레일링 아암 현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제어기에 의해 동력화된 높이 제어 밸브로 연결되는 높이 센서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제어 시스템을 갖는 트레일링 아암 현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 취하여 높이 센서와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의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을 도시하는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
도 4는 광센서 조립체의 광학적 브릿지(optical bridge)에 대한 기준 위치에서의 센서를 위한 발광기(light emitter)를 도시하는 도 2 및 도 3의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발광기가 광학적 브릿지에 대하여 변경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와 같다.
도 6은, 명확성을 위해 하우징 부분이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동력화된 높이 제어 밸브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명확성을 위해 커버와 밸브 조립체가 제거된 도 6의 높이 제어 밸브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흐름(20)은 하우징을 관통한다.
도 9는 도 7의 밸브 조립체의 정지 전단 디스크(stationary shear disk)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밸브 조립체의 운동 전단 디스크(dynamic shear disk)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중립 위치에 있는 도 7의 높이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충전 위치에 있는 도 7의 높이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배출 위치(30)에 있는 도 7의 높이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높이 센서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높이 센서가 결합된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3 실시예의 높이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높이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19-19선을 따라 취한 제3 실시예의 높이 센서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높이 센서를 도시한다.
도 21은 충격 흡수장치(shock absorber) 내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높이 센서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높이 센서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2의 23-2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0: 발광센서 조립체
100: 센서 240: 현가장치 제어기
110: 현가장치 242: 회로 기판
112: 트레일링 아암 조립체 244: 마이크로 프로세서
114: 차량 프레임 246: 밸브 위치 센서
116: 높이 제어 밸브 248: 액추에이터
118: 트레일링 아암 260: 내부 챔버
120: 부시 커넥터 262: 내부 하우징 측벽
122: 프레임 브라켓 264: 내부 주변벽
123: 피스톤 266A: 개구부
124: 에어 스프링 266: 공기 공급 통로
125: 상부 플레이트 268: 에어 스프링 통로
126: 피스톤 270: 정지 전단 디스크
128: 에어백 273: 운동 전단 디스크
130: 플레이트 274: 축방향 개구부
132: 차축 브라켓 276: 전단 디스크 오리피스
134: 부시 커넥터 278: 정렬 개구부들
136: 차축 282: 부채꼴 부분
138: 충격 흡수장치 286: 요홈
140: 크리프 방지 장치 288: 예각부
142: 정지 아암 290: 채널
144: 높이 제어 센서 294: 출구 윤곽 슬롯들
146: 링크 296: 입구 윤곽 슬롯
942: 스프링 플레이트 298: 블라인드 슬롯
148: 측벽 300: 차량 주제어기
150: 단부벽 301: 시스템 제어기
152: 외부 슬리브 302: 센서
154: 내부 슬리브 303: 탑승 높이 설정 지점
155: 탄성 고리 304: 공기 저장소
156: 장착 볼트 394: 확산 소자
160: 외부축 398, 400: 광센서들
162, 164: 아암들 440: 높이 센서
170: 발광기 460: 외부축
172: 강체 블록 470: 발광기
652, 654: 제1 및 제2 집단 472: 블록
174: 광 챔버 474: 광 챔버
848: 피스톤축 476: 회절 슬릿
176: 광 통로 478: 광원
178: 광원 490: 광센서 조립체
190: 광센서 조립체 496: 광학적 브릿지
192: 차광 하우징 498, 500: 광학 센서들
194: 확산 소자 540: 높이 센서
196: 광학적 브릿지 542: 프레즈넬 렌즈
198, 200: 광센서들 544: 링크
202: 베이스 546: 평면의 표면
204: 커버 548: 동심원 링들
206: 전기 연결부 570: 발광기
208: 유체 제어부 640: 높이 센서
210: 입출력 인터페이스 642: 커패시터 브릿지 회로
212: 밸브 조립체 644: 고정 플레이트들
214: 유체 매니폴드 645: 독립 챔버
216: 입구 포트 646: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들
218: 작동 포트 648: 반원 플레이트들
220: 배출 포트 650: 지지 튜브
222: 밸브 액추에이터 656: 제어축
224: 전기 모터 740: 높이 센서
226: 출력 축 742: 스프링 플레이트
228: 구동 기어 744: 유연한 가변 레지스터
230: 전달 기어 840: 높이 센서
232: 제어축 842: 코일 스프링
844: 외부 커버 940: 높이 센서
846: 실린더

Claims (18)

  1. 차축(vehicle axle)과 차량 프레임(vehicle frame)의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이를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
    가압된 유체의 공급원에 연결되는 입구 포트(inlet port)와, 차축과 차량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 백(fluid bag)에 연결되는 작동 포트(operating port)와, 대기에 연결되는 배출 포트(exhaust port)를 갖는 밸브;
    입력 포트가 작동 포트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위치와, 작동 포트가 배출 포트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배출 위치와, 각각의 포트들이 유체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중립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밸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에 연결되는 모터;
    주제어기(master controller)와 현가장치 제어기(suspension controller)를 구비하며, 센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기; 및
    상기 주제어기와 상기 현가장치 제어기의 사이의 데이터 연결(data connection)을 통해 상기 주제어기에 전송되는 유체 배출 신호(fluid dump signal);를 구비하고,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해 브레이크 시스템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 신호는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automatic braking system; ABS) 신호와,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electronic braking system; EBS) 신호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차량용 전자 현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선택적으로 원격 설정 지점(remote setpoint)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원격 설정 지점을 더 구비하는, 차량용 전자 현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 신호를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기(brake system controller)를 더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기는 상기 주제어기에 연결되는, 차량용 전자 현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와, 설정 가능한 로직 장치(configurable logic device)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차량용 전자 현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광학 센서(optical sensor)와, 홀 효과 센서(hall effect sensor)와, 자기 센서(magnetic sensor)와, 가변 저항 센서(variable resistance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변환기(transducer)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자 현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기어를 통해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는, 밸브를 충전 위치, 배출 위치, 및 중립 위치들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를 제1 회전 방향과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량용 전자 현가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탑승 높이 데이터의 흐름을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는 차량 탑승 높이의 고주파수 변화와 저주파수 변화를 감시하기 위해 분석되는, 차량용 전자 현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차량 탑승 높이의 주기적인 변화들과 관련된 데이터 지점들(data points)을 선택적으로 선별해 내는 필터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전자 현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선별된 탑승 높이 데이터가 비교되는 문턱값(threshold value)을 더 구비하고, 선별된 탑승 높이 데이터가 문턱값 수준을 초과할 때 차량 탑승 높이가 조절되는, 차량용 전자 현가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선별된 탑승 높이 데이터가 문턱값 주기 동안에 문턱값을 초과하면 차량 탑승 높이가 조정되도록 하는 문턱값 주기 시간을 더 구비하는, 차량용 전자 현가 시스템.
  14. 센서를 제어기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센서로 차량 탑승 높이(vehicle ride height)를 측정하고, 이를 나타내는 탑승 높이 데이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단계;
    탑승 높이 데이터를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제어기에 모터를 연결하는 단계;
    모터를 가압된 유체의 공급원에 연결된 포트들을 구비하는 밸브에 연결하고, 유체 백(fluid bag)을 대기에 연결하는 단계;
    차량 탑승 높이의 고주파수 변화와 저주파수 변화(high and low frequency changes)를 감시하기 위해 탑승 높이 데이터의 흐름을 분석하는 단계;
    차량 탑승 높이의 주기적인 변화들과 관련된 데이터 지점들(data points)을 선별하는 단계;
    선별된 탑승 높이 데이터가 문턱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선별된 탑승 높이 데이터를 문턱값에 대해 비교하는 단계; 및
    선별된 탑승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압된 유체의 공급원과 유체 백을 연결하는 충전 위치와, 유체 백과 대기를 연결시키는 배출 위치와, 가압된 유체의 공급원과 유체 백과 대기를 서로 유체 분리시키는 중립 위치의 사이에서, 밸브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현가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선별된 탑승 높이 데이터가 문턱값 주기 동안 문턱값을 초과하였는지를 결 정하기 위해 선별된 탑승 높이 데이터를 문턱값 주기 시간에 대하여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현가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automatic braking system; ABS) 신호와,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electronic braking system; EBS) 신호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브레이크 시스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현가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원격 설정 지점(remote setpoint)을 선택적으로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현가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광학 센서(optical sensor)와, 홀 효과 센서(hall effect sensor)와, 자기 센서(magnetic sensor)와, 가변 저항 센서(variable resistance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변환기(transducer)를 구비하는, 차량 현가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014020A 2007-04-12 2008-02-15 복수 개의 입력 신호들을 갖는 차량용 전자 높이 제어시스템 KR100944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34,597 2007-04-12
US11/734,597 US20080252025A1 (en) 2007-04-12 2007-04-12 Electronic height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with multiple input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835A KR20080092835A (ko) 2008-10-16
KR100944255B1 true KR100944255B1 (ko) 2010-02-24

Family

ID=3958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020A KR100944255B1 (ko) 2007-04-12 2008-02-15 복수 개의 입력 신호들을 갖는 차량용 전자 높이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80252025A1 (ko)
EP (3) EP1980426B1 (ko)
JP (1) JP2008260513A (ko)
KR (1) KR100944255B1 (ko)
CN (1) CN101284488A (ko)
AU (1) AU2008200914B2 (ko)
BR (1) BRPI0801119A2 (ko)
CA (1) CA2617445C (ko)
ES (1) ES2634147T3 (ko)
HU (1) HUE032573T2 (ko)
PL (1) PL1980426T3 (ko)
RU (1) RU239122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3390B2 (en) * 2007-07-03 2012-12-18 Oshkosh Corporation Ride-height control system
US7976029B2 (en) * 2009-04-29 2011-07-12 Richard T. Plummer Airplane trailer
KR101601048B1 (ko) * 2010-10-18 2016-03-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US9045014B1 (en) 2012-03-26 2015-06-02 Oshkosh Defense, Llc Military vehicle
USD966958S1 (en) 2011-09-27 2022-10-18 Oshkosh Corporation Grille element
EP2808212B1 (en) * 2012-01-25 2019-02-20 Nissan Motor Co., Ltd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WO2014071668A1 (zh) * 2012-11-06 2014-05-15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智能平衡悬架系统
US8973922B2 (en) 2013-03-15 2015-03-10 Haldex Brake Products Corporation Air suspension height control valve with dual ride height positions
EP2806194B1 (en) * 2013-05-21 2018-01-03 WABCO Europe BVBA Leveling valve for discharging and supplying fluid
US9004499B2 (en) * 2013-06-17 2015-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ssively controlled adjustable ride height suspension
KR20150094336A (ko) * 2014-02-11 2015-08-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고 조절 장치
US9428242B2 (en) 2014-02-24 2016-08-30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LLC Variable ride height systems and methods
US9511644B2 (en) 2014-09-18 2016-12-06 Cnh Industrial America Llc Liquid dispensing equipment with active suspension system
KR101575269B1 (ko) * 2014-11-10 2015-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푸셔 액슬 시스템용 에어 스프링 장치
CN104589948B (zh) * 2014-11-26 2016-11-30 北京特种机械研究所 一种用于全向智能移动平台的独立平衡悬架装置
CN104635533A (zh) * 2014-12-17 2015-05-20 航天重型工程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悬架行程检测的多轴矿车安全控制系统
US10173705B2 (en) * 2014-12-30 2019-01-08 Tofco Industries, Inc. Cart suspension system
GB2535530B (en) * 2015-02-23 2020-12-30 Knorr 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Brake valve arrangement
US9679735B2 (en) 2015-03-06 2017-06-13 Asa Electronics, Llc Travel lockout monitoring system
US9688113B2 (en) * 2015-07-14 2017-06-27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for adjusting frame height of an agricultural vehicle
DE102015011517B3 (de) * 2015-09-03 2016-09-08 Audi Ag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aktuellen Niveaulage eines Fahrzeugs
ES2562916B1 (es) * 2015-11-25 2016-12-28 Accesorios Y Elevadores Valencia, S.L. Sistema de regulación de altura de un vehículo industrial
EP3280676B1 (en) 2016-04-08 2018-11-07 Oshkosh Corporation Leveling system for lift device
DE102016005539B4 (de) * 2016-05-04 2023-10-26 Zf Cv Systems Hannover Gmbh Elektronische Niveauregelungsvorrichtung für luftgefederte Fahrzeuge,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elektronischen Niveauregelung
US10252594B2 (en) 2016-10-21 2019-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nsions and performance improvements for non-contact ride height sensing
US10279644B2 (en) 2017-03-30 2019-05-07 Cnh Industrial America Llc Task-specific ride-height control of an agricultural product applicator with air strut suspension
EP3401134B1 (en) * 2017-05-08 2020-04-01 WABCO Europe BVBA Leveling valve for discharging and supplying fluid
CN107571707B (zh) * 2017-09-21 2024-02-06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前独立悬挂高度控制阀固定支架总成及其测量方法
CN109649106A (zh) * 2018-12-03 2019-04-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悬架高度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13366242A (zh) * 2019-02-04 2021-09-07 DRiV汽车公司 流体控制的弹簧/阻尼器系统
RU189633U1 (ru) * 2019-02-22 2019-05-2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Уральские локомотивы" Кожух тяги регулятора положения кузова
CN109774400B (zh) * 2019-02-28 2020-08-21 吉林大学 一种丘陵山地防侧翻调平底盘
CN110329030B (zh) * 2019-05-10 2021-03-30 爱驰汽车有限公司 主动悬架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2327176B1 (ko) * 2019-12-09 2021-11-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견인트레일러 자동수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차고 조절이 가능한 견인 트레일러
CN113173046B (zh) * 2021-05-18 2022-10-28 贵州詹阳动力重工有限公司 一种水平调节装置及轮式多用工程车
GB202202512D0 (en) * 2022-02-23 2022-04-06 Don Bur Bodies & Trailers Ltd Suspension monitoring system
GB2620186A (en) * 2022-06-30 2024-01-03 Gray & Adams Ltd Vehicle control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117387679B (zh) * 2023-12-07 2024-04-09 常州聚通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传感器用测量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760A (ko) * 2003-10-16 2005-04-20 미츠비시 후소 트럭 앤드 버스 코포레이션 차고 조정 장치
KR20060037451A (ko) * 2003-08-18 2006-05-03 할덱스 브레이크 코포레이션 공기 차단 밸브를 가진 공기 현가 시스템
KR20060053015A (ko) * 2001-05-25 2006-05-19 할덱스 브레이크 코포레이션 트레일링 암 서스펜션 및 전동식 밸브를 구비한 높이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5199A (en) * 1923-06-11 1925-09-29 Marie Julia Track Vehicle with pneumatic suspension
US2544448A (en) * 1945-04-11 1951-03-06 Aero Supply Mfg Co Inc Motor operated valve shaft
US2790650A (en) * 1955-02-22 1957-04-30 Gomma Antivibranti Applic Pneumatic load-responsive spring suspension for vehicles
US2905430A (en) * 1956-03-16 1959-09-22 Firestone Tire & Rubber Co Control device for vehicle pneumatic suspension systems
US2964311A (en) * 1957-04-12 1960-12-13 Weatherhead Co Air spring control valve
US2910305A (en) * 1957-04-15 1959-10-27 Weatherhead Co Pneumatic suspension for vehicles and control valve therefor
US2948549A (en) * 1957-10-11 1960-08-09 Midland Ross Corp Fluid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US3083059A (en) * 1958-11-13 1963-03-26 Hercules Galion Prod Inc Automatic tilting dump truck stabilizer
US3104114A (en) * 1959-03-25 1963-09-17 Dawson Vogel Engineering Compa Control system for vehicle suspension
FR1254737A (fr) * 1959-06-26 1961-02-24 Magneti Marelli Spa Installation 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d'air comprimé pour suspensions pneumatiques, en particulier pour véhicules remorqués
FR1432614A (fr) * 1965-01-20 1966-03-25 Renault Dispositif de correction d'assiette pour véhicule
BE754551A (fr) * 1969-08-11 1971-01-18 Scovill Manufacturing Co Soupape de commande de dispositif de regulation automatique d'assiette pour vehicules
US4373744A (en) * 1980-01-23 1983-02-15 Lucas Industries Limited Suspension control system for a road vehicle
US4386791A (en) * 1981-07-06 1983-06-07 Ford Motor Company Actively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and height sensor
JPS59137207A (ja) * 1983-01-24 1984-08-07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ヨン装置
DE3542974A1 (de) * 1985-12-05 1987-06-11 Wabco Westinghouse Fahrzeug Niveauregeleinrichtung fuer fahrzeuge mit luftfedern
DE3542975A1 (de) * 1985-12-05 1987-06-11 Wabco Westinghouse Fahrzeug Niveauregeleinrichtung fuer fahrzeuge mit luftfedern
DE3728463A1 (de) * 1987-08-26 1989-03-09 Wabco Westinghouse Fahrzeug Regelventileinrichtung
US4817922A (en) * 1987-10-23 1989-04-0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irspring height sensor
JPH0671850B2 (ja) * 1988-10-31 1994-09-14 マツダ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DE3842633A1 (de) * 1988-12-17 1990-06-28 Wabco Westinghouse Steuerung Vorgesteuertes mehrwegeventil
US4976104A (en) * 1988-12-22 1990-12-11 Gt Development Corporation Combined switch and valve for compressor powered inflatable
DE3917458A1 (de) * 1989-05-30 1990-12-06 Wabco Westinghouse Fahrzeug Niveauregeleinrichtung fuer fahrzeuge
US5086785A (en) 1989-08-10 1992-02-11 Abrams/Gentille Entertainment Inc. Angular displacement sensors
US5161817A (en) * 1990-10-16 1992-11-10 Imo Industries Inc. Fluid-operated leveling valve systems
DE4114861A1 (de) * 1991-05-07 1992-11-12 Wabco Westinghouse Fahrzeug Fahrzeug mit liftbarer nachlaufachse
US5161579A (en) * 1991-06-06 1992-11-10 Hadley Products, Division Of Nelson Metal Products, Corp. Leveling valve for air springs
US5375819A (en) * 1992-11-10 1994-12-27 Nai Neway, Inc. Dual in-line height control valve assembly
JP3296868B2 (ja) * 1993-02-05 2002-07-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DE4317847B4 (de) * 1993-05-28 2007-07-19 Wabco Gmbh Einrichtung zum Steuern der Schleppachse eines Fahrzeugs
JP3125603B2 (ja) * 1994-10-07 2001-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5560591A (en) * 1995-05-02 1996-10-01 Hadley Products Leveling valve for air springs
JPH106951A (ja) * 1996-04-26 1998-01-13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US5860450A (en) * 1997-07-17 1999-01-19 Hadley Products Corporation Height control valve for vehicle leveling system
US6089551A (en) * 1998-02-10 2000-07-18 Crowe Manufacturing Services, Inc. Height control valve with integral dump device
DE19859966A1 (de) * 1998-12-29 2000-07-1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eines Fahrzeuges
AU7069900A (en) * 1999-08-24 2001-03-19 Holland Neway International, Inc. Trailing arm suspension and height control valve therefor
DE19944873C1 (de) * 1999-09-18 2001-01-04 Haldex Brake Prod Gmbh Steueranlage zum Heben und Senken des Fahrzeugaufbaus von luftgefederten Fahrzeugen mit Niveauregelung
US6227597B1 (en) * 1999-09-27 2001-05-08 Trw Inc. Vehicle seat with limited rearward movement
CA2410003C (en) * 2000-05-25 2008-01-15 The Holland Group, Inc. Height control system and sensor therefor
US7192012B2 (en) * 2003-08-18 2007-03-20 Haldex Brake Corporation Air suspension system with supply air restriction valve
GB2406548A (en) * 2003-10-03 2005-04-06 Trelleborg Ab Air suspension system
KR100565374B1 (ko) 2004-01-26 2006-03-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KR20060021456A (ko) 2004-09-03 2006-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스프링 댐퍼 일체형 현가장치
US7320469B2 (en) * 2004-10-07 2008-01-22 Arvinmeritor Technology, Llc Ride height control system for walking beam suspension
US7222867B2 (en) * 2005-01-28 2007-05-29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Automated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lift axle
WO2006119040A1 (en) * 2005-04-29 2006-11-09 Hendrickson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vy-duty vehicle axle/suspension system
CA2610068C (en) 2005-05-28 2013-01-22 Daniel L. Nordmeyer Air spring assembly with localized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same, as well as operating module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015A (ko) * 2001-05-25 2006-05-19 할덱스 브레이크 코포레이션 트레일링 암 서스펜션 및 전동식 밸브를 구비한 높이 제어시스템
KR20060037451A (ko) * 2003-08-18 2006-05-03 할덱스 브레이크 코포레이션 공기 차단 밸브를 가진 공기 현가 시스템
KR20050036760A (ko) * 2003-10-16 2005-04-20 미츠비시 후소 트럭 앤드 버스 코포레이션 차고 조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0426B1 (en) 2017-04-05
RU2391222C2 (ru) 2010-06-10
US20080252025A1 (en) 2008-10-16
CA2617445A1 (en) 2008-10-12
EP3037287B1 (en) 2020-04-22
JP2008260513A (ja) 2008-10-30
RU2008114258A (ru) 2009-10-20
ES2634147T3 (es) 2017-09-26
EP2810800B1 (en) 2020-09-23
HUE032573T2 (en) 2017-09-28
AU2008200914B2 (en) 2010-04-22
AU2008200914A1 (en) 2008-10-30
PL1980426T3 (pl) 2017-09-29
EP2810800A1 (en) 2014-12-10
EP1980426A3 (en) 2012-04-25
CA2617445C (en) 2010-11-02
EP3037287A1 (en) 2016-06-29
EP1980426A2 (en) 2008-10-15
KR20080092835A (ko) 2008-10-16
BRPI0801119A2 (pt) 2008-11-25
CN101284488A (zh)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255B1 (ko) 복수 개의 입력 신호들을 갖는 차량용 전자 높이 제어시스템
US10836232B2 (en) Electronic height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with multiple input signals
EP1395453B1 (en) Trailing arm suspension and height control system with motorized valve therefor
AU2002305698A1 (en) Trailing arm suspension and height control system with motorized valve therefor
CA2410003C (en) Height control system and sensor therefor
JPH1082446A (ja) 空気ばね高さ調整システム
CN104608571A (zh) 基于阀杆的空气维持轮胎及方法
CN104608568A (zh) 用于空气维持轮胎的基于阀杆的压力调节器系统及方法
JPS6246704A (ja) 車高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