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218B1 - 텍스트 명확화 환경에서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을 가능하게하고 개선된 검색창을 출력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 - Google Patents

텍스트 명확화 환경에서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을 가능하게하고 개선된 검색창을 출력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218B1
KR100942218B1 KR1020080039556A KR20080039556A KR100942218B1 KR 100942218 B1 KR100942218 B1 KR 100942218B1 KR 1020080039556 A KR1020080039556 A KR 1020080039556A KR 20080039556 A KR20080039556 A KR 20080039556A KR 100942218 B1 KR100942218 B1 KR 10094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language object
language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3041A (ko
Inventor
바딤 퍽스
세르게이 브이 콜로미에츠
알랙산더 코르닐로프스키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2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06F40/129Handling non-Latin characters, e.g. kana-to-kanji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은 축소형 키보드와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표음 입력을 가능하게 해준다.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은 유리하게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등과 같은 언어의 입력을 제한 없이 가능케 해준다. 변환 알고리즘은 최대 정합 알고리즘 또는 기타 알고리즘과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 복수의 각각의 언어 요소 치환을 수행하고 이로써 단어열을 생성하고 디폴트 텍스트 출력으로서 하나의 단어열을 선택한다. 문자 해석 및 그 변형체가 핀 및 핀의 변형체와 함께 검색부에서 출력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입력 문자 해석뿐만이 아니라 입력에 대응하는 다양한 대체 핀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출력, 입력, 언어, 문자, 단어, 메모리, 휴대형, 전자장치, 모호성, 텍스트, 변형 언어 객체, 문자 해석.

Description

텍스트 명확화 환경에서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개선된 검색창을 출력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 방법{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NABLING PHONETIC TEXT INPUT IN A TEXT DISAMBIGUATION ENVIRONMENT AND OUTPUTTING AN IMPROVED LOOKUP WINDOW}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병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2007년 8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번호 제60/969,393호로부터 우선권을 청구한다.
일반적으로 개시되고 청구되는 발명사상은 휴대형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텍스트 명확화 환경에서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 및 개선된 검색창의 출력을 가능하게 해주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 많은 유형의 휴대형 전자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들의 예로서는, 예컨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휴대형 컴퓨터, 양방향 페이저, 셀룰러 폰 등이 있다. 이러한 많은 휴대형 전자장치들은 다른 장치들과 통신없이 기능하는 독립형 장치들이지만, 또한 많은 수의 휴대형 전자장치들이 무선 통신 기능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일부 환경에서, 라틴 글자의 키패드를 갖는 휴대형 전자장치는 라틴 글자에 기초되지 않는 언어의 텍스트를 표음식으로 기입할 때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어 병음(Pinyin Chinese)은 라틴 텍스트와 표준 만다린(Mandarin) 텍스트 간의 전환표기(transcription)를 가능하게 해주는 표음식 중국어 "알파벳"의 유형이다. 따라서, 한어 병음은 라틴 글자를 기입함으로써 표준 만다린 문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해준다. "핀(pin)"은 대개 복수의 라틴 글자들로부터 형성된 표음식 소리이며, 각각의 핀은 하나 이상의 표준 만다린 문자와 연계된다. 400개 보다 많은 핀이 존재하며, 각각의 핀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상이한 표준 만다린 문자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표준 만다린 문자들은 그 자체가 하나의 중국어 단어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표준 만다린 문자와 결합한 주어진 표준 만다린 문자는 상이한 단어를 구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핀은 표음식으로 "da"로서 특성지어질 수 있고, 이것은 라틴 키보드 상에서 <D> 키를 조작한 후 <A>키를 조작함으로써 입력될 것이다. 하지만, 핀 "da"는 복수의 상이한 표준 만다린 문자에 대응한다. 핀 "da"는 단일의 표준 만다린 문자에 의해 표현이 되는 중국 언어의 단일 음절 단어일 수 있다. 핀 "da"는 또한 표준 만다린 문자에 의해 각각이 표현되는 복수의 음절을 갖는 중국 단어 내의 표준 만다린 문자에 의해 표현되는 단일 음절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핀이 복수의 표준 만다린 문자들에 대응하는 경우 핀의 입력에 응답하여 어느 특정의 표준 만다린 문자가 출력되어야하는지를 결정하는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한다.
한어 병음 입력의 라틴 글자가 타이핑될 때에, 이들은 상이한 핀들로 분획될 수 있는 가망성이 있다. 예를 들어, 라틴 글자열이 주어진 핀에 대응될 수 있지만, 라틴 글자는 또한 보다 긴 핀의 서두 부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것은 라틴 글자열을 표준 만다린 문자로 변경시키는데에 또 다른 모호성 계층을 추가시킨다.
장치상에 입력되었던 일련의 라틴 글자에 대한 표준 만다린 문자 해석을 생성하는데에 도움을 주고자 수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알고리즘에는 "단순 최대 정합" 알고리즘이 있으며, 이것은 잘 알려져 있는 단순 최대 정합 알고리즘과 복합 최대 정합 알고리즘 중 여러 가운데에 하나의 변환 알고리즘이다. 주어진 장치는 하나 이상의 표준 만다린 문자로 구성된 복수의 중국어 단어를 저장시킬 수 있고, 장치상에서 수행되는 변환 알고리즘(들)은 일련의 입력 라틴글자의 가능할 수 있는 최적의 표준 만다린 문자 해석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언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라틴 글자 시퀀스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술한 단순 최대 정합 알고리즘은 최대 중국어 단어들, 즉 최대량의 표준 만다린 문자들을 갖는 단어들을 포함하는 문자 해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고리즘은, 첫번째 단계로서, 핀 시퀀스의 서두 부분에서의 핀에 대응하는 표준 만다린 문자를 갖는 최대 중국어 단어를 얻어낼 수 있다. 두번째 단계로서, 알고리즘은 이전 단어 바로 다음에 오는 시퀀스에서의 핀에 대응하는 표준 만다린 문자를 갖는 최대 중국어 단어를 얻어낼 수 있다. 이것은 입력 시퀀스에서의 모든 핀에 대한 중국어 단어가 얻어질 때까지 반복된다. 그런 후, 그 결과가 출력된다.
"복합 최대 정합 알고리즘"은 유사 분석을 수행할 수 있지만, 추가로 핀들을 세 개의 중국어 단어열로 변경시킨다. 즉, 변환 알고리즘은 적어도 핀 시퀀스의 일 부분에 대응하는 최대 표준 만다린 문자들을 포함하는 세 개의 중국어 단어열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런 후, 변환 알고리즘은 상기 세 개의 중국어 단어들 중에서 상기 핀 시퀀스 부분의 최적 해석이 되는 것으로서 첫번째 중국어 단어를 출력시킬 것이다. 그 후, 변환 알고리즘은 첫번째 중국어 단어 바로 다음의 핀으로 시작하는 동일 분석을 반복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버전의 최대 정합 알고리즘은 하나의 방법 또는 기타 방법으로, 라틴 글자열을 최소 중국어 단어들을 형성하는 표준 만다린 문자열로 변경하고자 한다. 상기 변환 알고리즘들은 의도했던 목적에는 대체로 효과적이었지만, 이 변환 알고리즘들에는 예컨대 언어의 표음식 입력에 내재하는 모호성으로 인한 한계성이 없지는 않았다. 따라서, 텍스트 입력을 수월하게 하는 개선된 방법 및 휴대형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변환 알고리즘은 최대 정합 알고리즘 또는 기타 알고리즘과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 복수의 각각의 언어 요소 치환을 수행하고 이로써 단어열을 생성하고 디폴트 텍스트 출력으로서 하나의 단어열을 선택한다. 문자 해석 및 그 변형체가 핀 및 핀의 변형체와 함께 검색부에서 출력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입력 문자 해석뿐만이 아니라 입력에 대응하는 다양한 대체 핀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은 축소형 키보드와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표음 입력을 가능하게 해준다.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은 유리하게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등과 같은 언어의 입력을 제한없이 가능케 해준다.
도 1에서는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4)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도 2에서는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4)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예시적인 휴대형 전자장치(4)에는 하우징(6)과 하우징(6) 위에 배치되는 입력 장치(8), 출력 장치(12), 및 프로세서 장치(16)가 포함된다. 입력 장치(8)는 프로세서 장치(16)에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출력 장치(12)는 프로세서 장치(16)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출력 장치(12)는 시각적인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18)를 포함하지만, 스피커, LED, 촉각 출력 장치들 등과 같은 다른 출력 장치들이 추가로 또는 이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 장치(16)는 프로세서(36)와 메모리(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6)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예컨대, 입력 장치(8)로부터의 입력에 대해 응답하고 출력 장치(12)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μP)일 수 있다. 프로세서(36)는 메모리(40)와 인터페이스한다.
메모리(40)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구성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컴퓨터의 내부 저장영역 형태와 같은 데이터 저장소를 위한 저장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RAM, ROM, EPROM, EEPROM, FLASH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다양한 유형의 내부 및/또는 외부 저장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40)는 프로세서(36)상에서 실행가능한 복수의 루틴(44)을 저장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복수의"의 표현 및 그 변형 표현들은 하나의 수량을 포함하여 0 이 아닌 임의의 수량까지 폭넓게 지칭한다. 루틴(44)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형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루틴(44)에는 텍스트 변환 알고리즘 루틴(44)뿐만이 아니라 기타 루틴들도 포함된다. 텍스트 변환 알고리즘 루틴(44)은 모호한 라틴 텍스트 입력을 중국어 단어 출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을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메모리(40)는 또한, 모호한 텍스트 입력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텍스트 변환 알고리즘 루틴(44)에 의해 사용되는 사전(42), 문자테이블(45), 및 기타 언어 데이터 소스를 저장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적인 언어로서 중국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유념해두길 바라며, 다른 언어들 예컨대, 일본어와 한국어와 같은 언어들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는 것 없이 이와 유사하게 휴대형 전자장치(4)상에 표음식 입력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라틴 글자와 중국어 문자 간의 음역(transliteration)을 통해 중국어의 표음식 입력을 위해 구성되는 하나의 형태로서 휴대형 전자장치(4)가 도시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는 일 없이 휴대형 전자장치가 예컨대 일본어 또는 한국어 텍스트 또는 다른 언어 텍스트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8)에는 키패드(24)와 다중축 입력장치(이것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시된 트랙 볼(32)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된다)가 포함된다. 키패드(24)는 축소형 쿼티(QWERTY) 키보드의 예시적인 형태의 복수의 키들(28)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적어도 일부 키들(28) 각각에 복수의 언어 요소들이 할당되고, 적어도 일부 언어 요소들은 쿼티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배열된 라틴 글자가 됨을 의미한다. 키들(28)과 트랙 볼(32)은 모두 프로세서 장치(16)에 입력을 제공해주도록 동작할 수 있는 입력 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키패드(24) 및 트랙 볼(32)은 서로 인접하면서 하우징(6)의 전면부상에 유리하게 배치된다. 이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텍스트 기입 동작 또는 기타 동작 동안에 사실상 사용자의 손을 키패드(24)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것 없이 트랙 볼(32)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키들(28)중의 하나인 <ESCAPE> 키(31)가 작동되면, 이 <ESCAPE> 키(31)는 바로 직전 입력으로부터 야기된 조작을 철회시키고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루틴(44)에 의해 관리되는 논리 메뉴 트리구조 내에서의 논리적 상위 위치로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입력을 프로세서 장치(16)에게 제공한다. <ESCAPE> 키(31)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은 아마도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홈 스크린(초기화면)을 제외하고, 임의의 논리 메뉴 트리구조 부분 내의 임의의 논리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ESCAPE> 키(31)는 트랙 볼(32)에 인접하여 유리하게 배치됨으로써, 예컨대, 의도하지 않았거나 또는 부정확한 트랙 볼(32)로부터의 입력이 인접한 <ESCAPE> 키(31)의 작동에 의해 신속히 철회되도록, 즉 취소될 수 있도록 해준다.
키들(28)중의 다른 하나인 <MENU> 키(33)가 작동되면, 이 <MENU> 키(33)는 GUI(44)로 하여금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8) 상에 출력시키도록 하게 하는 입력을 프로세서 장치(16)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메뉴는 논리 메뉴 트리구조내의 현재 사용자의 논리 위치에 적합한 것으로서, 이것은 후에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변환 알고리즘(44)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메뉴들 및 기타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영어의 형태로서 도시되지만, 이에 국한되도록 의도한 것은 아님을 유념해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중축 입력장치는 트랙 볼(32)이지만, 트랙 볼(32)이외의 다른 다중축 입력장치들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는 것 없이 이용될 수 있음을 유념해둔다. 예를 들어, 다른 적절한 다중축 입력장치들에는 조이스틱 등과 같은 기계장치 및/또는 터치 패드, 트랙 패드 등과 같은 비기계식 장치 및/또는 광 센서 또는 압전 결정(piezoelectric crystal)의 사용 등을 통해서 다른 형태로 움직임 또는 입력을 검출하는 다른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트랙 볼(32)은 하우징(6)에 대하여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하우징(6)에 대하여 소정의 회전 거리를 갖는 트랙 볼(32)의 회전은 프로세서 장치(16)에게 입력을 제공해주며, 이러한 입력은 예컨대, 네비게이션 입력, 스크롤링 입력, 선택 입력, 및 기타 입력으로서 루틴(44)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랙 볼(32)은 수직 스크롤링 입력, 네비게이션 입력, 선택 입력, 또는 기타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평축(34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트랙 볼(32)은 수평 스크롤링 입력, 네비게이션 입력, 선택 입력, 또는 기타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직축(34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트랙 볼(32)은 하우징(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트랙 볼(32)은 도 1의 지면 내에 놓여 있거나 또는 도 1의 지면 밖으로 뻗쳐있는 임의의 다른 축(본 도면에서는 명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회전가능하다.
트랙 볼(32)은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의 입력을 모두 제공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방향으로 또는 복수의 축에 대하여 스크롤링 입력, 네비게이션 입력, 선택 입력, 또는 기타 입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중축 입력장치라고 불리워질 수 있다. 트랙 볼(32)은 휴대형 전자장치(4)상에서 이용될 수 있는 수많은 다중축 입력장치들 가운데에 단지 하나임을 반복하여 말해둔다. 따라서, 조이스틱과 같은 트랙 볼(32)에 대한 기계적 대체물은 하우징(6)에 대하여 제한된 회전을 가질 수 있고, 비기계적 대체물은 하우징(6)에 대하여 움직일 수 없을 수도 있지만, 이들은 복수의 방향으로의 입력 및/또는 복수의 축을 따르는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트랙 볼(32)은 추가적인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우징(6)을 향하여, 즉 도 1의 지면 속으로 추가적으로 병진이동될 수 있다. 트랙 볼(32)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트랙 볼(32)을 누르는 것과 같이, 하우징(6)을 향한 방향으로 트랙 볼(32)에 대해 작동힘을 가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병진이동될 수 있다. 제시된 형태의 트랙 볼(32)의 병진이동의 결과로서 프로세서 장치(16)에게 제공되는 입력은 예를 들어, 선택 입력, 딜리미터(delimiter) 입력, 또는 기타 입력으로서 루틴(44)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사전(42)은 중국어 사전이며, 이것은 하나 이상의 표준 만다린 문자들로 각각 구성된 중국어 단어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문자테이블(45)은 한어 병음 문자테이블이며, 이것은 중국어 핀 및, 각 핀과 연계되고, 핀에 대응하는 다양한 표준 만다린 문자의 형태인 복수의 언어 객체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본 예시에서 각각의 언어 객체, 즉 핀들은 키패 드(24)의 키들(28)에 할당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언어 요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청구되는 발명사상에 따르면, 휴대형 전자장치(4)와 변환 알고리즘(44)은 라틴 글자로 구성되고 키패드(24)를 이용하여 입력된 모호한 텍스트 입력이, 본 예시에서, 중국어 텍스트이며 표준 만다린 문자, 즉 문자 해석을 포함하는 문자 해석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유리하게 만들어준다. 그러므로 텍스트 변환 알고리즘 루틴(44)은 많은 키들(28) 각각에 할당된 복수의 상이한 라틴 글자들을 갖는 축소된 QWERTY 키패드(24)를 이용하여 한어 병음 입력에 부여된 추가적 모호성 레벨의 해결이 유리하게 가능해지도록 해준다.
이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휴대형 전자장치(4)상의 변환 알고리즘(44)은 GUI(44)와 결합하여 다수 유형의 정보를 동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모호한 텍스트 입력의 제안된 문자 해석 출력이 유리하게 가능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변환 알고리즘(44)은 예컨대 축소된 키패드(24)를 이용한 라틴 글자 입력에서 내재하는 추가적인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중국어 텍스트 표음 입력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GUI는 출력으로서 텍스트 입력부(46)와 검색부(48)를 유리하게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텍스트 입력부(46)에는 도 4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24)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는 언어 객체열, 즉 라틴 글자로 씌여진 핀들이 포함되거나, 또는 도 6 및 도 9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표준 만다린 문자로 구성된 중국어 단어의 형태와 같은 입력의 문자 해석이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도 9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몇몇의 환경에서는, 텍스트 입력부(46)에서의 핀 일부가 텍스트 입력부(46)의 단어 일부(76)를 형성하기 위하여 표준 만다린 문자를 포함하는 중국어 단어로 교체된다. 중국어 단어로 변환되지 않은 텍스트 입력부(46)에서의 핀 열의 임의의 나머지 부분은, 라틴 글자로 구성되고 텍스트 입력부(46)의 핀 부분(80)을 형성하는 핀들 또는 핀 부분들 또는 이 양쪽 모두로서 남게 된다.
검색부(48)는 텍스트 입력부(46)와 다른 위치에서 디스플레이(18) 상에서 출력되는 검색창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검색부(48)는 핀 영역(52)과 텍스트 영역(56)을 유리하게 포함한다. 몇몇 환경에서, 핀 영역(52)은 텍스트 입력부(46)에서 출력되는 핀들 중의 하나를 디폴트 핀(60)으로서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디폴트 핀(60)에 대한 대체물로서의 하나 이상의 선택가능 변형 핀들(64)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환경에서, 텍스트 영역(56)은 텍스트 입력부(46)에서의 출력의 핀 부분의 적어도 서두 부분에 대한 디폴트 문자 해석(68)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적절한 경우, 동일한 서두 부분 또는 핀 부분(80)의 상이한 서두 부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변형 문자 해석(72)을 포함한다.
사용자로 하여금 모호한 텍스트 입력을 타이핑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려던 특정 핀 및/또는 문자 해석을 분명하게 표시하도록 하기 위하여, 검색부(48)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객체들, 즉 예컨대, 디폴트 핀(60)과 변형 핀(64) 그리고 디폴트 문자 해석(68)과 변형 문자 해석(72)들은 모두 텍스트 입력 동안에 사용자에 의해 유리하게 선택가능해진다. 텍스트 입력부(46)와 검색부(48)의 내용은 키패드(24)로부터의 모호한 텍스트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변환 알고리즘(44)에 의해 적어도 초기에 생성된다.
변환 알고리즘(44)의 동작은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와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본 방법은 단계 104에서와 같이, 입력부재 작동의 검출, 즉 자체 할당된 복수의 언어 요소를 갖는 입력부재의 작동으로 시작된다. 이에 응답하여, 단계 108에서, GUI(44)는 텍스트 입력 위치, 즉 텍스트 입력부(46)가 디스플레이되는 곳에서 언어 요소를 출력한다. 또한, 임의의 언어 객체, 즉, 단계 108에서의 입력부재 작동에 대응하는 핀들, 및 표준 만다린 문자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이 검색창의 검색부(48)에서 출력된다. 이 경우, 단일 라틴 글자로 이루어진 핀은 거의 없음을 이해한다. 이에 따라, 단계 104에서의 첫번째 입력부재 작동에 대한 응답으로 검색부(48)에서 사실상 어떠한 출력도 제공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단계 104에서 작동되었던 입력부재에 할당된 언어 요소는 모호한 텍스트 입력동안에 구성되고 사용되는 복수의 언어 요소 치환의 서두부분 언어 요소로서 사용된다. 단계 116에서 두번째 입력부재 작동이 검출되고, 단계 120에서 작동된 입력부재에 할당된 언어 요소가 각각의 활성 언어 요소 치환에 부가된다. 각각의 언어 요소 치환은 각 입력부재 작동에 대한 라틴 글자열, 하나의 라틴 글자를 포함하며, 이것은 모호한 텍스트 입력의 일련의 입력부재 작동의 글자 치환이다.
그런 후, 단계 124에서, 변환 알고리즘(44)을 통해 각각의 언어 요소 치환이 프로세싱되어 언어 객체열, 즉 핀들 및 표준 만다린 문자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열이 획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환 알고리즘(44)은 라틴 표음 입력을 본 예시에서의 중국어와 같은 다른 언어로 변환해주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최대 정합 알고리즘 및/또는 기타 적절한 알고리즘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언어 요소 치환을 위한 획득된 언어 객체열은 핀 열로의 라틴 글자열의 언어 요소 치환의 분획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성할 것임을 유념해둔다. 결과적인 단어열은 핀열에 대응하는 표준 만다린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중국어 단어를 포함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환 알고리즘(44)은 임의의 주어진 언어 요소 치환에 대하여 획득된 언어 객체열, 핀열에 대응하고 일반적으로 최소량의 중국어 단어를 포함하는 중국어 단어열을 생성할 것이다. 여기서, 일부 중국어 단어들은 표준 만다린 문자에 의해 각각 표현되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다시 반복하여 말해둔다. 그러므로 임의의 주어진 언어 요소 치환에 대하여 생성된 단어열은 주어진 양의 핀에 대응하는 최소 갯수의 중국어 단어들을 구성할 것이거나 또는 최대 갯수의 핀들 및 이에 따른 표준 만다린 문자들을 포함하는 주어진 량의 중국어 단어열을 포함할 것이거나 또는 이 둘 모두일 수 있다.
몇몇의 언어 요소 치환은 무효화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시된다. 즉, 상술한 다양한 언어 요소 치환은 일부 언어 요소 치환이 한어 병음 입력 방식에서 무효화될 수 있기 때문에 모호한 텍스트 입력의 언어 요소의 모든 가능할 수 있는 치환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호한 텍스트 입력의 첫번째 두 개의 입력부재 작동이 <AS> <AS> 키 시퀀스라면, 이 경우에서의 다양한 글자 치환은 "AA", "AS", "SA" 및 "SS"일 것이다. 글자 치환 "SS"는 한어 병음 입력열의 두 개의 서두 글자가 될 수 없기 때문에 한어 병음에서 무효화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즉, 어떠한 핀도 "SS" 또는 "S"에 대응되지 않으며, 어떠한 핀도 "SS"로 시작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SS"로 시작하는 언어 요소 치환은 두번째 입력부재 작동시에 무시될 것이며, 추가적인 입력부재 작동에 대해 어떠한 커다란 언어 요소 치환도 "SS" 언어 요소 치환에 관하여 구성되지 않을 것이다. 언어 요소 치환이 중국어 핀으로의 변경이 유효화될 수 없는 라틴 글자 "DDD"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와 같이 언어 요소 치환의 일부가 무효화되는 것으로 간주되면, 구성되는 언어 요소 치환은 임의의 시점에서 무효화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시된다. 이와 같은 무효화된 언어 요소 치환의 무시처리는 유효한 문자 해석을 이끌어낼 수 없는 언어 가능성을 무시함으로써 프로세서의 수고를 유리하게 덜어준다.
무효화 결정은 일반적으로 변환 알고리즘(44)의 사용을 통해서 발생된다. 이에 따라, 단계 124에서, 변환 알고리즘(44)을 통해서 현존하는 각각의 언어 요소 치환이 프로세싱되면, 단계 128에서 변환 알고리즘(44)에 의해 무효화되는 것으로 결정된 임의의 언어 요소 치환은 폐기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사상에 따르면, 그 후 변환 알고리즘(44)은 단계 124에서 생성되었던 다양한 언어 요소 치환의 단어열들을 비교하고, 단계 132에서, 단어 열들에서 최소량의 단어들을 갖는 언어 요소 치환 또는 치환들을 식별한다. 즉, 단계 132에서, 변환 알고리즘(44)은 생성된 단어열에서의 중국어 단어량이 다른 언어 요소 치환에 대하여 생성되었던 다른 단어열에서의 단어량보다 적은 언어 요소 치환을 식별한다. 하지만, 복수의 언어 요소 치환들이 단어 열에서 동일한 최소량의 중국어 단어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단계 136에서, 변환 알고리즘(44)이 최소 단어들을 각각 갖는 복수의 언어 요소 치환을 식별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136에서, 최소 단어들을 갖는 언어 요소 치환이 오직 하나 식별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싱은 출력이 생성되어 텍스트 입력부(46)와 검색부(48)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140으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140에서, GUI(44)는 언어 객체, 즉 식별된 언어 요소 치환 핀들의 분획된 열을 텍스트 입력부(46)에서 출력한다. 추가로, GUI(44)는,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텍스트 입력부(46)에서 출력되었던 핀 시퀀스의 말단 핀인 디폴트 핀(60)을 검색부(48)에서의 검색창에서 출력한다. 하나 이상의 변형 핀들(64)뿐만이 아니라 디폴트 핀(60)이 존재하면 이들은 검색부(48)의 핀 영역(52)에서 출력된다. 추가적으로, GUI(44)는 검색부(48)의 검색창의 텍스트 영역(56)에서 표준 만다린 문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국어 단어를 포함하는 디폴트 문자 해석(68)을 출력하고, 또한 하나 이상의 변형 문자 해석(72)이 존재하는 경우 이것도 출력한다. 예시적인 출력이 도 4에서 도시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반면에, 만약, 단계 136에서 복수의 언어 요소들이 최소 중국어 단어들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싱은 단계 144로 진행하여 각각의 언어 요소 치환마다, 변환 알고리즘(44)은 언어 요소 치환의 문자 해석의 각 단어와 연계된 빈도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빈도 데이터는 예컨대, 사전(42)에 이미 저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42)은 복수의 단어들(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표준 만다린 문자를 각각 포함하는 중국어 단어이다)을 포함한다. 사전(42)은 추가적으로 빈도값을 각각 갖는 복수의 빈도 객체를 포함한다. 사전(42)에서의 각 단어들은 하나의 빈도 객체와 연계되어 있다. 연계된 빈도 객체의 빈도값은 중국어 내에서의 중국어 단어의 상대적인 사용빈도를 반영한다.
그러므로 단계 144에서, 변환 알고리즘(44)은 사전(42)으로부터 단어열에서의 단어와 연계된 빈도 객체의 빈도값을 획득하고, 빈도값들을 합산하고, 합산된 빈도값을 특정 언어 요소 치환에 귀속시킨다. 그런 후, 다양한 언어 요소 치환의 빈도값 합산은 다른 빈도값 합산과 비교되고, 단계 148에서 변환 알고리즘은 최대 빈도값 합산이 귀속된 언어 요소 치환을 식별한다. 이에 따라, 단계 148에서, 동일한 최소량의 중국어 단어들을 갖는 다른 언어 요소 치환과 비교될 때에 최소량의 중국어 단어들과 최대 총합 빈도값을 갖는 언어 요소 치환이 식별되는 결과를 볼 수 있게 된다. 그 후 프로세싱은 단계 140으로 진행하여 단계 148에서 식별된 언어 요소 치환이 텍스트 입력부(46)에서 출력되고 대응하는 검색부(48)가 생성되며 상기와 유사하게 출력된다.
단계 140에서 일단 출력이 생성되면, 프로세싱은 단계 116으로 진행하여 추가적인 입력부재 작동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폐기되지 않은 임의의 언어 요소 치환은 입력부재가 작동됨에 따라 점차 각 입력부재의 다양한 언어 요소들로 축적된다. 예를 들어, 만약 <BN> 키(28)와 같은 입력부재의 작동시에 8개의 언어 요소 치환들이 남게 되면, 변환 알고리즘(44)은 16개의 언어 요소 치환을 생성할 것이다. 즉 총 16개의 새로운 언어 요소 치환에서 나머지 8개의 모든 언어 요소 치환들은 글자 "B"와 "N"을 분리하여 자신들에게 부속시킬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모든 16개의 언어 요소 치환들은 단계 124에서 변환 알고리즘(44)을 거쳐서 분획된 언어 객체열 및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열을 생성할 것이다. 단계 128에서, 무효화되는 것으로 결정된 임의의 언어 요소 치환은 무시될 것이다.
예시적인 텍스트 입력 동작의 예시적 출력들이 도 4 내지 도 9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4는 모호한 텍스트 입력 <DF> <AS> <JK> <UI> <AS>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예시적 출력을 도시한다. 이러한 텍스트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변환 알고리즘(44)과 GUI(44)는 두 개의 핀 "DA"와 "JIA"을 포함하면서 이 두 개의 핀들 사이에 아포스트로피에 의해 나타나는 분획을 갖는 "DA'JIA" 핀열을 텍스트 입력부(46)에서 출력한다. 텍스트 입력부(46)에서 출력된 언어 객체의 열, 즉 핀 열의 말단 핀 "JIA"는 이와 마찬가지로 검색부(48)의 핀 영역(52)에서의 디폴트 핀(60)으로서의 출력임을 볼 수 있다. 또한, 핀 영역(52)에서 나열된 것들은 "JU", "JUA", "JI", "KUA" 및 "KU"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변형 핀들이다. 텍스트 입력부(46)로 되돌아가서, 핀 시퀀스내의 "JIA"에는 표시기(284)가 적용되어 있는데, 이 표시기(284)는 텍스트 입력부(46)의 "JIA"핀이 검색부(48)의 핀 영역(52)의 주체임을 표시한다. 핀 영역(52) 자체에서, 디폴트 핀(60)에는 하이라이트 표시(288)가 적용되어 있는데, 이 하이라이트 표시(288)는 디폴트 핀(60)이 프로세서 장치(16)의 선택 포커스 주체임을 표시하며, 이것은 트랙 볼(32)을 통해 또는 이와 달리 수신된 입력이 프로세서 장치(16)에 의해 디폴트 핀(60)과 관련하여 해석될 것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만약 하이라이트 표시(288)가 핀, 즉 도 4에서 디폴트 핀(60)에 적용되면, 핀은 최종화될 것이고, 즉 사용자에 의해 확정적으로 선택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 변경들은 도 5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 하이라이트 표시(288)가 디폴트 문자 해석(68)에 적용되고, 표시기(284)는 전체 핀 열 "DA'JIA"을 표시한다. 표시기(284)는 검색부(48)의 주체를 표시하기 때문에, 텍스트 입력부(46)에서의 전체 핀 열에 대한 표시기(284)의 적용은 전체 핀 열이 도 5에서의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 즉, 디폴트 문자 해석(68)이 되는 검색부(48)에서의 디스플레이되는 객체에 대응됨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준다.
디폴트 문자 해석(68)은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이기 때문에, 디폴트 문자 해석(68)은 최종화될 수 있는데, 즉 사용자에 의한 트랙 볼(32)의 병진이동, 즉 트랙 볼(32)의 누름 또는 클릭, <ENTER> 키 작동, 또는 일부 기타 소정의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확정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5의 디폴트 문자 해석(68)을 선택하는 경우, 출력은 도 6의 출력으로 변경되는데, 여기서는 검색부(48)가 제거되고, 텍스트 입력부(46)에서 출력되었던 핀 열 및 이에 대응하는 디폴트 문자 해석(68)이 디폴트 문자 해석(68)으로 교체된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디폴트 문자 해석(68)이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일 때에, 검색부(48)의 핀 영역(52)은 디폴트 핀(60)으로서의 핀 "DA"와 변형 핀(64)으로서의 핀 "FA"를 제공함을 볼 수 있다. 디폴트 문자 해석(68)은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이고, 이에 따라 디폴트 문자 해석(68)은 사용자에 의한 트랙 볼(32)의 클릭에 의해 최종화될 수 있기 때문에, 핀 영역(52)은 이 경우에서 사용자에게 편집 동작을 수행할 기회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디폴트 핀(60) "DA"는 또한, 검색부(48)에서의 핀 시퀀스에서 첫번째, 즉 가장 왼쪽의 핀임을 볼 수 있다. 도 4에서 봤던 바와 같이, 언어 입력부재의 타이핑 동안에 검색부(48)의 핀 영역(52)은 일반적으로 디폴트 핀(60) 및 변형 핀(64)으로서 현재 기입되는 핀, 즉 최종핀과 그 변형체를 제공한다. 하지만,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자 해석이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최종화될 수 있는 경우, 시스템은 텍스트 입력부(46)의 핀 시퀀스의 서두부분 핀을 편집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것을 출력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출력으로부터, 사용자가 트랙 볼(32)로 윗방향 스크롤링 입력, 즉 윗방향 이동 입력을 기입하면, 디폴트 핀(60) "DA" 는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가 될 것이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 장치(16)의 선택 포커스가 될 것이다. 텍스트 영역(56)이 이미 핀 시퀀스 "DA'JIA"의 문자 해석을 디스플레이하고 있기 때문에 디폴트 핀(60)의 확정적인 선택은 검색부(48)의 텍스트 영역(56)의 내용을 변경시키지 않을 것이고, 디폴트 핀(60) "DA"의 선택은 핀 시퀀스 또는 이의 문자 해석을 변경시키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만약 사용자가 트랙 볼(32)로 오른쪽 방향의 스크롤링 입력, 즉 오른쪽으로의 이동 입력을 기입하면, 변형 핀(64) "FA"가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가 될 것이고, 그 결과 텍스트 영역(56)의 내용은 업데이트되어 텍스트 입력 위치(46)에서의 핀 열의 서두부분 핀으로서의 변형 핀(64) "FA"의 선택을 반영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만약 도 4에서 사용자가 오른쪽방향의 스크롤링 입력을 기입하면, 출력은 일반적으로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하이라이트 표시(288) 및 이에 따라 선택 포커스가 디폴트 핀(60) "JIA"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트랙 볼(32)을 통한 단 한번의 오른쪽방향 스크롤링은 변형 핀(64) "JU"이 하이라이트 표시(288) 및 선택 포커스의 주체가 되도록 할 것이다. 여기서, 모든 변형 핀(64)이 디폴트 핀(60), 즉 디폴트 핀(60) "JIA"와 동일한 갯수의 문자들을 갖는 것이 아님을 볼 수 있는데, 즉 디폴트 핀(60) "JIA"는 세 개의 문자들을 갖는 반면에 일부 변형 핀(64)은 세 개의 문자를 갖고 다른 변형 핀(64)은 두 개의 문자를 갖는다. 이것은 현 입력방법에 내재하는 모호성을 반영한다. 텍스트 입력부(46)에서 출력되는 핀 시퀀스를 초래하도록 생성되었던 언어 요소 치환은 또한, 최종 세 개의 입력부재 작동이 개별적인 자체 핀일 수 있거나 또는 보다 긴 핀의 서두부분 글자일 수 있는 문자 "A" 뒤에 오는 비교적 짧은 핀 "JU"을 언급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7에서 변형 핀(64) "JU"가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이기 때문에, 도 7에서의 표시기(284)는 텍스트 입력부(46)에서의 동일 문자 "JU"가 검색부(48)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7에서 추가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랙 볼(32)로부터의 오른쪽방향의 스크롤링 입력은 변형 핀(64) "JU"가 선택 포커스의 주체가 되도록 할뿐만이 아니라, 검색부(48)의 텍스트 영역(56)이 임시적으로 변경된 핀 시퀀스를 반영하도록 변경되게끔 해준다. 즉, 도 4에서 텍스트 입력부(46)에서 출력되었던 핀 시퀀스는 "DA'JIN", 즉 "DA"핀과 이에 뒤따르는 "JIA" 핀이였다. 도 7에서, 트랙 볼(32)을 통한 오른쪽방향으로의 스크롤은 변형 핀(64) "JU"가 하이라이트 표시(288) 및 선택 포커스의 주체가 되도록 하고, 또한 텍스트 입력부(46)에서 출력되는 핀 시퀀스가 적어도 임시적으로 핀 "DA"와 이에 따르는 핀 "JU", 그리고 그 뒤를 핀 "A", 또는 "A" 글자로 시작하는 핀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결과를 낳게 한다.
만약 도 7에서 사용자가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인 핀 "JU"를 확정적으로 선택하면, 출력은 도 8에서의 출력이 되도록 변경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텍스트 입력부(46)에서의 출력의 서두 부분은 표시기(284)의 주체, 즉 핀 시퀀스 "DA'JU", 즉 핀 "DA"와 그 뒤를 따르는 핀 "JU"이다. 도 8에서의 디폴트 문자 해석은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 및 이에 따라 선택 포커스이다.
만약 도 8에서 사용자가 트랙 볼(32)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클릭하는 것을 통해서 디폴트 문자 해석(68)을 확정적으로 선택하면, 출력은 도 9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표시기(284)의 주체인 텍스트 입력부(46)에서의 핀 시퀀스 부분은 도 8의 디폴트 문자 해석(68)으로 교체될 것이고, 이에 따라 텍스트 영역(56)에서 디폴트 문자 해석(68) 및 변형 문자 해석(72)에 의해 표시된 핀 자체인 글자 "A"를 포함하는 핀부분(80) 및 디폴트 문자 해석(68)이었던 것을 포함하는 단어부분(76)을 텍스트 입력부(46)에서 형성할 것이다. 도 9는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가 되는 핀(60) "A"를 도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트랙 볼(32)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트랙 볼(32)을 통해 아랫쪽방향으로의 스크롤링 입력을 기입하면, 단일 문자 디폴트 문자 해석(68)이 하이라이트 표시(288)의 주체가 될 것이다. 트랙 볼(32)의 클릭은 디폴트 문자 해석(68)을 확정적으로 선택할 것이고, 표시기(284)의 주체이며 핀부분(80)인 핀 "A"를 대신하여 이것을 텍스트 입력부(46)에 출력할 것이다.
검색부(48)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객체들은 트랙 볼(32)의 작동, 즉 병진이동 및/또는 트랙 볼(32)로부터의 스크롤링 입력, 즉 이동 입력 또는 네비게이션 입력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확정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선택가능 객체들임을 이해할 수 있다. 변환 알고리즘(44)이 사용자를 위한 모호한 라틴 문자 텍스트 입력의 최적의 해석 제안을 생성하고 출력하면서, 이와 더불어 검색부(48)의 핀 영역(52)과 텍스트 영역(56)은 사용자로 하여금 대체 핀 및/또는 대체 문자 해석을 단일의 입력부재, 즉 다중축 트랙볼(32)의 사용을 통해 하나의 위치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유리하게 만든다.
추가적인 장점들이 다중축 입력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 상에서 가시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홈 스크린 출력이 도 10에서 도시되며, 여기에는 복수의 아이콘(1062)이 포함되는데, 이 복수의 아이콘(1062)은, 예컨대, 아이콘(1062)에 의해 나타나는 루틴(44)의 프로세서 장치(16)상에서의 수행을 개시하려는 목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트랙 볼(32)은 예컨대, 아이콘(1062) 중에서의 네비게이션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은 파선 표시기(1066A)를 통해 표시되는 아이콘(1062A)으로부터, 파선 표시기(1066B)를 통해 표시되는 아이콘(1062B)을 거쳐, 표시기(1066C)를 통해 표시되는 아이콘(1062C)까지의 표시기(1066)의 이동을 도시한다. 표시기(1066A, 1066B, 1066C)는 디스플레이(18) 상에서 반드시 동시에 도시되는 것으로 의도한 것은 아니고, 다만 일련의 상황을 종합하여 도시하고 아이콘(1062) 간의 표시기(1066)의 이동을 표시하려고 한 것임을 이해바란다.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서 표시기(1066)의 특정 위치는 사용자에게 예컨대, 휴대형 전자장치(4)의 선택 포커스의 주체인 특정 아이콘(1062)을 표시해준다. 아이콘(1062) 또는 기타 선택가능 객체가 선택 포커스의 주체일 때마다, 프로세서 장치(16)로의 선택 입력은 아이콘(1062) 또는 기타 선택가능 객체에 의해 나타나는 루틴(44) 또는 기타 기능의 수행 또는 개시를 야기시킬 것이다.
표시기(1066A)를 통해 표시되는 아이콘(1062A)으로부터, 표시기(1066B)를 통해 표시되는 아이콘(1062B)까지의 표시기(1066)의 이동은 트랙 볼(32)을 수직축(34B)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수평 네비게이션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회전 거리를 갖는 트랙 볼(32)의 회전은 프로세서 장치(16)로의 입력을 야기시킨다. 본 예시에서, 아이콘(1062B)이 아이콘(1062A) 우측으로 세 개의 아이콘(1062)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트랙 볼(32)은 수직축(34B)에 대하여 소정 회전 거리의 세 배와 동일한 회전 거리만큼 회전되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트랙 볼(32)의 회전은 사용자에 의한 단일 동작으로 이루어졌을 것이지만, 이러한 경우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와 유사하게, 표시기(1066B)에 의해 표시되는 아이콘(1062B)으로부터, 표시기(1066C)에 의해 표시되는 아이콘(1062C)까지의 표시기(1066)의 이동은 트랙 볼(32)을 수평축(34A)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수직 네비게이션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아이콘(1062C)이 아이콘(1062B) 아래로 두 개의 아 이콘(1062)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트랙 볼(32)은 소정 회전 거리의 두 배와 동일한 회전 거리만큼 회전되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트랙 볼(32)의 회전은 사용자에 의한 단일 동작으로 이루어졌을 것이지만, 이러한 경우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트랙 볼(32)은 프로세서 장치(16)에게 다양한 네비게이션 입력과 기타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트랙 볼(32)에 의한 회전식 입력은 일반적으로 휴대형 전자장치(4)상에서 구동중인 루틴(44)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는 입력으로서 이 루틴(44)에 의해 해석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휴대형 전자장치(4)상에서 구동중인 GUI(44)는 표시기(1066), 및 이에 따른 선택 포커스를 아이콘들(1062)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직 및 수평 네비게이션 입력을 요구한다. 만약 사용자가 수평축(34A)과 수직축(34B)에 대하여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트랙 볼(32)을 회전시키면, GUI(44)는 상기 트랙 볼(32)의 경사진 회전을 GUI(44)에 의해 수직 및 수평 네비게이션 이동으로서 각각 해석될 수 있는 수직 및 수평 성분으로 분해할 것이다. 이 경우, 예컨대, 분해된 수직 및 수평 네비게이션 이동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보다 크기가 큰 경우, 표시기(1066)와 선택 포커스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큰 크기를 갖는 분해된 네비게이션 이동이 GUI(44)에 의해 해당 방향의 네이게이션 입력으로서 이용될 것이고, 나머지 다른 분해된 네비게이션 이동은 GUI(44)에 의해 무시될 것이다.
표시기(1066)가 표시기(1066C)에 의해 표시되는 아이콘(1062C)상에 배치되면, 휴대형 전자장치(4)의 선택 포커스는 아이콘(1062C)에 있는 것이다. 이에 따 라,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6) 방향으로의 트랙 볼(32)의 병진이동은 GUI(44)에 의해 아이콘(1062C)에 대한 선택 입력으로서 해석되는 입력을 프로세서 장치(16)에게 제공할 것이다. 상기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장치(16)는, 예컨대 아이콘(1062C)에 의해 나타나는 루틴(44)의 실행을 시작할 것이다. 따라서, 휴대형 전자장치(4)상에서 현재 구동중인 루틴(44)이 상기 복수의 방향의 네비게이션 입력 또는 기타 입력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트랙 볼(32)은 다수 방향의 네비게이션 입력 및 기타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선택 입력 또는 기타 입력을 제공하도록 병진이동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은 논리 메뉴 트리구조내의 사용자의 현재 논리 위치가 이메일 루틴(44) 내의 이메일 보기인 경우에 적합한 예시적인 메뉴(1035A)를 도시한다. 즉, 메뉴(1035A)는 예컨대 사용자가 이메일 루틴(44)내의 이메일을 보는 경우에 사용자를 위해 적합한 선택가능 옵션을 제공한다. 이와 유사한 형태로, 도 12는 논리 메뉴 트리구조내의 사용자의 현재 논리 위치가 전화 루틴(44) 내에 있는 경우에 도시되는 다른 예시적인 메뉴(1035B)를 도시한다.
트랙 볼(32)로부터의 회전식 이동 입력은 예컨대 메뉴(1035A)와 메뉴(1035B) 사이를 네비게이팅하는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MENU> 키(33)의 작동 및 GUI(44)에 의한 결과적인 메뉴의 출력 이후에,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트랙 볼(32)을 회전시켜서 메뉴 내의 다양한 선택가능 옵션들을 계속적으로 하이라이트시킬 수 있다. 희망하는 선택가능 옵션이 하이라이트되면, 즉 선택 포커스의 주체가 되면, 사용자는 하이라이트된 선택가능 옵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우징(6) 방향으로 트랙 볼(32)을 병진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MENU> 키(33)는 트랙 볼(32)에 인접하여 유리하게 배치됨을 유념해둔다. 이것은, 예컨대, <MENU> 키(33) 작동에 의한 메뉴 생성 이후, 희망하는 선택가능 옵션을 하이라이트하기 위하여 트랙 볼(32)을 회전시키고, 그런 다음 예컨대, 하우징(6) 방향으로의 트랙 볼(32)을 병진이동시켜서 하이라이트된 선택 옵션에 의해 나타나는 작동을 개시하기 위한 선택 입력을 제공하는 것을 편리하게 해준다.
트랙 볼(32)의 병진이동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추가적인 입력 중 하나는 GUI(44)로 하여금 축소된 메뉴를 출력시키도록 하는 입력임을 또한 유념해둔다. 예를 들어, 하우징(6) 방향으로의 트랙 볼(32)의 병진이동은 <MENU> 키(33)가 대신 작동되었을 경우에 생성되었을 메뉴 보다 더 한정된 메뉴 버젼의 생성과 출력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축소된 메뉴는 논리 메뉴 트리구조내의 사용자의 현재 논리 위치에 적합할 것이고, 사용자가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선택가능 옵션들을 제공할 것이다. 트랙 볼(32)의 회전 이동은 축소된 메뉴(1035C) 내의 선택가능 옵션들 사이를 스크롤하기 위한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트랙 볼(32)의 병진이동은 축소된 메뉴(1035C) 내에서 현재 하이라이트되는 선택가능 옵션에 의해 나타나는 기능을 개시하기 위한 선택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메뉴(1035A)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MENU> 키(33)를 작동하는 것 대신으로 트랙 볼(32)을 병진이동시키면, GUI(44)는 도 13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축소된 메뉴(1035C)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생성하여 출력시킬 것이다. 예시적인 축소 메뉴(1035C)는 사용자가 선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복수의 선택가능 옵션들을 선택가능 옵션으로서 메뉴(1035A)로부터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 루틴 기능을 수행하려고 하는 사용자는 풀 메뉴(1035A)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MENU> 키(33)를 작동시키는 것 대신에, 트랙 볼(32)을 병진이동시켜서 축소된 메뉴(1035C)를 생성하여 출력시킨다. 그런 후, 사용자는 편리하게 트랙 볼(32)을 회전시켜서 희망하는 선택가능 옵션을 하이라이트하기 위한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그 후, 트랙 볼(32)을 병진이동시켜서 축소 메뉴(1035C)에서 현재 하이라이트된 선택가능 옵션에 의해 나타나는 기능을 개시하는 선택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MENU> 키(33)의 작동의 결과로서 생성될 수 있는 많은 메뉴들이 이를 대신으로 하우징(6) 방향으로의 트랙 볼(32)의 병진이동에 응답하여 축소 형태로 축소된 메뉴로서 생성되고 출력될 수 있다. 하지만, <MENU> 키(33)의 작동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풀 메뉴 각각에 축소된 메뉴가 이용되지 않을 수 있음을 유념해둔다. 논리 메뉴 트리구조내의 사용자 특정 논리 위치에 따라, 트랙 볼(32)의 병진이동은 축소 메뉴를 추구하는 입력이라기 보다는 선택 입력으로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된 홈 스크린상에서의 트랙 볼(32)의 병진이동은 입력 포커스의 주체가 되는 아이콘(1062)에 대한 선택 입력을 야기시킬 것이다. 만약 <MENU> 키(33)가 홈 스크린상에서 작동되었다면, GUI(44)는 홈 스크린상에서 아이콘(1062)에 의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기능들을 포함하여, 휴대형 전자장치(4)상에서 이용될 수 있는 모든 기능들의 풀 메뉴와 같은 홈 스크린에 적합한 메뉴를 출력할 것이다.
도 14는 예컨대, 텍스트 기입 동작 또는 텍스트 편집 동작 동안에 디스플레이(18) 상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텍스트를 도시한다. 도 14에서 표시기(1066)는 초기에 표시기(1066D)를 통해 표시되는 글자 "L" 에 걸쳐있고, 표시기(1066E)에 의해 표시되는 글자 "I" 로 수평 이동한 후, 표시기(1066F)에 의해 표시되는 글자 "W" 로 수직 이동하는 것이 도시된다. 도 10에서와 유사한 형태로, 커서(1066)는 트랙 볼(32)의 회전으로부터 야기되는 수평 및 수직 네비게이션 입력의 사용을 통해서 글자 "L", "I" 및 "W" 사이를 이동하였다. 하지만, 도 14의 예시에서는 소정의 회전 거리를 갖는 트랙 볼(32)의 각각의 회전은 표시기(1066)를 다음 인접 글자로 이동시킬 것이다. 이에 따라, 표시기(1066)를 글자 "L"과 "I"사이에서 이동시킬 때에, 글자 "I"는 글자 "L" 오른쪽으로 아홉개 글자만큼 떨어져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트랙 볼(32)을 수직축(1034B)에 대하여 소정 회전 거리의 아홉배와 동일한 회전 거리만큼 회전시킬 것이다.
도 15는 예컨대, 명확화 루틴(44)을 이용하는 텍스트 기입 동작 동안의 디스플레이(18)상에서의 출력(1064)을 도시한다. 출력(1064)은 텍스트부(1068)와 변형부(1072)를 포함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변형부(1072)는 디폴트 부분(1076)과 변형 부분(1080)을 포함한다. 도 15에서는 아랫방향 수직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평축(34A)에 대한 트랙 볼(32)의 회전으로부터 초래되는 변형체 "HAV" (1080)상의 표시기(1066G)를 도시한다. 이 경우, 소정 회전 거리와 동일한 거리를 갖는 트랙 볼(32)의 회전은,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기(1066)를 디폴트 부분(1076)상에 배치된 위치(본 도면에서는 명시되지 않음)로부터 첫번째 변형체(1080)상에 배치된 위치로 이동시킬 것임을 이해한다. 상기와 같은 트랙 볼(32)의 회전은 첫번째 변형체 "HAV"(1080)를 표시기(1066G)를 통해 하이라이트되도록 야기시키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텍스트부(1068)는 커서(1084A) 바로 앞에 텍스트 "HAV"를 포함한다.
도 16은 디폴트 부분(1076A)과 변형 부분(1080A)을 갖는 대체 변형부(1072A)를 포함하는 대체 출력(1064A)을 도시한다. 변형부(1072A)는 수평으로 배열되는데, 이것은 디폴트 부분(1076A)과 변형 부분(1080A)이 수평으로 인접하면서 배치되며, 사용자가 트랙 볼(32)을 수직축(34B)에 대하여 소정의 회전 거리만큼 회전시키는 것과 같이 수평 스크롤링 입력의 사용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디폴트 부분(1076)과 변형체(1080)가 수직으로 배열되고, 트랙 볼(32)을 이용한 사용자의 수직 스크롤링 입력을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도 15의 변형부(1072)와 대비된다.
이 경우, 트랙 볼(32)은 출력(1064)과 관련되어 이용되는 수직 스크롤링 입력뿐만이 아니라 출력(1064A)과 관련되어 이용되는 수평 스크롤링 입력 모두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확화 루틴(44)은 잠재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수직 배열 변형부(1072)와 수평 배열 변형부(1072A)사이의 선택에 의해 자신의 동작을 사용자 맞춤화하도록 해줄 수 있다. 트랙 볼(32)은 필요에 따라 수직 방향 및/또는 수평 방향의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변형부(1072) 또는 변형부(1072A) 중 어느 것을 선택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적절한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즉, 트랙 볼(32)은 변형부(1072)와 관련되어 이용되는 수직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평축(34A)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또한 변형부(1064A)와 관련되어 이용되는 수평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직축(34B)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랙 볼(32)은 임의의 시점에서 휴대형 전자장치(4)상에서 구동중인 루틴(44)의 필요성에 따라 적절한 네비게이션, 스크롤링, 선택 및 기타 입력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트랙 볼(32)은 상기 네비게이션, 스크롤링, 선택 및 기타 입력이, 디스플레이(18)상에서 표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은, 구동중인 루틴(44)에 적절한 방향으로의 트랙 볼(32)의 회전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직관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6으로부터, 변형부(1072A)는 추가적으로 명확화 루틴(44)이 모호한 텍스트 입력을 해석할 때의 언어를 표시하는 값(1081)을 포함하는 것을 또한 볼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예시에서, 언어는 영어이다.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값(1081)은 사용자에 의해 대체 값들(1085)의 리스트(1083)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대체 값들(1085)은 명확화 루틴(44)이 모호한 입력을 해석할 때의 선택가능 대체 언어들을 나타낸다. 값(1081)의 선택이, 예컨대 사용자가 트랙 볼(32)을 통해 수평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하여 표시기(1066)가 값(1081)에 걸쳐서 배치되도록 하고(본 도면에서는 명시되지 않음), 그 후 트랙 볼(32)을 하우징(6) 방향으로 병진이동시켜 선택 입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었을 것이다.
리스트(1083)에서의 대체 값들(1085)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값(1081)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트랙 볼(32)을 통한 수직 스크롤링 입력은 표시기(1066I)를 대체 값(1085) 중 하나의 값(본 예시에서, 이는 프랑스어를 나타내는 대체 값(1085) "FR"이다) 위에 위치하도록 수직 이동시키는 결과를 낳게 할 수 있다. 대체 값(1085) "FR"은 트랙 볼(32)을 한번 더 작동시키거나, 텍스트 기입을 계속하거나, 또는 기타의 방식 등의 임의의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 및 도 17로부터, 트랙 볼(32)은 예컨대, 수평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하도록 회전될 수 있고, 적절한 경우 추가적으로 수직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하도록 회전될 수 있고, 적절한 경우 추가적으로 선택 입력을 제공하도록 회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8은 데이터 기입 루틴(44)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18)상에서의 다른 예시적인 출력을 도시한다. 도 18에서의 예시적인 출력은 복수의 입력필드(1087)와 대응 설명을 포함한다. 커서(1084D)가 입력필드(1087) 중 하나 내에 배치되면, 이 커서(1084D)는 휴대형 전자장치(4)의 입력 포커스가 해당 입력필드(1087)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낸다. 즉, 텍스트, 숫자, 심볼 등과 같은 데이터가 구동중인 입력필드 즉, 입력 포커스의 주체인 입력필드(1087) 내로 기입될 것이다. 휴대형 전자장치(4)는 어느 입력필드(1087)가 입력 포커스의 주체인지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작동을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트랙 볼(32)로부터의 네비게이션 입력은 커서(1084D), 그리고 이에 따라 입력 포커스로 하여금 다양한 입력필드(1087)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즉 다양한 입력필드(1087) 사이에서 위치이동 하게끔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필드(1087)는 입력필드(1087A, 1087B, 1087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입력필드(1087C)에 배치되고 있는 커서(1084D)를 도시하는데, 이는 입력필드(1087C)가 휴대형 전자장치(4)의 입력 포커스의 주체임을 표시한다. 커서(1084D), 그리고 이에 따라 입력 포커스는 트랙 볼(32)을 통한 윗방향으로의 수직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입력필드(1087C)로부터 이 입력필드(1087C) 위에 근접 배치된 입력필드(1087A)까지 위치이동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즉, 트랙 볼(32)은 수평축(34)에 대하여 소정 회전 거리만큼 회전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커서(1084D), 및 이에 따라 입력 포커스는 트랙 볼(32)을 통한 오른쪽방향으로의 수평 스크롤링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입력필드(1087A)로부터 이 입력필드(1087A) 우측에 근접 배치된 입력필드(1087B)까지 위치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스크롤링 입력은 수직축(34B)에 대하여 소정 회전 거리만큼 트랙 볼을 회전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입력필드(1087) 사이에서 복수 방향의 네비게이션 입력, 스크롤링 입력 및 기타 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트랙 볼(32)은 복수의 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기타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 및/또는 기타 유형의 입력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도 19 및 도 20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사상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2004)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휴대형 전자장치(2004)에는 하우징(2006)과 그 위에 배치된 입력 장치(2008), 출력 장치(2012), 및 프로세서 장치(2016)가 포함된다. 프로세서 장치(2016)는 프로세서(2036) 및 복수의 루틴(2044)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040)를 포함한다. 휴대형 전자장치(4)상에서 또는 이 휴대형 전자장치(4)와 함께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동작 들은 휴대형 전자장치(2004)상에서 또는 이 휴대형 전자장치(2004)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형 전자장치(2004)는 휴대형 전자장치(4)의 모든 특징들을 필수적으로 포함할 것이며, 휴대형 전자장치(4)와 공통되는 휴대형 전자장치(2004)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중복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형 전자장치(2004)는 트랙 볼(32)을 대신으로 비기계식 다중축 입력장치(2032)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를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휴대형 전자장치(4)와 구성 및 기능면에서 사실상 동일하다. 비기계식 다중축 입력장치(2032)는 가상 트랙 볼(2032)의 형태라고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해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각각의 기판은 전극을 포함한다. 전극들은 픽셀의 개구(aperture) 크기를 규정하는 그리드를 형성한다. 전하가 전극에 인가되면, 액정층의 액정분자는 일반적으로 이 두 개의 기판에 수직하게 정렬된다. 출력 장치(2012)의 디스플레이 입력/출력 서브어셈블리(2053)는 전극에 인가된 전하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상에서 이미지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추가적으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는 출력 장치(2059)와 복수의 검출기(2061)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2057)를 포함한다. 검출기(2061)는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너무 작아서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각각의 검출기(2061)는 출력 장치(2059)와 전기통신하며, 작동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검출기(206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배치되며, 터치 스크린 디 스플레이(2055)에 바로 인접한 외부물체,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외부물체는 일반적으로 스타일러스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미도시)이다. 출력 장치(2059) 및/또는 프로세서 장치(2016)는 검출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에 대한 외부물체의 위치를 나타내주는 데이터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2057)가 물리적으로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구성부이지만, 프로세서 장치에게 입력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센서 어셈블리(2057)는 입력 장치(2008)의 논리구성부로 간주될 수 있다.
검출기(2061)는 일반적으로 용량성 검출기, 광학 검출기, 저항 검출기,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전하 그리드와 같은 기계식 검출기이지만, 다른 기술들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는 것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량성 검출기는 외부물체의 전기장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 변동 또는 용량성 검출기의 압축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 변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광학 검출기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에 의해 생성된 빛의 반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기계식 검출기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한쪽에 배치되고 기둥을 갖는 전하 그리드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다른쪽 위치에 배치되고 기둥이 없는 대응 그리드가 포함된다. 상기 구성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가 압축이 되면, 즉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결과로서 압축이 되면, 압축 영역에서의 기둥은 반대편 그리드와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회로를 결성한다.
용량성 검출기는 각 기판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작지만 공간을 요구한다. 따라서, 인접한 검출기(2061)를 수용하기 위하여, 검출기(2061)에 인접하여 배치된 임의의 픽셀은 축소된 크기 또는 개구를 가질 것이다.
검출기(2061)는 패턴을 갖고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 검출기(2061)는 바람직하게 그리드를 형성하는 선형태로 배열된다. 검출기(2061)의 제1부분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제1 영역(2081)상에 배치되고, 검출기(2061)의 제2부분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제2 영역(2083)상에 배치된다. 도 19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영역(2081)은 본질적으로 제2 영역(2083)을 제외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모든 영역이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제1 영역(2081)상에 배치된 검출기(2061)의 제1 부분은 픽셀에 인접하는 검출기(2061)의 존재에 의해 초래되는 시각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교적 산재된 패턴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1 영역(2081) 상의 검출기(2061)들간의 간격은 약 1.0 mm 내지 10.0 mm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mm 이다.
검출기(2061)의 제2 부분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제2 영역(2083) 상에서 비교적 밀집된 패턴으로 배치되고, 가상 트랙 볼(2032)의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제2 영역(2083)에서의 화질은 검출기(2061)의 밀집된 간격으로 인하여 역효과를 일으킨다. 하지만, 제2 영역(2083)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전체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이다. 바람직하게, 제2 영역(2083)에서의 검출기(2061)의 밀도는 약 0.05 mm 내지 3.0 mm 의 검출기 간격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약 0.1 mm 의 검출기 간격이 좋다. 또한, 제2 영역(2083)에서의 픽셀들은 가상 트랙 볼(2032)에 전용되기 때문에, 큰 픽셀로 축소된 픽셀 밀도를 갖는 것이 용인될 수 있다. 픽셀 크기는 매우 크기 때문에, 검출기(2061)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은 픽셀에서보다 종횡비가 상당히 높을 것이다. 제2 영역(2083)에서의 픽셀은 가상 트랙 볼(2032)을 도시화하고 제2 영역(2083)을 비춰서 가상 트랙 볼(2032)을 하이라이트 시키는 것과 같은 특정 기능 픽셀들일 것이다.
프로세서 장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 상의 이미지의 선택가능 부분들의 경계를 규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장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특정 부분 상에서 선택가능 아이콘 이미지 또는 기타 객체 이미지를 생성할 것이다. 프로세서 장치는 또한 특정 검출기(2061)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특정 부분에 관련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프로세서 장치가 특정 이미지, 예컨대, 선택가능 아이콘에 인접한 특정 검출기(2061)의 작동을 검출하면, 프로세서 장치는 해당 아이콘과 관련된 기능 또는 루틴, 예컨대, 캘린더 프로그램 열기를 개시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프로세서 장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의 제2 영역(2083)에서 가상 트랙 볼(2032)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특정 검출기(2061)를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상 트랙 볼(2032)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검출기(2061)의 작동은 프로세서 장치에 의해 가상 트랙 볼(2032)로부터의 입력으로서 해석될 것이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 상의 제2 영역(2083)에서 특정 방향을 따라 내뻗는 연속하는 복수의 검출기(2061)의 작동은 상기 특정 방향으로의 네비게이션 입력, 스크롤링 입력, 선택 입력, 및/또는 다른 입력으로서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55)상에서 손가락을, 예컨대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상 트랙 볼(2032)은 다중축 입력 장치이다. 가상 트랙 볼(2032)의 중앙 영역에서의 하나 이상의 검출기(2061)의 무이동 작동과 같은 다른 입력은 하우징(006) 방향으로의 휴대형 전자장치(1004)의 트랙 볼(32)의 작동에 의해 생성되는 것과 같은 가상 트랙 볼(2032)의 작동 입력으로서 프로세서 장치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제2 영역(2083)에서 다른 유형의 검출기(2061)의 작동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사상을 벗어나는 것 없이 다양한 다른 입력으로서 해석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형 전자장치(2004)는 비기계식 다중축 입력 장치(2032)를 포함하지만, 여전히 휴대형 전자장치(4)의 트랙 볼(32)과 동일한 기능 특징 및 장점을 제공한다. 가상 트랙 볼(2032)은 휴대형 전자장치(2004)상에서 이용될 수 있는 수 많은 유형의 다중축 입력 장치들 중의 단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임을 이해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사상의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해왔지만, 본 개시의 전체적인 가르침을 참조하여 다양한 변형예와 대체예가 전개될 수 있음을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특정 장치들은 오직 설명을 위한 것이며, 이것은 여기서 개시되고 청구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내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전범위 및 이에 관련된 임의의 및 모든 등가물로부터 주어지는 발명사상의 범위를 제한시키려는 의미를 갖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사상의 완전한 이해는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첨부되는 도면들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사상에 따른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사상에 따른 개선된 방법의 부분들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으로의 텍스트 기입동작 중의 예시적인 출력이다.
도 5는 텍스트 기입동작 중의 다른 부분의 예시적인 출력이다.
도 6은 텍스트 기입동작 중의 다른 부분의 예시적인 출력이다.
도 7은 휴대형 전자장치상으로의 다른 텍스트 기입동작 중의 예시적인 출력이다.
도 8은 다른 텍스트 기입동작 중의 다른 부분의 예시적인 출력이다.
도 9는 다른 텍스트 기입동작 중의 다른 부분의 예시적인 출력이다.
도 10은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가시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홈 스크린이다.
도 11은 도 1의 휴대형 전자장치상으로 출력될 수 있는 예시적인 메뉴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메뉴를 도시한다.
도 13은 예시적인 축소 메뉴를 도시한다.
도 14는 다른 예시적인 텍스트 기입 또는 텍스트 편집 동작 동안에 발생될 수 있는 출력이다.
도 15는 다른 예시적인 텍스트 기입 동작 동안의 출력이다.
도 16은 도 15의 예시적인 텍스트 기입 동작 동안의 대체가능한 출력이다.
도 17은 도 15의 예시적인 텍스트 기입 동작 중의 다른 부분에 관한 다른 출력이다.
도 18은 데이터 기입 동작중의 예시적인 출력이다.
도 19는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사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개선된 휴대형 전자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 걸쳐서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구성부들은 가리킨다.

Claims (21)

  1. 출력 장치, 복수의 입력 부재들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및 복수의 언어 객체들, 복수의 문자들, 및 복수의 단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언어 객체 중 적어도 일부는 각각 복수의 상기 문자들과 연계되며, 상기 각 단어들은 복수의 상기 문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각각 자체 할당된 복수의 언어 요소들을 갖고, 상기 각각의 언어 객체는 복수의 상기 언어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입력 부재들의 복수의 작동들을 포함하는 텍스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입력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각각 자체 할당된 복수의 언어 요소들을 갖는 것인, 상기 텍스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입력의 적어도 서두부분에 대응하는 언어 객체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언어 객체열 중의 하나의 언어 객체와,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에 대한 대체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를 출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언어 객체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어들을 갖는 문자 해석을 출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언어 객체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를 상기 변형 언어 객체로 교체함으로써 편집된 상기 언어 객체열에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어들을 포함하는 다른 문자 해석을 출력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언어 객체열을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변형 언어 객체의 선택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언어 객체열을,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를 상기 변형 언어 객체로 교체함으로써 편집된 상기 언어 객체열로 교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언어 객체열을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문자 해석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언어 객체열을 상기 문자 해석으로 교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소정의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객체로서,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 및 상기 문자 해석을 출력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다중축 입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출력부로서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 및 상기 문자 해석을 포함하는 검색창을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 및 상기 문자 해석 중 하나에 선택 포커스를 적용하는 단계; 및
    네이게이션 입력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 및 상기 문자 해석 중의 상기 하나와 다른 하나로 상기 선택 포커스를 위치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축 입력 장치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입력이 상기 선택 포커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로 위치이동시키면,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를 상기 변형 언어 객체로 교체함으로써 편집된 상기 언어 객체열에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어들을 갖는 다른 문자 해석을 출력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축 입력 장치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입력이 상기 문자 해석으로 상기 선택 포커스를 위치이동시키면, 상기 휴대형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문자 해석을 출력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해석으로서 디폴트 문자 해석과, 상기 디폴트 문자 해석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대체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 문자 해석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언어 객체열을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문자 해석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문자 해석에 대응하는 상기 언어 객체열의 일부를 대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문자 해석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언어 객체열을 출력시키는 단계;와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검색창에서,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를 상기 제1부분에서 출력하고, 상기 문자 해석을 상기 제2부분에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검색창에 선택 포커스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에서, 상기 문자 해석으로서 디폴트 문자 해석을 출력하고, 상기 디폴트 문자 해석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대체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 문자 해석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입력으로서 라틴 글자의 텍스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 해석으로서 중국어 문자, 일본어 문자, 및 한국어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어들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상에서 입력을 가능케 하는 방법.
  15. 휴대형 전자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복수의 객체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장치;
    복수의 입력 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 장치에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프로세서 장치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출력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입력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 부재는 자체 할당된 복수의 언어 요소들을 각각 가지며,
    상기 복수의 객체들은 복수의 언어 객체들, 복수의 문자들, 및 복수의 단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언어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각각 복수의 상기 문자들과 연계되고, 상기 단어들 각각은 복수의 상기 문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언어 객체들 각각은 복수의 상기 언어 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수행될 때에,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입력 부재들의 복수의 작동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입력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각각 자체 할당된 복수의 언어 요소들을 갖는 텍스트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의 적어도 서두부분에 대응하는 언어 객체열을 생성하고;
    상기 언어 객체열 중의 하나의 언어 객체와,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에 대한 대체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언어 객체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어들을 갖는 문자 해석을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야기시키는 복수의 루틴들을 또한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변형 언어 객체의 선택을 검출하고;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를 상기 변형 언어 객체로 교체함으로써 편집된 상기 언어 객체열에 대응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어들을 포함하는 다른 문자 해석을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언어 객체열을 출력시키고,
    상기 변형 언어 객체의 선택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언어 객체열을,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를 상기 변형 언어 객체로 교체함으로써 편집된 상기 언어 객체열로 교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소정의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객체로서,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 및 상기 문자 해석을 출력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출력부로서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 및 상기 문자 해석을 포함하는 검색창을 출력시키고;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 및 상기 문자 해석 중 하나에 선택 포커스를 적용하며;
    네이게이션 입력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으로,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 및 상기 문자 해석 중 상기 하나와 다른 하나로 상기 선택 포커스를 위치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문자 해석으로서 디폴트 문자 해석과, 상기 디폴트 문자 해석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대체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 문자 해석을 출력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 입력 위치에서 상기 언어 객체열을 출력시키고;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검색창에서, 상기 하나의 언어 객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 언어 객체를 상기 제1부분에서 출력하고, 상기 문자 해석을 상기 제2부분에서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KR1020080039556A 2007-08-31 2008-04-28 텍스트 명확화 환경에서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을 가능하게하고 개선된 검색창을 출력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 KR100942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6939307P 2007-08-31 2007-08-31
US60/969,393 2007-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041A KR20090023041A (ko) 2009-03-04
KR100942218B1 true KR100942218B1 (ko) 2010-02-11

Family

ID=4042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556A KR100942218B1 (ko) 2007-08-31 2008-04-28 텍스트 명확화 환경에서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을 가능하게하고 개선된 검색창을 출력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365071B2 (ko)
JP (1) JP4794590B2 (ko)
KR (1) KR100942218B1 (ko)
CN (1) CN101377727B (ko)
TW (1) TW2009109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8227B2 (en) 2018-11-28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key input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5004B2 (en) * 2004-08-31 2009-01-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ext disambiguation
US7586423B2 (en) * 2006-06-30 2009-09-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ual-mode disambiguation of text input
US9355090B2 (en) * 2008-05-30 2016-05-31 Apple Inc. Identification of candidate characters for text input
JP5362095B2 (ja) * 2009-03-19 2013-12-11 グーグ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ンプットメソッドエディタ
US9104244B2 (en) * 2009-06-05 2015-08-11 Yahoo! Inc. All-in-one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JP5782699B2 (ja) * 2010-10-15 2015-09-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159245A1 (en) * 2011-05-20 2012-11-29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key pinyins
CN104238991B (zh) * 2013-06-21 2018-05-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输入匹配方法及装置
RU2632422C2 (ru) * 2015-04-24 2017-10-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Яндекс"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ввода
TW201725500A (zh) * 2016-01-15 2017-07-16 zheng-hong Lin 一筆畫輸入注音中文之方法
KR102592044B1 (ko) 2018-06-29 2023-10-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물리적 키보드의 레이아웃 설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449A (ja) 2002-08-26 2004-03-18 Eigyotatsu Kofun Yugenkoshi 不完全または曖昧な音声表記入力のための比較機能を有する中国語音声表記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50007859A (ko) * 2003-07-11 2005-01-21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US20060048055A1 (en) 2004-08-25 2006-03-02 Jun Wu Fault-tolerant romanized input method for non-roman characters
KR20060046392A (ko) * 2004-06-10 2006-05-1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아시아 언어들을 위한 수기 입력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4900A (en) * 1983-11-14 1992-11-17 Colman Bernath Method and device for phonetically encoding Chinese textual data for data processing entry
US5212638A (en) * 1983-11-14 1993-05-18 Colman Bernath Alphabetic keyboard arrangement for typing Mandarin Chinese phonetic data
SG42314A1 (en) * 1995-01-30 1997-08-15 Mitsubishi Electric Corp Langu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H1115584A (ja) * 1997-06-25 1999-01-22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US6005498A (en) * 1997-10-29 1999-12-21 Motorola, Inc. Reduced keypad entry apparatus and method
US7257528B1 (en) * 1998-02-13 2007-08-14 Zi Corporation Of Canad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text input
TW546943B (en) * 1999-04-29 2003-08-11 Inventec Corp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with virtual keyboard
FI112978B (fi) * 1999-09-17 2004-02-13 Nokia Corp Symbolien syöttö
US6848080B1 (en) * 1999-11-05 2005-01-25 Microsoft Corporation Language input architecture for converting one text form to another text form with tolerance to spelling, typographical, and conversion errors
JP2001166868A (ja) * 1999-12-08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数字キーパッドによる中国語ピンイン入力方法及び装置
AUPR270201A0 (en) * 2001-01-25 2001-02-22 Easykeys Limited Character generation system
US7013258B1 (en) * 2001-03-07 2006-03-14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accelerating Chinese text input
JP2002297577A (ja) * 2001-03-30 2002-10-11 Toshiba Corp 中国語入力変換処理装置、中国語入力変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20180806A1 (en) * 2001-06-04 2002-12-05 Inventec Appliances Corp. 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input and inquiry efficiency
JP2005518585A (ja) * 2002-02-19 2005-06-23 ジ、ヒュン・ジン 移動端末機用文字入力システムとこれを用いた移動端末機
CN1643484A (zh) * 2002-03-22 2005-07-20 索尼爱立信移动通讯股份有限公司 将文本输入到电子通信设备
KR100377432B1 (ko) * 2002-03-29 2003-05-09 주식회사 네오패드 문자/단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EP1550938B1 (en) * 2002-06-05 2015-04-22 Rongbin Su Input method for optimizing digitize operation code for the world character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ereof
US7109891B2 (en) * 2002-06-12 2006-09-19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for arranging Mandarin phonetic symbols on a keypad
US20040080435A1 (en) * 2002-10-25 2004-04-29 Culture.Com Technology (Macau) Ltd.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US20040225965A1 (en) * 2003-05-06 2004-11-11 Microsoft Corporation Insertion location tracking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US20050027534A1 (en) * 2003-07-30 2005-02-03 Meurs Pim Van Phonetic and stroke input methods of Chinese characters and phrases
US7395203B2 (en) * 2003-07-30 2008-07-01 Tegic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phonetic input
US7406662B2 (en) * 2003-11-10 2008-07-29 Microsoft Corporation Data input panel character conversion
JP4213570B2 (ja) * 2003-11-20 2009-01-21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136050B2 (en) * 2003-11-21 2012-03-13 Nuance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device and user interface and input method therefor
CN100437441C (zh) * 2004-05-31 2008-11-26 诺基亚(中国)投资有限公司 用于输入中文汉字短语的方法和设备
US7502632B2 (en) * 2004-06-25 2009-03-10 Nokia Corporation Text messaging device
US7263658B2 (en) * 2004-10-29 2007-08-28 Charisma Communications, Inc. Multilingual input method editor for ten-key keyboards
CN1834865B (zh) * 2005-03-18 2010-04-28 马贤亮 一种小键盘上数字编码的汉语拼音和注音多字连续输入法
US8904282B2 (en) * 2005-04-21 2014-12-0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capability for interpreting user inputs and method therefor
US20070016862A1 (en) * 2005-07-15 2007-01-18 Microth, Inc. Input guessing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7861164B2 (en) * 2005-11-03 2010-12-28 Bin Qin Method to sequentially encode PINYIN of Chinese character with few symbols
JP4058071B2 (ja) * 2005-11-22 2008-03-05 株式会社東芝 用例翻訳装置、用例翻訳方法および用例翻訳プログラム
US20080024449A1 (en) * 2006-07-28 2008-01-31 Velimir Pletikosa Keypa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Keys With Phonetically Corresponding Latin and Non-Latin Characters
US20080046824A1 (en) * 2006-08-16 2008-02-21 Microsoft Corporation Sorting contacts for a mobile computer device
US20080077393A1 (en) * 2006-09-01 2008-03-27 Yuqing Gao Virtual keyboard adaptation for multilingual input
US8028230B2 (en) * 2007-02-12 2011-09-27 Google Inc. Contextual input method
US8677237B2 (en) * 2007-03-01 2014-03-18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ed pinyin and stroke input
US8457946B2 (en) * 2007-04-26 2013-06-04 Microsoft Corporation Recognition architecture for generating Asian characters
US8253694B2 (en) * 2007-08-03 2012-08-28 Google Inc. Language keyboard
JP5825937B2 (ja) * 2011-08-31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449A (ja) 2002-08-26 2004-03-18 Eigyotatsu Kofun Yugenkoshi 不完全または曖昧な音声表記入力のための比較機能を有する中国語音声表記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50007859A (ko) * 2003-07-11 2005-01-21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KR20060046392A (ko) * 2004-06-10 2006-05-1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아시아 언어들을 위한 수기 입력
US20060048055A1 (en) 2004-08-25 2006-03-02 Jun Wu Fault-tolerant romanized input method for non-roman charact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8227B2 (en) 2018-11-28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key input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7727A (zh) 2009-03-04
JP4794590B2 (ja) 2011-10-19
TW200910914A (en) 2009-03-01
US20090235165A1 (en) 2009-09-17
US20140006008A1 (en) 2014-01-02
CN101377727B (zh) 2011-11-09
JP2009059338A (ja) 2009-03-19
US8365071B2 (en) 2013-01-29
KR20090023041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218B1 (ko) 텍스트 명확화 환경에서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을 가능하게하고 개선된 검색창을 출력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
US8296128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employing logical proximity of characters in spell checking
US8065453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mploying a multiple-axis input device and learning a context of a text input for use by a disambiguation routine
KR101125381B1 (ko) 입력의 음역을 위하여 이전에 입력된 데이터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 및 관련 방법
US8773358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providing advanced text editing function in a text disambiguation environment
WO2008055360A1 (en) Multi-language, multiple-axis disambiguation handheld device
KR100954750B1 (ko) 텍스트 명확화 환경에서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의 제안된문자 해석의 생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관련 방법
CA2639215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providing advanced text editing function in a text disambiguation environment
KR101051381B1 (ko) 다중축 입력 장치와 언어 선택을 위한 선택가능 언어 표시기를 갖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및 관련 방법
CA2639221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employing logical proximity of characters in spell che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1