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432B1 -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성 및 내스크래치성이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성 및 내스크래치성이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432B1
KR100942432B1 KR1020070140337A KR20070140337A KR100942432B1 KR 100942432 B1 KR100942432 B1 KR 100942432B1 KR 1020070140337 A KR1020070140337 A KR 1020070140337A KR 20070140337 A KR20070140337 A KR 20070140337A KR 100942432 B1 KR100942432 B1 KR 10094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decorative sheet
surface layer
weight
scratch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273A (ko
Inventor
김동희
손창호
양지열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4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Abstract

본 발명은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표면층 및 투명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시트는 표면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다. 또한 표면층과 반대면(이하 배면)이 깊이감 있게 은은하게 비치는 효과로 인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구현할 수 있다.
투명 수지, 장식시트, 내스크래치성, 촉감, 내지문오염성

Description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Decoration Sheet Having Good Scratch-Resistance, Anti-finger Print and Soft Skin Feel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식 시트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장식 시트의 표면 상태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장식 시트의 표면 상태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 4에서 제조된 장식 시트의 표면 상태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제조된 장식 시트와 일반 색종이를 비교한 사진으로, 상기 장식 시트의 배면의 색깔이 깊이감 있게 은은하게 비춰보이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 표면층 2 : 투명 기재층
3 : 구형의 가교성 수지 또는 무기물 입자 4 : 색종이
5 : 본 발명의 장식 시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표면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교성 수지,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표면층을 투명한 기재층과 일체화시킴으로서, 표면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배면이 깊이감 있게 은은하게 비치는 효과로 인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구현할 수 있는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최근 건축 내장 마감재 또는 가전제품의 외장재로 사용이 증가되는 장식 시트는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차별화 및 고급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소재는 사용 용도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물성이 요구되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의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및 지문에 의한 오염으로 초기 제품의 느낌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육안으로 확인시 고급스러운 느낌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촉감이 함께 요구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징을 모두 함께 갖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가교성 수지,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광 확산제를 투명 수지에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표면층을 형성토록 하고 이를 투명한 기재층과 일체화시켜 제조된, 표면이 부드러운 촉감을 갖으며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배면이 깊이감 있게 은은하게 비치는 효과로 인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구현할 수 있는 장식 시트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이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면이 깊이감 있게 은은하게 비치는 효과로 인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구현할 수 있는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하기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표면층 및 투명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표면층은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100 중량% 및 투명 수지 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100 중량%, 투명 수지 0 내지 90 중량% 및 광학산제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층용 마스터 배치 조성물과 투명 기재층용 펠렛을 공압출용 다이에 각각 공급하여 표면층 두께 0.06 내지 1 mm, 투명 기재층 두께 3 내지 20 mm로 공압출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100 중량%, 투명 수지 0 내지 90 중량% 및 광학산제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층용 마스터 배치 조성물을 압출하여 두께 0.06 내지 1 mm의 필름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필름에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3 내지 20 mm 두께의 투명 기재층용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장식시트는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표면층과 투명 기재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표면층은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표면층은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투명 수지를 바인더로 혼합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표면층은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투명 수지 및 광 확산제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100 중량%, 투명 수지 0 내지 90 중량% 및 광 확산제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20 내지 90 중량%, 투명 수지 10 내지 80 중량% 및 광 확산제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수지 조성물은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30 내지 80 중량%, 투명 수지 20 내지 70 중량% 및 광 확산제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표면층에 충분한 양의 구형입자가 존재하지 않아 내스크래치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으며, 부드러운 느낌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가교성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직경이 1 ㎛에서 10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입자의 크기가 1 ㎛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이 매끈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없으며, 1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 촉감이 거칠어져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구현하는데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성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연필경도가 4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성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가교성 입자는 가교된 수지 입자를 사용한다. 만일 가교가 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합성수지의 구형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표면층의 내스크레치성이 충분히 높지 않아 본 발명의 효과를 구현하는데 부족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공중합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아크릴계 가교성 입자는 4H 이상의 높은 표면 경도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명 기재층과도 혼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물성의 조절이 용이하고 장기 사용에 따른 황변 등에도 유리하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면의 색깔이 은은하게 비치게 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구현하기 위해서 표면층에 탁도(haze)를 부여한다. 바람직하게는 JIS K 7136기준으로 표면층의 탁도를 30 % 이상으로 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5%이다.
본 발명에서 표면층의 탁도의 조절은 구형입자의 함량과 크기, 구형 입자와 투명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 표면층의 두께, 광 확산제의 종류와 사용량 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만일 투명 기재층에 별도의 표면층을 형성하지 않고, 샌드 블라스팅과 같은 표면에 미세한 스크래치를 형성(도 4)하거나, 미세한 요철이 있는 롤러 등을 이용한 압착 또는 화학적인 부식을 이용하여 탁도를 부여하고자 할 경우, 표면에 대한 물이나 기름 등의 접촉에 의해서 오히려 탁도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어 본 발명의 효과가 구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투명 기재층의 탁도를 상기 표면층의 탁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배면의 색깔이 비춰보이는 깊이감이 감소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투명 기재층의 탁도에 영향이 적은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색깔의 염료 등을 혼합하여 다양한 칼라의 제품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표면층은 선택적으로 광 확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제는 표면층의 탁도를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표면층에 탁도가 부여될 경우, 배면의 색깔이 은은하게 비치게 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구현할 수 있다. 만일 가교성 입자와 투명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충분히 커서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수준의 탁도가 가능한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상기 구형의 가교성 입자와 투명수지의 굴절율의 차이가 거의 동일한 경우 광 확산제를 사용하여야 하며, 광 확산제의 투입량은 표면층에서 0 내지 10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광 확산제는 0.1 내지 7 중량%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0.15 내지 6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1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광 확산제에 의한 표면 질감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투명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05 이상의 광 확산제라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중 어느 것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면층에 사용되는 투명 수지는 표면층에서 연속상을 구성하며, 바인더로 사용된다. 상기 투명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는 투명 기재층에 사용되어지는 것과 반드시 동일한 재료일 필요는 없으나 불필요한 계면의 형성 등에 의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동일한 재료를 사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의 투명성은 5 ㎜의 두께에서 90% 이상의 전 광선 투과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표면층은 투명수지가 연속상을 형성하며, 여기에 직경이 1 ㎛에서 10 ㎛ 범위의 가교성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분산상을 형성한다. 상기 분산상은 연속상에 균일하게 분포하여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 기재층에 사용되는 투명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기재층에 사용되는 투명 수지의 투명성은 5 ㎜의 두께에서 90% 이상의 전 광선 투과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기재층은 상기 투명수지 외에도 여러 가지 색깔의 염료나 착색제 등을 혼합하여 다양한 칼라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기재층에는 바람직하게는 광 확산제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투명 기재층의 두께는 3 내지 20 ㎜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5 mm이다. 상기 투명 기재층의 두께가 3㎜ 미만의 경우, 배면의 색깔이 은은하게 비춰보이는 깊이감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면층은 각각의 조성물을 미리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 형태나 필름 형태로 제조하거나 투명 기재층과 일체화하는 과정과 동시에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 다. 즉, 마스터 배치 형태로 제조된 표면층 조성물과 투명 기재층을 형성하는 투명 수지를 공압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공압출하는 과정에서 표면층 조성물의 혼합을 동시에 실시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에에서 본 발명의 장식 시트는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100 중량%, 투명 수지 0 내지 90 중량% 및 광학산제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층용 마스터 배치 조성물과 투명 기재층용 펠렛을 공압출용 다이에 각각 공급하여 표면층 두께 0.06 내지 1 mm, 투명 기재층 두께 3 내지 20 mm로 공압출하여 제조된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식 시트는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100 중량%, 투명 수지 0 내지 90 중량% 및 광학산제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층용 마스터 배치 조성물을 압출하여 두께 0.06 내지 1 mm의 필름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필름에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3 내지 20 mm 두께의 투명 기재층용 필름을 접착하여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필름 형태로 제조된 표면층을 상기 투명 기재층에 접착하는 경우 열융착이나,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품의 품질 안정성 및 생산성 등의 관점에 있어서, 표면층을 마스터 배치 형태로 제조하여 투명 기재층을 형성하는 투명 수지와 공압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장식시트는 표면층에 물 또는 기름 성분의 접촉에 의 하여 접촉 전 대비 표면층의 탁도가 10 이상 저하되지 않고, 연필 경도가 4H 이상으로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다. 또한 배면이 깊이감 있게 은은하게 비치는 효과로 인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세면 화장대의 상판, 은행 및 일반 매장의 접수대 등 각종 카운터의 상판, 상품 매장의 내벽재, 가전제품의 외장재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59 중량%, 평균입경 4㎛의 가교폴리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입자 40 중량%, 굴절율 1.43의 실리콘계 광 확산제 1 중량%를 혼합하여 표면층용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직경 5 ㎜의 서브압출기를 이용하여 10 kg/hr의 유량으로 공압출용 다이에 공급하고, 폴리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펠렛을 직경 150 ㎜의 메인압출기를 이용하여 800 kg/hr의 유량으로 공압출용 다이에 공급하여 두께 0.1 ㎜의 표면층과 7.9 ㎜의 투명 기재층으로 형성된 두께 8 ㎜의 장식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의 표면 촉감, 탁도, 내스크래치성, 내지문오염성 및 색깔 깊이감을 하 기의 물성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고, 상기 장식 시트의 표면 상태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2에 나타냈었고, 상기 장식 시트와 일반 색종이를 비교한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59.6 중량%, 평균입경 4㎛의 가교폴리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입자 40 중량%, 굴절율 1.43의 실리콘계 광 확산제 0.4 중량%를 혼합하여 표면층용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단독으로 두께 0.2 ㎜의 필름으로 제조하고, 별도로 제조된 8 ㎜ 두께의 폴리메틸 메타 아크릴 시트의 표면에 접착제로 불포화폴리에스테르계 수지(애경화학 TP145)와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혼합물을 얇게 도포한 후 상기 제조된 표면층용 필름을 롤압착하여 접합 후 접착제를 경화하여 접착을 완료하여 장식시트 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의 표면 촉감, 탁도, 내스크래치성, 내지문오염성 및 색깔 깊이감을 하기의 물성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폴리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59.5 중량%, 평균입경 4㎛의 가교폴리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입자 40 중량%, 굴절율 1.43의 실리콘계 광 확산제 0.5 중량%를 혼합하여 표면층용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면층 조성물을 서브압출기를 이용하여 20 kg/hr의 유량으로 공압출용 다이에 공급하고, 투명 기재층용 펠렛을 메인압출기를 이용하여 800 kg/hr의 유량으로 공압출용 다이에 공급하여 두께 0.2 ㎜의 표면층과 7.8 ㎜의 투명 기재층으로 형성된 두께 8 ㎜의 장식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의 표면 촉감, 탁도, 내스크래치성, 내지문오염성 및 색깔 깊이감을 하기의 물성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폴리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58 중량%, 평균입경 4㎛의 가교폴리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입자 40 중량%, 굴절율 1.43의 실리콘계 광 확산제 2 중량%를 혼합하여 표면층용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면층 조성물을 서브압출기를 이용하여 6 kg/hr의 유량으로 공압출용 다이에 공급하고, 투명 기재층용 펠렛을 메인압출기를 이용하여 800 kg/hr의 유량으로 공압출용 다이에 공급하여 두께 0.06 ㎜의 표면층과 7.94㎜의 투명 기재층으로 형성된 두께 8 ㎜의 장식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의 표면 촉감, 탁도, 내스크래치성, 내지문오염성 및 색깔 깊이감을 하기의 물성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
표면층 조성물 제조시 평균입경 40 ㎛의 가교폴리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입 자 4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식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의 표면 촉감, 탁도, 내스크래치성, 내지문오염성 및 색깔 깊이감을 하기의 물성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고, 상기 장식 시트의 표면 상태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3에 나타냈었다.
비교실시예 2
표면층 조성물 제조시 평균입경 4 ㎛의 가교폴리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입자 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식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의 표면 촉감, 탁도, 내스크래치성, 내지문오염성 및 색깔 깊이감을 하기의 물성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3
서브압출기의 유량을 5 kg/hr하여 0.05 ㎜의 표면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식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4
투명기재층만으로 제조된 투명시트의 표면을 #80∼120 grit의 실리카입자를 2.5 kg/㎠의 압력으로 샌드블라스팅하여 표면에 미세한 스크래치를 형성토록하여 장식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의 표면 촉감, 탁도, 내스크래치성, 내지문오염성 및 색깔 깊이감을 하기의 물성측정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 내었고, 상기 장식 시트의 표면 상태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4에 나타냈었다.
비교실시예 5
메인압출기의 유량을 190 kg/hr하고, 두께 0.1 ㎜의 표면층과 1.9 ㎜의 투명 기재층으로 형성되어 제품의 두께가 2 ㎜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식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6
표면층용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시 광 확산제를 사용하지 않고, 투명 기재층용 수지에 0.01 중량% 함량으로 광 확산제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식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장식 시트는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촉감 : 20명의 인원으로 평가단을 구성하여 손끝으로 가볍게 제품 표면에 접촉하여 문질러서 인지되는 느낌을 "매끈함", "부드러움", "거침" 3가지로 평가하여 18명 이상이 공감하는 느낌을 결과로 채택하였다.
2) 탁도(Haze)(%) : JIS K 7136에 준하여 헤이즈메타(Haze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내스크래치성 : JIS K 5400에 준하여 연필경도 값을 측정하였다.
4) 내지문오염성 : 제품의 탁도를 측정 후 표면에 글리세롤을 도포하여 다시 동일한 조건으로 탁도를 재측정하여 탁도 변화 폭을 기록하였다. 탁도 변화값이 적을수록 내지문오염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5) 칼라의 깊이감 : 상기 촉감측정 방법과 같이 평가단을 구성하여 실시예에서 제조한 표면층 필름을 색종이 위에 올려 놓고 비춰보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깊이감의 유무를 판단토록 하였다.
[표 1]
Figure 112007094545895-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기가 큰 구형입자를 사용한 비교실시예 1은 표면 촉감이 거칠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면층에 포함된 구형입자의 함량이 낮은 비교실시예 2는 내스크래치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과 함께 충분한 표면 특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실시예 3과 같이 동일 표면층 조성물에서 충분한 두께의 표면층을 형성하지 않으면 충분한 수준의 탁도가 나타나지 않게 되며, 비교실시예 4와 같이 물리적으로 표면에 미세한 스크레치를 형성한 경우에는 충분한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과 함께 지문오염성이 좋지 않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 5와 같이 투명 기재층의 두께가 너무 얇거나, 비교실시예 6과 같이 표면층이 아닌 투명 기재층에 탁도를 부여하는 경우 배면 색깔에 대한 깊이감이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장식 시트의 경우 표면이 부드러운 촉감이 부여되며 내스크래치성 및 지문오염성 등이 개선되는 것과 배면 색깔의 깊이감이 느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면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표면층과 반대면이 깊이감 있게 은은하게 비치는 효과가 구현될 수 있는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두께 0.06~1 mm의 표면층; 및
두께 3~20 mm의 투명 기재층;
으로 이루어지는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로서,
상기 표면층은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이상 100 미만 중량%; 투명 수지 0 초과 내지 90 이하 중량%; 및 광확산제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삭제
삭제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제는 투명수지와 굴절률 차이가 0.05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수지 입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무기물 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층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수지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 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JIS K 7136에 준한 탁도가 30∼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100 중량%, 투명 수지 0 내지 90 중량% 및 광학산제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층용 마스터 배치 조성물과 투명 기재층용 펠렛을 공압출용 다이에 각각 공급하여 표면층 두께 0.06 내지 1 mm, 투명 기재층 두께 3 내지 20 mm로 공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
1∼10 ㎛의 평균입경을 갖는 가교성 수지 입자,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100 중량%, 투명 수지 0 내지 90 중량% 및 광학산제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층용 마스터 배치 조성물을 압출하여 두께 0.06 내지 1 mm의 필름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필름에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3 내지 20 mm 두께의 투명 기재층용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지문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70140337A 2007-12-28 2007-12-28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성 및 내스크래치성이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4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337A KR100942432B1 (ko) 2007-12-28 2007-12-28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성 및 내스크래치성이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337A KR100942432B1 (ko) 2007-12-28 2007-12-28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성 및 내스크래치성이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273A KR20090072273A (ko) 2009-07-02
KR100942432B1 true KR100942432B1 (ko) 2010-02-17

Family

ID=4132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337A KR100942432B1 (ko) 2007-12-28 2007-12-28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성 및 내스크래치성이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573B1 (ko) * 2015-12-22 2019-06-13 세원정공 주식회사 펄 감 광택 또는 패턴을 갖는 2층 구조의 수지 시트
KR102331112B1 (ko) 2018-09-14 2021-11-26 (주)엘엑스하우시스 촉감이 우수한 저광택의 데코 시트
WO2022031035A1 (ko) 2020-08-05 2022-02-10 주식회사 엘엑스하우시스 초무광 데코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2205A (ja) * 1994-09-09 1996-03-19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KR19990071213A (ko) * 1998-02-27 1999-09-15 장용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000027860A (ko) * 1998-10-29 2000-05-15 한형수 난반사효과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0260A (ko) * 2003-04-17 2004-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라믹 질감의 바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2205A (ja) * 1994-09-09 1996-03-19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KR19990071213A (ko) * 1998-02-27 1999-09-15 장용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000027860A (ko) * 1998-10-29 2000-05-15 한형수 난반사효과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0260A (ko) * 2003-04-17 2004-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라믹 질감의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273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01105A1 (ja) 艶消物品及び艶消物品の製造方法
CN101815616B (zh) 遮光性装饰片
EP2817153A1 (en) Microsphere articles and transfer articles
TW200500627A (en) Anti-glare film
CN105612054B (zh) 耐擦伤性聚碳酸酯树脂叠层体
JP6780411B2 (ja) 化粧シート
KR200421433Y1 (ko) 금속질감이 극대화된 유리부착용 장식시트
KR100942432B1 (ko)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내지문성 및 내스크래치성이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5533937B2 (ja) 化粧シート
JP2004262105A (ja) ピーチスキン調化粧シート
JP2008087303A (ja) インサート成形用加飾シート
KR20140083593A (ko) 금속 외관 효과를 구현한 인테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7159507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6907573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5915307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2003291254A (ja) 化粧材
JPH0789000A (ja) 内部凹凸模様をもつ化粧シート
JP2017159583A (ja) 防湿化粧板および建材、化粧板、化粧シート
CN202234284U (zh) 一种附立体纹路镜子
KR100913476B1 (ko) 입체감이 우수한 엠보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216804785U (zh) 薄型pet装饰膜
JP4200807B2 (ja) 化粧材
JP7287016B2 (ja) 化粧材
JP4012297B2 (ja) 合成樹脂製積層シート
KR101173234B1 (ko) 양각 엠보된 바닥장식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