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411B1 -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411B1
KR100942411B1 KR1020080039175A KR20080039175A KR100942411B1 KR 100942411 B1 KR100942411 B1 KR 100942411B1 KR 1020080039175 A KR1020080039175 A KR 1020080039175A KR 20080039175 A KR20080039175 A KR 20080039175A KR 100942411 B1 KR100942411 B1 KR 100942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string
cylinder
lower di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448A (ko
Inventor
이중복
Original Assignee
이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복 filed Critical 이중복
Priority to KR102008003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41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단 일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 위치되어 공급된 끈을 거치시키는 끈거치부와 끈거치대에 끈을 공급하는 끈공급부와 끈거치부 하측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부다이부와 하부다이부에 한 쌍의 고정구를 공급하는 고정구공급부와 하부다이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한 쌍의 고정구를 끈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한 쌍의 고정구 사이에 위치된 끈을 절단시키는 상부다이부 및 상부다이부와 하부다이부에 의해 고정구가 설치되는 끈을 잡아주고, 절단된 끈을 테이블의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끈과 고정구를 정확하게 위치시켜 고정구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끈을 일정길이로 절단시킬 수 있고, 고정구가 설치된 끈은 자동으로 이송되어 배출됨에 따라 배출 및 적재의 자동화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어 작업비용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끈, 고정구, 설치, 절단, 프레스

Description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of string handle for the shopping bag}
본 발명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끈을 거치시키는 끈거치부와 거치된 끈에 고정구를 위치시켜 고정시키며 끈을 절단하는 상/하부다이부를 구비하고, 거치된 끈을 잡아주거나 고정구가 설치되어 절단된 끈을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형성하여 끈과 고정구를 정확하게 위치시켜 고정구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끈을 일정길이로 절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구가 설치된 끈은 자동으로 이송되어 배출됨에 따라 배출 및 적재의 자동화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어 작업비용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을 할 때, 수납하기 편리하고, 파지가 용이한 쇼핑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쇼핑백은 내부가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쇼핑백의 개방된 상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는데, 이 손잡이는 소프트한 끈이나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 및 공정의 편리를 위해 주로 끈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용 끈은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상측으로 개방된 몸체의 상단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거나, 몸체 상단에 구멍을 형성하여 끈 양단을 통과시킨 후, 매듭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매듭을 형성하는 방법은, 작업자가 끈의 양단부를 몸체 구멍으로 통과시킨 후, 직접 매듭을 형성해야 됨으로, 자동화가 불가능하여 작업인원 및 시간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끈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구를 형성하여 몸체 구멍을 통과한 후 끈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하고 있으며, 이 고정구는 일단이 끈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끈의 외주 반만 감싸듯 안착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 고정구를 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공정은 끈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끈의 양단부에 고정구를 거치시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됨으로, 이 역시 작업인원과 시간이 요구되는 작업공정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테이블의 상단 일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수직프레임에 끈거치부를 구비하여 공급되는 끈을 용이하게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부다이부와 하부다이부를 수직방향으로 구비하여 공급되는 고정구를 끈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에 의해 다수의 고정구를 하부다이부로 공급할 수 있는 고정구공급부를 구비하여 고정구를 지속적으로 자동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구가 설치된 끈을 잡아 위치시키거나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가 구비되어 고정구 설치시 끈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절단된 끈을 용이하게 배출시킴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측 일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가 폭방향으로 통공된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위치되어 공급된 끈을 거치시키는 끈거치부, 상기 끈거치대에 끈을 공급하는 끈공급부, 상기 끈거치부 하측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부다이부, 상기 하부다이부에 한 쌍의 고정구를 공급하는 고정구공급부, 상기 하부다이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구를 끈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한 쌍의 고정구 사이에 위치된 끈을 절단시키는 상부다이부, 상기 상부다이부와 하부다이부에 의해 고정구가 설치되는 끈을 잡아주고, 절단된 끈을 상기 테이블의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끈거치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이 상기 테이블의 타측방향으로 향하는 거치프레임,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어 끈이 통과하도록 내부에 거치홀이 형성된 거치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다이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양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하부가이드공이 형성된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실린더,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실린더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부가이드공에 대응되는 하부가이드봉이 형성된 하부다이, 상기 하부다이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하부칼날; 상기 하부칼날 양측인 상기 하부다이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단면에 고정구가 안착되는 하부편, 상기 하부다이의 양측인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정구가 상단에 공급되는 한 쌍의 밀핀프레임, 상기 밀핀프레임에 구비되는 밀핀실린더, 및 상기 밀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밀핀실린더에 의해 공급된 고정구를 상기 하부편으로 밀어주는 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구공급부는, 상기 하부다이부에 연결된 두 개의 이동로가 설치되어 고정구가 거치되고, 상기 이동로의 하측에 구비된 진동휘더에 의해 고정구가 상기 하부다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다이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실린더, 상기 상부실린더의 양측인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한 쌍의 상부가이드부싱, 상기 상부실린더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싱에 대응되도록 상부가이드봉이 형성된 상부다이, 상기 상부다이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상부칼날, 및 상기 상부칼날의 양측인 상기 상부다이 하단부에 형성되며, 하단면에는 고정구의 벌어진 양측단을 중심방향으로 감아 끈에 고정시키도록 안내하는 고정구절개홈이 형성된 상부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상부다이부와 하부다이부에 의해 설치된 고정구 중 절단되지 않은 끈에 설치된 고정구의 일단을 잡아 상기 테이블의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및 상기 테이블의 상단 타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이송부에서 이송시킨 고정구가 설치된 끈의 단부를 받아 다음 공정에 절단될 끈 부위가 상기 상부다이부와 하부다이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잡아주고, 상기 끈에 고정구가 설치되며 절단될 경우,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단면 전단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제1이송프레임,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제1이송풀리, 상기 한 쌍의 제1이송풀리에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이송밸트, 상기 제1이송밸트의 상측인 상기 제1이송프레임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이송가이드봉, 상기 제1이송밸트에 고정되어 동일하게 이송되고, 상기 제1이송가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는 제1수평이송블럭, 상기 제1수평이송블럭의 전단면에 구비되어 제1수평이송블럭 의 내부를 관통하여 후단부에 로드가 돌출되는 제1이송실린더, 상기 제1이송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테이블의 폭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이송리스크, 상기 제1이송리스크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이송집게, 및 상기 제1이송집게를 중앙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구가 설치된 끈을 잡게하는 제1집게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테이블의 후단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이송프레임, 상기 제2이송프레임의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이송가이드봉, 상기 제2이송가이드봉에 고정되는 제2고정블럭, 상기 제2고정블럭에 설치되는 제2이송실린더, 상기 제2이송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2이송가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는 제2이송블럭, 상기 제2이송블럭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2이송리스크, 상기 제2이송리스크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이송집게, 및 상기 제2이송집게를 중앙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끈을 잡게하는 제2집게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에 의하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끈과 고정구를 정확하게 위치시켜 고정구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끈을 일정길이로 절단시킬 수 있고, 고정구가 설치된 끈은 자동으로 이송되어 배출됨에 따라 배출 및 적재의 자동화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어 작업비용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우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수직프레임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하부다이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제1이송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제1이송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제2이송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제2이송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끈 제조장치(10)는 테이블(100)과 수직프레임(200), 끈거치부(300), 하부다이부(500), 상부다이부(700) 및 이송부(800)로 구성된다.
테이블(100)의 상면 일단부에 수직프레임(200)이 상측으로 형성되고, 이 수직프레임(200)의 중간부에는 끈거치부(3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200)의 하측인 테이블(100) 상에는 하부다이부(500)가 구비되고, 하부다이부(500) 상측인 수직프레임(200) 상단부에는 상부다이부(700)가 구비되어 하부다이부(500)와 끈(1)을 절단시키고, 끈(1)에 고정구(2)를 설치하게 된다.
이송부(800)는 테이블(100)에 설치된 수직프레임(200)에 인접하여 테이블(100)의 길이방향인 끈(1) 이송방향으로 구비되어 고정구(2)가 설치되는 끈(1)을 잡아 장력을 유지하고, 절단된 끈(1)을 이송하여 배출시키며, 다음 공정을 위해 단부에 고정구(2)가 설치된 끈(1)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끈거치부(300)에 끈(1)을 공급하도록 끈공급부(400)가 테이블(100)의 일단에 구비되어 끈거치부(300)에 끈(1)을 공급하게 된다.
다시 말해, 끈거치부(300)는 공급되는 끈(1)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부다이부(500)에 고정구(2)를 공급하는 고정구공급부(600)가 테이블(100)에 구비되어 자동적으로 고정구(2)를 하부다이부(500)에 공급하게 된다.
고정구공급부(600)에 의해 한 쌍의 고정구(2)가 하부다이부(500)에 공급되면, 하부다이부(50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끈거치부(300)에 거치된 끈(1)에 고정구(2)를 가설하여 그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하부다이부(50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끈(1)과 고정구(2)는 상부다이부(7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구(2)의 벌어진 일단부를 하측으로 눌러 끈(1)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한 쌍의 고정구(2)를 끈(1)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한 쌍의 고정구(2) 사이에 위치된 끈(1)을 절단하여 절단된 끈(1)은 이송부(800)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됨에 따라 손잡이끈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00) 부위를 살펴보면, 수직프레임(200)은 테이블(100)의 폭방향으로 통공된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세워진 측단에 끈거치부(300)가 구비되며, 하단에는 하부다이부(500)와 상단에는 상부다이부(700)가 구비된다.
끈거치부(300)는 거치프레임(310)과 거치블럭(320)으로 구성되며, 거치프레임(310)은 타단이 테이블(100)의 타단방향으로 향하도록 수직프레임(200)에 일단이 설치된다.
그리고 거치블럭(320)은 거치프레임(31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거치홀(322)이 형성되어 끈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끈이 통과하여 거치된다.
하부다이부(500)는 하부프레임(510)과 하부실린더(520), 하부다이(530), 하부칼날(540), 하부편(550), 밀핀프레임(560), 밀핀실린더(570) 및 밀핀(580)으로 구성된다.
하부프레임(510)은 수직프레임(200)의 하단부와 테이블(100) 상에 한 쌍이 구비되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하부가이드공(512)이 각각 형성된다.
하부실린더(520)는 하부프레임(510) 사이인 테이블(100)에 구비되어 하부다이(5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하부다이(530)는 양측 하단에 하부가이드 봉(532)이 형성되어 하부프레임(510)의 하부가이드공(512)에 대응되어 상하이동시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칼날(540)은 하부다이(530)의 상단 중앙부에 상측을 향하여 구비되고, 하부편(550)은 하부칼날(540)의 양측에 구비되어 고정구(2)가 상단에 안착된다.
하부다이(530)의 양측인 수직프레임(200)에는 밀핀프레임(560)이 구비되고, 밀핀프레임(560)에는 밀핀실린더(570)가 각각 구비되면, 밀핀실린더(570)는 밀핀(580)을 작동시켜 밀핀프레임(560)에 공급된 고정구(2)를 하부편(540)으로 밀게된다.
그리고 하부다이(530)에 고정구(2)를 공급하는 고정구공급부(600)는 하부다이부(500)의 후면인 테이블(100) 후단에 구비되어 밀핀프레임(560) 상단에 고정구(2)를 공급하게 된다.
고정구공급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공급몸체(610)와 각 공급몸체(610)에 연결되어 고정구(2)가 이동되는 이동로(620) 및 이동로(620)와 공급몸체(610)를 진동에 의해 흔들어 고정구(2)를 이동시키는 진동휘더(6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다이부(700)는 상부실린더(710)와 상부다이(720), 상부가이드부싱(730), 상부칼날(740) 및 상부편(750)으로 구성되며, 상부실린더(710)는 수직프레임(200)의 상단에 구비된다.
상부다이(720)는 수직프레임(200)의 상단부에 내측에 구비되며, 상부가이드 부싱(730)에 대응되는 상부가이드봉(722)이 형성되고, 상부실린더(7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다이(530)와 맞닿게 된다.
이때, 상부다이(720)에는 상부칼날(740)과 상부편(750)이 구비되어 하부다이부(500)의 하부칼날(540)과 하부편(550)에 대응됨에 따라 끈(1)을 절단하고, 고정구(2)를 끈(1)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송부(8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부(810)와 제2이송부(820)로 구성되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부(810)는 상부다이부(700)와 하부다이부(500)에 의해 끈(1)에 고정된 고정구(2) 중 절단되지 않은 끈(1)에 설치된 고정구(2)의 일단을 잡아 테이블의 타측으로 일정거리 이송시키게 된다.
제2이송부(820)는 도 8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송부(810)에서 이송시킨 고정구(2)가 설치된 끈(1)의 단부를 받아 다음 공정에 절단될 끈(1) 부위가 상부다이부(700)와 하부다이부(500) 사이에 위치되도록 잡아주고, 끈(1)에 고정구(2)가 설치되며 절단될 경우, 테이블(100) 타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부(810)는 제1이송프레임(811)과 제1이송풀리(812), 제1이송밸트(813), 제1이송가이드봉(814), 제1수평이송블럭(815), 제1이송실린더(816), 제1이송리스크(817), 제1이송집게(818) 및 제1집게실린더(819)로 구성된다.
제1이송프레임(811)은 테이블(100)의 상면 전측 양단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이송프레임(811)에는 제1이송풀리(812)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이송풀리(812)에는 제1이송밸트(813)가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이송풀리(812) 중 어느 하나에 구동모터(미 도시)가 구비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1이송가이드봉(814)은 제1이송밸트(813)의 상측인 제1이송프레임(811)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두 개가 설치된다.
제1수평이송블럭(815)은 제1이송가이드봉(814)과 제1이송밸트(813)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것으로, 구동모터에 의해 제1이송밸트(813)가 이동됨에 따라 제1수평이송블럭(815)이 제1이송가이드봉(814)을 따라 수평이동된다.
제1이송실린더(816)는 제1수평이송블럭(815)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로드가 후면부로 돌출되며, 이 제1이솔실린더(816)의 로드에 제1이송리스크(817)가 구비되어 테이블(100)의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이송리스크(817)의 단부에는 제1이송집게(818)가 구비되어 제1집게실린더(819)에 의해 중앙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끈(1)에 고정된 고정구(2)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제1이송부(810)의 동작을 살펴보면, 하부다이부(500)와 상부다이부(700)에 의해 고정구(2)가 끈(1)에 고정되고, 끈(1)이 절단되면, 제1이송집게(818)가 고정구(2)의 일단부를 잡게된다.
상부다이부(700)와 하부다이부(5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모터(미 도시)가 제1이송밸트(813)를 이동시켜 제1수평이송블럭(815)을 테이블(100) 타단부로 이동시켜 제2이송부(820)에 끈(1)을 이송시키면, 제2이송부(820)가 끈(1)을 받 아 다음 공정을 준비하게 된다.
제2이송부(820)는 도 8 및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이송프레임(821)과 제2이송가이드봉(822), 제2고정블럭(823), 제2이송실린더(824), 제2이송블럭(825), 제2이송리스크(826), 제2이송집게(827) 및 제2집게실린더(828)로 구성된다.
제2이송프레임(821)은 수직프레임(200)에 인접한 테이블(100) 상면 후단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고, 한 쌍의 제2이송프레임(821)의 상단에는 제2이송가이드봉(822)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된다.
제2고정블럭(823)은 제2이송가이드봉(822)의 타단부 소정위치에 고정되며, 제2고정블럭(823)에는 제2이송실린더(8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이송블럭(825)은 제2이송가이드봉(822)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제2이송실린더(824)에 의해 제2이송가이드봉(8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2이송리스크(826)는 제2이송블럭(825)에 구비되고, 제2이송리스크(826)의 단부에는 제2이송집게(827)가 구비되어 제2집게실린더(828)에 의해 중앙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이송부(810)에 의해 이송된 끈(1)을 잡아 다음 공정시 절단될 끈 부위가 상부칼날(740)과 하부칼날(540) 사이에 위치되도록 타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된다.
상부다이부(700)와 하부다이부(500)에 의해 고정구(2)가 고정된 끈(1)이 절단되면, 제2이송블럭(825)을 테이블(100) 타측으로 이동시켜 잡고있던 끈(1)을 타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끈공급부(400)에서 공급된 끈(1)을 끈거치부(300)를 거쳐 제2이송부(820)에 고정시킨 후, 고정구공급부(600)에 의해 하부다이부(500)로 공급되는 두 개의 고정구(2)를 밀핀(580)이 밀어 하부칼날(540) 양측인 하부편(550)에 위치시키게 된다.
고정구(2)가 하부편(550)에 위치되면, 하부실린더(520)에 의해 하부다이(53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거치된 끈(1)에 고정구(2)가 안착시키게 되면, 제1이송부(810)의 제1이송실린더(816)에 의해 제2이송리스크(826)가 테이블(100)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끈(1)에 안착된 고정구(2)의 일단부를 잡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다이부(70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부편(750)과 하부편(550)이 맞닿게 되어 각 고정구(2)를 끈(1)에 고정시키고, 하부칼날(540)과 상부칼날(740)에 의해 두 개의 고정구(2) 사이에 위치된 끈(1) 부위를 절단하게 된다.
절단된 끈(1)은 그 단부가 제2이송부(820)의 제2이송집게(827)에 의해 잡혀있기 때문에 제2이송블럭(825)의 이동에 따라 타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제1이송부(810)의 제1이송집게(818)에 잡힌 끈(1)은 제1이송블럭(815)의 이동을 따라 제2이송부(82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절단된 끈(1)을 배출시킨 제2이송부(820)에 넘겨주게 되고, 제1이송실린더(816)에 의해 제1이송리스크(817)가 제1이송프레임(811) 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제1이송밸트(813)를 따라 다시 원상복귀하게 된다.
끈(1)을 이어받은 제2이송부(820)는 다음 공정에 고정구(2)가 설치되고, 절 단될 끈 부위가 상부다이부(700)와 하부다이부(500) 사이에 위치되도록 타측으로 일정거리 이동 후, 장력을 유지시키게 된다.
손잡이끈 제조장치(10)는 이와 같은, 공정을 반복하여 고정구(2)를 끈(1)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끈(1)을 일정간격으로 절단시킬 수 있으며, 절단된 끈(1)을 용이하게 배출함에 따라 자동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우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수직프레임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하부다이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제1이송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제1이송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제2이송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의 제2이송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끈 2 : 고정구
10 : 제조장치 100 : 테이블
200 : 수직프레임 300 : 끈거치부
310 : 거치프레임 320 : 거치블럭
322 : 거치홀 400 : 끈공급부
500 : 하부다이부 510 : 하부프레임
520 : 하부실린더 530 : 하부다이
540 : 하부칼날 550 : 하부편
560 : 밀핀프레임 570 : 밀핀
580 : 밀핀실린더 600 : 고정구공급부
700 : 상부다이부 710 : 상부실린더
720 : 상부다이 730 : 상부가이드부싱
740 : 상부칼날 750 : 상부편
800 : 이송부 810 : 제1이송부
820 : 제2이송부

Claims (8)

  1.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측 일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가 폭방향으로 통공된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위치되어 공급된 끈을 거치시키는 끈거치부;
    상기 끈거치대에 끈을 공급하는 끈공급부;
    상기 끈거치부 하측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부다이부;
    상기 하부다이부에 한 쌍의 고정구를 공급하는 고정구공급부;
    상기 하부다이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구를 끈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한 쌍의 고정구 사이에 위치된 끈을 절단시키는 상부다이부;
    상기 상부다이부와 하부다이부에 의해 고정구가 설치되는 끈을 잡아주고, 절단된 끈을 상기 테이블의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거치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이 상기 테이블의 타측방향으로 향하는 거치프레임;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어 끈이 통과하도록 내부에 거치홀이 형성 된 거치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다이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양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하부가이드공이 형성된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실린더;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실린더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부가이드공에 대응되는 하부가이드봉이 형성된 하부다이;
    상기 하부다이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하부칼날;
    상기 하부칼날 양측인 상기 하부다이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단면에 고정구가 안착되는 하부편;
    상기 하부다이의 양측인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정구가 상단에 공급되는 한 쌍의 밀핀프레임;
    상기 밀핀프레임에 구비되는 밀핀실린더; 및
    상기 밀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밀핀실린더에 의해 공급된 고정구를 상기 하부편으로 밀어주는 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공급부는,
    상기 하부다이부에 연결된 두 개의 이동로가 설치되어 고정구가 거치되고, 상기 이동로의 하측에 구비된 진동휘더에 의해 고정구가 상기 하부다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다이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실린더;
    상기 상부실린더의 양측인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한 쌍의 상부가이드부싱;
    상기 상부실린더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싱에 대응되도록 상부가이드봉이 형성된 상부다이;
    상기 상부다이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상부칼날; 및
    상기 상부칼날의 양측인 상기 상부다이 하단부에 형성되며, 하단면에는 고정구의 벌어진 양측단을 중심방향으로 감아 끈에 고정시키도록 안내하는 고정구절개홈이 형성된 상부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상부다이부와 하부다이부에 의해 설치된 고정구 중 절단되지 않은 끈에 설치된 고정구의 일단을 잡아 상기 테이블의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및
    상기 테이블의 상단 타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이송부에서 이송시킨 고정구가 설치된 끈의 단부를 받아 다음 공정에 절단될 끈 부위가 상기 상부다이부와 하부다이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잡아주고, 상기 끈에 고정구가 설치되며 절단될 경우,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단면 전단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제1이송프레임;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제1이송풀리;
    상기 한 쌍의 제1이송풀리에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이송밸트;
    상기 제1이송밸트의 상측인 상기 제1이송프레임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이송가이드봉;
    상기 제1이송밸트에 고정되어 동일하게 이송되고, 상기 제1이송가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는 제1수평이송블럭;
    상기 제1수평이송블럭의 전단면에 구비되어 제1수평이송블럭의 내부를 관통하여 후단부에 로드가 돌출되는 제1이송실린더;
    상기 제1이송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테이블의 폭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이송리스크;
    상기 제1이송리스크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이송집게; 및
    상기 제1이송집게를 중앙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구가 설치된 끈을 잡게하는 제1집게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테이블의 후단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이송프레임;
    상기 제2이송프레임의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이송가이드봉;
    상기 제2이송가이드봉에 고정되는 제2고정블럭;
    상기 제2고정블럭에 설치되는 제2이송실린더;
    상기 제2이송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2이송가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는 제2이송블럭;
    상기 제2이송블럭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2이송리스크;
    상기 제2이송리스크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이송집게; 및
    상기 제2이송집게를 중앙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끈을 잡게하는 제2집게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KR1020080039175A 2008-04-28 2008-04-28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KR100942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175A KR100942411B1 (ko) 2008-04-28 2008-04-28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175A KR100942411B1 (ko) 2008-04-28 2008-04-28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448A KR20090113448A (ko) 2009-11-02
KR100942411B1 true KR100942411B1 (ko) 2010-02-17

Family

ID=4155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175A KR100942411B1 (ko) 2008-04-28 2008-04-28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4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57B1 (ko) 2015-02-03 2015-10-13 주식회사 인덕 쇼핑 백 손잡이 제조장치
KR101559032B1 (ko) 2015-02-03 2015-11-02 주식회사 인덕 쇼핑 백 손잡이 제조장치
KR20150124845A (ko) * 2014-04-29 2015-11-06 이정문 포장용 끈의 금속팁 체결장치
KR102104232B1 (ko) 2019-03-25 2020-04-24 박성배 귀끈을 이용한 마스크용 귀걸이 제조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용 귀걸이 제조방법
KR20220135589A (ko) * 2021-03-30 2022-10-07 김윤석 쇼핑백 손잡이끈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71B1 (ko) * 2010-11-25 2011-06-13 유창우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KR102436324B1 (ko) * 2022-03-03 2022-08-25 김동수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011A (ja) * 1992-02-26 1993-09-17 Matsuura Sangyo Kk 手提げ袋用提げ手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302299Y1 (ko) 2002-05-22 2003-02-05 김필희 쇼핑백 손잡이용 끈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011A (ja) * 1992-02-26 1993-09-17 Matsuura Sangyo Kk 手提げ袋用提げ手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302299Y1 (ko) 2002-05-22 2003-02-05 김필희 쇼핑백 손잡이용 끈 제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845A (ko) * 2014-04-29 2015-11-06 이정문 포장용 끈의 금속팁 체결장치
KR101662248B1 (ko) 2014-04-29 2016-10-05 이정문 포장용 끈의 금속팁 체결장치
KR101558857B1 (ko) 2015-02-03 2015-10-13 주식회사 인덕 쇼핑 백 손잡이 제조장치
KR101559032B1 (ko) 2015-02-03 2015-11-02 주식회사 인덕 쇼핑 백 손잡이 제조장치
KR102104232B1 (ko) 2019-03-25 2020-04-24 박성배 귀끈을 이용한 마스크용 귀걸이 제조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용 귀걸이 제조방법
KR20220135589A (ko) * 2021-03-30 2022-10-07 김윤석 쇼핑백 손잡이끈 제조장치
KR102501291B1 (ko) 2021-03-30 2023-02-16 김윤석 쇼핑백 손잡이끈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448A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411B1 (ko)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JP2004051209A (ja) 果物の保護キャップ装着装置
KR101040371B1 (ko)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KR20050095036A (ko) 과채류접목로봇
JPH10150878A (ja) 自動貝耳吊装置
CN108115985B (zh) 一种袋体穿绳设备
KR100656155B1 (ko) 트레이 이송장치
US100469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food product from conveyor belt
CN113979198B (zh) 吊牌自动穿绳机及自动穿绳方法
CN110043052B (zh) 一种建筑模板搬运装置
KR100306507B1 (ko) 신발끈 자동 제조기
CN209079347U (zh) 一种方便穿绳机的机械手定位夹取绳体的理绳设备
CN209716791U (zh) Sd卡切割装置
CN207447402U (zh) 一种天线横杆自动钻孔机
CN208682483U (zh) 一种四工序木材雕刻机
JPH11215930A (ja) 養殖貝類の耳吊り装置
KR101081860B1 (ko) 쇼핑백용 손잡이끈 제조장치
CN216862691U (zh) 一种手提袋传送装置
JP2002249215A (ja) ビレット搬送コンベア
JPH0725372B2 (ja) 包装機における積層容器の供給装置
JPH0650494U (ja) 苺のヘタ取り装置
KR890007374Y1 (ko) 포장용 상자 묶음 장치
JP2021106561A (ja) 貝類取出し装置および貝類取出し方法
JP2019149953A (ja) エビ延伸具及びエビ延伸装置
KR20100093152A (ko) 쇼핑백의 손잡이용 끈의 클립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